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100B1 - 하이브리드 보일러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100B1
KR101448100B1 KR1020140050949A KR20140050949A KR101448100B1 KR 101448100 B1 KR101448100 B1 KR 101448100B1 KR 1020140050949 A KR1020140050949 A KR 1020140050949A KR 20140050949 A KR20140050949 A KR 20140050949A KR 101448100 B1 KR101448100 B1 KR 10144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late
combustion chamber
boil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수
이상세
Original Assignee
(주)규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규원테크 filed Critical (주)규원테크
Priority to KR102014005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23B50/1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the fuel being fed to the combustion zone by free fall or by sliding along inclined surfaces, e.g. from a conveyor terminating above the fuel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24C1/04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Y02B30/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일러의 연소실에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를 같이 설치하여 하나의 연소실에서 선택 연소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보다 경제적으로 열교환작용을 달성할 수 있게 만든 하이브리드 보일러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보일러{Hybrid Boil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일러의 연소실에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를 같이 설치하여 하나의 연소실에서 선택 연소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보다 경제적으로 열교환작용을 달성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보일러가 되게 한 것이다.
펠릿(pellet)은 톱밥이나 파목재를 강한 압력으로 압축해서 작은 알갱이 형태로 단단하게 뭉친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서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펠릿을 보일러의 연료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펠릿을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공급장치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사용편의성 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펠릿 보일러의 경우에는 펠릿 공급장치가 함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펠릿 보일러는 펠릿 공급장치 내에 저장된 펠릿을 다 소모하여 보일러에 연료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대비하여 기름보일러 혹은, 가스보일러)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일러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또 기름보일러 또는 가스보일러는 연료가격이 비싼 반면 열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기름분사량이나 가스공급량을 제어하여 연소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목재를 연료로 한 화목보일러와 기름보일러를 일체로 형성하여 목재와 기름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Hybrid) 보일러도 제시되고 있다.
삭제
그러나, 기존의 하이브리드 보일러는 목재연소실과 기름연소실이 분리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목재연소실과 기름연소실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연소실의 이용률이 낮아지는 불편이 있고,
또한, 기존의 목재보일러는 목재를 연소실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면서 수시로 목재의 소모량을 체크하고 소모된 만큼 추가 공급을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삭제
삭제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15964호. 2. 등록특허공보 제 10-1026937호. 3. 등록특허공보 제 10-128769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보일러 내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연소실에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를 같이 설치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열교환률이 높은 하이브리드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의 버너에 송풍기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연소실 내부의 화기가 어느 한쪽으로 역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의 버너에 그을음이 쌓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판 청소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펠릿연소부의 펠릿 연소에 사용되는 불판에 쌓이는 재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버너의 점화에러나 불완전연소, 출력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관 내부의 그을음 제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연관 내부에 쌓이는 그을음을 제거할 수 있어서 열교환율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일러본체(1)와;
보일러본체(1)의 주벽에 형성한 물집(101)과;
보일러본체(1) 내부에 형성한 연소실(2)과;
보일러본체(1)의 물집(101)과 연통되고 연소실(2) 내부를 가로지르는 수관(201)과;
연소실입구(202)에 설치한 개폐판(203)에 펠릿공급부(203a)와 버너(301)와 송풍기(302)를 장치하여 펠릿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펠릿을 공급받아 펠릿을 연소시키는 펠릿연소부(3)와;
연소실(2) 일측 주벽에 설치되어 송풍기와 기름버너(401)가 장치되어 기름을 연소시키는 기름연소부(4)와;
펠릿연소부(3)의 화덕(303)에 설치하여 불판(504) 상면에 쌓이는 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불판청소장치(5)와;
연소실(2) 바닥에 장치되고 내측단이 하단회열실(9) 바닥까지 닿도록 형성하며, 가운데에는 하단회열실(9) 하단 개방구(901)를 밀폐하고 하단회열실(9)과 연소실(2) 사이를 구획하는 가림판(601)을 설치한 재받이(6)와;
연소실(2) 후방에 형성한 열교환부(7)와;
열교환부(7)의 상단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칸막이(801)를 설치하며 상기 칸막이(801) 내측에서 연소실(2) 쪽으로 열기유입구(802)를 형성하고 칸막이 외측에서 배기구쪽으로 배기관이 형성된 상단회열실(8)과;
열교환부(7)의 하단에 형성한 하단회열실(9)과;
열기유입구(802) 상면과 하단회열실(9)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다열로 형성한 하향배기관(10)과;
하단회열실(9)에서 상단회열실(8)의 배기관쪽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다열로 형성되는 상향배기관(10a)과;
연소실(2)의 상단회열실(8)에서 배기구(1103) 쪽으로 설치되는 배기연관(1101) 출구에 설치되어 배기연관(1101)에서 배기구(1103)로 배출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전동 배풍기(1102)를 장치한 배기부(11)와,
삭제
상,하향배기관(10a)(10) 내부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그을음제거장치(13)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보일러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에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가 같이 설치되어 펠릿을 연소시키거나 기름을 연소시켜 열교환이 가능케 되므로 연료사정에 맞추어서 보일러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경제적인 열교환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삭제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의 버너에 송풍기가 각각 장치되어 있어서 펠릿과 기름을 연소시킬때 연소실 내부의 화기가 어느 한쪽으로 역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의 버너에 그을음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펠릿연소부에는 불판 청소장치가 있어서 불판에 쌓이는 펠릿연소재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버너의 점화에러나 불완전연소, 출력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관내부에 그을음 제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연관 내부에 쌓이는 그을음을 수시로 제거할 수 있어서 연관이 열교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배풍기 회전속도를 구성하여 펠릿연소부를 작동시킬 때와 기름연소부를 작동시킬 때의 배풍기의 회전속도를 각각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연소시 리프팅(lifting)이나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 측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 펠릿연소부의 불판 청소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2의 가 - 가'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육면체로 된 보일러본체(1)의 주벽에 물집(101)을 형성하고
보일러본체(1) 내부에는 연소실(2)을 형성하여 내부에 수관(201)을 설치하여 수관(201)은 보일러본체(1)의 주벽에 형성된 물집(101)과 연통되고 연소실(2) 내부를 수평으로 비스듬히 가로지르도록 설치함으로써 연소실(2)의 열교환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설치된다.
연소실(2) 내부에는 펠릿연소부(3)와 기름연소부(4)를 같이 설치하고,
펠릿연소부는 하측에 기름연소부는 상측에 설치한다.
펠릿연소부(3)는 연소실입구(202)에 설치한 개폐판(203)에 펠릿공급부(203a)와 버너(301)와 송풍기(302)를 장치하여 펠릿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펠릿을 공급받아 화덕(303)의 하측개방부에 설치한 불판(504)위에서 펠릿을 연소시키게 된다.
즉, 펠릿연소부(3)는 펠릿 공급장치로부터 펠릿을 일정하게 공급받음으로써 일정 화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기름연소부(4)는 연소실(2) 일측 주벽에 설치되고 송풍기가 구비된 기름버너(401)를 장치하여 연소실내에 버너화염을 방출하게 된다.
예컨대, 낮 시간에는 주로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펠릿연소부(3)를 작동시키고 새벽 시간에는 기름연소부(4)를 작동시키는 것이 편리하므로 이를 선택할 수 있는 자동점화장치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자동점화장치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입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펠릿연소부(3)와 기름연소부(4)에는 각각 송풍기가 장치되어 있으므로 펠릿연소부와 기름연소부를 작동시킬 때 송풍기를 모두 작동시킴으로써 연소실(2) 내부의 화기가 어느 한쪽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펠릿연소부(3)와 기름연소부(4)의 버너에 그을음이 쌓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일러 내부에 형성된 하나의 연소실(2)에 펠릿연소부(3)와 기름연소부(4)가 같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사정에 따라 또는 경제적인 이유에 의거 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기름연소부(4)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버너를 장치한 가스연소부로 대체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첨부도면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펠릿연소부(3)의 불판 청소장치(5)는 펠릿연소부(3)의 화덕(303)의 하측개방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화덕에 공급된 펠릿을 연소시킨 후 불판(504)의 상면에 쌓이는 재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불판청소장치(5)는 개폐판(203)의 외측 하단에 설치된 지지판(501)의 하단에 실린더(503)가 장치된 액추에이터(502)를 설치하고, 상,하부가 개방되고 일측벽에 버너(301)가 장치되며 사방에 통공(303a)이 형성된 화덕(303)의 하측개방부에 불판(504)을 설치하되, 불판(504)은 직사각 형태로 형성하여 내측 단부에는 수직판(504a)을 형성하고 불판(504)의 중심부에는 실린더로드(503a)에 연결되는 밀대(504b)를 장치하며 밀대(504b)와 화덕(303)의 하단 사이에는 화덕(303)에 쌓이는 재가 배출되도록 배출공(504c)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개폐판(203)을 열어서 화덕(303)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화덕(303) 하부에 재 받침대(505)를 놓은 후, 실린더(503)를 작동시켜 불판(504)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불판(504) 위에 쌓여있던 재가 화덕(303)의 내측벽에 의해 저지되면서 불판(504)의 배출공(504c)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가이드판(204)위에 떨어지게 되고 불판(504)을 내측으로 끝까지 이동시키면 밀대(504b)에 의해 가이드판(204)에 모인 재가 밀대(504b)와 수직판(504a) 사이의 개방부(504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재 받침대(505)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따라서, 불판청소장치(5)에 의해 불판(504) 상면에 쌓이는 재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버너(301)의 점화에러나 불완전연소, 출력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불판청소장치(5)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엑추에이터(502)와 실린더(503)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불판(504)을 이동시켜 불판(504) 상면에 쌓이는 재를 제거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한편, 재받이(6)는 연소실(2) 바닥에 장치되고 내측단이 하단회열실(9) 바닥까지 닿도록 형성되며, 재받이(6)의 가운데에는 하단회열실(9)의 개방구(901)를 밀폐하고 하단회열실(9)과 연소실(2) 사이를 구획하는 가림판(601)을 설치함으로써 연소실(2) 바닥과 하단회열실(9) 바닥에 떨어지는 재를 모두 수용하게 되며, 재받이(6)를 외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연소실 바닥과 하단회열실 바닥에 떨어져 쌓인 재를 모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소실(2) 후방에는 열교환부(7)를 형성하고 열교환부(7)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하단회열실(8)(9)을 형성한다.
또한, 상단회열실(8)은 중앙부에 칸막이(801)를 형성하고 칸막이 내측에서 연소실쪽으로 열기유입구(802)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 배기부(11)를 형성한다.
또한, 열기유입구(802)의 칸막이(801)에서 연소실쪽 상면과 하단회열실(9)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된 다열의 하향배기관(10)을 장치하고 하단회열실(9)에서 칸막이(801) 배기부쪽 상단회열실(8)로 세로방향으로 된 다열의 상향배기관(10a)을 형성하여 상향배기관(10a)의 상부쪽 출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보일러의 배기부(11)로 배출되게 한다.
배기부(11)는 연소실(2) 후방으로 배기연관(1101)을 설치하고 배기구(1103)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배풍기(1102)를 배기연관(1101) 내부에 설치한다. 배기연관(1101)은 상단회열실(8)의 출구쪽으로부터 'ㄴ'자형으로 형성하며 상단회열실(8)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풍기(1102)를 설치하여 연소가스를 배풍기(1102) 상부의 배기구(1103)에 연결된 배기연통(미도시)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배풍기(1102)의 회전속도는 펠릿연소부(3)를 작동시킬 때는 3200~3400 RPM 을 유지하고, 기름연소부(4)를 작동시킬 때는 2400~2600 RPM 을 유지하도록 배풍기(1102)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연소시 역화나 리프팅(lifting)을 방지하고 완전 연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향배기관(10a)(10) 내부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그을음제거장치(13)를 설치함으로써 열교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그을음제거장치(13)는 상,하향배기관(10a)(10) 내부에 상하 운동을 하는 그을음제거용코일(1301)을 설치하고 그을음제거용코일(1301)의 상단은 작동링크(1301a)의 하단에 연결하며, 작동링크(1301a)의 상단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좌우회전축(1302)의 일측에 고정설치한 좌우회전링크(1302a)의 하단에 연결하고, 보일러본체(1)의 외부로 돌출된 좌우회전축(1302)의 단부에는 고정링크(1302b)를 고정설치하며, 고정링크(1302b)의 하부 쪽 보일러본체(1)의 외측벽에는 크랭크암(1303b)이 형성된 크랭크축(1303a)을 장치한 모터(1303)를 설치하고, 커넥팅로드(1304)의 하단은 크랭크암(1303b)에 연결하며 커넥팅로드(1304)의 상단은 고정링크(1302b)의 하단에 연결된 결합링크(1302c)에 연결하여 모터(1303)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좌우회전축(1302)에 전달하여 그을음 제거용 코일을 구동시키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하향배기관(10a)(10) 내부에 쌓이는 그을음을 제거할 수 있어서 열교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보일러본체 101: 물집
2: 연소실 201: 수관
202: 연소실입구 203: 개폐판
203a: 펠릿공급부 204: 가이드판
3: 펠릿연소부 301: 버너
302: 송풍기 303: 화덕
4: 기름연소부 401: 송풍기겸용버너
5: 불판청소장치 501: 지지판
502: 액추에이터 503: 실린더
503a: 실린더 로드 504: 불판
504a: 수직판 504b: 밀대
504c: 배출공 504d: 개방부
6: 재받이 601: 가림판
7: 열교환부 8: 상단회열실
801: 칸막이 802: 열기유입구
9: 하단회열실 901: 개방구
10: 하향배기관 10a: 상향배기관
11: 배기부 1101: 배기연관
1102: 배풍기 1103: 배기구
12: 온수관 13: 그을음제거장치
1301: 그을음제거용코일 1301a: 작동링크
1302: 좌우회전축 1302a: 좌우회전링크
1302b: 고정링크 1302c: 결합링크
1303: 모터 1303a: 크랭크축
1303b: 크랭크암 1304: 커넥팅로드

Claims (5)

  1. 보일러본체(1)와;
    상기 보일러본체(1)의 주벽에 형성한 물집(101)과;
    상기 보일러본체(1) 내부에 형성한 연소실(2)과;
    상기 보일러본체(1)의 물집(101)과 연통되고 상기 연소실(2) 내부를 가로지르는 수관(201)과;
    연소실입구(202)에 설치한 개폐판(203)에 펠릿공급부(203a)와 버너(301)와 송풍기(302)를 장치하여 펠릿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펠릿을 공급받아 펠릿을 연소시키는 펠릿연소부(3)와;
    상기 연소실(2) 일측 주벽에 설치되고 송풍기가 구비된 기름버너(401)를 장치하여 연소실내에 버너화염을 방출하는 기름연소부(4)와,
    펠릿연소부(3)의 화덕(303)에 설치하여 불판(504) 상면에 쌓이는 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불판청소장치(5)와;
    상기 연소실(2) 바닥에 장치되고 내측단이 하단회열실(9) 바닥까지 닿도록 형성하며, 가운데에는 상기 하단회열실(9)의 개방구(901)를 밀폐하고 하단회열실(9)과 연소실(2) 사이를 구획하는 가림판(601)을 설치한 재받이(6)와;
    상기 연소실(2) 후방에 형성한 열교환부(7)와;
    상기 열교환부(7)의 상단에 형성되고 중앙부에 칸막이(801)를 설치하며 상기 칸막이(801) 내측에서 연소실(2) 쪽으로 열기유입구(802)를 형성하고 반대측에 배기부를 형성한 상단회열실(8)과;
    상기 열교환부(7)의 하단에 형성한 하단회열실(9)과;
    열기유입구(802) 상면과 하단회열실(9)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다열로 형성한 하향배기관(10)과;
    하단회열실(9)에서 상단회열실(8) 배기부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다열로 형성하여 상부쪽 출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보일러의 배기부(11)로 연통되게 한 상향배기관(10a)과;
    상기 상하향배기관(10)(10a)내에 설치되는 그을음제거장치(13)와;
    상기 연소실(2) 후방으로 배기연관(1101)을 설치하고 배기구(1103)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배풍기(1102)를 상기 배기연관(1101) 내부에 설치한 배기부(11)를 갖추어서 되는 하이브리드 보일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불판청소장치(5)는 개폐판(203)의 외측 하단에 설치된 지지판(501)의 하단에 실린더(503)가 장치된 액추에이터(502)를 설치하고, 상,하부가 개방되고 일측벽에 버너(301)가 장치되며 사방에 통공(303a)이 형성된 화덕(303)의 하부 개방부에 불판(504)을 설치하되, 상기 불판(504)은 직사각 형태로 형성하여 내측 단부에는 수직판(504a)을 형성하고 상기 불판(504)의 중심부에는 실린더로드(503a)에 연결되는 밀대(504b)를 형성하며 상기 밀대(504b)와 화덕(303)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화덕(303)에 쌓이는 재가 배출되도록 배출공(504c)을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503)를 작동시켜 불판(504)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불판(504) 위에 쌓여있던 재가 배출공(504c)을 통해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판(204)에 떨어지게 되고 상기 불판(504)을 내측으로 끝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밀대(504b)에 의해 가이드판(204)에 모인 재가 상기 밀대(504b)와 수직판(504a) 사이의 개방부(504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하이브리드 보일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그을음제거장치(13)는 상기 상,하향배기관(10a)(10) 내부에 상하 운동을 하는 그을음제거용코일(1301)을 설치하고 상기 그을음제거용코일(1301)의 상단은 작동링크(1301a)의 하단에 연결하며, 상기 작동링크(1301a)의 상단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좌우회전축(1302)의 일측에 고정설치한 좌우회전링크(1302a)의 하단에 연결하고, 보일러본체(1)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좌우회전축(1302)의 단부에는 고정링크(1302b)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고정링크(1302b)의 하부 쪽 보일러본체(1)의 외측벽에는 크랭크암(1303b)이 형성된 크랭크축(1303a)을 장치한 모터(1303)를 설치하고, 커넥팅로드(1304)의 하단은 크랭크암(1303b)에 연결하며 커넥팅로드(1304)의 상단은 고정링크(1302b)의 하단에 연결된 결합링크(1302c)에 연결하여 상기 모터(1303)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좌우회전축(1302)에 전달하도록 한 하이브리드 보일러.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배풍기(1102)의 회전 속도는 상기 펠릿연소부(3)를 작동시킬 때는 3200~3400 RPM 을 유지하고, 상기 기름연소부(4)를 작동시킬 때는 2400~2600 RPM 을 유지하도록 상기 배풍기(1102)의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가변시켜 주도록 한 하이브리드 보일러.
KR1020140050949A 2014-04-28 2014-04-28 하이브리드 보일러 KR10144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949A KR101448100B1 (ko) 2014-04-28 2014-04-28 하이브리드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949A KR101448100B1 (ko) 2014-04-28 2014-04-28 하이브리드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100B1 true KR101448100B1 (ko) 2014-10-13

Family

ID=5199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949A KR101448100B1 (ko) 2014-04-28 2014-04-28 하이브리드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98A (ko) * 2017-08-21 2019-03-04 위계성 온풍 난방기
KR102672958B1 (ko) 2023-10-25 2024-06-07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보일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015Y1 (ko) * 1985-05-09 1988-11-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고형 연료 보일러의 회재자동 배출장치
KR100905245B1 (ko) *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20100024003A (ko) * 2008-08-25 2010-03-05 일도바이오테크주식회사 중, 대형 보일러내 수조연관의 그을음을 자동으로 제거하는장치
KR20120105107A (ko) * 2011-03-15 2012-09-25 (주)귀뚜라미 횡형 다목적 보일러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015Y1 (ko) * 1985-05-09 1988-11-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고형 연료 보일러의 회재자동 배출장치
KR20100024003A (ko) * 2008-08-25 2010-03-05 일도바이오테크주식회사 중, 대형 보일러내 수조연관의 그을음을 자동으로 제거하는장치
KR100905245B1 (ko) *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20120105107A (ko) * 2011-03-15 2012-09-25 (주)귀뚜라미 횡형 다목적 보일러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98A (ko) * 2017-08-21 2019-03-04 위계성 온풍 난방기
KR102035114B1 (ko) * 2017-08-21 2019-11-08 위계성 온풍 난방기
KR102672958B1 (ko) 2023-10-25 2024-06-07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BG66233B1 (bg) Отоплителен котел
KR101184227B1 (ko) 친환경 고체연료를 이용한 송풍기
CA2823428A1 (en) A boiler
KR101448100B1 (ko) 하이브리드 보일러
KR101148696B1 (ko) 펠렛 보일러
CN107062599A (zh) 一种可用再生燃油与生物质燃料的环保热风炉
KR101852908B1 (ko) 이동식 화격자가 구비된 펠릿보일러
KR101210962B1 (ko) 친환경 고체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CN202281216U (zh) 有机燃料锅炉
CN202521631U (zh) 燃料充分燃烧无黑烟环保节能锅炉
KR20070117065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0926653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JP5030111B2 (ja) 固形燃料燃焼装置の灰除去手段
KR20110056165A (ko) 우드 펠릿 보일러
CN202382406U (zh) 燃煤反烧多回程环保热水锅炉
KR101311464B1 (ko) 고체 연료용 버너부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KR101315109B1 (ko) 펠렛 보일러
RU2443759C1 (ru) Газогенератор "рабика"
CN202145050U (zh) 秸秆颗粒暖风机组
KR20090115617A (ko) 목재 칩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CN105387454B (zh) 一种多功能组合燃烧锅炉
CN204678386U (zh) 生物质燃料锅炉
KR200397963Y1 (ko) 난방장치
KR101794527B1 (ko) 화목 펠릿 겸용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