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461A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461A
KR20120087461A KR1020110008656A KR20110008656A KR20120087461A KR 20120087461 A KR20120087461 A KR 20120087461A KR 1020110008656 A KR1020110008656 A KR 1020110008656A KR 20110008656 A KR20110008656 A KR 20110008656A KR 20120087461 A KR20120087461 A KR 2012008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rebox
combustion
suppli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선정
Original Assignee
위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선정 filed Critical 위선정
Priority to KR102011000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461A/ko
Publication of KR2012008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4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rotat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보일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보일러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상기 화실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연도 부재; 및 상기 화실 부재에서 발생된 상기 연소 가스가 상기 연도 부재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단에 청소 홀이 형성되는 연결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청소 도구가 삽입되고,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삽입된 청소 도구가 상기 연결 배관의 하부까지 도달됨으로써 상기 연결 배관이 청소될 수 있고, 상기 연도 부재를 따라 상승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도 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 속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보일러에 의하면,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고, 연료 연소를 위해 요구되는 공기 공급량이 종래에 비해 감소된 적정량이 되면서도 연료의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연료 공급 부재를 통해 화실 내부의 화염이 연료 저장 부재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일러{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 온수 생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보일러에 이용되는 연료는 고체 연료, 액체 연료, 기체 연료 등 다양한 연료가 있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에는 연료가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화실이 구비되고, 이러한 화실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 배관들과 연도가 설치된다.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화실 및 연도와 연결되는 연결 배관들이 여러 번 구부러진 형태 및 직관으로 이루어지면서 화실 및 연도로만 연통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보일러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 연결 배관들 및 연도에 그을음 등 연소 부산물들이 쌓이게 되어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될 수 있어서, 이러한 그을음 등 연결 배관들 및 연도에 쌓인 연소 부산물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연결 배관들 및 연도가 여러 번 구부러진 형태 및 직관을 이루고 화실 및 연도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러한 연결 배관들 및 연도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유연하고 길이가 긴 솔을 연결 배관들 및 연도의 구부러진 형태대로 굽혀지도록 하면서 삽입하여야 하므로, 연결 배관들 및 연도 내부의 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연결 배관들 및 연도 내부에 대한 청소가 쉽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청소를 하는 데에 큰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화실 내부에 공급되는 연료가 화실 바닥 등에 퍼져 있는 상태로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어, 화실 전체에 대하여 공기 공급이 필요하여 연료 연소를 위해 요구되는 공기 공급량이 크고, 연료의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화실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화실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연료 공급 부재를 통해 화실 내부의 화염이 연료 저장 부재로 전염되어, 연료 저장 부재에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 연소를 위해 요구되는 공기 공급량이 종래에 비해 감소된 적정량이 되면서도 연료의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 공급 부재를 통해 화실 내부의 화염이 연료 저장 부재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일러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상기 화실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연도 부재; 및 상기 화실 부재에서 발생된 상기 연소 가스가 상기 연도 부재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단에 청소 홀이 형성되는 연결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청소 도구가 삽입되고,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삽입된 청소 도구가 상기 연결 배관의 하부까지 도달됨으로써 상기 연결 배관이 청소될 수 있고,
상기 연도 부재를 따라 상승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도 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 속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상기 화실 부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 부재; 및 상기 연소 부재를 회전시키는 연소 부재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 부재는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연소 부재 회전축과,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낮도록 오목한 형태 또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수용될 수 있는 연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상기 연료 수용부의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연료 수용부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연료 수용부에 수용된 연료가 상기 연료 수용부의 중앙부로 모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및 상기 화실 부재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 부재는 상기 화실 부재로 공급되기 위한 연료가 저장된 연료 저장 부재로부터 연료를 도입해오는 연료 도입 관과, 상기 연료 도입 관과 일정 높이차를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연료 도입 관을 통해 도입된 연료를 상기 화실 부재로 전달하는 연료 전달 관과, 상기 화실 부재 내의 화염이 상기 연료 전달 관을 통해 상기 연료 도입 관 쪽으로 전염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연료 도입 관 쪽에서 상기 연료 전달 관 쪽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공기 유동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형성되는 재가 낙하되어 쌓이는 재받이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형성되는 연소 가스가 유입되어 하강되는 제 1 연결 배관; 상기 제 1 연결 배관을 통해 하강된 연소 가스가 유입되어 상승되는 제 2 연결 배관; 및 상기 제 1 연결 배관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외부와 격리되는 연결 배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로의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이 차단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가열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되면서 데워진 후 상기 화실 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연결 배관의 상단에 청소 홀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청소 홀을 통해 솔 등의 청소 도구가 삽입되고, 청소 홀을 통해 삽입된 청소 도구가 연결 배관의 하부까지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 배관 내부가 용이하고도 깨끗하게 청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연소 부재 회전 부재가 작동되어 연소 부재 회전축이 회전되면, 연료 수용부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되어 연료 수용부에 수용된 연료가 연료 수용부의 중앙부로 모이게 됨으로써,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연료 수용부의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연소될 수 있게 되어, 연소에 요구되는 공기 공급량이 종래에 비해 감소된 적정량이 되면서도, 연료의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공기 유동 형성 부재가 하부 케이스와 그 일 측이 연통되고, 타 측이 연료 전달 연통 관과 연통되는 관 형태를 이룸으로써, 블로워에 의해 하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동에 의해 공기가 공기 유동 형성 부재를 경유하여 연료 전달 연통 관으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료 전달 관에서 연료 도입 관으로의 화염 전달이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재받이 도어가 별도의 수다단 및 작업 없이도, 재받이 도어 결합부에 놓이는 것만으로 결합될 수 있고, 재받이 도어가 이중 구조를 이루어 그 사이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음에 따라, 블로워에 의해 유동되어 연소 부재 쪽으로 연소를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그 사이 공간을 통과하게 되어, 외부로의 열손실이 차단될 수 있고, 연소를 위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어서,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구성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구성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 도어와 상기 재받이 도어가 결합되는 부분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작동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연소 부재의 작동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연료 공급 부재에서 화염 전염이 차단되는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서 연소 가스의 흐름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연결 배관들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하에서는 보일러에 적용되는 연료가 펠렛(wood-pellet), 우드칩 등의 고체 연료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기름 등의 액체 연료, 천연 가스 등의 기체 연료도 화실, 연료 공급 부재 등의 간단한 변경과 함께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는 고체 연료, 액체 연료 및 기체 연료 모두를 연소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구성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구성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 도어와 상기 재받이 도어가 결합되는 부분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작동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연소 부재의 작동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연료 공급 부재에서 화염 전염이 차단되는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서 연소 가스의 흐름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연결 배관들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100)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와, 재받이 도어(125)와,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와, 화실 부재(140)와, 제 1 연결 배관(150)과, 제 2 연결 배관(160)과, 제 3 연결 배관(162)과, 연도 부재(170)와, 연소 부재(180)와, 연료 공급 부재(190)를 포함하고,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난방, 온수 공급 등 보일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케이스(110)는 상기 연도 부재(170),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 상기 화실 부재(140), 상기 연소 부재(180) 등이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가열 대상인 물이 차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상기 상부 케이스(11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12는 상기 보일러(100)가 온수, 난방 등을 공급하는 수요처를 경유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고, 도면 번호 111은 상기 보일러(100)에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이다.
도면 번호 113은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와 상기 화실 부재(140) 외부 사이의 물이 채워지는 공간이다.
도면 번호 114는 물받침 격판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113)에 수용된 물이 그 상측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120)는 상기 물받침 격판(114)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구획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형성되는 재가 낙하되어 쌓이는 재받이 공간이 형성된다.
도면 번호 124는 외부 공기 도입을 위한 블로워이고, 도면 번호 121은 상기 블로워(124)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로 도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고, 도면 번호 122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 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통된 부분이다.
상기 화실 부재(140)는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가 연소되고, 그러한 연소 과정에서 가열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 공간(113)에 채워진 물이 데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실 부재(140) 하부에 상기 연소 부재(180)가 배치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면 번호 141은 상기 화실 부재(140) 상부를 개폐시키는 화실 부재 덮개이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은 상기 화실 부재(140)의 상부와 연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유입되어 하강되는 관이다. 그러한 하강 과정에서 연소 가스 내의 열기가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의 공간(113)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을 통해 하강된 연소 가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에 형성된 연결 배관 연결부(123)로 유입된다.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외부와 격리된 공간이다.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에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이 각각 복수 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은 상기 화실 부재(140) 외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관으로서,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을 통해 하강된 후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를 경유한 연소 가스가 상승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113)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61은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과 상기 제 3 연결 배관(161)을 상부에서 연결시키는 연통 관이고, 도면 번호 117은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과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이 있는 부분을 격리시키는 격리 판이다. 상기 격리 판(117)에 의해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도 상기 제 3 연결 배관(161)과 격리된다.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은 상기 화실 부재(140)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통 관(161)을 통해 유입되는 연소 가스가 하강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의 공간(113)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 및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은 상기 화실 부재(140)에서 발생된 상기 연소 가스가 상기 연도 부재(170)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연결 배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관이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 및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으로 구성된 것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갯수의 연결 배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도 부재(170)는 상기 화실 부재(140)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을 통해 하강된 연소 가스가 상승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연도 부재(17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의 공간(113)에 수용된 물 속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연도 부재(17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상승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의 공간(113)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가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간(121, 122)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벽과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즉,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가 이중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20)로의 전도 등에 의한 열전달이 차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러한 열전달에 따른 열손실이 차단될 수 있고, 그러한 열전달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20)가 가열되어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증가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124)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와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 사이의 공간(121, 122)을 통해 유동되면서 데워진 후 상기 화실 부재(140), 상세히는 상기 연소 부재(18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워진 공기가 상기 연소 부재(180)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연소 부재(180)에서 연소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배관의 상단에 청소 홀이 관통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배관이 상하 방향으로 곧게 형성되고, 상기 청소 홀이 상기와 같은 곧은 형태의 연결 배관의 상단을 개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솔 등의 청소 도구가 삽입되고,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삽입된 청소 도구가 상기 연결 배관의 하부까지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배관 내부가 용이하고도 깨끗하게 청소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51은 상기 연결 배관의 상단을 덮는 연결 배관 덮개로서, 상기 연결 배관 덮개(151)에 의해 상기 청소 홀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연소 부재(180)는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 여기서는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는 모터 등으로서, 상기 연소 부재(18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면 번호 131은 기어 등으로서,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의 회전력을 상기 연소 부재(180)를 구성하는 연소 부재 회전축(185)에 전달하여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소 부재(180)는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연소 부재 회전축(185)과,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낮도록 오목한 형태 또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수용될 수 있는 연료 수용부(181)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30)가 작동되어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이 회전되면, 상기 연료 수용부(181)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연료 수용부(181)에 수용된 연료가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중앙부로 모이게 된다. 그러면,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연소될 수 있게 되어, 연소에 요구되는 공기 공급량이 감소될 수 있으면서도, 연료의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연료 수용부(181) 내에는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바닥과 일정 거리로 이격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화실 부재(14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얹히는 연료 얹힘부(183)가 배치된다. 상기 연료 얹힘부(183)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중앙부 바닥에는 공기 유동 홀(182)이 형성된다.
도면 번호 184는 상기 공기 유동 홀(182)을 통해 유동된 공기가 상기 연료 얹힘부(183)로 이동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연료 얹힘부(183)에 얹히는 연료가 상기 공기 유동 홀(182)을 덮지 아니하도록 덮는 공기 유동 홀 보호 덮개이다.
도면 번호 115는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85)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이고, 도면 번호 116은 상기 축 지지부(115)를 관통하는 축 지지부 홀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되는 것이다.
상기 축 지지부 홀(116)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가장자리를 통해 상기 연료 수용부(181) 상으로 유입된 후 상기 연료 얹힘부(183)의 상하부를 통해 상기 연료 얹힘부(183) 상의 연료에 공급되고, 상기 축 지지부 홀(116)을 통과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공기 유동 홀(182)을 통해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중앙부 상으로 유입된 후 상기 연료 얹힘부(183)의 하부를 통해 상기 연료 얹힘부(183) 상의 연료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가장자리와 상기 공기 유동 홀(18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료 얹힘부(183) 상에 얹힌 연료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연료 수용부(181)의 중앙부에 모인 연료에 집중적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으므로, 연료 연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는 상기 화실 부재(140)로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 부재(140)로 공급되기 위한 연료가 저장된 연료 저장 부재(미도시)로부터 연료를 도입해오는 연료 도입 관(191)과, 상기 연료 도입 관(191)을 통해 도입된 연료를 상기 화실 부재(140)로 전달하는 연료 전달 관(195)과, 상기 연료 도입 관(191)과 일정 높이차를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화실 부재(140) 내의 화염이 상기 연료 전달 관(195)을 통해 상기 연료 도입 관(191) 쪽으로 전염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연료 도입 관(191) 쪽에서 상기 연료 전달 관(195) 쪽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92 및 196은 각각 상기 연료 도입 관(191) 및 상기 연료 전달 관(195) 내에서 연료를 전진시키기 위한 연료 전진 스크류이고, 도면 번호 197은 상기 연료 전달 관(195) 내의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96)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회전 부재이다. 상기 연료 도입 관(191) 내의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92)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회전 부재도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연료 도입 관(191) 후단부에 설치된다.
도면 번호 193은 상기 연료 도입 관(191)과 상기 연료 전달 관(195)을 연통시키는 연료 전달 연통 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가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부분(122)과 그 일 측이 연통되고, 타 측이 상기 연료 전달 연통 관(193)과 연통되는 관 형태로 제시된다.
상기 블로워(124)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동에 의해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를 경유하여 상기 연료 전달 연통 관(193)으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료 전달 관(195)에서 상기 연료 도입 관(191)으로의 화염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 유동 형성 부재(194)는 별도의 블로워 등으로 구성되어, 독자적으로 상기 연료 전달 연통 관(193) 내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재받이 도어(125)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재받이 공간을 외부와 구획시키는 것이다.
상기 재받이 도어(125)는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이중으로 제작되어 그 사이(125a)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는 상기 재받이 도어(125)가 착탈될 수 있도록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재받이 도어 결합부(126)가 형성되며, 상기 재받이 도어(125)와 상기 재받이 도어 결합부(126)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돌기(127)와 돌기 홈(128)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재받이 도어(125)에 상기 돌기(127)가 형성되고, 상기 재받이 도어 결합부(126)에 상기 돌기 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재받이 도어(125)가 상기 재받이 도어 결합부(126) 상에 그 상측에서 하방으로 놓이면, 상기 재받이 도어(125)가 상기 재받이 도어 결합부(126)에 맞추어지고, 상기 돌기(127)가 상기 돌기 홈(128)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재받이 도어(125)가 재받이 도어 결합부(126)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받이 도어(125)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및 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재받이 도어(125)가 이중 구조를 이루어 그 사이 공간(125a)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블로워(124)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연소 부재(180) 쪽으로 연소를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125a)을 통과하게 되어, 외부로의 열손실이 차단될 수 있고, 연소를 위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어서,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일러(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료 공급 부재(190)가 작동되면, 연료가 상기 화실 부재(140) 내의 상기 연소 부재(180)에 공급되어, 상기 연료 얹힘부(183)에 얹히게 된다. 상기 연료 수용부(181)가 회전되면서 상기 연료 얹힘부(183) 상의 연료가 그 중앙부로 모이게 된다.
이 때, 상기 블로워(124)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가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로 유입되어 유동하게 되고, 그러한 유동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연소 부재(18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소 부재(180)로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 부재(180)에서 연료 연소가 일어나고, 그러한 연료 연소 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의 물이 데워지게 된다.
상기 연소 부재(180)에서 연료 연소가 진행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는 상기 화실 부재(140)를 통해 상승된 다음, 상기 제 1 연결 배관(150)을 통해 하강된 후,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123)를 통해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으로 유입된 연소 가스는 상기 제 2 연결 배관(160)을 따라 상승된 후 상기 연통 관(161)을 통해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을 따라 하강된다.
상기 제 3 연결 배관(162)을 따라 하강된 연소 가스는 상기 연도 부재(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상기 보일러(100)가 온수 공급, 난방 등 보일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고, 연료 연소를 위해 요구되는 공기 공급량이 종래에 비해 감소된 적정량이 되면서도 연료의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연료 공급 부재를 통해 화실 내부의 화염이 연료 저장 부재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중 구조의 재받이 부재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통과하게 되어 외부로의 열손실이 차단될 수 있고, 연소를 위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어서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5)

  1.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상기 화실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연도 부재; 및
    상기 화실 부재에서 발생된 상기 연소 가스가 상기 연도 부재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단에 청소 홀이 형성되는 연결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청소 도구가 삽입되고, 상기 청소 홀을 통해 삽입된 청소 도구가 상기 연결 배관의 하부까지 도달됨으로써 상기 연결 배관이 청소될 수 있고,
    상기 연도 부재를 따라 상승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도 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 속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2.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상기 화실 부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 부재; 및
    상기 연소 부재를 회전시키는 연소 부재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 부재는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연소 부재 회전축과,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낮도록 오목한 형태 또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수용될 수 있는 연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상기 연료 수용부의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연료 수용부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연료 수용부에 수용된 연료가 상기 연료 수용부의 중앙부로 모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수용부 내에는 상기 연료 수용부의 바닥과 일정 거리로 이격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화실 부재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얹히는 연료 얹힘부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수용부의 중앙부 바닥에 공기 유동 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료 수용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공기 유동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료 얹힘부 상에 얹힌 연료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4.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및
    상기 화실 부재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 부재는
    상기 화실 부재로 공급되기 위한 연료가 저장된 연료 저장 부재로부터 연료를 도입해오는 연료 도입 관과,
    상기 연료 도입 관과 일정 높이차를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연료 도입 관을 통해 도입된 연료를 상기 화실 부재로 전달하는 연료 전달 관과,
    상기 화실 부재 내의 화염이 상기 연료 전달 관을 통해 상기 연료 도입 관 쪽으로 전염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연료 도입 관 쪽에서 상기 연료 전달 관 쪽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공기 유동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5.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 부재;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형성되는 재가 낙하되어 쌓이는 재받이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화실 부재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형성되는 연소 가스가 유입되어 하강되는 제 1 연결 배관;
    상기 제 1 연결 배관을 통해 하강된 연소 가스가 유입되어 상승되는 제 2 연결 배관; 및
    상기 제 1 연결 배관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외부와 격리되는 연결 배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로의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이 차단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가열이 차단되도록,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연결 배관 연결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되면서 데워진 후 상기 화실 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KR1020110008656A 2011-01-28 2011-01-28 보일러 KR20120087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656A KR20120087461A (ko) 2011-01-28 2011-01-28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656A KR20120087461A (ko) 2011-01-28 2011-01-28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461A true KR20120087461A (ko) 2012-08-07

Family

ID=4687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656A KR20120087461A (ko) 2011-01-28 2011-01-28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217A (zh) * 2015-09-23 2015-12-16 张永志 一种旋风热交换的方法
KR20190053423A (ko) * 2017-11-10 2019-05-20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멍탄용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217A (zh) * 2015-09-23 2015-12-16 张永志 一种旋风热交换的方法
CN105157217B (zh) * 2015-09-23 2018-01-12 张永志 一种旋风热交换的方法
KR20190053423A (ko) * 2017-11-10 2019-05-20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멍탄용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0137A (ko) 공기 순환식 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KR101295328B1 (ko) 회전가능한 화격자 구조를 가지는 펠릿 보일러
JP2010019539A (ja) 熱風炉、加熱装置および加温機
KR20120087461A (ko) 보일러
KR101148696B1 (ko) 펠렛 보일러
KR101207959B1 (ko) 완전 연소를 유도하는 화목보일러
KR101369605B1 (ko) 보일러
KR100926653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0873035B1 (ko) 고체 연료형 보일러
KR20090121162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535772B1 (ko) 펠릿을 이용한 스팀보일러시스템
KR20120114115A (ko) 고체 연료 보일러
KR20070117065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RU2546683C1 (ru) 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KR20110092428A (ko) 목재 펠릿보일러
KR20110043564A (ko) 단열된 수직연소로의 화목연소장치 와 열교환기
KR101313394B1 (ko) 온풍 난방기
KR200425900Y1 (ko) 석탄 보일러
KR20090115617A (ko) 목재 칩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770283B1 (ko) 하향 연소식 난로 겸용 보일러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KR101695534B1 (ko) 연탄난로
KR102035114B1 (ko) 온풍 난방기
KR101479841B1 (ko)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