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78B1 -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 - Google Patents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078B1
KR102035078B1 KR1020170073271A KR20170073271A KR102035078B1 KR 102035078 B1 KR102035078 B1 KR 102035078B1 KR 1020170073271 A KR1020170073271 A KR 1020170073271A KR 20170073271 A KR20170073271 A KR 20170073271A KR 102035078 B1 KR102035078 B1 KR 102035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at
bar
sink
cylin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308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한경희 filed Critical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7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movably mounted on a working-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2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전면 가운데 지지다리에 사용자가 선 채로 둔부와 양다리사이에 삽입시켜 체중을 지지하는 좌대프레임구조체(100)가 장착되고, 상기 좌대프레임구조체(100)에 의하여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와 무릎에 부하되는 체중을 절감 및 흡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채로 체중이 지지되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Simple sink}
본 발명은 선 채로 싱크대 앞에서 설거지 등 각종 가사업무를 하는 가정주부나 식당 등에서 싱크대 작업을 하는 종사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지팡이 개념의 체중 지지대를 싱크대에 접목하여 좀 더 편안하게 싱크대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현대사회에 들어서서 동서양을 불문하고 싱크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처는 일반 가정 외에 식당 등 여러가지 다양한 업소에서 사용되고 있어 싱크대의 사용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싱크대는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책상이나 테이블과는 달리 앉아서 작업을 하지 않고, 서서 작업을 하는 스탠드 형석으로 형성되어 가정주부나 이용자들 대부분은 선 채로 싱크대 작업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싱크대 앞에서 선 채로 장시간 동안 작업을 할 경우 허리나 무릎에 부하되는 체중의 정도가 심해져 동 부위에 긴장감이 증가하므로서 통증이 발생하는 등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은 이런 불편함을 완화시키고, 평소 허리나 무릎에 불편한 사람들도 싱크대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싱크대에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팡이 개념의 별도의 체중지지대를 부착하고, 동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형성시켜 싱크대 사용자가 체중을 지지한 채로 작업을 할 경우 허리나 무릎에 부하되는 체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1.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07997호(2012.11.28) 2.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20-2016-3850호(2016.11.08)
싱크대에서 가사 등 각종 작업을 할 때에 사용자의 대부분이 선 채로 허리를 싱크대 방향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데, 상기와 같이 허리를 앞 방향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작업을 할 경우 직립보행하는 신체구조상 허리와 무릎에 부하되는 체중이 크게 증가되어 그 부위에 긴장감이 형성되고, 장시간 작업시 허리나 무릎 부위에 통증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는 바,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고 허리나 무릎이 불편한 사람들도 선 채로 싱크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의 싱크대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는 싱크대 하부 지지다리 중 전면 가운데 지지다리에 좌대후레임구조체(100)를 고정 부착하고, 상기 구조체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기능을 형성시켜 싱크대 사용자가 상기 좌대프레임구조체(100) 상단부에 부착된 좌대(110)를 선 채로 둔부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와 같이 좌대프레임구조체 내부에서 발생된 수직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좌대에 의하여 사용자를 떠받쳐 올려 싱크대 작업 중 허리나 무릎에 부하되는 체중을 크게 감소시켜 간편하게 싱크대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싱크대에서 작업 중 발생되는 각종 불편함을 해결하고, 좀 더 편안하게 싱크대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좌대프레임구조체(100)를 싱크대에 부착하고, 동 구조체의 좌대를 싱크대 사용자의 둔부와 양 다리 사이에 끼워 동 구조체에서 발생되는 수직 상향의 탄성력에 의하여 사용자를 떠받쳐 올려주므로서 싱크대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싱크대 작업을 하여도 허리나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고, 동 부위에 통증이 발생되지 않으며, 평소 허리나 무릎이 좋지 않아 싱크대 작업을 할 수 없었던 사람들도 선 채로 싱트대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싱크대에서 분리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에서 분해된 좌대(110), 좌대프레임(120), 연결부재장치(140)의 도면이다.
도 3은 싱트대에 부착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싱크대에 부착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가 우측방향으로 90° 접철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유형의 좌대프레임(120)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유형의 좌대프레임(12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유형의 좌대프레임(120)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유형의 좌대프레임(120)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유형의 좌대프레임(120)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유형의 좌대프레임(120)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이하 “싱크대”라 약칭한다.)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좌대프레임구조체(100)가 부착된 싱크대 측면도이다. 도 2는 싱크대에서 분리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싱크대에서 분리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에서 좌대(110), 좌대프레임(120), 연결부재장치(140)가 각 분해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싱크대 비사용 시나 운송 중 싱크대에 부착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의 파손 방지와 싱크대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연결부재장치(140)에 내재된 접철기능에 의하여 상기 좌대프레임구조체(100)를 우측방향으로 90° 접철된 도면이며, 상기와 같이 접철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좌대프레임구조체(100)는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10), 좌대프레임(120), 연결부재장치(140)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형성된 구조체 일측에 스토퍼장치(150)가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는 도 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연결기능을 하는 연결부재장치(140)에 의하여 싱크대 전면 가운데 다리에 고정 부착된다.
상기 좌대프레임(120)은 상기 좌대프레임구조체(100)의 주요 구성체이며 내측에 상향으로 발생되는 탄성력과 압축흡수력을 위한 기능이 장착되어 상기 좌대프레임구조체(100)에 탄성력과 압축흡수력을 제공한다.
상기 좌대프레임(120)은 상향으로 발생되는 탄성력과 압축흡수력을 위한 3가지 유형의 프레임 구성체와 그에 따른 3가지 유형의 각 실시예를 제공한다.
제1유형의 좌대프레임(120)에 의한 제1실시예의 좌대프레임(120)의 구성과 기능 및 싱크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으로 감싸는 좌대프레임하우징(124)이 형성되고, 상기 좌대프레임하우징(124)내측에 좌대바(121)와 스프링가이드바(123)가 각 형성되고, 상기 좌대바(121)는 좌대바몸체(121a)와 좌대바목(121b)으로 구분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대바몸체(121a) 하단부는 하면이 터진 중공으로 형성되어 중공된 공간부분에 스프링장착실(122)이 형성된다.
제2스프링(SS)은 상기 스프링장착실(122) 내측 상단부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장착실(122)에 삽입되는 스프링가이드바(123) 꼭대기 부분에 타단이 부착된다.
제1스프링(FS)은 상기 스프링가이드바(123)에 휘감긴 채로 부착되고, 상기 제1스프링(FS)은 하면부에 중공으로 형성된 스프링장착실(122)에 상기 스프링가이드바(123)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좌대바몸체(121a)에 의하여 압박된다.
이때 좌대바(121)의 길이는 외곽을 감싸고 있는 좌대프레임하우징(124) 길이보다 상대적을 짧게 형성하여 짧은 길이 만큼 좌대바(121)가 좌대프레임하우징(124)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좌대바목(121b)은 좌대바몸체(12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대바몸체(121a)가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지만, 좌대바목(121b)의 상단부는 좌대프레임하우징(124)의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좌대프레임하우징(124)이 허용하는 구간내에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좌대프레임하우징(124)의 상부는 하부보다 병목처럼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좌대바목(121b)이 좌대프레임하우징(124)내에서 상향으로 이동할 때 좌대바목(121b)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좌대바몸체(121a)가 좌대프레임하우징(124)의 상부 병목부분에 걸리면서 그 이동이 제한된다.
제1스프링(FS)은 스프링상수의 차이에 따라 좌대바(121)에 하중이 가해질 때 압축량이 결정된다. 동일한 하중이 가해진다면 처짐량이 길어질수록 스프링상수는 작아지므로 하중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상수가 작은 코일스프링을 선택하고, 하중 변화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반응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상수가 큰 코일스프링을 선택한다.
좌대바(121)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상기와 같이 스프링장착실(122)에 장착된 제2스프링(SS)과, 스프링가이드바(123)에 휘감긴 채로 장착된 제1스프링(FS)에 의하여 저항되어 탄성력이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좌대바(121)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흡수된다.
따라서 좌대바(121)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제1스프링(FS)과 제2스프링(SS)에 의해서 분산되므로 하나의 스프링을 사용할 때 보다 압축거리도 단축되고, 복원거리도 단축된다. 즉 하나의 스프링을 사용할 때 보다 상,하 진동을 짧게 하면서도 더 부드럽게 압축력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스프링(FS) 보다 제2스프링(SS)의 스프링상수를 작게 설계하여, 좌대바(121)에 가해지는 하중의 초기에는 스프링상수가 작은 제2스프링(SS)이 먼저 민감하게 반응하여 그 하중을 흡수하고, 하중이 증가 될 때 제1스프링(FS)과 제2스프링(SS)이 함께 압축되면서 하중이 분산 되었다가 하중이 감소하면 다시 복원된다.좌대바목(121b)의 상단에는 좌대(110)가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좌대(110)는 싱크대 사용자가 선 채로 체중을 지지 할 수 있도록 둔부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되고, 사용자의 체중은 엉덩이를 통해 좌대(110)에 지지된 후 제1스프링(FS)과 제2스프링(SS)에 압축력이 가해진다.
상기 좌대프레임하우징(124)과 내측에서 접촉되는 좌대바(121) 일측면에는 좌대바(121)의 위치를 눌러서 낮게 한 후, 고정시켜 상승 탄성력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걸림돌기(150a)가 삽입할 수 있는 걸림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51)에 대응하는 상기 좌대프레임하우징(124) 바깥 일측에는 스토퍼장치(15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장치 내에는 걸림돌기(150a), 걸림돌기작동스프링(150b), 걸림돌기로드관(150c)이 각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장치 외부에는 원터치버튼(150d)이나 작동레버(150d)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터치버튼이나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걸림돌기(150a)를 상기 걸림홈(151)에 돌출시켜 좌대바(121)의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과 고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2와 같이 형성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를 도 1, 도 4와 같이 싱크대 전면부 가운데 지지다리에 수직으로 부착시킨다. 이때 싱크대의 전면부 가운데 지지다리는 상기 도 1,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에 각 형성된 다른위치의 다리보다 약간 움푹들어간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상기 다리에 부착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를 비사용 시나 보관 시에 접철된 경우 싱크대의 전면 작업대의 가이드 라인을 벗어나지 않게 하여 싱크대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좌대프레임구조체(100)가 파손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의 도 1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움푹들어간 위치에 형성된 싱크대의 전면부 가운데 지지다리에 대응하여 싱크대의 싱크홀과 작업대의 전면 가운데 가이드라인도 같은 형태로 약간 움푹들어간 형태로 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좌대프레임구조체(100)를 싱크대에 부착하고, 좌대프레임구조체(100)의 상단부에 부착된 좌대(110)를 싱크대 사용자의 둔부사이에 삽입한 후 좌대프레임(120)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장치(150)의 스토퍼 기능에 의하여 상향으로 탄성력을 작동시켜 상기 좌대(110)가 사용자의 체중을 위쪽방향으로 떠받쳐 올려준 상태에서 싱크대 사용자가 선 채로 싱크대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체중을 지지하는 만큼 좌대(110)가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좌대(110)가 압축되면서 사용자의 체중은 상기 좌대(110)와 좌대프레임(120)에 의하여 압축 흡수되어 싱크대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체중이 크게 감소된다.
싱크대 작업은 대부분 수돗물을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앞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서서 작업을 하고, 이 경우 건강한 사용자도 장시간 싱크대 작업시에는 허리나 무릎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평소 허리나 무릎이 좋지 않은 가정주부 등은 싱크대 작업을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싱크대는 싱크대 전면 가운데 지지다리 부분에 좌대프레임구조체(100)를 부착하여 싱크대 사용 중 사용자의 체중을 떠받쳐 올려주고 지지하므로 인하여 허리나 무릎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싱크대 작업을 할 수가 있으며, 정상적인 사용자들도 허리나 무릎에 통증없이 장시간 싱크대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싱크대 작업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여 좌대(110)을 일정한 구간을 하향으로 눌러 좌대(110)의 위치를 낮추고, 좌대프레임(120)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장치(150)의 스터퍼를 작동하여 좌대(110)의 상승이 일시적으로 멈추고, 탄성력이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이 멈춘 좌대프레임구조체(100)는 연결부재장치(140)에 형성된 접철기능에 의하여 우측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싱크대 비사용 시 공간을 최소화하고, 이동이나 보관 시 파손을 방지한다.
다시 작업을 시작할 경우 상기와 같이 좌대프레임(120)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의 버튼이나 작동레버를 누르거나 당겨 잠궈있던 좌대(110)가 상승하고, 탄성력이 다시 발생된다.
제2유형의 좌대프레임(120)에 의한 제2실시예의 좌대프레임(12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실린더(250)가 외곽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유실린더(250) 내측에 실린더로드(260)와 스프링가이드바(264)가 각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60)는 실린더로드몸체(260a)와 실린더로드목(260b)으로 구분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작동유실린더(250)는 실린더로드몸체(260a)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에는 제2작동유실린더(250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에는 제1작동유실린더(250a)가 각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로드몸체(260a) 하단부는 하면이 터진 중공으로 형성되어 중공된 공간부분에 스프링장착실(263)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장착실에는 제2스프링(SS)의 장착된다.
상기 제2스프링(SS)은 상기 스프링장착실(263) 내측 상단부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장착실(263)에 삽입되는 스프링가이드바(264) 꼭대기부분에 타단이 부착된다.
제1스프링(FS)은 상기 스프링가이드바(264)에 휘감긴 채로 부착되고, 하면부에 형성된 스프링장착실(263)에 스프링가이드바(264)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실린더로드몸체(260a)에 의하여 압박되며, 이때 상기 제2스프링(SS)도 스프링장착실(263)에 삽입된 스프링가이드바(264)에 의해서 함께 압박된다.
상기 작동유실린더 상단부 바깥 일측에 작동유를 주입하는 작동유주입구(252)가 형성된다.
작동유실린더(250) 내측에 형성된 실린더로드(260)의 길이는 상기 작동유실린더(25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여 짧은 길이 만큼 실린더로드(260)가 작동유실린더(250)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실린더로드목(260b)는 실린더로드몸체(260a)와 일체로 형성되어 실린더로드몸체(260a)와 함께 이동하지만 실린더로드목(260b)의 상단부는 작동유실린더(250) 외부로 일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작동유실린더(250)의 상부는 하부보다 병목처럼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실린더로드목(260b)이 작동유실린더(250)내에서 상향으로 이동할 때 실린더로드목(260b)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실린더로드몸체(260a)가 상기 작동유실린더(250)의 상부 병목부분에 걸리면서 그 이동이 제한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대프레임(120)에 좌대(110)가 부착되고, 연결부재장치(140)에 의하여 싱크대에 부착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의 좌대(110)를 싱크대 사용자 둔부사이에 삽입하여 사용자가 체중을 지지할 경우 좌대(110)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흡수한다.
그런데 제1실시예에서는 제1스프링(FS)과 제2스프링(SS)의 반발력으로만 싱크대 사용자의 체중과 압축력을 흡수하지만 제2실시예에는 상기 스프링 반발력외에 압축된 작동유를 통해서도 압축력을 흡수하므로서 압축흡수력이 더욱 강화된다.
작동유실린더(250) 내측에 형성된 실린더로드(260)가 상기 좌대(110)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실린더로드몸체(260a)에 의해 제1작동유실린더(250a)의 작동유가 압박되고, 제1작동유실린더(250a)의 작동유는 실린더로드몸체(260a)에 형성된 작동유이동홀(262)을 통해 제2작동유실린더(250b)로 빠져 나가면서 실린더로드(260)가 내려가고, 동시에 제1스프링(FS)과 제2스프링(SS)이 압축된다.
좌대(110)에 가해졌던 압축력이 사라지면, 제1스프링(FS)과 제2스프링(SS)의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로드(260)가 상승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제2작동유실린더(250b)의 작동유는 제1작동유실린더(250a)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좌대(110)에 가해진 압축력이 순간적으로 변할 때마다 제1작동유실린더(250a)의 작동유가 제2작동유실린더(250b)로 유입되고, 그 압축력이 사라지면 다시 제2작동유실린더(250b)의 작동유가 제1작동유실린더(250a)로 유입되면서 좌대(11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킨다.
압축력을 흡수하는 과정이 제1스프링(FS)과 제2스프링(SS)뿐만 아니라 압축된 작동유의 이동으로도 이루어지는데, 작동유는 유공을 통해 이동해야 하므로 작동유의 이동속도에 의해 압축력에 의한 실린더로드(260)가 이동되는 민감도가 결정된다.
즉, 유공(262)을 크게 하면 작동유가 빨리 이동하므로 실린더바(260)의 반응속도가 빨라지고, 유공을 작게 하면 작동유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하므로 실린더로드(260)의 반응속도가 늦어진다.
그렇지만 유공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좌대(110)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싱크대의 사용자의 둔부를 타격할 수 있으므로 완만한 상승이 유지되는 유공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대프레임(120)의 제2실시예와 같은 스프링의 유체압(작동유)을 이용하지만 세부적인 구조체의 구성과 작용이 다른 제3유형의 좌대프레임(12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유형의 좌대프레임(120)에 의한 제3실시예의 좌대프레임(12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에 작동유실린더(350)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내측 중심에 실린더로드바(360)가 길다랗게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실린더로드바(360)의 중간부분에 실린더피스톤(370)이 고정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피스톤(370) 윗부분은 제2작동유실린더(350b)가, 아랫부분은 제1작동유실린더(350a)가 각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유실린더(350b)에는 제2스프링(SS)이, 상기 제1작동유실린더(350a)에는 제1스프링(FS)이 각 실린더로드바(360)를 휘감은 형태로 부착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로드바(360) 상단부는 작동유실린더(350) 밖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바(360)에 고정 부착된 실린더피스톤(370)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여러 개의 작동유이동홀(380)이 4방향으로 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유이동홀(380)에 의하여 제1작동유실린더(350a)에서 제2작동유실린더(350b)로 작동유가 상호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피스톤(370) 밑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작동유실린더(350) 바깥 일측에는 스토퍼장치(150)가 돌출 형성되고 동 스토퍼장치 내에는 걸림돌기(150a), 걸림돌기로드관(150c), 걸림돌기작동스프링(150b)이 형성되고, 스토퍼장치 밖으로 노출되어 형성된 스토퍼작동레버(150d)가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바와 같은 좌대프레임(120)상단부에 좌대(110)를 부착하고, 연결부재장치(140)에 의하여 싱크대에 부착된 좌대프레임구조체(100)의 좌대(110)를 싱크대 사용자의 둔부사이에 삽입하고, 체중에 의하여 압축력을 가하므로서 체중이 지지된다.
그 압축력이 좌대(110)에 전달되어 좌대와 연결된 실린더로드바(360)와 실린더피스톤(370)이 하강됨과 동시에 제1작동유실린더(350a)의 작동유가 제2작동유실린더(350b)로 이동된다. 좌대(110)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해소되면 좌대(110)는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실린더피스톤이 하강 시 동 실린더피스톤 윗부분에 부착 형성된 제2스프링(SS)은 하향으로 신장되고, 동 실린더피스톤 아랫부분에 부착 형성된 제1스프링(FS)은 하향으로 압박된다.
실린더피스톤(370)이 하강 시 상기 실린더피스톤(370) 하면에 연결된 실린더로드바(360)는 작동유실린더(350) 내측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로드연장바(361)를 삽입한 채 하강하고, 저면에 도달하므로서 하강을 멈춘다.
상기 실린더로드바(360)는 원통형의 바내부가 중공되고, 직경이 상기 실린더로드연장바(361)보다 커 상기와 같이 실린더로드연장바(361)를 삽입한 채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피스톤(370)이 이동이 끝나는 부분과 일치하는 높이의 작동유실린더(350) 바깥쪽 일측에 스토퍼장치(150)가 형성되고, 스토퍼장치 내에는 걸림돌기(150a), 걸림돌기로드관(150c), 걸림돌기작동스프링(150b)이 형성되고, 걸림돌기는 작동유실린더(350)에 형성된 걸림돌기출입홀에 의하여 작동유실린더(350)내측으로 돌기되고, 상기와 같이 돌기된 부분은 윗부분이 경사각도로 절삭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피스톤(370)이 하강 시 일시적으로 후퇴되었다가, 상기 실린더피스톤이 통과된 후 동 피스톤 윗부분에 돌출되어 걸리므로서 실린더로드바(360)와 실린더피스톤(370) 이동을 멈추게 하고, 상기 스토퍼장치 밖으로 노출되어 형성된 스토퍼작동레버(150d)의 작동에 의하여 걸림돌기(150a)를 일시 후퇴시킴므로서 다시 상기 실린더로드바(360)와 실린더피스톤(370)을 상승 이동시킨다.
100 : 좌대프레임구조체 110 : 좌대
120 : 좌대프레임 121 : 좌대바
121a: 좌대바몸체 121b : 좌대바목
122 : 스프링장착실 123 : 스프링가이드바
124 : 좌대프레임하우징 140 : 연결부재장치
150 : 스토퍼장치 150a : 걸림돌기
150b : 걸림돌기작동스프링 150c : 걸림돌기로드관
150d : 원터치버튼,작동레버 151 : 걸림홈
250 : 작동유실린더 250a : 제1작동유실린더
250b: 제2작동유실린더 252 : 작동유주입구
260 : 실린더로드 260a : 실린더로드몸체
260b : 실린더로드목 262 : 작동유이동홀
263 : 스프링장착실 264 : 스프링가이드바
350 : 작동유실린더 350a : 제1작동유실린더
350b : 제2작동유실린더 360 : 실린더로드바
361 : 실린더로드연장바 370 : 실린더피스톤
380 : 작동유이동홀
FS : 제1스프링 SS : 제2스프링

Claims (3)

  1. 싱크대의 지지다리에 연결부재장치를 통해 결합되고, 내부에 스프링가이드바가 수직으로 고정 부착된 좌대프레임하우징(124);
    상기 좌대프레임하우징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고, 좌대바몸체와 좌대바목으로 형성되어 상단의 일부는 좌대프레임하우징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하슬라이딩 되는 좌대바(121);
    상기 좌대바 하부에 하면이 터진 원통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이 장착되는 스프링장착실(122);
    상기 스프링가이드바를 휘감은 상태로 장착되어 좌대바가 좌대바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장착실에 스프링가이드바를 삽입한 채 하강시 좌대바몸체에 의하여 압축되는 제1스프링(FS);
    상기 스프링장착실에 장착되어 삽입되는 스프링가이드바에 의하여 압박되며, 상기 제1스프링 보다 작은 스프링상수를 갖는 제2스프링(SS); 및
    상기 좌대프레임하우징 밖으로 노출된 좌대바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좌대바가 상,하슬라이딩할 때 연동하는 좌대(1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대가 장착된 초간편 건강 싱크대.
  2. 싱크대 지지다리에 연결부재장치를 통해 결합되고, 바닥은 막혀 있으면서 길이 방향으로 중공되어 있으며, 막혀 있는 바닥 가운데에 스프링가이드바가 수직으로 고정 부착된 작동유실린더(250);
    상기 작동유실린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고, 실린더로드몸체와 실린더로드목으로 형성되어 상단 일부는 작동유실린더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하슬라이딩되는 실린더로드(260);
    상기 실린더로드몸체 하부 하면이 터진 원통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이 장착되는 스프링장착실(263);
    상기 스프링가이드바를 휘감은 상태로 장착되어 실린더로드몸체가 실린더로드몸체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장착실에 스프링가이드를 삽입한 채 하강시 실린더로드몸체에 의하여 압축되는 제1스프링(FS);
    상기 스프링장착실에 장착되어 장착되어 삽입되는 스프링가이드바에 의하여 압축되며 상기 제1스프링 보다 작은 스프링상수를 갖는 제2스프링(SS); 및
    상기 실린더로드(260)에 부착되는 좌대(1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대가 장착된 초간편 건강 싱크대.
  3. 삭제
KR1020170073271A 2017-06-12 2017-06-12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 KR102035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71A KR102035078B1 (ko) 2017-06-12 2017-06-12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71A KR102035078B1 (ko) 2017-06-12 2017-06-12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308A KR20180135308A (ko) 2018-12-20
KR102035078B1 true KR102035078B1 (ko) 2019-11-08

Family

ID=6495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271A KR102035078B1 (ko) 2017-06-12 2017-06-12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80Y1 (ko) * 2003-06-07 2003-09-06 이효진 이동식 의자가 설치된 싱크대
JP2007502631A (ja) * 2003-08-19 2007-02-15 グレッケル ヨセフ ダイナミックな座りを可能にするために可動弾性脚部を有するチェア又はスツ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97B1 (ko) 2010-09-08 2012-12-04 한경희 파워 보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80Y1 (ko) * 2003-06-07 2003-09-06 이효진 이동식 의자가 설치된 싱크대
JP2007502631A (ja) * 2003-08-19 2007-02-15 グレッケル ヨセフ ダイナミックな座りを可能にするために可動弾性脚部を有するチェア又はスツ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308A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052B2 (en) Folding chair
JP6593971B2 (ja) テーブル付きフィットネスバイク
US10660443B1 (en) Folding chair
KR102308370B1 (ko) 이동식 사다리
KR102035078B1 (ko)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싱크대
JP2018187313A (ja) 椅子
KR102035079B1 (ko)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테이블
KR20190092350A (ko) 체중지지대가 장착된 초간편 건강 테이블
JP4730824B2 (ja)
KR10054952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KR100979183B1 (ko) 충격 흡수용 가스 실린더
KR101984170B1 (ko) 체중지지대가 장착된 초간편 건강 싱크대
JP7024012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215227Y1 (ko) 이동이 가능한 의자 지지발
JP3145810U (ja) 監督椅子の改良構造
KR10235637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KR20170032791A (ko) 접이식 방석 의자
KR101366905B1 (ko)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CN212546268U (zh) 一种新型可变距机构
KR20190075312A (ko) 체중지지대가 장착된 초간편 건강 테이블
CN109832859A (zh) 一种折叠摇椅
CN217661314U (zh) 仰卧起坐拳击器
CN210383334U (zh) 一种快装单人沙发
KR960040260A (ko) 미용의자용 발 받침대
KR20010077063A (ko) 운동기구 겸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