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472B1 -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 Google Patents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472B1
KR102034472B1 KR1020190017730A KR20190017730A KR102034472B1 KR 102034472 B1 KR102034472 B1 KR 102034472B1 KR 1020190017730 A KR1020190017730 A KR 1020190017730A KR 20190017730 A KR20190017730 A KR 20190017730A KR 102034472 B1 KR102034472 B1 KR 10203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coating layer
weight
parts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순
김효남
Original Assignee
김효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남 filed Critical 김효남
Priority to KR102019001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광을 발산하는 광원(10);
상기 광원(1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20);
상기 판재(20) 상부에 포설되는 전처리도막층(30);
상기 전처리도막층(30) 상부에 포설되는 축광칩도막층(40);
상기 축광칩도막층(40) 상부에 문자, 도형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이미지층(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10)이 켜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흡수하고,
상기 광원(10)이 꺼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발산하여,
이용자에게 상기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the phosphorescence lighting structure for image realization}
본 발명은 광고판, 비상구안내판, 휴대폰 케이스 등에 사용할 때 광원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에서도 시인성과 장식성이 우수하며, 프린팅 농도를 조절하므로써 광원의 밝기에 무관하게 선명도가 우수한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광은 일반 빛에너지 태양광, 형광등을 포함한 모든 영역의 광원(밝음상태)을 에너지로 흡수하여 어두운 곳에서 축광된 빛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스스로 발광하는 빛의 흡수, 축적, 발광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으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진다.
이러한 축광은 근래에 우수한 축광 소재가 개발되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연채광이 차단된
지하나 대형건물의 내부시설에 적용하면 정전시 비상 유도기능 및 일상적인 전원 오프시 보행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축광의 효과를 이용하여,
광고판, 비상구안내판, 휴대폰 케이스 등에 사용할 때 광원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에서도 시인성과 장식성이 우수하며, 프린팅 농도를 조절하므로써 광원의 밝기에 무관하게 선명도가 우수한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118호 ‘축광을 이용한 비상용 조명등’, 2002년03월04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7669호 ‘축광 조명 조립체’, 2009년09월0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광고판, 비상구안내판, 휴대폰 케이스 등에 사용할 때 광원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에서도 시인성과 장식성이 우수하며, 프린팅 농도를 조절하므로써 광원의 밝기에 무관하게 선명도가 우수한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공광을 발산하는 광원(10);
상기 광원(1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20);
상기 판재(20) 상부에 포설되는 전처리도막층(30);
상기 전처리도막층(30) 상부에 포설되는 축광칩도막층(40);
상기 축광칩도막층(40) 상부에 문자, 도형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이미지층(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10)이 켜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흡수하고,
상기 광원(10)이 꺼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발산하여,
이용자에게 상기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판, 비상구안내판, 휴대폰 케이스 등에 사용할 때 광원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에서도 시인성과 장식성이 우수하며, 프린팅 농도를 조절하므로써 광원의 밝기에 무관하게 선명도가 우수한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의 축광효과를 시험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에서 광원을 제외하고 휴대폰 케이스에 사용한 실시예의 시험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1(a)는 전면용, 도 1(b)는 후면용이라 명명하기라 한다.
도 1(a)의 전면용은,
인공광을 발산하는 광원(10);
상기 광원(1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20);
상기 판재(20) 상부에 포설되는 전처리도막층(30);
상기 전처리도막층(30) 상부에 포설되는 축광칩도막층(40);
상기 축광칩도막층(40) 상부에 문자, 도형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이미지층(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10)이 켜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흡수하고,
상기 광원(10)이 꺼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발산하여,
이용자에게 상기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b)의 후면용은,
인공광을 발산하는 광원(10);
상기 광원(1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20);
상기 판재(20) 하부에 포설되는 전처리도막층(30);
상기 전처리도막층(30) 하부에 포설되는 축광칩도막층(40);
상기 판재(20) 상부에 문자, 도형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이미지층(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10)이 켜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흡수하고,
상기 광원(10)이 꺼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발산하여,
이용자에게 상기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20)는 유리, PP, PS, ABS, PC, 아크릴 등의 강도 및 탄성이 확보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는 어떤 것이든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5~100 ㎛(마이크로미터) 입자의 축광칩(축광안료)에 자연건조수지 또는 열건조수지를 배합하여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50~100 ㎛(마이크로미터),
상기 이미지층(50)은 3~5 ㎛(마이크로미터),
상기 전처리도막층(30)은 5~7 ㎛(마이크로미터)가 바람직하다.
상기 자연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28도 정도의 상온에서 12시간 정도의 건조로써 내구성과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열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70도에서 200도의 온도로 30분 정도의 건조로써 내구성과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축광칩은 그린, 엘로우, 블루, 레드 등 다양한 모든 색과 모양의 조합이 가능하며, 용매로 사용되는 상기 자연건조수지 또는 상기 열건조수지를 배합하지 않고 순수한 축광칩을 포설한 후 롤러 또는 프레스로 전처리도막층(30)에 직접 압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전처리도막층(30)의 건조가 완료되기 전 전처리도막층(30)이 어느 정도 유연성을 유지할 때 작업하는 것이 압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광칩 압착후 상기 자연건조수지 또는 상기 열건조수지의 도포가 병행되면 보다 우수한 부착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열건조수지로는 아크릴계수지 또는 우레탄계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아크릴계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30중량부, 희석제 20중량부, 축광칩(축광안료) 4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건조 200도 이내로 한다.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아크릴계수지와 축광칩(축광안료) 40%이내를 첨가물과 함께 효모믹스로 4시간이상 교반하여 축광안료 침전을 방지하여 축광 분포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일정한 패턴으로 도장후 200도 이내로 도장하여 20분 열건조 한다.
(3) 도장후 셋팅 타임을 부여하여 축광안료는 침전되고 상층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유광 또는 무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우레탄계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25중량부, 희석제 10중량부, 축광칩(축광안료) 18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건조 70도 이내로 한다.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우레탄계수지와 축광안료 18%이내를 첨가물과 함께 효모믹스로 4시간이상 교반하여 축광안료 침전을 방지하여 축광 분포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2) 1차 도장후 40도이내 3분건조 후 2차 도장을 한다.
(3) 도장 후 셋팅 타임을 부여하여 축광안료는 침전되고 상층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유광 또는 무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자연건조수지로는 무향변에폭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향변에폭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무향변에폭시 100중량부, 경화제 30중량부, 희석제 25중량부, 축광칩(축광안료) 3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건조를 12시간 이내로 한다.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무향변에폭시와 축광안료 30%이내를 첨가물과 함께 효모믹스로 4시간이상 교반하여 축광안료 침전을 방지하여 축광 분포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일정한 패턴으로 도장 후 자연건조 12시간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는 디지털프린팅 또는 승화전사 방식으로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화전사 방식은 분산염료가 200도에서 가스로 변해 피사물체에 염색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수성잉크를 전사지에 프린트한 다음 200도의 열프레스에 모재와 전사지를 압축하면 전사지에 프린트된 것이 모재로 옮겨지는 프린팅 방식을 말한다.
상기 디지털프린팅 또는 상기 승화전사 방식은 모두 디테일한 고품질의 프린팅이 가능한 방식으로 캐릭터, 패턴, 사진 등의 프린팅에 유리하다.
상기 프린팅에 사용되는 안료는 불투명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축광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안료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사용하고 프린팅 두께를 되도록 얇게 구성할수록 축광효과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의 축광효과를 시험한 사진이다.
도 2는 전등커버 또는 액자 등에 이용한 것으로 좌측부터 차례로 (1) 인공광인 광원이 꺼지고 자연광만 있는 상태, (2) 인공광인 광원이 켜진 상태, (3) 인공광이 꺼지고 자연광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내며, 전면용과 후면용 모두 동일한 축광효과를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효과 및 시인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a)는 인공광인 광원이 꺼지고 자연광만 있는 상태이고, 도 3(b)는 인공광이 꺼지고 자연광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비상구 안내판 등에 사용될 경우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인공광을 발산하는 광원(10)을 생략하고, 자연광이나 주변의 광원으로의 빛을 흡수하여 필요시 축광효과를 얻는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에서 광원을 제외하고 휴대폰 케이스에 사용한 실시예의 시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광원
20: 판재
30: 전처리도막층
40: 축광칩도막층
50: 이미지층

Claims (5)

  1. 인공광을 발산하는 광원(10);
    상기 광원(1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20);
    상기 판재(20) 상부에 포설되는 전처리도막층(30);
    상기 전처리도막층(30) 상부에 포설되는 축광칩도막층(40);
    상기 축광칩도막층(40) 상부에 문자, 도형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이미지층(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10)이 켜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흡수하고,
    상기 광원(10)이 꺼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발산하여,
    이용자에게 상기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5~100 ㎛ 입자의 축광칩에 자연건조수지 또는 열건조수지를 배합하여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축광칩도막층(40), 상기 이미지층(50) 및 상기 전처리도막층(30)은 각각 50~100 ㎛(마이크로미터), 3~5 ㎛(마이크로미터) 및 5~7 ㎛(마이크로미터)이며,
    상기 자연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28도의 상온에서 12시간 건조시키고,
    상기 열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아크릴계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30중량부, 희석제 20중량부, 축광칩 40중량부로 구성되고 200도로 열건조하거나 또는,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우레탄계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25중량부, 희석제 10중량부, 축광칩 18중량부로 구성되고 70도로 열건조하며,
    상기 자연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무향변에폭시 100중량부, 경화제 30중량부, 희석제 25중량부, 축광칩 30중량부로 구성되고 자연건조 12시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2. 인공광을 발산하는 광원(10);
    상기 광원(1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20);
    상기 판재(20) 하부에 포설되는 전처리도막층(30);
    상기 전처리도막층(30) 하부에 포설되는 축광칩도막층(40);
    상기 판재(20) 상부에 문자, 도형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이미지층(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10)이 켜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흡수하고,
    상기 광원(10)이 꺼졌을 때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이 빛을 발산하여,
    이용자에게 상기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5~100 ㎛ 입자의 축광칩에 자연건조수지 또는 열건조수지를 배합하여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축광칩도막층(40), 상기 이미지층(50) 및 상기 전처리도막층(30)은 각각 50~100 ㎛(마이크로미터), 3~5 ㎛(마이크로미터) 및 5~7 ㎛(마이크로미터)이며,
    상기 자연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28도의 상온에서 12시간 건조시키고,
    상기 열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아크릴계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30중량부, 희석제 20중량부, 축광칩 40중량부로 구성되고 200도로 열건조하거나 또는,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우레탄계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25중량부, 희석제 10중량부, 축광칩 18중량부로 구성되고 70도로 열건조하며,
    상기 자연건조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축광칩도막층(40)은 무향변에폭시 100중량부, 경화제 30중량부, 희석제 25중량부, 축광칩 30중량부로 구성되고 자연건조 12시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이미지는 디지털프린팅 또는 승화전사 방식으로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KR1020190017730A 2019-02-15 2019-02-15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KR10203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730A KR102034472B1 (ko) 2019-02-15 2019-02-15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730A KR102034472B1 (ko) 2019-02-15 2019-02-15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472B1 true KR102034472B1 (ko) 2019-10-21

Family

ID=6846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730A KR102034472B1 (ko) 2019-02-15 2019-02-15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4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720B1 (ko) * 2001-09-18 2004-07-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가변배기노즐의 플랩 조립체
CN113135053A (zh) * 2021-04-23 2021-07-20 深圳万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5g手机背板的印刷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18Y1 (ko) 2001-12-07 2002-03-15 김재덕 축광을 이용한 비상용 조명등
JP2006155992A (ja) * 2004-11-26 2006-06-15 Marugame Shiko:Kk 誘導灯
KR100917669B1 (ko) 2009-06-19 2009-09-18 (주)일산금속 축광 조명 조립체
JP2017219616A (ja) * 2016-06-06 2017-12-14 平岡織染株式会社 電光/蓄光ハイブリッドマル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18Y1 (ko) 2001-12-07 2002-03-15 김재덕 축광을 이용한 비상용 조명등
JP2006155992A (ja) * 2004-11-26 2006-06-15 Marugame Shiko:Kk 誘導灯
KR100917669B1 (ko) 2009-06-19 2009-09-18 (주)일산금속 축광 조명 조립체
JP2017219616A (ja) * 2016-06-06 2017-12-14 平岡織染株式会社 電光/蓄光ハイブリッドマルチ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720B1 (ko) * 2001-09-18 2004-07-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가변배기노즐의 플랩 조립체
CN113135053A (zh) * 2021-04-23 2021-07-20 深圳万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5g手机背板的印刷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6403B (zh) 一种夜光印刷油墨
KR102034472B1 (ko) 이미지 구현을 위한 축광조명 구조
CN103283046A (zh) 具有光致发光波长转换的固态发光装置及标牌以及其所用的光致发光组合物
JP3608051B2 (ja) 液状化カラー発光発色蓄光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063225Y (zh) 环氧树脂led节能发光牌
CN101388163A (zh) 广告看板
JP2009142998A (ja) 蓄光性化粧材
SE526916C2 (sv) Efterlysande skylt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sådan
WO2003091973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avec micro-sources lumineuses et panneau d'eclairage souple
JP3127198B2 (ja) 有彩色残光性複合体および有彩色残光性物品
KR200372379Y1 (ko) Led를 이용한 채널형 광고판
TW201106310A (en) Light emitting sign and display surface therefor
CN2656168Y (zh) 具有光致发光功能的写真胶片
KR101772466B1 (ko) 발광가능을 갖는 목재 안내판
KR100860298B1 (ko) 축광 표시장치
JPH09300517A (ja) 有色残光性複合体および有色残光性物品
WO2017031938A1 (zh) 夜光荧光发光字
JP2003509257A (ja) 印刷された平面の製造方法
KR200308793Y1 (ko) 컬러 축광시트
KR20030066978A (ko) 축광성 차량 번호판과 그 제조방법
CN209456364U (zh) 一种彩虹状发光膜
WO2007017927A1 (ja) 装飾用パネル、装飾用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装飾用パネルの照明装置
KR101120750B1 (ko) 백색 축광발광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무늬와 그림이 인쇄된 발광 시트와 그 제조방법
CN206975983U (zh) 一种发光标志
KR20110049956A (ko) 야광자개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