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888B1 -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888B1
KR102033888B1 KR1020190085647A KR20190085647A KR102033888B1 KR 102033888 B1 KR102033888 B1 KR 102033888B1 KR 1020190085647 A KR1020190085647 A KR 1020190085647A KR 20190085647 A KR20190085647 A KR 20190085647A KR 102033888 B1 KR102033888 B1 KR 10203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packaging box
cover
sea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팩
Priority to KR102019008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43Lids held in closed position by application of separate elements, e.g. clips,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로서,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 하단에 위치하는 바닥부; 전면부 양측면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전면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과 연결되는 후면부;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덮개부 연결되는 제1 측면 연장부 및 제2 측면 연장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고 밀봉을 유지하는 봉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곡물 벌레를 방지하고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하며 완벽한 밀봉이 가능하며 상시 개폐가 가능하여, 구입 후에도 가정에서 곡물 용기로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Functional grain packaging box}
본 발명은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곡물 벌레를 방지하고 방수, 방습 및 발수 기능을 구비하며 완벽한 밀봉이 가능하며 상시 개폐가 가능하여, 구입 후에도 가정에서 곡물 보관 용기로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은, 특히 쌀의 경우 포대에 담겨져 판매되고 소비자는 이를 다시 가정 내 쌀독에 옮겨 담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입한 쌀을 페트병 등에 소분하여 보관하거나 냉장 보관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특히, 밀가루 등 전분류의 경우 사용 후 페트병 입구 부분을 절단하여 제품 입구 부분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지퍼락 비닐 봉지에 담아 사용하고 있다. 생산자는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를 하지만, 정작 소비자는 제품 포장을 곧바로 폐기하거나, 밀봉과 곡물벌레 방지를 위해 제품의 외형을 변형하거나 재포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시중에서 판매되는 곡물 포대 자체로는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형태이고, 완전 밀봉이 되지 않아 이물질이 유입되고 곡물 벌레가 발생하며 공간 활용도가 낮다는 이유 등으로 가정 내 별도 곡물 보관용기에 옮겨 담거나, 밀봉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시도들이 있었으나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인해 양산시 과다 비용이 발생하고 소비자가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어 상용화되고 있지 않다. 일례로, 곡물 상자 내부에 경사면을 갖는 골판지를 덧대어 경사면을 따라 소량씩 곡물이 흘러나오는 방식은, 경사면이 양 벽면에 부착되어 있어 곡물을 지지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거나, 곡물 압력에 의해 곡물 배출기 홀더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홀더 틈새에 곡물 끼임 현상 등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공개특허 10-2010-0133279)
다른 일례로, 종이상자를 이용한 미곡 및 잡곡용 종이 포장 박스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단지 미곡지대 대신 종이상자를 이용한다는 단순한 개념에 불과하여 곡물 인출을 위한 기능 및 곡물벌레 방지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기능적인 면이나 홍보, 생산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실용신안 20-0171704(1999.12.07) )
본 발명자가 골판지를 사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여 사용해본 결과,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 방법은 골판지의 특성상 이음 부분의 완벽한 밀봉이 어렵다는 문제, 제작과정에서의 종이 가루 등 지분이 유입되는 문제, 골판지 특성상 방수 및 방습에 취약하여 쉽게 오염된다는 문제, 운반 및 적재 시 상자모양의 변형 문제, 제작 원가의 상승과 미곡처리장에서의 제함 문제 등이 발생하여 상용화하기에는 부적절한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구입 후에 쌀독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도들이 있다. 예를 들어 기립형 미곡 포장방법 등이 있으나, 보관과 물류 시 발생하는 적재의 문제점과 상용화하기에 부적절한 구조적 경제적 문제와 미곡처리장에서의 포장업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실용신안20-0346645(2004.04.08.)호와 실용신안20-0155924(1998.06.05.))
다른 예로, 곡물 인출부는 탄성링으로 구성하고 바닥 양 모퉁이를 접어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립형 곡물 포장에 관한 시도들도 있으나 곡물의 압력으로 인한 이동시의 밀폐성 문제와 소비자가 곡물을 들어 올려 하단을 고정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제작에 필요한 주요자재와 부자재에 대한 구입 가격과 구입방법 및 제작에 필요한 요소들과 실제 미곡처리장에서 포장 업무의 흐름상 미곡을 담기에 난해한 구조적 문제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상업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실용신안 20-0470366. (2013.12.04.))
최근에는 핵가족화 되는 사회 변화의 추세와 수요자 취향의 다양화, 고급화, 차별화, 무공해 식품의 선호 등 신선하고 안전한 곡물 보관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미적 충족을 위한 포장 방법들이 상용화 되고 있으나, 미적 요소를 제외한 부분, 특히 방습, 방수 및 발수 기능이 있고 곡물벌레를 방지하며 구입 후에도 가정에서 곡물 용기 자체로 사용할 수 있는 곡물 포장 수단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미곡처리장에서의 포장업무 흐름에 저해되지 않고 상용화가 용이하며 제작 비용이 저렴한 곡물 포장 수단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핵가족화 되는 추세로 인해 곡물의 소포장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다양한 용량의 소포장이 제시되거나, 소포장을 2개 이상의 묶음 형태로 상용화할 수 있는 구조적인 외형 및 경제성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곡물포장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제품 구입 후에 별도의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기능적 문제를 해결하고, 제작에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 절약과 미곡처리장에서의 원활한 포장업무를 수행하여 상업화는 물론 자원절약, 편리성 및 홍보효과를 진작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로서,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 하단에 위치하는 바닥부; 전면부 양측면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전면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과 연결되는 후면부;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는 제1 측면 연장부 및 제2 측면 연장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고 밀봉을 유지하는 봉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갖추고 있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곡물 벌레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완전하게 밀폐하고 개봉후에도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곡물 포장 박스의 원지를 제공하는 단계; 수직으로 절곡하고 측면 접합부을 부착하여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을 절곡하여 곡물 포장 박스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면부 측의 봉인부와 후면부 측의 봉인부을 서로 맞대어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 및 제2 측면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봉인부를 다수회 절곡하여 제1 덮개부 또는 제2 덮개부 상에 수평으로 절곡하는 단계; 상기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을 수직으로 절곡하는 단계; 상기 전면부 측의 바닥부와 상기 후면부 측의 바닥부을 절곡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삼각형 형태를 폴딩하여 상기 바닥부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박스 내부에 곡물 벌레 방지 수단이 구비되어 고온 다습한 여름에도 곡물 벌레가 발생되지 않아, 구입 후에도 가정에서 곡물 포장 박스 자체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방수, 방습 및 발수 기능이 가진 포장재를 사용하여 밀봉이 가능하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밀봉부를 개봉한 후에도 용이하게 상시 개폐가 가능하고 밀봉부가 다단으로 밀봉되어 있어 완전히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구입 후에도 가정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생산자의 홍보 효과가 있고 버려지는 포장지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다양한 용량의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욕구에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소용량을 적층하여 패키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패키지 형태로 집들이 선물용이나 기업 홍보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제 첨부된 개략도 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완성도이다.
도 2는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3은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재질, 지대, 상자, 포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재질, 지대, 상자 등은 종이, 포대, 포장상자 등으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크라프트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재 등의 용어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방수, 방습 및 발수 기능을 갖추고 있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곡물 벌레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완전하게 밀폐하고 개봉 후에도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쌀독, 곡물 안전 상자, 기능성 곡물 포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완성도이다.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전면부(100), 상기 전면부(100)와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100) 하단에 연결되는 바닥부(600), 상기 전면부(100) 양측 끝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 측면부(210) 및 제2 측면부(220), 상기 전면부(100)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210, 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210, 220) 및 상기 바닥부(600)의 끝단과 연결되는 후면부(300), 상기 전면부(100) 및 상기 후면부(300)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100) 및 상기 후면부(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510,520), 상기 제1 측면부(210) 및 상기 제2 측면부(210)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덮개부(510,520) 연결되는 제1 측면 연장부(530) 및 제2 측면 연장부(520), 상기 덮개부(510,520)로부터 연장되고 밀봉을 유지하는 봉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 포장 박스는 상기 전면부(100), 상기 후면부(300), 상기 측면부(210,220), 상기 바닥부(600) 및 상기 덮개부(500)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물 포장 박스의 상기 바닥부(600)의 가로에 대한 세로의 비율이 0.8 ~ 0.9 이내이고, 세로에 대한 높이(전면부의 세로 길이)의 비율이 0.8 이상으로 정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의 외형을 갖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곡물 포장 박스는 정방향에 가까운 장방형 형태이므로, 창고에서의 곡물 지대의 적층과 운반시의 적층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가정내에서 싱크대 등의 상부에 세워서 보관할 수 있으며, 냉장고 등에 보관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또한 2단 혹은 3단으로 패키지화하여, 구매 시 간단한 보조 도구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성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지니게 된다.
상기 덮개부(510,520)는 상기 전면부(100)와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10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여 수평하게 연결된 상기 제1 덮개부(510)와, 상기 후면부(300)와 연결되고 상기 후면부(30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여 수평하게 된 제2 덮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인부(400)은, 도면 3(b)에서도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덮개부(510) 및 제2 덮개부(520)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양 측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밀봉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인부(400)은, 도면 3(b)와 도면 3(c)에서도 제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다수회 절곡하여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를 완전하게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봉인부(400)는 철지(800), 자석(810), 손잡이 부착부(900), 봉인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철지(800)는 고무와 철을 혼합하여 제작되며 철 함유량이 높아 자석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게 제작된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철지(800)는 상기 제1 덮개부(510) 또는 제2 덮개부(520) 측과 연결되는 봉인부(400)의 상단, 중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석(810)은 고무자석 또는 네오디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810)은 상기 제1 덮개부(510) 또는 상기 제2 덮개부(520)측에 연결되는 봉인부(400)의 상단, 중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철지(800)과 상기 자석(810)은 그 위치를 서로 바꾸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철지(800)와 상기 자석(810)은 서로 부착되어, 상기 봉인부(400)를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810) 및 철지(800)는 곡물 포장 박스의 개봉 후에도 상시 개폐가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석(810)은 고무 자석, 종이 자석, 섬유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자석은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페라이트 분말에 고무 혹은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제작된 제품을 의미하며, 상기 네오디움 자석은 희토류 자석으로 네오디움과 철 및 붕소를 일정 비율로 합금하여 제작된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봉인 수단은 봉인부에 위쪽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인 수단으로 곡물 포장 박스를 완전히 밀봉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봉인 수단은 접착 테이프, 실, 접착제 등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밀봉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소비자가 상기 봉인부(400)를 순차적으로 펼쳐서 상기 봉인부 상단의 봉인 수단을 개봉하여 쌀 및 전분류를 꺼내어 사용하고, 상기 자석(810)과 철지(800)를 부착 후 역순으로 말듯이 접어서 견고하고 용이하게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부착부(900)는 손잡이(920)를 부착하기 위한 부분으로, 양면 접착제, 핫멜트, 벨크로 방식등 형식이나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손잡이(920)를 부착할 수단이면 족하다. 상기 손잡이 부착부(900)은 제1 덮개부(510) 측 또는 제2 덮개부(520) 측의 밀봉부(40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920)는 지끈, 플라스틱 끈, 후크 형태 등 형식이나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매듭 방법에 있어서도 매듭법, 벨크로, 후크 등 방법이나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제품 운반에 적합한 수단이면 족하다.
상기 전면부(100) 또는 상기 측면부(200)에는 내부에 곡물을 확인할 수 있는 곡물 확인창(9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 확인창(910)은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창은 원형, 타원형 또는 세로 막대형 등 모양이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 포장 박스의 내부에는 곡물 벌레 방지 수단(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벌레 방지 수단(1000)은 방지제, 방지 필름, 방지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곡물 벌레 방지 수단(1000)은 곡물 포장 박스 내부의 상기 전면부(100), 측면부(200), 바닥부(600), 또는 덮개부(50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 벌레 방지 수단(100)은 곡물 포장 박스의 원재료에 코팅되거나,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원지에 부착되거나, 원지에 도포되거나, 또는 곡물 포장 박스 내부에 곡물과 함께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곡물벌레 방지제는 마늘의 알리신 성분과 고추의 켑사이신 성분 등을 혼합하여 전분 등 응결 소재를 이용하여 응결 건조 후 소형 패치 또는 젤, 환(비드) 형태로 제작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충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식물의 저항 성분을 추출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형태의 곡물벌레 방지 수단(1000)은 고추의 켑사이신과 마늘의 알리신 성분 등을 함유한 미곡 지대용 포장 내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형태의 곡물벌레 방지 수단은 곡물 포장 박스의 원재료에 부착되거나, 곡물 포장 박스 제작시 원재료에 사전 코팅처리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곡물 벌레 방지 수단(1000)은 곡물 벌레 방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벌레 방지물질은 알코올과 알콜솜을 이용한 곡물벌레 퇴치용 용기 또는 숯과 마늘, 고추 등을 망으로 제작하여 곡물 포장 박스 내부에 부착할 수 있다.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1kg, 2kg, 5kg, 10kg, 20kg 등 다양한 용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소용량인 경우 적층하여 패키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재질은 미곡지대, 펄프를 가공하여 생산된 종이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종이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코팅, 접합, 혼합, 또는 분사 등의 형식으로 결합된 제품, 또는 펄프를 가공해서 생산된 종이에 클레이 코팅한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곡지대는 내부에 크라프트지 등 종이류를 2~3겹으로 겹침 부착하고 최종적으로 인쇄된 종이를 외부에 덧붙여 3~4겹으로 이루어진 지대를 말하다.
상기 펄프는 종이 등을 만들기 위해 나무 등의 섬유 식물에서 뽑아낸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인체에 무해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p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pene)은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클레이 코팅은 탄산칼슘을 이용하여 도자기 등을 빚을 때 사용하는 백토(클레이)와 같은 미세 돌가루를 균일하게 물에 풀고 접착제, 기타약품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 종이의 평활한 정도, 광택, 하얀 정도를 조정하고자 할 때 돌가루의 종류 및 비율, 기타약품의 비율을 달리하여 종이 특성에 맞는 코팅액을 만들어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면서 물리적으로 균일하게 깎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전개도이다. 상기 곡물 포장 박스는 직사각형 형태의 1장의 원재료를 사용하여 절단하지 않고 수차례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2장을 접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견고하여 운반시 변형이 적고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완전 차단할 수 있다. 도면 2에는 손잡이(920), 바닥 부착부재(930)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면 1 및 도면 3을 참조하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1kg, 2kg, 5kg, 10kg 20kg 등 다양한 용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소용량인 경우 적층하여 패키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용량에 따른 곡물 포장 박스의 전개도는 도면 2와 동일하되 그 가로, 세로, 폭 등 사이즈만 달라질 수 있다.
도면 2에 제시된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바닥부가 직사각형이고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태이나, 바닥부가 원, 타원, 육각형, 팔각형으로 응용될 수 있다. 철지(800)와 자석(810)의 그 위치를 바꾸어 위치하거나 두 개의 자석(810)을 이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 부착부(900)은 상기 철지(800) 또는 자석(8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 2에 제시된 전개도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원지 1장을 일체로 하여 절단 없이 수차례 절곡하여 제조하거나 2장을 접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원지 1장을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견고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여 쌀, 전분류 등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도면 3에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은,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원지를 제공하는 단계, 수직으로 절곡하고 측면 접합부(710)을 부착하여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도 3a), 제1 덮개부(510) 및 제2 덮개부(520)을 절곡하여 곡물 포장 박스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510,520)를 형성하는 단계(도 3b), 제1 덮개부(510)와 연결된 봉인부(400)와 제2 덮개부(520)와 연결된 봉인부(400)를 서로 맞대어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530) 및 제2 측면 연장부(540)를 형성하는 단계(도 3b), 상기 봉인부(400)를 다수회 절곡하여 제1 덮개부(510) 또는 제2 덮개부(520)와 맞닿게 절곡하는 단계(도 3c), 상기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530)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540)을 수직으로 절곡하는 단계(도 3d), 상기 전면부(100) 측의 바닥부(600)와 상기 후면부(300) 측의 바닥부(600)을 절곡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도 3e), 상기 바닥부(600)의 양측면에 삼각형 형태를 폴딩하여 상기 바닥부(600)에 접착하는 단계(도 3f, 3h)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3a을 참조하면, 도면 2의 곡물 포장 박스의 전개도에서 상기 전면부(100)와 상기 제1 측면부(210)의 사이, 상기 제1 측면부(210)와 상기 후면부(300) 사이, 상기 후면부(300)와 상기 제2 측면부(220) 사이를 절곡하고 측면 접합부(710)를 상기 전면부(100)에 부착하면 도면 3a와 같이 사각 기둥 형태로서 그 내부에 공간이 비어있는 형태가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측면접합부(710)의 접합방식은 기계적 접합, 열접합, 접착제 접합 등의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접합방식(Mechanical)은 미싱 등 기계적 공구를 이용하여 밀봉 접합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상기 열접합 방식(Heat sealing)은 폴리에틸렌 등 플라스틱 계열이 내부에 코팅된 재료의 경우 열을 가하여 플라스틱이 녹아서 접착제로 작용하여 밀봉과 접착을 얻는 방식이며, 상기 접착제 접합방식(Adhesives sealing)은 열에 의해 손상 받는 종이 등의 재료일 경우 사용하며, 양면테이프 또는 핫멜트 등을 이용한 밀봉과 접착을 얻는 방식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면 3b를 참조하면, 제1 덮개부(510) 및 제2 덮개부(520)을 절곡하여 곡물 포장 박스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500)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덮개부(500)의 양 측면에는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530)과 제2 측면 연장부(5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510)와 상기 제2 덮개부(520)가 서로 맞닿는 부분, 즉 상기 덮개부(500)의 중앙부분부터 절곡되어 봉인부(400)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인부(400)는 제1 덮개부(510) 측과 제2 덮개부(520)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각각의 봉인부(400)가 2겹으로 맞닿아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2겹으로 맞닿은 부분, 즉 상기 봉인부 하단에는 철지(800)와 자석(810)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2겹의 봉인부(400)를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철지(800)와 상기 자석(810)의 위치는 서로 맞바꾸어 위치하거나 두개의 자석(810)을 이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봉인부(400)에 위쪽 끝단에 봉인 수단(미도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물 포장 박스 제조 방법은 상기 봉인 수단으로 상기 봉인부(400)를 봉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인 수단으로 곡물 포장 박스를 완전히 밀봉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봉인 수단은 접착 테이프, 실, 접착제 등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밀봉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도면 3b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인부(400)에 하부측 상기 철지(800) 하측에 손잡이(920)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920)는 이후의 단계에서 상기 봉인부(400)을 다수회 절곡하여 감아 접는 경우 상기 봉인부(40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920)은 상기 봉인부(400) 및 상기 제1 측면 연장부(530)과 상기 제2 측면 연장부(540)을 통해 상기 곡물 포장 박스를 견고하게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 3c를 참조하면, 상기 봉인부(400)를 다수회 절곡하고 감아 접어 제1 덮개부(510) 또는 제2 덮개부(520)과 맞닿게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지(800)와 상기 자석(810)으로 2겹의 봉인부(400)을 견고하게 밀착시킨 후에, 도면 3c와 같이 상기 봉인부(400)을 다수회 절곡하고 감아 접으면, 상기 손잡이(920)를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곡물 포장 박스의 내부를 완전하게 밀봉할 수 있다. 상기 봉인부(400)는 2단 이상으로 절곡할 수 있으며, 절곡되는 횟수는 곡물 포장 박스의 용량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 3d를 참조하면, 삼각형 형태의 상기 제1 측면 연장부(530)와 상기 제2 측면 연장부(540)를 수직으로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연장부(530, 540)는 내부에 상기 손잡이(920)이 내포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920)으로 곡물 포장 박스를 파지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920)와 함께 곡물 포장 박스를 지탱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 3e 및 3f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부(100) 측의 바닥부(600)와 상기 후면부(300) 측의 바닥부(600)을 절곡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3d에 제시된 도면을 상하를 뒤집어 상기 바닥부(600)이 위로 향하게 한다음, 상기 전면부(100) 측의 바닥부(600)와 상기 후면부(300) 측의 바닥부(600)을 절곡하면 상기 양측의 바닥부가 서로 겹쳐지며, 상기 바닥부(600) 및 양측면에는 삼각형 형태의 바닥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600) 끝단의 겹쳐진 부분, 즉 하단 접합부(700)를 통해 양측의 바닥부(600)를 서로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삼각형 형태의 양측면의 바닥부(600)를 다시 절곡하면 도면 3f와 같이 견고한 바닥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단접합부(700)의 접합방식은 기계적 접합, 열접합, 접착제 접합 등의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 3g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600)의 양측면에 삼각형 형태를 폴딩하여 상기 바닥부(600)에 접착하는 단계(도 3f, 3h)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3g와 같이 양측면의 삼각형 형태의 바닥부(600)을 폴딩하고 도면 3f와 같이 바닥 부착 부재(930)을 사용하여 상기 바닥부(600)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중으로 된 바닥부(600), 즉 바닥부(600) 및 삼각형 형태의 바닥부(600)이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이고 상기 바닥 부착 부재(930)을 사용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곡물 포장 박스의 내용물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지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 3h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측면 연장부(530)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520)에 내장된 손잡이(920)을 매듭지어 묶어 주어 곡물 포장 박스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내부에 곡물 벌레 방지 수단(1000)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 벌레 방지 수단(1000)은 곡물 포장 박스 내부의 상기 전면부(100), 측면부(200), 바닥부(600), 또는 덮개부(50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은, 곡물 포장 박스의 원지 상에 곡물 벌레 방지 필름을 코팅하거나, 부착하거나 또는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은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절곡선과 접합부의 변경으로 다양한 변형을 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외관을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수정 및 변경 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면부
200 : 측면부
210 : 제1 측면부
220 : 제2 측면부
300 : 후면부
400: 봉인부
500: 덮개부
510: 제1 덮개부
520: 제2 덮개부
600: 바닥부
700: 하단 접합부
710: 측면 접합부
800: 철지
810: 자석
900: 손잡이 부착부
910: 곡물 확인창
920: 손잡이
930 : 바닥 부착부재
1000: 곡물 벌레 방지 수단

Claims (22)

  1. 곡물을 보관하는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보관 곡물을 확인할 수 있는 곡물 확인창을 포함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 하단에 위치하고 바닥부를 견고하게 형성하는 바닥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전면부 양측면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과 연결되는 후면부;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로 구성되는 덮개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2 덮개부와 연결되는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 및 제2 측면 연장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고 다수회 절곡하여 밀봉을 유지하는 봉인부;
    상기 봉인부 하단에 부착되어 다수회 절곡함으로서 상기 봉인부와 결속이 가능하고, 상기 봉인부 양측 부분의 끝단으로 유출되어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 곡물 벌레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곡물 벌레 방지 수단은 곡물 벌레 방지제, 방지 필름, 방지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이며, 마늘의 알리신 성분과 고추의 켑사이신 성분을 혼합하여 응결 건조한 후 소형 패치, 젤, 또는 환(비드)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봉인부는,
    철지, 자석, 손잡이 부착부, 및 봉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봉인부의 중앙부분은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덮개부와 상기 제 2덮개부가 맞닿은 부분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은 상기 제1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삼각형 형태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연장부로부터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인부 하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상태로 다수회 절곡하여 감아 접어, 상기 봉인부의 중앙부분은 상기 제1 덮개부 또는 상기 제2 덮개부 상에 밀착되고,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은 상기 제1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 상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삼각형 형태의 상기 제 1측면 연장부와 제 2측면부 연장부를 수직으로 절곡함으로서 밀폐성이 강화되고,
    삼각형 형태의 상기 제 1측면 연장부와 제 2측면부 연장부 상에 밀착된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의 끝단으로 상기 손잡이가 유출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속력이 강화되고 파지가 용이한 특징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재질은 펄프를 가공해서 생산된 종이에 클레이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방수, 발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곡물을 보관하는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은,
    곡물 포장 박스의 원지를 제공하는 단계;
    수직으로 절곡하고 측면 접합부을 부착하여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전면부에 곡물을 확인할 수 있는 곡물 확인창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을 절곡하여 수평하게 형성하여 곡물 포장 박스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1 덮개부와 연결된 봉인부와 제2 덮개부와 연결된 봉인부를 서로 맞대어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덮개부와 수평으로 연장되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 및 제2 측면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봉인부 하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외측으로 절곡된 상기 봉인부의 양 끝단으로 유출되어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봉인부를 다수회 절곡하여 상기 봉인부의 중앙부분은 상기 제1 덮개부 또는 상기 제2 덮개부 상에 밀착되도록 맞닿게 절곡하고,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은 외측으로 절곡된 삼각형 형태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연장부 상에 밀착되도록 맞닿게 절곡하는 단계;
    상기 삼각형 형태의 제1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연장부 상에 맞닿아 밀착되는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을 수직으로 절곡하는 단계;
    상기 전면부 측의 바닥부와 상기 후면부 측의 바닥부을 절곡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삼각형 형태를 폴딩하여 상기 바닥부에 접착하고 바닥부를 견고하게 형성하는 바닥 부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는 내부에 곡물 벌레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곡물 벌레 방지 수단은 곡물 벌레 방지제, 방지 필름, 방지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이며, 마늘의 알리신 성분과 고추의 켑사이신 성분을 혼합하여 응결 건조한 후 소형 패치, 젤, 또는 환(비드)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봉인부는,
    철지, 자석, 손잡이 부착부, 및 봉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봉인부의 중앙부분은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덮개부와 상기 제 2덮개부가 맞닿은 부분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은 상기 제1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삼각형 형태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연장부로부터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인부 하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상태로 다수회 절곡하여 감아 접어, 상기 봉인부의 중앙부분은 상기 제1 덮개부 또는 상기 제2 덮개부 상에 밀착되고,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은 상기 제1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장부 상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삼각형 형태의 상기 제 1측면 연장부와 제 2측면부 연장부를 수직으로 절곡함으로서 밀폐성이 강화되고,
    삼각형 형태의 상기 제 1측면 연장부와 제 2측면부 연장부 상에 밀착된 상기 봉인부의 양측 부분의 끝단으로 상기 손잡이가 유출되어 상기 손잡이와 결속력이 강화되고 파지가 용이한 특징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재질은 펄프를 가공해서 생산된 종이에 클레이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방수, 발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의 제조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90085647A 2019-07-16 2019-07-16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KR10203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47A KR102033888B1 (ko) 2019-07-16 2019-07-16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47A KR102033888B1 (ko) 2019-07-16 2019-07-16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888B1 true KR102033888B1 (ko) 2019-10-17

Family

ID=6842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47A KR102033888B1 (ko) 2019-07-16 2019-07-16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65167A (ja) * 2020-04-08 2021-10-14 オリヒロプランデュ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袋と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77Y1 (ko) * 1986-10-25 1990-01-30 삼륭물산주식회사 음료용 판지 상자
KR200171704Y1 (ko) * 1999-08-17 2000-03-15 주식회사금천수출포장 미곡 및 잡곡용 종이 포장박스
KR20030065492A (ko) * 2000-10-09 2003-08-06 포르파크닝스 아베 노드-엠발라지 패키지
JP2005306424A (ja) * 2004-04-20 2005-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易開封性紙容器
JP2007045494A (ja) * 2005-08-11 2007-02-22 Hosokawa Yoko Co Ltd 包装袋
JP2009083900A (ja) * 2007-09-28 2009-04-23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用紙容器
JP2012012364A (ja) * 2010-07-05 2012-01-19 Toppan Printing Co Ltd 忌避効果を有する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カートン
JP2012533487A (ja) * 2009-07-23 2012-12-27 ジップボックス ライセン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容器及び袋の結合体
JP2015020774A (ja) * 2013-07-18 2015-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紙容器
JP2017501091A (ja) * 2013-12-30 2017-01-12 テトラ・ラヴァル・ホールディングス・アンド・ファイナ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包装材料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た開封デバイスを有する包装容器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77Y1 (ko) * 1986-10-25 1990-01-30 삼륭물산주식회사 음료용 판지 상자
KR200171704Y1 (ko) * 1999-08-17 2000-03-15 주식회사금천수출포장 미곡 및 잡곡용 종이 포장박스
KR20030065492A (ko) * 2000-10-09 2003-08-06 포르파크닝스 아베 노드-엠발라지 패키지
JP2005306424A (ja) * 2004-04-20 2005-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易開封性紙容器
JP2007045494A (ja) * 2005-08-11 2007-02-22 Hosokawa Yoko Co Ltd 包装袋
JP2009083900A (ja) * 2007-09-28 2009-04-23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用紙容器
JP2012533487A (ja) * 2009-07-23 2012-12-27 ジップボックス ライセン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容器及び袋の結合体
JP2012012364A (ja) * 2010-07-05 2012-01-19 Toppan Printing Co Ltd 忌避効果を有する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カートン
JP2015020774A (ja) * 2013-07-18 2015-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紙容器
JP2017501091A (ja) * 2013-12-30 2017-01-12 テトラ・ラヴァル・ホールディングス・アンド・ファイナ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包装材料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た開封デバイスを有する包装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65167A (ja) * 2020-04-08 2021-10-14 オリヒロプランデュ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袋と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49286A (en) Reinforced plastic bag
JPH11115948A (ja) 自立形固体および粉粒体用容器
KR102033888B1 (ko) 기능성 곡물 포장 박스
CN202400387U (zh) 上口带嘴的自立软包装袋
CN206278400U (zh) 零件整体包装结构
WO2015097604A1 (en) A package for food products
CN206367668U (zh) 一种耐低温纸箱
CN209275080U (zh) 一种啤酒饮料多瓶/听装包装箱
JP2552008Y2 (ja) 新鮮フルーツ等の包装用角袋
CN205837486U (zh) 一种能快速打开的包装袋
CN215514568U (zh) 倒梯形包装盒
CN204606726U (zh) 吨袋及铝塑膜内袋
CN206562011U (zh) 一种礼盒、茶叶包装盒
CN208499129U (zh) 包装礼盒
CN211686352U (zh) 一种塑料薄膜连卷袋
CN210942698U (zh) 茶叶包装盒
CN209258707U (zh) 一种包装袋
CA2134392A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an airtight, recyclable and biodegradable package
WO2013010815A1 (en) A carton
CN206446919U (zh) 木制容器
CN207174250U (zh) 一种物流用的周转箱
JP2017056998A (ja) パウチ
KR20180131052A (ko) 보호필름으로 강화된 투명 창을 구비한 종이 용기의 합지제조방법
RU137981U1 (ru) Полипропиленовая ламинированная упаковка
CN208086369U (zh) 一种真空保鲜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