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899A -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899A
KR20100067899A KR1020080126495A KR20080126495A KR20100067899A KR 20100067899 A KR20100067899 A KR 20100067899A KR 1020080126495 A KR1020080126495 A KR 1020080126495A KR 20080126495 A KR20080126495 A KR 20080126495A KR 20100067899 A KR20100067899 A KR 2010006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xhaust gas
distribution box
exhaus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317B1 (ko
Inventor
성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들택
성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들택, 성낙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들택
Priority to KR102008012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3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24B9/006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flue-ga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8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ed or 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각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와 소각로상에서 가열되는 온수를 모두 이용하여 난방할 수 있고, 배기가스에 의한 전통적인 온돌난방을 수행하면서도 난방위치와 난방온도의 제어가 가능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방 시스템은, 온돌방식의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용수저장부와,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기되도록 형성된 연도를 구비한 소각로; 상기 연도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일차적으로 유입, 체류되는 분배박스; 상기 분배박스의 배출구와 연통되고 배기가스가 수용되도록 난방 면적에 해당되는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난방 블록; 및 상기 난방 블록상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내의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여 난방 위치와 난방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조절용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와 온수를 모두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게 되므로 난방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방을 위한 공간을 하나의 블럭으로 구성하게 되므로 시공이 쉽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에 의한 전통적인 온돌난방을 수행하면서도 난방위치와 난방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온의 배기가스와 온수를 이용하여 찜질방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찜질을 하면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고, 폐석유화학물 등 의 폐품을 환경오염 없이 소각처리할 수 있어서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낭비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난방 시스템, 소각로, 분배박스, 난방 블록, 고온용수챔버

Description

난방 시스템{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각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와 소각로상에서 가열되는 온수를 모두 이용하여 난방할 수 있고, 배기가스에 의한 전통적인 온돌난방을 수행하면서도 난방위치와 난방온도의 제어가 가능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돌난방은 아궁이에 불을 지펴 방바닥 전체를 가온하는 난방 방식으로서, 아궁이와 연결되도록 방의 바닥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고 통로의 상부에 구들장을 설치한 다음 마감작업을 시행하여 구성하는 한국 고유의 난방 시스템이다.
이러한, 온돌난방은 아궁이에서 불을 지필 때 발생하는 화염과 배기가스 등에 의해 구들장이 가열된 후 장시간 동안 열기를 저장, 방출하면서 난방을 시행하게 되는데,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고 열효율이 좋은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온돌난방은 아궁이와의 거리에 따라 온도편차가 심하고 온도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비교적 까다롭고 방바닥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므로 아파트와 같은 현대주거시설에서의 적용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대주거시설에는 보일러의 온수통에 연결되는 배관을 방바닥에 매설하는 방식의 난방 시스템을 시설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난방 시스템은 난방 온도의 제어가 가능하고 시공하기가 쉬운 장점은 있지만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용수만을 이용하고 보일러의 가동시에 생성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그대로 방출하므로 에너지원을 낭비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소각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와 소각로상에서 가열되는 온수를 모두 이용하여 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효율과 난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가스에 의한 전통적인 온돌난방을 수행하면서도 난방위치와 난방온도의 제어가 가능한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온돌방식의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용수저장부와,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기되도록 형성된 연도를 구비한 소각로; 상기 연도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일차적으로 유입, 체류되는 분배박스; 상기 분배박스의 배출구와 연통되고 배기가스가 수용되도록 난방 면적에 해당되는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난방 블록; 및 상기 난방 블록상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내의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여 난방 위치와 난방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조절용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박스의 상측에 형성되어 내부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용수저장부의 접속되어 온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된 고온용수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에 걸러진 이물질의 연소 및 제거를 위해 상기 분배박스에 구성되는 작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방조절용 배기수단은 난방을 필요로 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난방 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고, 흡입량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배기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각로는, 폐석유화학물의 소각을 위해 본체의 하측에 구성되는 제1 화실; 상기 제1 화실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화목을 투입하여 소각하는 과정에서 제1 화실로부터 유입되는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2차 연소하여 상기 연도로 배기시키는 제2 화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실 및 제2 화실의 둘레에 해당되는 상기 본체상에 상기 용수저장부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가스가 통과되도록 미세한 망 구조 또는 작은 홀이 다수 천공된 타공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도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화실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어 통과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분진차단연소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실 및 제2 화실 사이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실에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는 가열조리함과, 음식물을 굽는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구이조리함이 삽탈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방 시스템은,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와 온수를 모두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게 되므로 난방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방을 위한 공간을 하나의 블럭으로 구성하게 되므로 시공이 쉽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에 의한 전통적인 온돌난방을 수행하면서도 난방위치와 난방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온의 배기가스와 온수를 이용하여 찜질방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찜질을 하면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고, 폐석유화학물 등의 폐품을 환경오염 없이 소각처리할 수 있어서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낭비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5는 도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열원을 생성하는 소각로(100), 소각로(100)부터 인가되는 열원을 분배하는 분배박스(200), 분배박스(200)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아 난방을 시행하는 난방 블록(300), 및 난방 블록(300)의 난방 위치와 난방 온도 등을 제어하는 난방조절용 배기수단(400)을 구비한다.
소각로(100)는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용수저장부(120)와,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기되도록 형성된 연도(130)를 구비한 구조라면, 형태나 구조에 제한 없이 각종 보일러, 난로 등 다양한 종류의 연소장치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소각로(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측에 구성되는 제1 화실(140), 본체(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화실(150), 제1 화실(140) 및 제2 화실(150)의 둘레에 해당되는 본체(110)상에 형성되는 용수저장부(120), 및 제2 화실(150)의 상측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도(130)를 구비한다.
제1 화실(140)은 연소시에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성분이 방출되는 PET 병, 폐비닐 등과 같은 폐석유화학물의 소각을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2 화실(150)에서 화목의 연소시에 생성되는 열기에 의해 폐석유화학물이 연소되도록 구성되거나, 독립적인 연소작용을 통해 연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화실(150)은 화목 등의 소각을 위해 제1 화실(140)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화목을 투입하여 소각하는 과정에서 제1 화실(140)로부터 유입되는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2차 연소하여 연도(130)로 배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화실(140)(150)은 내부에 구성되는 연소실이 도 어(141,15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2 화실(140)의 도어(141)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과, 점검구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도(130)의 입구측에는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통과되도록 미세한 망 구조 또는 작은 홀이 다수 천공된 타공체로 형성된 분진차단연소망(1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진차단연소망(160)은 제2 화실(150)의 연소실에서 화목 등이 연소되면서 생성된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므로 통과되는 불완전 연소가스와 부유물들을 재연소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제1 화실(140) 및 제2 화실(150) 사이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구(17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화실(150)에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는 가열조리함(180)과, 음식물을 굽는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구이조리함(190)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조리함(180)과 구이조리함(190)은 사용상에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서랍방식의 삽탈식 구조로 구성되고, 구이조리함(190)은 화원과 가까운 제2 화실(150)의 상측에 구성되고, 가열조리함(180)은 구이조리함(190)의 상측에 구성된다.
분배박스(200)는 연도(130)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소각로(100)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일차적으로 유입, 체류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배기가스의 수용을 위한 중공부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분배박스(200)는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구조의 박스몸체(210)로 구성되고, 이 박스몸체(210)에는 난방 블록(300)과 서로 연통되도록 배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구(211)는 난방 블록(300)의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으로 구성된다.
분배박스(200)는 연도(130)와 최초로 연결되어 고온의 배기가스가 체류됨에 따라 고온 발열되므로 이 분배박스의 상면상으로 방출되는 고온의 열기를 이용한 찜질방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분배박스(200)의 상면상에는 찜질방 기능을 배가하기 위해 고온용수챔버(500)가 구성되어 있다. 이 고온용수챔버(500)는 용수저장부(120)에 연결된 용수공급배관(121) 및 용수배기배관(122)이 접속되어 순환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는 한편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분배박스(200)로부터 열기를 전달받아 재차 가열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고온용수챔버(510)는 파이프를 조밀하게 매설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얇은 장방형 통 구조로 형성한다.
분배박스(200)의 내부에는 연소과정에서 발생되어 연도(130)를 타고 유입되는 그을음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부재(220)를 구비한다. 여과부재(220)는 이물질의 여과기능이 뛰어나다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금속재 메쉬망을 배기가스의 흐름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분배박스(200)에는 여과부재(220)에 걸러진 이물질의 연소 및 제거를 위한 작업구(230)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누적된 경우 작업구(230)를 통해 산소토치와 같은 화염분사수단을 투입하여 이물질을 연소시키고 잔류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난방 블럭(300)은 난방 면적에 해당되는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되 분배박스(200)의 배출구(211)와 연통되어 배기가스가 수용되는 중공부(310)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을 위한 건축물의 실내 공간이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판재(320)를 "ㄱ" 자 형상으로 덮어서 내부에 단일의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 난방 블럭(300)을 형성하는 판재(320)는 열전도성과 열의 유지 특성이 뛰어난 판재라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이 철판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구(330)에 의해 지지되면서 평활도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난방조절용 배기수단(400)은 난방을 필요로 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난방 블록(30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고, 난방 블럭(300)의 중공부(310)내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여 난방 위치와 난방 온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난방 블럭(300) 내의 배기가스를 흡입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내열 특성을 갖는 배기팬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난방조절용 배기수단(400)은 난방을 위한 난방 블럭의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한다. 즉, 난방 블럭(300)이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면 하나의 난방조절용 배기수단을 설치하여도 가능하겠지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블럭(300)이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난방 블럭(300)의 좌측 상단 모서리 부분과 우측 하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한편, 도1 및 도2의 미설명부호 510은 건축물의 기둥이고, 520은 건축물의 벽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각 도면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소각로(100)의 내부에 연소물을 투입하여 점화하게 되면, 화염에 의해 용수저장부(120)에 수용된 용수가 가열되고,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도(130)를 통해 배기된다. 이때, 제2 화실(150)에 목재와 같은 연소물을 투입하고 제1 화실(140)에 PET 병, 폐비닐 등과 같은 폐석유화학물을 투입하게 되면 화목의 연소시에 생성되는 열기에 의해 폐석유화학물이 연소되고, 폐석유화학물의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제2 화실(150)로 유입되어 다시 한번 연소 되므로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성분의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석유화학물을 환경오염 없이 효과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미세한 망 구조로 형성된 분진차단연소망(160)을 통과한 후 연도(130)로 배출된다. 이때, 분진차단연소망(160)은 제2 화실(150)의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므로 통과되는 불완전 연소가스와 부유물들을 다시 한 번 연소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연도(13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분배박스(200)로 유입되어 상측 고온용수챔버(500)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분배박스(200)는 연도(130)와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므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1차적으로 체류됨에 따라 고온용수챔버(500)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고온용수챔버(500)는 용수공급배관(121) 및 용수배기배관(122)에 의해 용수저장부(120)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소각로(100)의 연소과정에서 가열된 용수는 대류현상으로 반복 순환하게 된다. 즉, 고온용수챔버(500)는 분배박스(200)에 유입된 고온의 배기가스와 용수저장부(120)의 가열된 용수에 의해 각각 가열되면서 그 상면은 고온의 열기가 방출되므로 이와 같은 고온 환경을 이용하여 찜질방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분배박스(20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난방조절용 배기수단(400)으로 구성된 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배출구(211)를 통해 난방 블럭(300)의 중공부(310)로 유입되고, 난방 블럭(300)을 형성하는 판재(320)를 가열하면서 외부로 배기된다.
즉, 좌측 및 우측 배기팬(410,420)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작용되면 분배박스(200)의 배출구(211)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된 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블럭(300)의 중공부(310)를 타고 대략 포물선을 그리는 형태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배기가스가 가지고 있는 열기에 의해 난방 블럭(300)의 중공부(310) 및 판재(320)가 가온되면서 난방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배기팬의 흡입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게 되면 배기가스의 이동속도가 증가되어 열교환이 빠르게 반복되면서 난방 블럭(300)의 가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흡입력을 감소되도록 배기팬을 제어하게 되면 난방 블럭(300)의 가열 온도가 하강하게 되므로, 이러한 배기팬의 흡입력 제어를 통해 난방 블럭(300)의 난방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난방 블럭(300)의 난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2에서 좌우측 배기팬(410,420)을 모두 작동시킬 경우 난방 블럭(300) 전체가 가온되지만, 좌측 또는 배기팬(410,420)만을 작동시키게 되면 배기가스가 해당 배기팬측으로만 유동되므로 난방 블럭(30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해당되는 부분만이 가온되면서 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와 온수를 모두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게 되므로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의 배기가스와 온수를 모두 이용하여 고온으로 발열되는 찜질방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찜질을 하면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폐석유화학물 등의 폐품을 환경오염 없이 소각처리할 수 있어서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버려지거나 낭비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난방을 위한 공간이 하나의 블럭으로 구성되므로 시공이 쉽고 시공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에 의한 전통적인 온돌난방을 수행하면서도 난방위치와 난방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B-B선 단면도,
도5는 도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소각로 110:본체
120:용수저장부 130:연도
140:제1 화실 150:제2 화실
160:분진차단연소망 170:공기유입구
180:가열조리함 190:구이조리함
200:분배박스 210:박스몸체
211:배출구 220:여과부재
300:난방 블록 310:중공부
320:판재 330:지지구
400:난방조절용 배기수단 500:고온용수챔버

Claims (8)

  1. 온돌방식의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용수저장부와,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기되도록 형성된 연도를 구비한 소각로;
    상기 연도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일차적으로 유입, 체류되는 분배박스;
    상기 분배박스의 배출구와 연통되고 배기가스가 수용되도록 난방 면적에 해당되는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난방 블록; 및
    상기 난방 블록상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내의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여 난방 위치와 난방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조절용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박스의 상측에 형성되어 내부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용수저장부의 접속되어 온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된 고온용수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에 걸러진 이물질의 연소 및 제거를 위해 상기 분배박스에 구성되는 작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조절용 배기수단은 난방을 필요로 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난방 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고, 흡입량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배기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는,
    폐석유화학물의 소각을 위해 본체의 하측에 구성되는 제1 화실;
    상기 제1 화실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화목을 투입하여 소각하는 과정 에서 제1 화실로부터 유입되는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2차 연소하여 상기 연도로 배기시키는 제2 화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실 및 제2 화실의 둘레에 해당되는 상기 본체상에 상기 용수저장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연소가스가 통과되도록 미세한 망 구조 또는 작은 홀이 다수 천공된 타공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도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화실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어 통과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분진차단연소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실 및 제2 화실 사이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실에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는 가열조리함과, 음식물을 굽는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구이조리함이 삽탈식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KR1020080126495A 2008-12-12 2008-12-12 난방 시스템 KR10104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495A KR101043317B1 (ko) 2008-12-12 2008-12-12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495A KR101043317B1 (ko) 2008-12-12 2008-12-12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899A true KR20100067899A (ko) 2010-06-22
KR101043317B1 KR101043317B1 (ko) 2011-06-22

Family

ID=4236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495A KR101043317B1 (ko) 2008-12-12 2008-12-12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79B1 (ko) * 2019-08-09 2019-11-05 한성섭 에너지 절감형 구들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889B1 (ko) 2011-12-16 2012-10-16 정재경 이중슬라브식 구들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1359678B1 (ko) 2013-09-03 2014-02-10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가습형 온돌시스템을 구비한 주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757Y1 (ko) * 1986-09-15 1989-04-29 전점식 난방장치
KR20030082714A (ko) * 2002-04-18 2003-10-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서스펜션 보강 구조
KR200382714Y1 (ko) 2005-01-31 2005-04-22 이천웅 보일러의 폐열을 재활용한 난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79B1 (ko) * 2019-08-09 2019-11-05 한성섭 에너지 절감형 구들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317B1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694B1 (ko) 화목보일러
KR101288589B1 (ko) 펠릿겸용화목보일러
KR100945716B1 (ko) 숯 점화장치
KR101043317B1 (ko) 난방 시스템
RU174432U1 (ru) Банная печь
KR200441449Y1 (ko) 석탄가스 보일러
CN201662105U (zh) 一种新型聚能灶、一种厨房节能系统及一种热水发生装置
US3934554A (en) Water and room heater
CN105020719B (zh) 多功能逆式垃圾处理器
KR101475175B1 (ko) 대용량 화목보일러
RU2651878C1 (ru) Банная печь
JP2016070518A (ja) 焼却炉
JP2009079886A (ja) 薪等の固体燃料の燃焼装置
RU2379596C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KR101057398B1 (ko) 기능성 화목 보일러
KR101611030B1 (ko) 화목보일러용 배기가스 집진장치
KR20140029688A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RU2499957C2 (ru) Аквапечь куценко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KR101623329B1 (ko) 전기히터 용 팬 탈취장치
KR200412326Y1 (ko) 보일러
JP3127566U (ja) 焼却炉
KR101040089B1 (ko) 폐비닐 소각보일러
RU2808696C1 (ru) Печь на жидком топливе
CN213453737U (zh) 一种高效节能的采暖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