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743B1 -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743B1
KR100828743B1 KR1020070025860A KR20070025860A KR100828743B1 KR 100828743 B1 KR100828743 B1 KR 100828743B1 KR 1020070025860 A KR1020070025860 A KR 1020070025860A KR 20070025860 A KR20070025860 A KR 20070025860A KR 100828743 B1 KR100828743 B1 KR 10082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hamber
fuel
pip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희
Original Assignee
조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희 filed Critical 조기희
Priority to KR102007002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F24H1/24 - F24H1/40 , e.g. boilers having a combination of features covered by F24H1/24 - F24H1/4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를 연소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주면에 구성되는 제 1 물탱크와, 상기 챔버의 상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에 의해 상기 제 1 물탱크와 연결되는 제 2 물탱크와, 상기 제 1 물탱크로부터 상기 챔버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순환배관과, 상기 제 2 물탱크로부터 상기 챔버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순환배관과, 소정의 재처리장치와, 상기 제 1 물탱크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서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배관, 및 상기 관통배관에 연결되어 연기를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난방효율이 극대화된다.
비닐하우스, 난방, 임펠러, 지지바

Description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ash disposal system and heating system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에서 온수가 형성되고 이동하여 비닐하우스 등에서 난방작용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처리 장치를 구비한 난방 시스템에서 연기가 형성되고 이동하여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제 1 물탱크의 형상을 나타낸 상면도
도 5c는 도 5a의 제 2 물탱크의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에서 제 2 물탱크의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챔버 20 : 제 1 물탱크
23 : 관통배관 26 : 연결배관
29 : 지지바 30 : 제 2 물탱크
40 : 공기 배출을 위한 구조물 45 : 공기주입장치
50a, 50b : 순환배관 60 : 상부커버
70 : 하부커버 80 : 연기 배출구
90 : 보충 물탱크 200 : 임펠러
210 : 모터 220 : 회전축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등의 난방을 위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갈탄과 같은 저렴한 연료를 이용하면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고효율을 갖도록 한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기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스나 경유를 이용하는 난방기와 갈탄과 같은 고형 연료를 이용하는 난방기로 분류된다.
상기와 같이 분류되는 난방기 중 가스나 경유를 이용하는 난방기는 연료비가 입자탄과 같은 고형 연료에 비하여 월등히 비싸서 대부분 가정이나 사무실 등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의 사용으로 제한되었으며, 특용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나 농장 및 공장 등의 작업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에 반하여 상기 고형 연료를 이용하는 난방기는 가스나 경유를 이용하는 난방기에 비하여 재료비가 월등히 싸지만 고형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가스 등으로 인해서 가정이나 사무실보다는 비닐하우스나 작업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재료비가 싼 고형 연료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나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난방기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고열이나 고온의 연기 등을 최대로 이용하지 못하여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고형 연료의 연소후 생기는 재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의 연소 후 재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한 재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갈탄과 같은 저렴한 연료를 이용하면서도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고효율의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재처리 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갖고 구성되어 연료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 구성되어 연소가 완료된 연료의 재를 절단하는 다수의 임펠러와, 상기 각 임펠러를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난방 시스템은 연 료를 연소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주면에 구성되는 제 1 물탱크와, 상기 챔버의 상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에 의해 상기 제 1 물탱크와 연결되는 제 2 물탱크와, 상기 제 1 물탱크로부터 상기 챔버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순환배관과, 상기 제 2 물탱크로부터 상기 챔버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순환배관과, 상기 챔버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구성되어 연료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와, 상기 각 지지바 사이에 구성되어 연소가 완료된 연료의 재를 절단하는 임펠러와, 상기 챔버 외부에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 1 물탱크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서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배관, 및 상기 관통배관에 연결되어 연기를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를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성되는 다수의 지지바(29)와, 상기 지지바(29) 사이에 구성되어 연소가 완료된 연료의 재를 절단하기 위해 회전축(220)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수의 임펠러(200)와, 상기 회전축(22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모터(2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바(29)는 일방향으로 나열된 형태를 갖으며,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지지바(29)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200)는 상기 지지바(29)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200)의 끝단은 상기 지지바(29) 사이에서 지지바(29)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210)는 상기 회전축(220)의 각각에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모터(210)를 회전축(22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1)은 연료를 연소하는 챔버(10)와, 상기 챔버(10) 하부 공간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구성되어 연소될 연료를 지지하는 지지바(29)와, 상기 지지바(29) 하부의 챔버(10) 내부에 구성되어 공기 배출을 위한 구조물(40)과, 상기 챔버(10)의 내주면에 구성된 제 1 물탱크(20)와,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구성된 제 2 물탱크(30)와, 상기 제 1 물탱크(20)와 제 2 물탱크(3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26)과, 상기 제 1 물탱크(20)와 제 2 물탱크(3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챔버(10) 외부에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 1, 제 2 순환배관(50a, 50b)과, 상기 챔버(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성되는 상부커버(60) 및 하부커버(70)와, 상기 챔버(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내부에서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 배출구(80)와, 상기 지지바(29) 사이에 구성되어 연소가 완료된 연료의 재를 절단하기 위해 회전축(220)에 연결된 다수의 임펠러(200)와, 상기 회전축(220)에 연결 되어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챔버(10)의 외부에 구성되는 모터(2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10)는 연료를 연소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제 1 물탱크(20) 및 제 2 물탱크(3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10)는 그 수평 단면이 원통형 구조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수평 단면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챔버(10)의 전면(前面)에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제 2 도어(12,14)와, 상기 연소된 연료의 재 배출을 확인하기 위한 제 3 도어(16)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도어(12)는 불씨 역할을 하는 보조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도어(14)는 갈탄과 같은 주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도어(16)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챔버(10) 내로 공급된 연료가 완전히 연소된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29) 사이의 공간으로 재가 낙하되어 챔버(10)의 하부케이스(70)를 경유하여 배출함(75)으로 배출된다.
상기 지지바(29) 사이에 구성된 임펠러(200)는 상기 연소가 완료되고 상기 지지바(29) 상에 잔류하는 재의 덩어리를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모터(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20)에 연결된 임펠러(200)가 회전하면서 재를 절단하게 된 다.
상기 지지바(29)는 상기 챔버(10)의 내주면에 구성된 제 1 물탱크(20)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물탱크(20) 내부의 물이 상기 지지바(29)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물탱크(20) 내부의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40)은 상기 지지바(29) 및 임펠러(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4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홀(42)이 구성된다. 상기 구조물(40)은 챔버(10) 외부의 공기주입장치(45)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공기주입장치(45)로부터 상기 구조물(40)의 공기 배출홀(42)을 통해 공기를 챔버(10) 내부 공간으로 불어넣어 상기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하게 된다. 상기 공기 배출홀(42)은 상기 구조물(40)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상기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하는데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물탱크(20)는 상기 챔버(10)의 내주면에 구성되는데, 상기 챔버(10)가 원통형 구조를 가질 때 내주면의 곡선을 따라 구성되어 있고, 상기 챔버(10)의 수평 단면이 다각형 구조인 경우에는 챔버(10)의 다각면 각각에 구성된다.
상기 제 1 물탱크(2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배관(23)이 구성되어 있어, 상기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가 관통배관(23)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챔버(10)의 내부에서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는 최종적으로는 챔버(10)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고온의 연기 를 즉시 챔버(10)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상기 제 1 물탱크(20)를 관통하는 관통배관(23)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제 1 물탱크(2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면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방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챔버(1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들이 상기 제 1 물탱크(20) 내부에 구성된 관통배관(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물탱크(20)에 수용된 물을 2차적으로 가열하고, 상기 하부 커버(70)에 구비된 이동통로(7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챔버(10) 상단부에 구성된 연기 배출구(80)를 통해 최종적으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물탱크(2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26)을 통해서 상기 제 2 물탱크(30)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연결배관(26)에 의해서 상기 제 1 물탱크(20) 및 제 2 물탱크(30) 내에 수용된 물이 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배관(26)은 상기 제 1 물탱크(20)의 측면을 상기 제 2 물탱크(30)의 하면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2 물탱크(3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턱(32)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턱(32)이 상기 제 1 물탱크(20)의 상면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2 물탱크(30)에는 온도탐지센서(35)가 장착되어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챔버(10)의 외부에 장착된 제어부(36)에 측정된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모터(21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난방 시스템(1) 전 체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6)의 제어에 의해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주입장치(45)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챔버(10) 내부에서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함으로써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물탱크(30)에는 보충 물탱크(90)가 연결되어 적정량의 수위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제 2 순환배관(50a, 50b)은 상기 제 1 물탱크(20)로부터 상기 챔버(10)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순환배관(50a) 및 상기 제 2 물탱크(30)로부터 상기 챔버(10)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순환배관(50b)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순환배관(50a)과 제 2 순환배관(50b)을 연결할 경우 가열된 온수가 챔버(10) 외부에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제 2 순환배관(50a, 50b)을 라디에이터와 연결시키고 라디에이터를 송풍기와 연결시키게 되면, 송풍기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 외부로 온풍을 방출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 등의 난방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순환배관(50a)과 제 2 순환배관(50b)의 길이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난방량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상부커버(60)는 상기 챔버(1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챔버(10)의 상부의 청소를 위해서 상기 상부커버(6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70)는 그 중앙부에는 홀(7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부에는 연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부에 구성된 홀(74)은 연소가 완료된 연료의 재가 배출함(75)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주변부에 형성된 이동통로(72)는 상기 제 1 물탱크(20)의 관통배관(23)을 통과한 연기가 상기 연기 배출구(80)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바(29) 사이에 구성된 임펠러(200)에 의해 연소가 완료되어 덩어리 형태 또는 지지바(29)상에 잔류하는 연료의 재를 절단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홀(74)을 통해 원활하게 재를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챔버(10) 내부에 재가 남지 않도록 깨끗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연기 배출구(80)는 상기 제 1 물탱크(20)를 관통하면서 챔버(10) 외부로 연장되는 연기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기 배출관의 일단이 상기 하부커버(70)의 이동통로(72)와 연통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통로(72)로 이동된 연기가 상기 연기 배출관을 통해 챔버(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온수와 연기가 형성되고 이동하여 비닐하우스 등에서 난방작용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에서 온수가 형성되고 이동하여 비닐하우스 등에서 난방작용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에서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는 도 2a 및 도 2b에서 대응하는 구성요 소의 도면부호와 동일하며, 화살표(→)는 온수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9)위에 올려진 연료가 챔버(10) 내부에서 연소가 진행되고, 필요에 따라 공기주입장치(45)로부터 구조물(40)의 공기 배출홀(42)을 통해 공기를 챔버(10) 내부로 불어넣어 상기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하게 된다.
상기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고열 및 고온의 연기에 의해서 제 1 물탱크(20) 및 제 2 물탱크(3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게 된다.
상기 제 1 물탱크(20) 및 제 2 물탱크(3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된 후에는 모터(M)를 가동하여 제 2 순환배관(50b)을 통해 제 2 물탱크(30)에 수용된 온수를 챔버(10) 외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순환배관(50b)을 통해 이동된 온수는 제 2 순환배관(50b)과 연결된 라디에이터(100)를 경유하여 제 1 순환배관(50a)을 통해 다시 제 1 물탱크(20)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연결된 송풍기(110)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상기 라디에이터(100)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 외부로 온풍이 방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는 챔버(10) 내부에서는 지지바(29)를 통해 제 1 물탱크(2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연결배관(26)을 통해 제 1 물탱크(20)에서 제 2 물탱크(30)로 이동하고, 상기 챔버(10) 외부에서는 제 2 순환배관(50b)에서 라디에이터(100)를 경유하여 제 1 순환배관(50a)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연료의 연소가 완료되면 덩어리 형태로 잔류하는 재 또는 지지바(29)상에 잔류하는 재를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 절단하여 배출함으로써 챔버(10) 내부에 재가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처리 장치를 구비한 난방 시스템에서 연기가 형성되고 이동하여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에서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는 도 2a 및 도 2b에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의 도면부호와 동일하며, 화살표(→)는 연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9)위에 올려진 연료가 연소하면서 챔버(10) 내부에서 연소하게 되면 고온의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연료의 연소시 필요에 따라 공기주입장치로부터 구조물(40)의 공기 배출홀(42)을 통해 공기를 챔버(10) 내부로 불어넣어 상기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할 수도 있다.
상기 연소할 때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는 챔버(1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 1 물탱크(20)를 관통하는 관통배관(23)을 지나 상기 제 1 물탱크(20)에 수용된 물을 2차로 가열하고, 상기 관통배관(23)을 통과하여 챔버(10)의 하부커버(70)에 모여지게 된다.
그 후, 상기 하부커버(70)의 이동통로(72)를 따라 난방시스템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 연기 배출구(80)를 통해 챔버(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연기 배출구(80)는 상기 제 1 물탱크(20)를 관통하면서 챔버(10) 외부로 연장되는 연기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기 배출관의 일단이 상기 하부커버(70)의 이동통로(72)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커버(70)에 모여진 연기는 상기 연기 배출관을 통해 챔버(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제 1 물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제 2 물탱크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제 1 물탱크 및 제 2 물탱크 그리고 연결배관의 형상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챔버(10) 상부에 제 1 물탱크(20)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도록 이동배관(2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물탱크(20)의 상면과 제 2 물탱크(30)의 배면을 연결하도록 연결배관(26)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물탱크(30)는 그 배면에 일정부분 돌출된 돌출부(31)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31)는 상기 돌출부(31)를 관통하는 관통배관(23)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물탱크(20)는 제 1 물탱크(20)의 내부를 분리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격벽(2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격벽(25)에 의해 상기 제1물탱크(20)는 메인 물탱크(20a)와 보조 물탱크(20b)로 분리된다.
상기 메인 물탱크(20a)는 상기 제1순환배관(50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순환배관(50a)을 통해 외부의 물이 유입되게 되며, 메인 물탱크(20a)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도록 지지바(29)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보조 물탱크(20b)는 상기 연결배관(26)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배관(26)을 통해 보조 물탱크(20b)의 물이 상기 제2물탱크(3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 물탱크(20a)와 상기 보조 물탱크(20b)는 이동배관(24)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동배관(24)을 통해 상기 메인 물탱크(20a)의 물이 상기 보조 물탱크(20b)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난방시스템에서 온수가 형성되고 이동하는 경로를 설명하면, 우선, 제1순환배관(50a)을 통해 외부의 물이 제1물탱크(20)의 메인 물탱크(20a)로 유입되게 되고, 다음, 유입된 물은 메인 물탱크(20a)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지지바(29)를 통해 이동하면서 가열됨과 동시에 메인 물탱크(20a)의 상부쪽으로 이동하여 가열되면서 이동배관(24)을 통해 보조 물탱크(20b)로 유입되게 되고, 다음, 보조 물탱크(20b)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연결배관(26)을 통해 상기 제2물탱크(30)로 이동하게 된 후 제2순환배관(50b)을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 물탱크(20a)와 보조 물탱크(20b)가 격벽(25)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연결배관(24)을 통해서만 상기 메인 물탱크(20a)에서 보조 물탱크(20b)로 물이 이동하게 될 경우에는 보조 물탱크(20b)에서의 물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물탱크(20b)에서의 물의 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상기 격벽(25)의 하부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틈을 통해 메인 물탱크(20a)와 보조 물탱크(20b) 사이에서 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물탱크(30)의 배면이 챔버(10) 내부로 소정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31)를 가짐으로써 상기 챔버(10)내에서 연소가 진행될 때 연소가 진행되는 부분과 거리를 줄이고 열 가열 면적을 증대시켜 제 2 물탱크(30)의 가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 2 물탱크(30)의 하부 부분이 연소가 진행되는 부분과 거리가 가깝게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31)를 구성함으로써 챔버(10) 내부에서 연소가 진행될 때 제 2 물탱크(30)에 수용된 물의 가열이 신속하게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제 2 물탱크(30)의 돌출부(31) 측면에는 복수 개의 턱(32)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턱(32)이 상기 제 1 물탱크(20)의 상면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1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들이 상기 제 2 물탱크(30)의 돌출부(31)를 관통하여 구성된 관통배관(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 2 물탱크(30)에 수용된 물을 2차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에서 제 2 물탱크의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제2 물탱크의 형태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챔버(10) 상부에 구성되는 제 2 물탱크(30)의 배면이 일정 부분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31)를 갖고, 상기 돌출부(31)를 관통하도록 관통배관(23)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물탱크(30)의 배면에 다수의 돌출부(31)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 2 물탱크(30)의 하부 부분이 연소가 진행되는 부분과 거리가 가깝게 되고, 상기 돌출부(31)가 다수의 굴곡을 가짐으로써 상기 챔버(10) 내부에 연소할 때 제 2 물탱크(30)의 가열면적을 넓혀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들이 상기 제 2 물탱크(30)의 다수의 돌출부(31)를 관통하여 구성된 관통배관(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물탱크(30)에 수용된 물을 2차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의 범위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를 즉시 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제 1 물탱크 및 제 2 물탱크의 돌출부를 관통하는 관통배관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제 1 순환배관과 제 2 순환배관을 라디에이터와 연결시키고 라디에이터를 송풍기와 연결시킴으로써 비닐하우스 등의 난방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순환배관과 제 2 순환배관의 길이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난방량 조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공기주입장치로부터 구조물의 공기 배출홀을 통해 공기를 챔버 내부의 공간으로 불어넣을 수 있어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할 수 있다.
넷째, 온도탐지센서를 통해 온수의 온도측정이 가능하고 더불어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공기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온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다섯째, 챔버의 내주면에 구성된 제 1 물탱크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지지바를 제 1 물탱크 내부의 물이 지지바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1 물탱크 내부의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여섯째, 제 2 물탱크의 배면을 돌출되게 돌출부 및 굴곡을 갖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연소시 제 2 물탱크의 가열면적을 증대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곱째, 챔버 내부에 임펠러를 구비한 재처리 장치를 구성하여 연소가 완료된 연료의 재를 절단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재를 배출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소정의 간격을 갖고 구성되어 연료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 구성되어 연소가 완료된 연료의 재를 절단하는 다수의 임펠러와,
    상기 각 임펠러를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지지바 사이에서 상기 지지바의 표면보다 돌출되어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처리 장치.
  3. 연료를 연소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주면에 구성되는 제 1 물탱크와,
    상기 챔버의 상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에 의해 상기 제 1 물탱크와 연결되는 제 2 물탱크와,
    상기 제 1 물탱크로부터 상기 챔버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순환배관과,
    상기 제 2 물탱크로부터 상기 챔버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순환배관과,
    지지바, 임펠러, 회전축, 및 모터를 구비한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재처리장치와,
    상기 제 1 물탱크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서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배관, 및
    상기 관통배관에 연결되어 연기를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탱크를 메인 물탱크와 보조 물탱크로 분리하는 격벽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물탱크는 제1순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 물탱크는 상기 연결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물탱크와 상기 보조 물탱크는 이동배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는 메인 물탱크와 보조 물탱크 간에 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메인 물탱크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 물탱크 내부의 물이 상기 지지바를 통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탱크의 배면은 상기 챔버의 상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배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9.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하단에 상기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홀이 구비된 구조물이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구조물은 챔버 외부의 공기주입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주입장치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공기 배출홀을 통해 공기를 챔버 내부의 공간으로 불어넣어 상기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10.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관통배관을 통과한 연기가 모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구비된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기 배출구는 상기 제 1 물탱크를 관통하면서 챔버 외부로 연장되는 연기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커버의 이동통로는 상기 연기 배출관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KR1020070025860A 2007-03-16 2007-03-16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082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860A KR100828743B1 (ko) 2007-03-16 2007-03-16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860A KR100828743B1 (ko) 2007-03-16 2007-03-16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743B1 true KR100828743B1 (ko) 2008-05-09

Family

ID=3965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860A KR100828743B1 (ko) 2007-03-16 2007-03-16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7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13Y1 (ko) * 2006-03-24 2006-06-09 김복희 괴탄 보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13Y1 (ko) * 2006-03-24 2006-06-09 김복희 괴탄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01599A (ja) ハイブリッド温風装置
KR101184227B1 (ko) 친환경 고체연료를 이용한 송풍기
KR101371235B1 (ko)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101295328B1 (ko) 회전가능한 화격자 구조를 가지는 펠릿 보일러
KR101541535B1 (ko)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KR200446195Y1 (ko) 우드펠릿 온수보일러
KR100828743B1 (ko) 재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1148696B1 (ko) 펠렛 보일러
KR101080552B1 (ko)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101980976B1 (ko) 고체 연료 연소장치
JP5030111B2 (ja) 固形燃料燃焼装置の灰除去手段
KR101210962B1 (ko) 친환경 고체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20070117065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0777250B1 (ko) 난방 시스템
KR100740585B1 (ko) 갈탄보일러
KR102035114B1 (ko) 온풍 난방기
KR101272062B1 (ko) 펠릿 온풍기
KR20090115617A (ko) 목재 칩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230496B1 (ko) 우드펠릿 연관식 보일러
KR101809896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0319649B1 (ko) 보일러
KR20200009507A (ko) 온수 및 온열 사용이 가능한 화목보일러
KR200381890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101479841B1 (ko) 보일러
KR101350427B1 (ko)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