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294B1 -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294B1
KR102034294B1 KR1020190029275A KR20190029275A KR102034294B1 KR 102034294 B1 KR102034294 B1 KR 102034294B1 KR 1020190029275 A KR1020190029275 A KR 1020190029275A KR 20190029275 A KR20190029275 A KR 20190029275A KR 102034294 B1 KR102034294 B1 KR 102034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pipe
supply line
chunks
ch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근
이강우
임웅철
김희웅
염인선
김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9002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9/0551Control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9/0555Gelled or degradable p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by creating a shock wave in the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2209/053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2209/055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연결관을 매개로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가 채워진 얼음 공급라인을 상기 배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공급라인 측에 공기 공급부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를 상기 배관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경과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가지는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가 서로 분리되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을 매개로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들러붙은 얼음 덩어리들을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구부림을 통하여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얼음 공급라인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로부터 상기 배관 측으로 공급된다.

Description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Method for cleaning a pipe using a chunk of ice}
본 발명은 배관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덩어리 형태의 얼음 조각을 이용하여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얼음조각을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 가스관, 오수관 등과 같이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은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슬러지나 부식 등에 의해 내부에 이물질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은 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오염시키거나 배관 내부를 막는 원인이 된다.
특히, 음용수가 공급되는 수도관은 내부에 이물질이 발생하면 이물질에 의해 음용수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도관은 배관 내부의 이물질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배관 세척 방법은 배관에 세척 장치를 연결하여 공기와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 주입 방식은 배관의 내벽에 붙은 이물질이나 침전물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배관 내부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하여 배관의 내부를 세척함으로써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배관 세척 방법으로서, 연결관을 매개로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가 채워진 얼음 공급라인을 상기 배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공급라인 측에 공기 공급부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를 상기 배관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경과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가지는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가 서로 분리되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을 매개로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들러붙은 얼음 덩어리들을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구부림을 통하여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얼음 공급라인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로부터 상기 배관 측으로 공급되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에 물을 채워 하나의 얼음 덩어리로 얼린 상태에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 측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하나의 얼음 덩어리를 복수 개로 분절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얼음 공급라인에 채워진 물은 수돗물일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얼음 공급라인 측으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는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은 일측에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체 공급라인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 및 압축공기와 상기 유체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서 혼합된 후 상기 배관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수도 계량기를 제거한 후 상기 수도 계량기가 연결되는 배관의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단면 직경이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단면 직경이 12mm 이상 14mm 이하이고, 높이가 10mm 이상 12mm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공급부는 컴프레서 또는 플러싱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내부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얼음 덩어리를 공급하여 얼음 덩어리가 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관 내면과의 부딪힘, 자체회전 및 이물질과의 접촉을 통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적용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이 적용된 배관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에 적용되는 얼음 공급라인을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세척 대상인 배관(20a)의 내부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얼음 덩어리(I)를 공급함으로써 맥동 효과 및 수충격 효과를 이용하여 배관(20a)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배관(20a) 측으로 압축 공기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맥동을 일으키고, 덩어리 형태의 얼음을 배관(20a) 측으로 공급하여 수충격을 발생시킴으로써 배관(20a)의 내벽 또는 배관(20a)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20a,20b)은 저장소에서 각 건물 또는 사용처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수도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계량기(10)가 연결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20a,20b) 상에 설치된 수도계량기(10)를 제거한 상태에서 연결관(110)이 상기 수도계량기(10)와 각 건물 또는 사용처를 연결하는 배관(20a)과 직렬연결됨으로써 상기 수도계량기(10)와 각 건물 또는 사용처를 연결하는 배관(20a)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수도관뿐만 아니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배관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배관(20a)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상기 연결관(110)이 연결되는 위치 역시 상기 연결관(110)을 직렬연결할 수 있는 위치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공급라인을 배관에 연결하는 단계(S1) 및 얼음 덩어리를 배관 내로 공급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공급라인을 배관에 연결하는 단계(S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을 착수하기 위한 준비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얼음 덩어리를 배관 내로 공급하는 단계(S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20a)의 내부를 세척하는 작업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연결관(110), 얼음 공급라인(120), 공기공급부(130) 및 유체 공급라인(14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가 채워진 얼음 공급라인(120)은 연결관(110)을 매개로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에 직렬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관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관(110)은 일단이 상기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가 채워진 얼음 공급라인(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은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공급부(130)는 컴프레서일 수도 있고 공지의 플러싱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압축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10)이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과 직렬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부(130)가 얼음 공급라인(120)을 매개로 상기 연결관(1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에 채워진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는 상기 공기 공급부(130)에서 제공되는 공기가 얼음 덩어리(I)의 일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연결관(110)을 통과한 후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의 내부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의 내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으로부터 연결관(110)을 통해 제공되는 덩어리 형태의 얼음 덩어리(I)가 배관(20a)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관(20a) 내면과의 부딪힘, 자체회전 및 이물질과의 접촉을 통하여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는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는 단면의 직경(d1)이 상기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의 내경(d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직경(d1)이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부(130)로부터 얼음 공급라인(120) 측으로 압축공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에 채워진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들은 일면전체가 압축 공기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통해 가압되는 얼음 덩어리(I)의 면적이 증대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얼음 덩어리(I)는 상기 배관(20a)의 내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20a)의 내부로 진입한 얼음 덩어리(I)는 단면직경(d1)이 상기 배관(20a)의 내경(d2)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높이(h)가 단면직경(d1)보다 작은 크기이므로 상기 배관(20a)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얼음 덩어리(I)가 배관(20a)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모서리 측이 상기 배관(20a)의 내면과 부딪힐 수 있음으로써 배관(20a)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얼음 덩어리(I)의 직경은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의 내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되 상기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얼음 덩어리(I)는 단면 직경이 12mm 이상 14mm 이하이고 높이가 10mm 이상 12mm 미만인 원기둥 형상의 얼음 덩어리일 수 있고, 상기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의 내경이 13mm인 경우 상기 얼음 덩어리(I)는 단면직경이 12mm이고 높이가 10mm일 수 있으나, 상기 얼음 덩어리(I)의 크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의 내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부(130)로부터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 측으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공급부(130)로부터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 측으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는 3 내지 7초 간격으로 공급 및 중단이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주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20a)의 종류, 배관(20a)의 용도, 배관(20a)의 세척 주기, 배관(20a)에 생성된 이물질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으로부터 상기 배관(20a)의 내부로 공급되는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들이 압력에 의한 진동이 발생함으로써 맥동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얼음 덩어리(I)가 상기 배관(20a)의 내면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증가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배관(20a)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제어는 상기 공기 공급부(130) 자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기 공급부(130)와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 설치된 별도의 제어밸브(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 주기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얼음 덩어리(I) 및 압축공기를 이용한 맥동 효과와 더불어 수충격 효과를 구현하여 세척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배관(20a) 측으로 물을 함께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관(110)은 일측에 유체 공급라인(14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연결관(110)의 내부에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을 통해 공급된 얼음 덩어리 및 압축공기와 상기 유체 공급라인(140)을 통해 공급된 물이 혼합된 후 상기 배관(20a)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얼음 덩어리(I) 및 압축공기를 이용한 맥동 효과와 더불어 수충격 효과를 구현하여 세척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 공급라인(140)은 별도의 유체공급부(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세척이 필요한 배관(20a)이 수도관인 경우 상기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관(20a,20b) 상에 설치된 수도계량기(10)를 제거한 상태에서 연결관(110)이 상기 수도계량기(10)와 각 건물 또는 사용처를 연결하는 배관(20a)과 직렬연결되는 경우, 상기 유체 공급라인(140)은 저장소와 상기 수도계량기(10)를 연결하는 배관(20b)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 대상인 배관(20a)의 내부로 얼음 덩어리(I) 및 압축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물은 음용수로 사용되는 수돗물이므로 상기 배관(20a)을 별도로 세정할 필요가 없으며, 간편하게 세척 대상인 배관(20a)의 내부로 수충격을 위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배관(20a)의 청소 시 압축공기, 얼음 덩어리(I) 및 물의 공급을 통해 맥동 및 수충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플러싱 효과를 극대화하여 배관(20a)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에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가 분리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는 액상의 유체를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의 내부에 채워 하나의 얼음 덩어리로 얼린 상태에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 측에 외력을 가하여 하나의 얼음 덩어리가 복수 개로 분절된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이 내부로 용이하게 전달되면서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얼음 공급라인(120)에 액상의 유체를 채운 후, 액상의 유체가 내부에 채워진 얼음 공급라인(120)을 냉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은 내부에 채워진 액상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마개(30a,30b)가 체결된 상태에서 얼려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에 채워진 액상의 유체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의 내부에서 하나의 얼음덩어리로 얼려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 측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의 내부에 수용된 하나의 얼음덩어리는 복수 개의 얼음덩어리(I)로 분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 측에 가해지는 외력은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은 한 쌍의 롤러(40a,40b)를 통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 측에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40a,40b) 중 적어도 일측에는 롤러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돌출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롤러(40a,40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41)를 통해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얼음 덩어리는 상기 돌출부(41)와 얼음 공급라인(120)이 접촉되는 위치에서 분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된 상태의 얼음 공급라인(120)을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다.
더불어, 세척 작업을 준비하는 과정이나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외기에 의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에 수용된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들이 일부 녹아 서로 들어붙더라도 작업자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얼음 공급라인(120)을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들러붙은 얼음 덩어리(I)들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에 수용된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관(20a)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세척력을 높이고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120)은 공지의 고무호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을 가지면서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소재라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를 생성하기 위한 액상의 유체는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은 배관(20a)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얼음 덩어리(I)가 음용수로 사용되는 수돗물을 얼린 형태이므로 수도관의 내부를 세척하더라도 세척작업이 완료된 후 별도의 세정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를 생성하기 위한 액상의 유체로 수돗물을 활용하고 하나의 얼음 덩어리가 얼음 공급라인(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력을 통해 분절하여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를 형성함으로써 배관 세척을 위한 준비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I)를 생성하기 위한 액상의 유체를 수돗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액상의 유체는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20a)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 연결관
120 : 얼음 공급라인
130 : 공기 공급부
140 : 유체 공급라인

Claims (11)

  1.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배관 세척 방법으로서,
    연결관을 매개로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가 채워진 얼음 공급라인을 상기 배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공급라인 측에 공기 공급부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를 상기 배관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경과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가지는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가 서로 분리되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을 매개로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들러붙은 얼음 덩어리들을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구부림을 통하여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얼음 공급라인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로부터 상기 배관 측으로 공급되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상기 얼음 공급라인의 내부에 물을 채워 하나의 얼음 덩어리로 얼린 상태에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 측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하나의 얼음 덩어리를 복수 개로 분절한 것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에 채워진 물은 수돗물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공급라인 측으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는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일측에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체 공급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얼음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 및 압축공기와 상기 유체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서 혼합된 후 상기 배관 측으로 공급되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수도 계량기를 제거한 후 상기 수도 계량기가 연결되는 배관의 위치에 연결되는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단면 직경이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는 원기둥 형상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얼음 덩어리는 단면 직경이 12mm 이상 14mm 이하이고 높이가 10mm 이상 12mm 미만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컴프레서 또는 플러싱 장치인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KR1020190029275A 2019-03-14 2019-03-14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KR102034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275A KR102034294B1 (ko) 2019-03-14 2019-03-14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275A KR102034294B1 (ko) 2019-03-14 2019-03-14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294B1 true KR102034294B1 (ko) 2019-10-18

Family

ID=6846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275A KR102034294B1 (ko) 2019-03-14 2019-03-14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7169A (zh) * 2021-08-25 2021-12-31 中电建华东勘测设计研究院(郑州)有限公司 一种基于气液固三相自适应清洗供水管道的装置及供水管道冲洗方法
KR102386151B1 (ko) 2021-03-05 2022-04-14 양해익 상수도관 세척 및 누수 위치 탐지 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380A (en) * 1984-01-10 1985-07-30 Turbo Refrigerating Company Ice making machine
JP2847329B2 (ja) * 1991-03-11 1999-01-20 ウォーターテック 有限会社 配水管の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12608Y1 (ko) * 2000-08-17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제빙장치용 급수관
JP2009011907A (ja) * 2007-07-03 2009-01-22 Shirokatsu Ura 排水管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6097481B2 (ja) * 2012-01-30 2017-03-15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上下水道本管清浄方法及び上下水道本管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380A (en) * 1984-01-10 1985-07-30 Turbo Refrigerating Company Ice making machine
JP2847329B2 (ja) * 1991-03-11 1999-01-20 ウォーターテック 有限会社 配水管の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12608Y1 (ko) * 2000-08-17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제빙장치용 급수관
JP2009011907A (ja) * 2007-07-03 2009-01-22 Shirokatsu Ura 排水管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6097481B2 (ja) * 2012-01-30 2017-03-15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上下水道本管清浄方法及び上下水道本管洗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151B1 (ko) 2021-03-05 2022-04-14 양해익 상수도관 세척 및 누수 위치 탐지 공법
CN113857169A (zh) * 2021-08-25 2021-12-31 中电建华东勘测设计研究院(郑州)有限公司 一种基于气液固三相自适应清洗供水管道的装置及供水管道冲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294B1 (ko) 얼음 덩어리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US6527869B1 (en) Method for cleaning deposits from the interior of pipes
KR100821715B1 (ko) 배관 세척장치 및 방법
US3651530A (en) Means for cleaning pipelines
KR100815838B1 (ko) 노후관로 갱생공법
JP6097481B2 (ja) 上下水道本管清浄方法及び上下水道本管洗浄装置
JP2011230106A (ja) 管路の洗浄方法
CN204093793U (zh) 一种管道清洗装置
JP6489762B2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US4498932A (en) Pipeline pig with restricted fluid bypass
KR20120094586A (ko) 충격파에 의한 배관세척장치
JP5191243B2 (ja) 氷塊を用いた配管の洗浄方法
JP7255830B2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KR20000044996A (ko) 배관세척장치
KR101520876B1 (ko) 배관세척시스템
KR101641783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JP2006046062A (ja) 吹付け装置および吹付け方法
JP2009066522A (ja) 上水道管の清掃方法
CN104128335A (zh) 管道清洗装置
JP6441569B2 (ja) 清掃用移動体
KR102448266B1 (ko) 상하수도용 배관세정장치
JP3122451U (ja) 熱交換器伝熱管の管内スケール除去装置
JP6818271B2 (ja) 止水液混合注入システム、止水液混合注入プラグ及びセメント系組成体構造物の止水工法
CN104528331A (zh) 一种螺旋输送机构的叶片清洗装置
CN208728234U (zh) 一种石油管道内壁油垢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