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14B1 - 온풍 난방기 - Google Patents

온풍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114B1
KR102035114B1 KR1020170116949A KR20170116949A KR102035114B1 KR 102035114 B1 KR102035114 B1 KR 102035114B1 KR 1020170116949 A KR1020170116949 A KR 1020170116949A KR 20170116949 A KR20170116949 A KR 20170116949A KR 102035114 B1 KR102035114 B1 KR 10203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firebox
communication
combus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598A (ko
Inventor
위계성
Original Assignee
위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계성 filed Critical 위계성
Priority to CN201710989969.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425106A/zh
Publication of KR2019002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개시되는 온풍 난방기에 의하면, 회전식의 재받이 연통 부재가 적용되어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연통측 재연소 공기 유입홀이 적용되어 재받이 연통 부재에 쌓인 재의 재연소가 가능하며,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배관 삽입 부재가 적용되어 화실 부재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연결 배관들이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온풍 난방기{Hot air heater}
본 발명은 온풍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온풍 난방기는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형성된 온풍을 수요처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온풍 난방기에 사용되는 연료로는 고체 연료, 액체 연료, 기체 연료 등 다양한 연료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온풍 난방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 난방기에는 연료가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화실이 구비되고, 이러한 화실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 배관들과 연도가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 공기를 도입하여 화실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그 외부 공기가 데워져 온풍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형성된 온풍을 수요처로 공급하는 온풍 유로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온풍 난방기에서는, 화실에서 연소가 일어나면서 발생된 재가 단순히 재받이에 쌓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러한 재의 처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풍 난방기에서는, 재받이에 쌓인 재가 재연소되어 열기를 더할 수 있음에도 그대로 버려져서, 에너지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풍 난방기에서는, 화실에서 연도로 이어지는 연결 배관들의 내벽에 그을음 등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 배관들의 내벽에 쌓인 이물질이 제거되어야 함에도, 그러한 연결 배관들의 내벽 청소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228792호, 등록일자: 2013.01.25., 발명의 명칭: 고체 연료 보일러
본 발명은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재의 처리가 용이한 온풍 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받이에 쌓인 재의 재연소가 가능한 온풍 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실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연결 배관들이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는 온풍 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풍 난방기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며 열기를 형성하는 화실 부재;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고, 연소용 블로워에 의해 외부 공기가 도입되어 상기 화실 부재 쪽으로 향하게 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화실 부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유동되는 복수 개의 연결 배관; 상기 화실 부재에서 형성된 열기와 열교환되면서 온풍이 될 외부 공기를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로 도입시키되,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방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외부 공기를 도입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용 블로워;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에 의해 도입되는 각 외부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의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 사이 부분을 막아주는 가림 패널; 상기 연결 배관들을 서로 연통시키고,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연결 배관 연결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를 경유하는 상기 연소 가스 중의 재가 낙하되어 수용되며, 낙하된 상기 재의 외부 토출을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재받이 연통 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를 함께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 부재; 상기 각 연결 배관의 내벽 청소를 위하여 상기 각 연결 배관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 삽입 부재; 상기 각 연결 배관에 삽입된 상기 각 연결 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는 연결 축 회전 수단;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각 연결 축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이 연결된 것 이외의 나머지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각 연결 축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이 연결된 것과 함께 상기 각 연결 축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이 연결된 것 이외의 나머지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회동 수단;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화실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게 상기 화실 부재에 설치된 화실 부재 접근 도어; 상기 화실 부재 접근 도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화실 부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화실 부재측 관찰 창;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로 작업자가 접근하여 상기 화실 부재 접근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를 개폐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상부 케이스 접근 도어; 및 상기 상부 케이스 접근 도어에 형성되되 상기 화실 부재측 관찰 창과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화실 부재측 관찰 창 및 상기 화실 부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측 관찰 창;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 패널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화실 부재 사이를 막되,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가림 패널의 연장 길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 절반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가 작동되면,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에 의해 도입된 공기가 상기 가림 패널에 의해 막혀 서로 혼합되지 아니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방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화실 부재의 열기에 의해 온풍으로 변환되고,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그 상부가 개방된 원형체로 형성된 연통 몸체와, 상기 연통 몸체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 개의 연통 구획 패널과, 상기 연통 몸체 내로 낙하된 상기 재의 재연소를 위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연통 몸체의 바닥을 통해 상기 연통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통측 재연소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삽입 부재는 상기 각 연결 배관에 삽입되는 연결 축과, 상기 연결 축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연소 가스에 난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난류 형성부와, 상기 난류 형성부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 배관의 내벽 쪽으로 복수 개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축이 상기 각 연결 배관을 따라 외력에 의해 승강될 때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각 연결 배관의 내벽에 붙은 연소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연소 퇴적물 제거부와, 복수 개의 상기 난류 형성부 중 서로 이웃하는 것의 상기 각 연소 퇴적물 제거부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 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각 연결 배관 내벽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의하면, 회전식의 재받이 연통 부재가 적용되어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바이패스관과 연통측 재연소 공기 유입홀이 적용되어 재받이 연통 부재에 쌓인 재의 재연소가 가능하며,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배관 삽입 부재가 적용되어 화실 부재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연결 배관들이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의 내부 구성을 정면에서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적용되는 배관 삽입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의 내부 구성을 위에서 내려다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적용되는 재받이 연통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재받이 연통 부재에 삽입되는 연통 회전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의 외부 상단면의 모습을 내려다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적용되는 화실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하에서는 온풍 난방기에 적용되는 연료가 펠렛(wood-pellet), 우드칩 등의 고체 연료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기름 등의 액체 연료, 천연 가스 등의 기체 연료도 화실, 연료 공급 부재 등의 간단한 변경과 함께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는 고체 연료, 액체 연료 및 기체 연료 모두를 연소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의 내부 구성을 정면에서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적용되는 배관 삽입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의 내부 구성을 위에서 내려다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적용되는 재받이 연통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재받이 연통 부재에 삽입되는 연통 회전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의 외부 상단면의 모습을 내려다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적용되는 화실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난방기(100)는 제어 부재(101)와,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와, 상부 케이스(110)와, 가림 패널(114)과, 하부 케이스(120)와,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와, 화실 부재(140)와, 제 1 연결 배관(150), 제 2 연결 배관(151), 제 3 연결 배관(152), 제 4 연결 배관(153) 등의 연결 배관과, 연소 부재(180)와, 연료 공급 부재(190)와, 배관 삽입 부재(210)와, 재받이 연통 부재(160)와, 도어 부재(166)를 포함하고,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난방, 온수 공급 등 온풍 난방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케이스(110)는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 상기 화실 부재(140), 상기 연소 부재(180) 등이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외부 공기가 도입되어 유동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상기 상부 케이스(11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11은 상기 상부 케이스(110) 측면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도입 홀이다. 상기 외기 도입 홀(111) 상에 상기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가 설치된다.
상기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는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형성된 열기와 열교환되면서 온풍이 될 외부 공기를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로 도입시키되,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측방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외부 공기를 도입시키는 것이고,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된다.
도면 번호 102는 상기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에 임의로 외부에서 작업자의 손 등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메쉬 망이다.
상기 가림 패널(114)는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에 의해 도입되는 각 외부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의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 사이 부분을 막아주는 것이다.
상기 가림 패널(114)은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상기 화실 부재(140) 사이를 막되,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가림 패널(114)의 연장 길이는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의 기류가 서로 혼합되지 않을 정도,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상측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가 작동되면,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에 의해 도입된 공기가 상기 가림 패널(114)에 의해 막혀 서로 혼합되지 아니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측방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화실 부재(140)의 열기에 의해 온풍으로 변환되고, 그 후 별도 출구(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구획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형성되는 재가 낙하되어 쌓이는 재받이 공간이 형성된다.
도면 번호 124는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연소를 위해 외부 공기를 도입하는 연소용 블로워로서, 상기 연소용 블로워(124)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화실 부재(140)는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가 연소되고, 그러한 연소 과정에서 열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화실 부재(140) 하부에 상기 연소 부재(180)가 배치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면 번호 141은 상기 화실 부재(140) 상단을 개폐시킬 수 있는 화실 개폐 도어이고, 도면 번호 201은 상기 화실 개폐 도어(141)의 상부에 상기 화실 개폐 도어(141)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화실 부재(140)의 상단을 이중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이중 화실 도어이다.
상기 화실 개폐 도어(141)와 상기 이중 화실 도어(20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가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41은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화실 부재(140)를 개폐시킬 수 있게 상기 화실 부재(140)에 설치된 화실 부재 접근 도어이고, 도면 번호 142는 상기 화실 부재 접근 도어(141)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화실 부재측 관찰 창이고, 도면 번호 117은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로 작업자가 접근하여 상기 화실 부재 접근 도어(14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 케이스(110)에 설치된 상부 케이스 접근 도어이고, 도면 번호 118은 상기 상부 케이스 접근 도어(117)에 형성되되 상기 화실 부재측 관찰 창(142)과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화실 부재측 관찰 창(142) 및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측 관찰 창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화실 부재(140)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에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유동되는 것으로, 복수 개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연결 배관이 제 1 연결 배관(150), 제 2 연결 배관(151), 제 3 연결 배관(152) 및 제 4 연결 배관(15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은 상기 화실 부재(140)의 상부와 연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유입되어 하강되는 관이다. 그러한 하강 과정에서 연소 가스 내의 열기가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를 유동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을 통해 하강된 연소 가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부를 이루는 연결 배관 연결부(123)로 유입된다.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51)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외부와 격리된 공간이다.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에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51)이 각각 복수 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배관(151)은 상기 화실 부재(140) 외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관으로서,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을 통해 하강된 후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를 경유한 연소 가스가 상승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3 연결 배관(152)은 상기 제 2 연결 배관(151)을 통해 상승된 연소 가스를 다시 하강시키는 관으로, 그 하부는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와 연통된다.
상기 제 4 연결 배관(153)은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와 외부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를 경유한 연소 가스가 상승되어 외부로 유동되도록 한다.
도면 번호 103은 상기 제 4 연결 배관(153) 상부에 설치되어 연소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연도이다.
상기 배관 삽입 부재(210)는 상기 각 연결 배관 내벽 청소를 위하여 상기 연결 배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관 삽입 부재(210)는 상기 각 연결 배관에 삽입되는 연결 축(211)과, 상기 연결 축(211)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연소 가스에 난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난류 형성부(215)와, 상기 난류 형성부(215)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각 연결 배관의 내벽 쪽으로 복수 개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축(211)이 상기 각 연결 배관을 따라 외력에 의해 승강될 때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각 연결 배관의 내벽에 붙은 연소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연소 퇴적물 제거부(218)와, 복수 개의 상기 난류 형성부(215) 중 서로 이웃하는 것의 상기 각 연소 퇴적물 제거부(218)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 축(21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각 연결 배관 내벽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스크러버(2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러버(220) 표면에는 털 형태의 돌기가 복수 개 돌출되어, 상기 연결 배관 내벽의 잔류물 제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217은 상기 난류 형성부(215)와 상기 연소 퇴적물 제거부(218)를 연결하는 배관 삽입 연결부이고, 도면 번호 219는 상기 난류 형성부(215), 상기 배관 삽입 연결부(217), 상기 연소 퇴적물 제거부(218) 및 상기 연결 배관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 가스 유동홀이다.
도면 번호 212는 상기 연결 축(211)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연결 축(211)을 승강 및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관 삽입 부재(210)가 상기 연결 배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결 배관 내를 유동하는 연소 가스에 난류가 발생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배관 삽입 부재(210)를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 및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배관 내의 연소 퇴적물을 제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 배관에 대한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12)와 함께, 또는 상기 손잡이(212)와 별도로 상기 각 연결 축(211)을 자동적으로 회전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더 제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수단으로 상기 온풍 난방기(100)를 구성하는 연결 축 회전 수단(230)과, 멀티 회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은 상기 각 연결 배관에 삽입된 상기 각 연결 축(211)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회동 수단은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의 회전력을 상기 각 연결 축(211)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이 연결된 것 이외의 나머지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각 연결 축(211)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이 연결된 것과 함께 상기 각 연결 축(211)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이 연결된 것 이외의 나머지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멀티 회동 수단이 상기 각 연결 축(211)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이 연결된 것과 상기 각 연결 축(211)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230)이 연결된 것 이외이 나머지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 복수 개의 회전 풀리(235)와, 상기 각 회전 풀리(235) 중 서로 이웃하는 것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복수 개의 연결 벨트(236)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멀티 회동 수단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체인 등 다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소 부재(180)는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 여기서는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는 모터 등으로서,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는 연소 부재 회전축(185)을 회전시켜, 상기 연소 부재(18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소 부재(180)는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연소 부재 회전축(185)과,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연소 부재(180)를 향해 상승되는 외부 공기에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난류 형성판(181)과, 상기 난류 형성판(181)의 상측에서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30)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난류 형성판(181)에 의해 난류를 형성하면서 유동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공급된 고체 연료가 수용되어 연소가 일어나는 연료 수용부(182)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수용부(182)는 상기 고체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릇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 수용부(182) 저면과 측면에 각각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저면 외부 공기 도입 홀(183)과 측면 외부 공기 도입 홀(184)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 상단과 상기 연료 수용부(182) 상단에 각각 회전축 설치 차단 패널(186)과 수용부 설치 차단 패널(187)이 형성된다.
도면 번호 115는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이고, 도면 번호 116은 상기 축 지지부(115)를 관통하는 축 지지부 홀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연소용 블로워(124)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로 도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축 지지부 홀(116)을 통해 유입된 다음, 상기 난류 형성판(181)에 의해 가로막혀 난류가 형성되면서 상승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유동된 공기는 각각 상기 저면 외부 공기 도입 홀(183)과 상기 측면 외부 공기 도입 홀(184)을 통해 상기 연료 수용부(182)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회전축 설치 차단 패널(186)과 상기 수용부 설치 차단 패널(187)에 의해 상기 연료 수용부(182) 내부의 연료로 집중 유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를 경유하는 상기 연소 가스 중의 재가 낙하되어 수용되며, 낙하된 상기 재의 외부 토출을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그 상부가 개방된 원형체로 형성된 연통 몸체(161)와, 상기 연통 몸체(161)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이 관통될 수 있는 연통 내체(162)와, 상기 연통 내체(162)와 상기 연통 몸체(161) 사이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연통 내체(162)와 상기 연통 몸체(161) 사이의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연통 구획 패널(163)과, 상기 연통 몸체(161) 내로 낙하된 상기 재의 재연소를 위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연통 몸체(161)의 바닥면(164)을 통해 상기 연통 몸체(161)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통 몸체(161)의 바닥면(164)에 복수 개 형성된 상기 연통측 재연소 공기 유입홀(165)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측벽과 상기 연통 몸체(161) 외측벽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 바닥과 상기 연통 몸체(161) 바닥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소용 블로워(124)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하부 케이스(120)와 상기 연통 몸체(161)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축 지지부 홀(116) 및 상기 연통측 재연소 공기 유입홀(165)을 통해 상기 연소 부재(180) 및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 내부로 각각 유입된다.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에서 상기 연통 몸체(161)와 상기 연통 내체(162) 사이 공간 중 상기 연통 구획 패널(16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인 상부의 하측인 하부에는 연통 회전 부재(16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연통 회전 부재(167)는 상기 연통 내체(162)를 감싸 상기 연통 내체(162) 외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는 링 형태의 연통 회전체(168)와, 상기 연통 회전체(168)에서 외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어 상기 연통 몸체(161)와 상기 연통 내체(162) 사이 공간 중 상기 연통 구획 패널(16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인 상부의 하측인 하부 공간을 구획하는 연통 회전 패널(169)을 포함한다.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로 낙하된 상기 재는 상기 연통 회전 패널(169), 상기 연통 몸체(161) 및 상기 연통 내체(162) 사이의 공간에 쌓이게 되고, 작업자가 상기 도어 부재(166)를 오픈한 다음 상기 연통 회전 부재(167)를 회전시켜 상기 연통 회전 패널(169)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 내의 재를 순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부재(166)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와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를 함께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작업자가 상기 도어 부재(166)를 열고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를 회전시킨 다음, 상기 재가 쌓인 공간의 상기 내외 연통홀(164)을 통해 상기 재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의 회전을 통해 각 공간의 재를 순차적으로 간편하게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는 상기 화실 부재(140)로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 부재(140)로 공급되기 위한 연료가 저장된 연료 저장 부재(미도시)로부터 연료를 도입해오는 연료 도입 관(191)과, 상기 연료 도입 관(191)을 통해 도입된 연료를 상기 화실 부재(140)로 전달하는 연료 전달 관(195)과, 상기 연료 도입 관(191)과 일정 높이차를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화실 부재(140) 내의 화염이 상기 연료 전달 관(195)을 통해 상기 연료 도입 관(191) 쪽으로 전염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연료 도입 관(191) 쪽에서 상기 연료 전달 관(195) 쪽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92 및 196은 각각 상기 연료 도입 관(191) 및 상기 연료 전달 관(195) 내에서 연료를 전진시키기 위한 연료 전진 스크류이고, 도면 번호 197은 상기 연료 전달 관(195) 내의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96)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회전 부재이다. 상기 연료 도입 관(191) 내의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92)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회전 부재도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연료 도입 관(191) 후단부에 설치된다.
도면 번호 193은 상기 연료 도입 관(191)과 상기 연료 전달 관(195)을 연통시키는 연료 전달 연통 관이다.
도면 번호 198은 상기 연료 전달 관(195) 내부로 외부 공기를 도입시키는 공기 유동 홀이고, 도면 번호 199는 상기 연료 전달 관(195)을 통해 도입되는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 히터이고, 도면 번호 250은 상기 점화 히터(199)로 외부 공기를 도입하는 점화 공기 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의 일 측이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일 부분과 연통되고, 상기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의 타 측이 상기 연료 전달 연통 관(193)과 연통되는 관 형태로 제시된다.
상기 연소용 블로워(124)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동에 의해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를 경유하여 상기 연료 전달 연통 관(193)으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료 전달 관(195)에서 상기 연료 도입 관(191)으로의 화염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는 별도의 연소용 블로워 등으로 구성되어, 독자적으로 상기 연료 전달 연통 관(193) 내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부재(101)는 수요처 실내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에 의한 연료 공급량 수준을 계단형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연소용 블로워(124)에 의한 외부 공기 도입량을 계단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량을 계단형으로 증대 또는 감소시킴에 따라, 종래 수요처의 실내가 요구되는 온도값에 도달될 때까지 연료공급량은 일정하게 하면서 연소 시간을 증대시키던 방식에 비해, 수요처의 실내가 요구되는 온도값에 신속하게 도달되고 그 온도값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설정 온도에 수요처의 실내 온도가 도달되더라도 연속적으로 운전되어 종래 단속적 운전에 따라 재점화시 그을음이 발생되고 불편함이 초래되며 온풍 온도가 불규칙적이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온풍 난방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가 작동되면, 연료가 상기 화실 부재(140) 내의 상기 연소 부재(180)에 공급되어, 상기 연료 수용부(182)에 얹히게 된다.
이 때, 상기 연소용 블로워(124)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가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로 유입되어 유동하게 되고, 그러한 유동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연소 부재(18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소 부재(180)로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 부재(180)에서 연료 연소가 일어나고, 그러한 연료 연소 시 열기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외기 도입용 블로워(113)도 작동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외기 도입 홀(111)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로 도입된 다음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유동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화실 부재(140)와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 사이의 부분,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51) 사이의 부분, 상기 제 2 연결 배관(151)과 상기 상부 케이스(110) 사이의 부분 등을 통해 하강되면서,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데워져 온풍이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온풍은 외부로 유출되어 수요처로 공급된다.
상기 온풍 난방기(100)에 의하면, 회전식의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가 적용되어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상기 연통측 재연소 공기 유입홀(165)이 적용되어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160)에 쌓인 재의 재연소가 가능하며, 상기 스크러버(220)를 포함하는 상기 배관 삽입 부재(210)가 적용되어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상기 연결 배관들이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풍 난방기에 의하면,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재받이에 쌓인 재의 재연소가 가능하며, 화실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연결 배관들이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온풍 난방기
102 : 외기 도입용 블로워
110 : 상부 케이스
114 : 가림 패널
120 : 하부 케이스
130 : 연소 부재 회전 부재
140 : 화실 부재
160 : 재받이 연통 부재
166 : 도어 부재
180 : 연소 부재
190 : 연료 공급 부재
210 : 배관 삽입 부재

Claims (6)

  1.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며 열기를 형성하는 화실 부재;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고, 연소용 블로워에 의해 외부 공기가 도입되어 상기 화실 부재 쪽으로 향하게 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화실 부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유동되는 복수 개의 연결 배관;
    상기 화실 부재에서 형성된 열기와 열교환되면서 온풍이 될 외부 공기를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로 도입시키되,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방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외부 공기를 도입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용 블로워;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에 의해 도입되는 각 외부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의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 사이 부분을 막아주는 가림 패널;
    상기 연결 배관들을 서로 연통시키고,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연결 배관 연결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를 경유하는 상기 연소 가스 중의 재가 낙하되어 수용되며, 낙하된 상기 재의 외부 토출을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재받이 연통 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를 함께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 부재;
    상기 각 연결 배관의 내벽 청소를 위하여 상기 각 연결 배관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 삽입 부재;
    상기 각 연결 배관에 삽입된 각 연결 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는 연결 축 회전 수단;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각 연결 축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이 연결된 것 이외의 나머지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각 연결 축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이 연결된 것과 함께 상기 각 연결 축 중 상기 연결 축 회전 수단이 연결된 것 이외의 나머지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회동 수단;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화실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게 상기 화실 부재에 설치된 화실 부재 접근 도어;
    상기 화실 부재 접근 도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화실 부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화실 부재측 관찰 창;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로 작업자가 접근하여 상기 화실 부재 접근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를 개폐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상부 케이스 접근 도어; 및
    상기 상부 케이스 접근 도어에 형성되되 상기 화실 부재측 관찰 창과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화실 부재측 관찰 창 및 상기 화실 부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측 관찰 창;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 패널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화실 부재 사이를 막되,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가림 패널의 연장 길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 절반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가 작동되면, 상기 각 외기 도입용 블로워에 의해 도입된 공기가 상기 가림 패널에 의해 막혀 서로 혼합되지 아니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방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화실 부재의 열기에 의해 온풍으로 변환되고,
    상기 재받이 연통 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그 상부가 개방된 원형체로 형성된 연통 몸체와,
    상기 연통 몸체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 개의 연통 구획 패널과,
    상기 연통 몸체 내로 낙하된 상기 재의 재연소를 위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연통 몸체의 바닥을 통해 상기 연통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통측 재연소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삽입 부재는
    상기 각 연결 배관에 삽입되는 연결 축과,
    상기 연결 축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연소 가스에 난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난류 형성부와,
    상기 난류 형성부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 배관의 내벽 쪽으로 복수 개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축이 상기 각 연결 배관을 따라 외력에 의해 승강될 때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각 연결 배관의 내벽에 붙은 연소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연소 퇴적물 제거부와,
    복수 개의 상기 난류 형성부 중 서로 이웃하는 것의 상기 각 연소 퇴적물 제거부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 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각 연결 배관 내벽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난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16949A 2017-08-21 2017-09-13 온풍 난방기 KR10203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989969.XA CN109425106A (zh) 2017-08-21 2017-10-23 暖风取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74 2017-08-21
KR20170105274 2017-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98A KR20190020598A (ko) 2019-03-04
KR102035114B1 true KR102035114B1 (ko) 2019-11-08

Family

ID=6576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949A KR102035114B1 (ko) 2017-08-21 2017-09-13 온풍 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51Y1 (ko) * 2006-01-27 2006-04-27 주식회사 화진 연탄 열풍기
KR101448100B1 (ko) * 2014-04-28 2014-10-13 (주)규원테크 하이브리드 보일러
KR101479632B1 (ko) * 2014-06-05 2015-01-07 석옥득 목재 펠릿 버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792B1 (ko) 2010-07-16 2013-01-31 위선정 고체 연료 보일러
KR101313394B1 (ko) * 2011-06-14 2013-10-01 위선정 온풍 난방기
KR101369605B1 (ko) * 2012-06-21 2014-03-04 위선정 보일러
KR20140135353A (ko) * 2013-05-16 2014-11-26 이동석 화목 벽난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51Y1 (ko) * 2006-01-27 2006-04-27 주식회사 화진 연탄 열풍기
KR101448100B1 (ko) * 2014-04-28 2014-10-13 (주)규원테크 하이브리드 보일러
KR101479632B1 (ko) * 2014-06-05 2015-01-07 석옥득 목재 펠릿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98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US8186286B2 (en) Wood fired boiler
US20050284421A1 (en) Coal combusting boiler
BG109653A (bg) Отоплителен котел
EP2884200B1 (en) Central heating boiler
CS253557B2 (en) Heating installation for lump fuel combustion
RU2363888C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US3934554A (en) Water and room heater
KR102035114B1 (ko) 온풍 난방기
KR101148696B1 (ko) 펠렛 보일러
KR101369605B1 (ko) 보일러
KR101708370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무동력 바베큐 장치
JP2022022410A (ja) 燃焼装置の灰排出制御方法
JP4044431B2 (ja) 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KR20110043564A (ko) 단열된 수직연소로의 화목연소장치 와 열교환기
KR101093408B1 (ko)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연소장치
KR20100067899A (ko) 난방 시스템
KR101479841B1 (ko) 보일러
KR101809896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120087461A (ko) 보일러
KR20120114115A (ko) 고체 연료 보일러
KR20100006637U (ko) 다목적 하향식 화목연소장치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101313394B1 (ko) 온풍 난방기
KR100828743B1 (ko)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