KR100723680B1 -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680B1
KR100723680B1 KR1020050071795A KR20050071795A KR100723680B1 KR 100723680 B1 KR100723680 B1 KR 100723680B1 KR 1020050071795 A KR1020050071795 A KR 1020050071795A KR 20050071795 A KR20050071795 A KR 20050071795A KR 100723680 B1 KR100723680 B1 KR 100723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gp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795A (ko
Inventor
김태민
배성수
한창문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6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6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 sensor measurement for aiding acquisition or tra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1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여 측위를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실외 환경에 위치하여 상기 측위에 성공한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 환경에 위치하여 상기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측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측위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의 품질을 기지국 기반 수준에서 GPS 수준으로 개선함으로써 실내 환경의 사용자에게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내 환경, GPS, 측위, LBS, 위치 기반 서비스

Description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Method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 In/Out Building An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위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의 최대 오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GPS 인공위성 120, 220: 이동통신 단말기
130, 230: 이동통신망 140: 위치 결정 서버
150, 240: LBS 플랫폼 160, 25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302: GPS 안테나 304: GPS 수신기
306: 마이크로프로세서 308: 메모리
310: 키입력부 312: LCD 표시부
314: DSP 316: 베이스밴드 변환부
318: RF 신호 처리부 320: 안테나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실외 환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 환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실내 환경에 진입하기 전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현 시점의 측위 결과로 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고 있다.
한편,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Internet)이 확립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 초고속 통신망 등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공간을 초월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어, 수많은 기업들이 무선 인터넷에 대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개인의 단말기 사용에 따른 진일보된 개인화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문자, 음성,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인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란 휴대폰, 피디에이(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PC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위치에 따른 이동통신 요금의 차등화,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무선 측위 기술(LDT :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이라고 하는데, 기지국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으로 구별되며, 최근에는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망 기반 방식은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에 기반해 위치 추적을 하는 것으로 Cell-ID를 추적하거나 기지국과 이동체 간의 거리 측위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새로운 모듈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개발에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선 기지국 의 셀(Cell) 크기나 위치 결정 방식에 따라서 오차가 대략 500 m ~ 수 km에 이를 정도로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핸드셋 기반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장착하여 단말기 자체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미 국방성이 관리하는 24개의 GPS 인공위성 중 3 개 이상의 위성이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위도 및 경도상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GPS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 방식은 오차가 수 m 내지 수십 m 정도로 망 기반 방식을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우수한 정확성을 갖는다.
이러한 측위의 정확성과 더불어 GPS 수신기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GPS 수신기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GPS 수신기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에 위치해야 하며 실내와 같이 GPS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는 위치를 측정할 수 없어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실내 환경에 있는 경우에는 핸드셋 기반 방식이 아닌 망 기반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망 기반 방식은 측위의 오차가 크므로 효과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와 같이 GPS 전파를 수신 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은,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실외 환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고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 환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실내 환경에 진입하기 전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현 시점의 측위 결과로 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여 측위를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실외 환경에 위치하여 상기 측위에 성공한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 환경에 위치하여 상기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측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측위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현재 위치가 실내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실내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요청 신호 수신시에 새롭게 측위하여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및 (d)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실내 환경인 경우에는 상기 실내 환경으로 진입하기 전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측위 방법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 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로부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청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상기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유무선으로 매개하는 이동통신망; 항법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전파를 송신하는 GPS 인공위성; 상기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되, 측위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서 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인증 및 관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LBS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유무선으로 매개하는 이동통신망; 항법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전파를 송신하는 GPS 인공위성;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GPS 인공위성의 좌표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항법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 상기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인증 및 관리하고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LBS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전파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 및 상기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GPS 모듈;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동작 명령/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GPS 모듈에서 산출한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GPS 모듈이 측위에 성공한 경우에는 측위에 의해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전송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기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및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 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GPS 인공위성(110), 이동통신 단말기(120), 이동통신망(130),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140), LBS 플랫폼(15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GPS 인공위성(110)은 위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 데이터를 반송파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GPS 인공위성(110)은 기울임각이 55°인 6 개의 원형 궤도면에 각각 4 개씩 배치된 총 24 개의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GPS 인공위성(110)의 배치는 사용자의 3 차원 위치 및 수신기 시계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지구 전역에서 최소한 4 개 이상의 위성이 항상 보이도록 특수하게 설계되어 있다.
각각의 GPS 인공위성(11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는 각 위성 번호에 따라 특수하게 설계된 PRN 코드(Pseudo Random Noise Code)를 포함한다. 즉, 코드 다중 분할 방식(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으로 항법 데이터가 반송파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전파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는 각 GPS 인공위성(110)에서 전송하는 항법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GPS 인공위성(110)이 송신하는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되, 측위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산출된 위치 정보를 측위 시각 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키 신호를 입력받으면 측위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최근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면서 동시에 기존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측위 시각 정보를 저장할 필요 없이 메모리에는 항상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키 신호를 입력받으면 실외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외 환경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키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새로이 측위를 실시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새로이 산출된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외 환경인지의 여부는 측위에 필요한 3 개 이상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가 수신되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된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A-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한다. A-GPS 방식에는 네트워크 보조 핸드셋 기반 GPS(MS-Based Network-Assisted GPS, 이하 "MS-Based GPS"라 함) 방식 및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이하 "MS-Assisted GPS"라 함) 방식이 있는데, MS-Based GPS 방식은 위치 결정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GPS 인공위성(110)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반면, MS-Assisted GPS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인공위성(110)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항법 데이터를 위치 결정 서버(140)로 전송하고, 위치 결정 서버(140)가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전송해 주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30)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의 무선 통신을 매개하며 기지국 전송기(132)와 기지국 제어기(134), 이동통신 교환국(136) 및 망간 연동 장치(IWF: Inter-Working Function)(1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지국 전송기(132)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134)는 기지국 전송기(132)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20) 및 기지국 전송기(13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무선 접속망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6)은 무선 기지국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포함하는 타 망과의 연동 기능,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호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 등 각종 데이터나 메시지를 망간 연동 장치(138)를 통해 위치 결정 서버(140)나 LBS 플랫폼(150)으로 전송한다.
망간 연동 장치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 패킷 공중 데이터 교환망(PSPDN: 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 간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장비로 회선 데이터(Circuit Data)를 패킷 데이터(Packet Data)로 상호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30)은 CDMA 2000 1x, 3x, EV-DO(Evolution-Data Only) 등과 같은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WCDMA와 같은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무선 접속망의 분해능과 같은 단말 정보를 수신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보조 데이터를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위치 결정 서버(140)에는 기준 GPS 안테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 터 해당 무선 접속망의 단말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무선 접속망에서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인공위성(110)의 정보(좌표 정보, 식별 코드 정보)를 검색하여 GPS 인공위성(110)의 정보가 포함된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조 데이터를 IS-801-1 또는 IS-801-1A에서 정의하는 규격에 따라 전송한다. 즉, MS-Based GPS 방식의 경우에는 "Provide Ephemeris" 또는 "Provide Almanac"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이용하고, MS-Assisted GPS 방식의 경우에는 "Provide Acquisition Assistance" 또는 "Provide Sensitivity Assistance"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LBS 플랫폼(150)은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응용 서버를 통칭한다. LBS 플랫폼(150)은 다수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의 등록, 인증 및 관리 등의 기능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과금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으면 해당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위치 정보를 LBS 플랫폼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반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지리 정보 서비스, 최단 거리/사간 경로 서비스, 관심 지점 서비스,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MS-Assisted GPS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아닌 위치 결정 서버(1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위치 결정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인공위성(110)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데, 수신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항법 데이터를 위치 결정 서버(140)로 전송하고, 수신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실패 메시지를 위치 결정 서버(140)로 전송하게 된다.
위치 결정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이전 주기의 위치 정보를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 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위치 결정 서버(140)로 전송하고, 위치 결정 서버(140)로부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요청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Standalone GPS)을 방식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이란 보조 데이터의 도움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220)가 자체적으로 GPS 인공위성(210)으로부터 수신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위치 결정 서버가 필요하지 않다. 그 외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한 시스템은 MS-Based GPS를 이용한 시스템에 비해 높은 수신율 및 정확도를 가지며, GPS 음영 지역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MS-Based GPS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위치 제공 서비스는 분당 30회 이상의 빠른 검색 속도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빠르게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위치 기반 정보를 제공하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어떠한 시스템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MS-Assisted GPS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GPS 안테나(302)와 GPS 수신기(304)를 포함하는 GPS 모듈, 마이크로프로세서(306), 메모리(308), 키 입력부(310),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312),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베이스밴드 변환부(316)와 RF 신호 처리부(318)를 포함하는 송수신부, 스피커(322) 및 마이크로폰(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안테나(302)는 GPS 인공위성(110, 210)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고, GPS 수신기(304)는 GPS 안테나(302)가 수신한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GPS 전파에는 인공위성의 식별 코드(ID Code), 궤도 위치, 시각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GPS 수신기(304)는 다수(3 개 이상)의 GPS 인공위성(110, 210)으로부터 발사되는 전파 간 도달 속도의 차이를 연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경위도 좌표)를 연산한다. 여기서 위치 측정 방법은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 방식이나 A-GPS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실외 환경에 위치하여 GPS 수신기(304)가 측위에 성공하는 경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실내 환경에 위치하여 GPS 수신기(304)가 측위에 실패함으로써 실패 결과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인식하여 메모리(308)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장 최근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메모리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위치 정보가 산출된 측위 시각 정보를 위치 정보와 함께 메모리(308)에 저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할 수 있다. 또는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기존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메모리에는 항상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만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현 위치가 실외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실외 환경인 경우에는 새로이 위치를 측정하여 새롭게 산출된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외 환경인지 여부는 GPS 모듈이 측위에 필요한 3 개 이상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308)는 GPS 수신기(304)가 산출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이고, 키입력부(31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작/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LCD 표시부(312)는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 시각 등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주며,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 기반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14)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1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316)와 음성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316)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316)는 RF 신호 처리부(318)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314), 스피커(322) 및 마이크로폰(324)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 신호 처리부(318)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에 싣는 변조 과정을 수행하여 안테나(320)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송출하거나, 안테나(320)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 치 측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여 측위를 시도한다(S410). 여기서 측위를 하는 방법은 GPS 수신기를 내장하거나 또는 외장형으로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GPS 전파를 수신하여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 서버가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조 데이터를 IS-801-1 또는 IS-801-1A 규격에서 정의하는 "Provide Ephemeris" 또는 "Provide Almanac"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Provide Ephemeris" 또는 "Provide Almanac"에 포함된 보조 데이터로부터 인공위성의 좌표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위치를 측정하는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위치 결정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MS-Assisted GPS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위치 결정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GPS 인공위성의 좌표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조 데이터를 IS-801-1 또는 IS-801-1A 규격에서 정의하는 "Provide Acquisition Assistance" 또는 "Provide Sensitivity Assistance"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조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 정보와 식별 코드 정보를 가진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하면, 위치 결정 서버는 수신된 항법 데이터 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측위를 시도한 결과 실외 환경에 위치하여 GPS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측위에 성공하게 되면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S420, S430). 그러나 실내 환경에 위치하여 측위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440). 여기서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위치 정보가 산출된 측위 시각 정보를 함께 저장하거나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위치 정보가 가장 최근에 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측위된 결과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측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측위 주기가 도래한 경우 S410 단계로 돌아간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위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처음에 실외 환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위치 정보(A, B, C, D)가 순서대로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러나 건물 등의 실내 환경으로 진입하여 GPS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측위에 실패하게 되는데 이때 메모리에는 실패 결과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 환경으로 진입하기 전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 "D"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에 실외 환경으로 재 진입하는 경우에는 GPS 전파의 수신이 가능하므로 새로운 위치 정보가 "E"가 산출되어 메모리에는 위치 정보 "E"가 저장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할 경우 실외 환경에서는 기존 측위 결과와 동일하나 실내 환경에서는 실내 환경으로 진입 전 가장 최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게 되므로 실내 환경에서 망 기반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보다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의 최대 오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측위 오차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43398219-pat00001
따라서 측위 주기를 길게 설정한다거나 단말기 이동 속도가 크지 않은 이상 망 기반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실내 환경의 측위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측위 주기를 충분히 작게(5분 이하)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710),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위치가 실내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720).
실내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새롭게 산출된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S730).
그러나 실내 환경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실내 환경으로 진입 전 가장 최근 에 산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S740).
여기서 현재 위치가 실내 환경인지 여부는 측위에 필요한 3 개 이상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730 단계에서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인지 여부 및 S740 단계에서 "실내 환경으로 진입하기 전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 정보"인지 여부는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S730 단계 또는 S740 단계에서 위치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S750). 여기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은 추출된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경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예이다. 그러나 MS-Assisted GPS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위치 결정 서버가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위치 결정 서버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위치 결정 서버는 가장 최근에 산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한 위치 기반 서비 스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 결정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위치 정보가 가장 최근에 산출되었는지 여부는 위치 정보가 산출된 시간인 측위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 주기의 위치 정보가 산출될 때마다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는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만 저장되도록 하여 별도의 판단 없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의 품질을 기지국 기반 수준에서 GPS 수준으로 개선함으로써 실내 환경의 사용자에게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환경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비를 구축함 없이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비용 대비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도 측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환경에서 실외 환경으로 재 진입한 경우에도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1)

  1.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여 측위를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측위에 성공한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측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측위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가 산출된 시간인 측위 시각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만을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측위를 시도하는 방법은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Standalone GPS)을 이용하여,
    (a1) GPS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GPS 전파를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형으로 장착된 GPS 수신기가 상기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측위를 시도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보조 핸드셋 기반 GPS(MS-Based Network-Assisted GPS) 방식을 이용하여,
    (a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결정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GPS 인공위성의 좌표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Aiding Data)를 수신하는 단계;
    (a5) 상기 보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식별 코드 정보를 가진 상기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GPS 전파를 수신하는 단계; 및
    (a6) 상기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의 전송은 IS-801-1 규격 또는 IS-801-1A 규격에서 정의하는 "Provide Ephemeris" 또는 "Provide Almanac"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측위를 시도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방식을 이용하여,
    (a7)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8)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인공위성의 좌표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Aiding Data)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a9) 상기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항법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의 전송은 IS-801-1 규격 또는 IS-801-1A 규격에서 정의하는 "Provide Acquisition Assistance" 또는 "Provide Sensitivity Assistance"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9.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현재 위치가 실내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실내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요청 신호 수신시에 새롭게 측위하여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및
    (d)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실내 환경인 경우에는 상기 실내 환경으로 진입하기 전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실내 환경인지 여부의 판단은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3 개 이상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전파가 수신되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측위에 성공한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측위 시각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상기 측위 시각 정보와 함께 저장하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인지 여부는 상기 측위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측위에 성공한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저장하며,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은,
    (e) 상기 요청 신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a) 단계에서 요청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5. 실내외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측위 방법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 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로부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청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상기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결정 서버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가 산출된 시간인 측위 시각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결정 서버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8.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유무선으로 매개하는 이동통신망;
    항법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전파를 송신하는 GPS 인공위성;
    상기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되, 측위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인증 및 관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LBS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가 산출된 시간인 측위 시각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유무선으로 매개하는 이동통신망;
    항법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전파를 송신하는 GPS 인공위성;
    상기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되, 측위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인증 및 관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LBS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기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만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GPS 인공위성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조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네트워크 보조 핸드셋 기반 GPS(MS-Based Network-Assisted GPS) 방식 또는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방식을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 비스 제공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상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위치 측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측위가 가능한 경우 새로이 측위를 수행하고, 새로이 산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삭제
  23. 삭제
  24. 실내외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유무선으로 매개하는 이동통신망;
    항법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전파를 송신하는 GPS 인공위성;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GPS 인공위성의 좌표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항법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 상기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인증 및 관리하고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LBS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서버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가 산출된 시간인 측위 시각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인지 여부는 상기 측위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서버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만을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7. 실내외 환경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전파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 및 상기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GPS 모듈;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동작 명령/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GPS 모듈에서 산출한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GPS 모듈이 측위에 성공한 경우에는 측위에 의해 산출된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전 주기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로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전송하는 위치 기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기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및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은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Standalone GPS) 방식, 네트워크 보조 핸드셋 기반 GPS(MS-Based Network-Assisted GPS) 방식 및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보조 GPS(MS-Assisted Network-Based GPS)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가 산출되는 측위 시각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최근에 산출된 위치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기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상기 현 주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측위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측위가 가능한 경우 새로이 측위를 실행하여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71795A 2005-08-05 2005-08-05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2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795A KR100723680B1 (ko) 2005-08-05 2005-08-05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795A KR100723680B1 (ko) 2005-08-05 2005-08-05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795A KR20070016795A (ko) 2007-02-08
KR100723680B1 true KR100723680B1 (ko) 2007-05-30

Family

ID=4163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795A KR100723680B1 (ko) 2005-08-05 2005-08-05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6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70B1 (ko) 2010-04-01 2010-10-29 (주)큐비랩 연속적 위치 정보 제공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68610B2 (en) 2013-12-31 2017-02-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sitioning method based on reliability and apparatus thereof
KR101871679B1 (ko) * 2017-08-25 2018-06-27 이경희 음성 인식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전송 장치
KR102035665B1 (ko) * 2018-07-20 2019-10-23 주식회사 리텍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KR20230023510A (ko) 2021-08-10 2023-02-17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라이파이 기술을 이용한 건설기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49B1 (ko) * 2008-09-30 2011-03-17 애니데이터코리아 주식회사 Gps 음영지역 또는 이동통신 음영지역에 사용가능한 위치추적방법
KR100941142B1 (ko) 2009-01-06 2010-02-09 주식회사 텔에이스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0143B1 (ko) * 2009-05-04 2013-10-23 주식회사 팬택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관리하는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KR101677205B1 (ko) * 2010-05-26 2016-11-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Gps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측위 보정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78632A1 (ko) * 2014-05-22 2015-1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067B1 (ko) * 2014-05-22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430535B (zh) 2014-06-30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室内定位的方法和装置
KR101623452B1 (ko) 2014-10-17 2016-05-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실내위치 추정 시스템
CN112629527A (zh) * 2020-11-20 2021-04-09 上海申博信息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使用LoRa通信的车载组合定位装置及定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719A (ko) * 1999-04-28 2002-01-17 사이토 아키히코 과금 시스템
KR20050027895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주파수 옵셋을 이용한 단말기 기반의 위치 탐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0929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음영 지역에 위치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719A (ko) * 1999-04-28 2002-01-17 사이토 아키히코 과금 시스템
KR20050027895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주파수 옵셋을 이용한 단말기 기반의 위치 탐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0929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음영 지역에 위치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70B1 (ko) 2010-04-01 2010-10-29 (주)큐비랩 연속적 위치 정보 제공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68610B2 (en) 2013-12-31 2017-02-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sitioning method based on reliability and apparatus thereof
KR101871679B1 (ko) * 2017-08-25 2018-06-27 이경희 음성 인식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전송 장치
KR102035665B1 (ko) * 2018-07-20 2019-10-23 주식회사 리텍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KR20230023510A (ko) 2021-08-10 2023-02-17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라이파이 기술을 이용한 건설기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795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80B1 (ko)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7218275B2 (en) T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use with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capable of optimiz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adjusting maximum antenna range
US7495608B1 (en)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almanac for virtual base stations
JP5087105B2 (ja) 測位装置及び方法
KR100695208B1 (ko) 이기종 ap를 이용한 실내에서의 위치 정보 확인 방법
US72627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location-based service by adjusting maximum antenna range
JP2006109355A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位置情報利用方法
KR100693185B1 (ko) 개인별 적응형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1115426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점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gps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199158A (ja) 無線品質良好表示方式および方法
KR100703189B1 (ko)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안전 운전 도우미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906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말 기반지피에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86835B1 (ko)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초기모드 설정 방법, 그를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단말기
KR101165574B1 (ko) Gps 단말기의 주기적인 자동 위치 측정 기능을 이용한음영지역에서의 위치 정보 확인 방법
KR101215865B1 (ko) 개인휴대전화를 이용하는 외장형 무선 지피에스 수신기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10961A (ko) Gp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6225B1 (ko) 단말기 기반 지피에스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73181B1 (ko) MS Based GPS/Stand Alone GPS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60033661A (ko) 버스 이용시 gps 방식을 이용한 요금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5926A (ko) 무선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195702B1 (ko) 무선 측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682281B1 (ko) 이동 속도에 따른 서비스 품질 레벨 제어를 통해 위치 측위정확성을 확보하는 모바일 스테이션 기반의 지피에스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87658B1 (ko) MS-Based GPS 방식에 있어서 보간법을 이용한위치 정보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087664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활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85283B1 (ko) Gis 매핑을 이용하여 위치 탐색기의 위경도 값을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