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350B1 - 냉매분배기 - Google Patents

냉매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350B1
KR102033350B1 KR1020170093720A KR20170093720A KR102033350B1 KR 102033350 B1 KR102033350 B1 KR 102033350B1 KR 1020170093720 A KR1020170093720 A KR 1020170093720A KR 20170093720 A KR20170093720 A KR 20170093720A KR 102033350 B1 KR102033350 B1 KR 10203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vertical
pipe
tube
refrigera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135A (ko
Inventor
이정륜
김성우
김주혁
유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3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는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관과, 상기 냉매 유입관과 연통되고 상기 냉매 유입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연결챔버를 포함하는 수평관과, 상기 수직 연결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 연결챔버에 삽입결합된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수직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 유입관에 연통된 상기 수직 연결챔버의 연결부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수직관의 냉매 유입부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냉매분배기{REFRIGERANT DISTRIBUTOR}
본 발명은 냉매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가 수평관과 수직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액상냉매와 기상냉매로 분리되고 균일한 제공 및 분배가 가능한 냉매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분배기는 단일의 유로로 유입되는 냉매가 다수의 유로로 분배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냉매분배기는 단일의 유로로 유입된 후, 다수개의 유로로 분배되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유출부측에 있는 분배기로 동등한 양의 냉매가 균일하게 유출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된 바가 있는 냉매분배기는 내부에 제공되는 중공의 분배통과, 유입측에 형성되는 단일의 유입유로와, 유출부측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유출유로가 포함된다. 그리고, 일단의 유입유로를 통하여 분배통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중력등의 영향에 의해서 어느 일측방향으로 쏠리게 되고, 유출유로를 통하여 유출되는 냉매의 양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서로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성능이 저감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냉매분배기는 액상 및 기상의 냉매가 벤딩부 또는 2방변에서 급격하게 방향이 바뀔 경우, 이를 유동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냉매의 치우침 또는 유동관의 벽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불안전 유동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불균형한 냉매의 제공으로 열교환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한편, 액상냉매와 기상냉매를 충돌에 의해 분리시키고 각각 제공할 경우 저유량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약해 균일한 분배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밀도차이와 표면장력에 의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로 분리하여 제공하는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가 수평관 및 수직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중심부에 기상냉매가 위치되고 기상냉매의 둘레에 액상냉매가 위치되어 유동되는 냉매의 단면형상은 환형인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가 액상냉매 및 기상냉매로 분리되고, 냉매유동의 관성력은 중력에 의해 상쇄되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가 균일하게 제공되는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관, 수직관 및 수직분배관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냉매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연결부에 지지부가 형성됨에 따라 안정적인 구조로 구현되는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관을 통과한 냉매는 수직관의 형상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면서 이동됨에 따라 냉매의 효율적 유동이 가능한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밀도차이와 표면장력에 의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로 분리하여 제공하는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가 수평관 및 수직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중심부에 기상냉매가 위치되고 기상냉매의 둘레에 액상냉매가 위치되어 유동되는 냉매의 단면형상은 환형인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가 액상냉매 및 기상냉매로 분리되고, 냉매유동의 관성력은 중력에 의해 상쇄되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가 균일하게 제공되는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관, 수직관 및 수직분배관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냉매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연결부에 지지부가 형성됨에 따라 안정적인 구조로 구현되는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관을 통과한 냉매는 수직관의 형상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면서 이동됨에 따라 냉매의 효율적 유동이 가능한 냉매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를 밀도차이와 표면장력에 의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로 분리하여 균일하게 냉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가 수평관을 통과한 후 수직관으로 유동되는 냉매는 외주부에 액상냉매가 위치되고 내주부에 기상냉매가 위치되어 냉매의 단면형상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연결챔버를 통과하면서 냉매유동의 관성력이 중력에 의해 상쇄되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가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블럭 및 돌출지지부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인 구조로 구현되는 냉매분배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관의 외주부에 형성된 나선홈에 의해 냉매가 수직관의 상향으로 가압되면서 이동됨에 따라 냉매의 효율적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분배기의 기본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냉매분배기가 구체화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냉매분배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다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분배기의 기본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분배기는 수평관(10), 수직관(20) 및 수직 분배관(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관(10)의 일측에는 수직관(20)이 연결되고, 수직관(20)에는 수직 분배관(30)이 연결된다.
그리고 냉매는 수평관(10), 수직관(20) 및 수직 분배관(30)을 순차적을 유동한다.
즉, 수평관(10)의 타측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수평관(10)을 통과한 후 수직관(20)으로 유입되고, 수직관(20)을 통과 한 후 수직 분배관(30)을 통해 분배된다.
그리고 냉매가 수평관(10)을 이동하면서 수직관(20)으로 유입될 때, 밀도 차이와 수직관(20)의 표면장력에 의해 기상냉매와 액상냉매가 분리된다.
그리고 수직관(20)의 내부로 유동되는 액상냉매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수직관의 내벽을 따라 유동되고, 상기 기상냉매는 상기 수직관의 내부의 중심부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수직관을 통해 유동되는 냉매의 단면형상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분배관(130)을 통해 냉매의 균일한 분배가 가능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냉매분배기가 구체화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분배기(1000)는 수평관(1100), 수직관(1200) 및 수직분배관(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관(1100)은 냉매 유입관(1110) 및 수직 연결챔버(1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냉매 유입관(1110)은 일측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제1 냉매 유입부(11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입된 냉매가 유출되는 제1 냉매 유출부(1112)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 연결챔버(1120)는 냉매 유입관(1110)을 통해 유동되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직교방향을 전환하고, 냉매 유입관(1110)과 수직관(120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직 연결챔버(1120)는 냉매 유입관(1110)의 제1 냉매 유출부(1112)와 연통되고, 냉매 유입관(111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직 연결챔버(1120)의 내부로 수직관(1200)이 삽입되도록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직관(1200)은 제2 냉매 유입부(1210)와 제2 냉매 유출부(12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연결챔버(1120)에 연통되도록 삽입결합된다.
그리고 제2 냉매 유입부(1210)는 상기 냉매 유입관(1110)을 통해 유동되고, 수직 연결챔버(1120)를 통해 유동된 냉매가 유입된다. 그리고 제2 냉매 유출부(1220)는 제2 냉매 유입부(1210)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수직분배관(1300)로 유출시킨다.
그리고 수직관(1200)의 제2 냉매 유입부(1210)는 냉매 유입관(1110)의 제1 냉매 유출부(1112)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즉, 냉매 유입관(1110)에 연통된 상기 수직 연결챔버(1120)의 연결부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수직관(1200)의 냉매 유입부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수직분배관(1300)는 수직관(1200)의 제2 냉매 유출부(1220)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수직관 연결부(1310), 확산부(1320), 분배바디(1330) 및 배출관부(1340)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직관 연결부(1310)는 수직관(1200)의 제2 냉매 유출부(1220)과 연통되도록 수직관(1200)에 연결된다.
그리고 확산부(1320)는 수직관 연결부(1310)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냉매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분배바디(1330)의 일단부는 확산부(1320)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배출관부(1340)는 복수개가 분배바디(1330)의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R)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관(1100)에 형성된 냉매 유입관(1110)을 통해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 유입관(1110)의 제1 냉매 유입부(1111)로부터 제1 냉매 유출부(1112)를 통과하면서 냉매의 밀도차이에 의해 기상냉매(VR)와 액상냉매(LR)로 분리된다.
즉, 밀도가 높은 액상냉매(LR)는 냉매 유입관(1110) 내의 하부에서 유동되고, 밀도가 작은 기상냉매(VR)는 액상냉매(LR)의 상부로 유동된다.
다름으로 기상냉매(VR)와 액상냉매(LR)가 수직 연결챔버(1120)를 통해 수직관(1200)으로 유동된다.
이때, 수직관(120)은 수직 연결챔버(1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관(1200)의 제2 냉매 유입부(1210)은 제1 냉매 유출부(1112)보다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냉매를 유동시키는 관성력은 중력에 의해 상쇄되고, 수직 연결챔버(1120)를 유동하는 액상냉매(LR)는 표면장력에 의해 수직관(1200)의 외벽을 따라 수직 연결챔버(1120)의 내부를 차오르도록 유동된다. 그리고, 수직관(1200)의 외벽을 통해 유동된 액상냉매(LR)는 제2 냉매 유입부(1210)로 유입된다.
그리고, 기상냉매(VR)는 액상냉매(LR)의 외주부를 따라 유동되고, 제2 냉매 유입부(1210)로 유동된다.
다음으로, 제2 냉매 유입부(1210)로 유입된 액상냉매(LR)는 표면장력에 의해 수직관(120)의 내벽을 따라 유동되고, 기상냉매(VR)는 수직관(1200)의 내부의 중심부를 향해 유동된다.
이에 따라 수직관(1200)의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의 단면형상은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분배기(2000)는 도 2에 도시한 냉매분배기(1000)와 비교하여 수직관의 형상과 수평관과 수직관의 유기적 결합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분배기는 수평관(2100), 수직관(2200) 및 수직분배관(2300)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관(2100)은 냉매 유입관(2110) 및 수직 연결챔버(2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 연결챔버(2120)는 도 2에 도시한 수직 연결챔버(1120)와 비교하여 제1 냉매 유출부(2112)의 하부로 연장된 하부관부(2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관(2200)은 제1 수직관(2210), 확산관(2220) 및 제2 수직관(22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직관(2210)은 제2 냉매 유입부가 형성되고, 확산관(2220)은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고 수직 연결챔버(2120)에 적어도 일부가 내재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2 수직관(2230)은 수직 연결챔버(212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분배관(2300)는 수직관 연결부(2310), 확산부(2320), 분배바디(2330) 및 배출관부(2340)를 포함한다.
또한, 수직분배관(2300)의 세부구성 및 유기적인 결합은 수직분배관(1300)을 통해 전술한 바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냉매분배기(2000)의 냉매 유입관(2110)을 통해 유입된 냉매가 수직 연결챔버(2120)로 유입될 경우, 확산관(2220)의 외벽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수직관(2200)으로 유입됨에 따라 보다 균일하게 냉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분배기(3000)는 도 2에 도시한 냉매분배기(1000)와 비교하여 수직 연결챔버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분배기(3000)는 수평관(3100), 수직관(3200) 및 수직분배관(3300)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관(3100)은 냉매 유입관(3110) 및 수직 연결챔버(3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 연결챔버(3120)는 도 2에 도시한 수직 연결챔버(1120)와 비교하여 제1 냉매 유출부(3112)의 하부로 연장된 축소관부(3121)와 하부 연장관부(3122)가 형성된다.
또한, 축소관부(3121)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제1 냉매 유출부(3112)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분배관(3300)는 수직관 연결부(3310), 확산부(3320), 분배바디(3330) 및 배출관부(3340)를 포함한다.
또한, 수직분배관(3300) 및 수직관(3200)의 세부구성 및 유기적인 결합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냉매분배기(3000)의 냉매 유입관(3110)을 통해 유입된 냉매가 수직 연결챔버(3120)으로 유입될 경우, 축소관부(3121)를 따라 점진적으로 하강한 후 상승됨에 따라, 수직관(2200)에 균일하게 냉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분배기(4000)는 도 6에 도시한 냉매분배기(3000)와 비교하여 결합부 구조 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분배기(4000)는 수평관(4100), 수직관(4200) 및 수직분배관(4300)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관(4100)은 냉매 유입관(4110) 및 수직 연결챔버(4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 연결챔버(4120)는 도 6에 도시한 수직 연결챔버(3120)와 비교하여 냉매 유입관 장착블럭(4123)가 더 형성된다.
즉, 수직 연결챔버(4120)는 축소관부(4121), 하부 연장관부(4122) 및 냉매 유입관 장착블럭(4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냉매 유입관 장착블럭(4123)는 수직 연결챔버(4120)의 내경에서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 연결챔버(4120) 내경으로 삽입되는 냉매 유입관(4110)의 추가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냉매 유입관 장착블럭(4123)은 수직 연결챔버(4120)의 내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냉매 유입관(4110)이 수직 연결챔버(4120)에 삽입되도록 수직 연결챔버(4120)의 내경보다 냉매 유입관(4110)의 외경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관(4200)에는 수직 연결챔버(4120)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지지부(4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지지부(4210)는 수직관(4200)의 외주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연장관부(4122)는 돌출지지부(4210)에 지지되고, 수직관(4200)은 수직 연결챔버(4120)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냉매분배기(4000)는 수평관(4100), 수직관(4200) 및 수직분배관(4300)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냉매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지지부가 형성됨에 따라 안정적인 구조로 구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냉매분배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관(100)에 결합된 수직관(200)의 외주부에는 나선홈(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선홈(210)은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수평관(100)을 통과한 냉매는 수직관의 나선홈(210)을 통해 상향으로 가압되면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수직관(200)의 외벽을 따라 수직관부의 냉매 유입부로의 유동이 용이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다른 냉매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냉매분배기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분배기(5000)는 도 6에 도시한 냉매분배기(3000)와 비교하여 수직관을 포함하지 않고, 연장된 수직분배관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분배기(5000)는 수평관(5100) 및 수직분배관(5200)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관(5100)은 냉매 유입관(5110) 및 수직 연결챔버(5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냉매 유입관(5110)의 단부는 수직 연결챔버(5120)에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수직분배관(5200)은 수직관부(5210), 확산부(5220), 분배바디(5230) 및 배출관부(5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관부(5210)는 수직 연결챔버(5120)에 삽입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수직 연결챔버(5120)에는 냉매 유입관(51110)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 냉매 유입부(5121)가 형성되고, 수직분배관(5200)에는 수직 연결챔버(512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2 냉매 유입부(5211)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냉매 유입부(5211)는 제1 냉매 유입부(512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냉매 유입부(5211)는 제1 냉매 유입부(5121)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냉매분배기(5000)의 냉매 유입관과 수직 연결챔버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냉매분배기(5000)는 수평관(5100)에 수직분배관(5200)을 직접 결합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간소한 구성으로 조립성 향상되고 기밀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평관 20: 수직관
30: 수직 분배관
100: 수평관 120: 수직관
130: 수직 분배관
200: 수직관 210: 나선홈
1000: 냉매분배기 1100: 수평관
1110: 냉매 유입관 1111: 제1 냉매 유입부
1112: 제1 냉매 유출부 1120: 수직 연결챔버
1200: 수직관 1210: 제2 냉매 유입부
1220: 제2 냉매 유출부 1300: 수직분배관
1310: 수직관 연결부 1320: 확산부
1330: 분배바디 1340: 배출관부
2000: 냉매분배기 2100: 수평관
2110: 냉매 유입관 2112: 제1 냉매 유출부
2120: 수직 연결챔버 2121: 하부관부
2200: 수직관 2210: 제1 수직관
2220: 확산관 2230: 제2 수직관
2300: 수직분배관 2310: 수직관 연결부
2320: 확산부 2330: 분배바디
2340: 배출관부 3000: 냉매 분배기
3100: 수평관 3110: 냉매 유입관
3112: 제1 냉매 유출부 3120: 수직 연결챔버
3121: 축소관부 3122: 하부 연장관부
3200: 수직관 3300: 수직분배관
3310: 수직관 연결부 3320: 확산부
3330: 분배바디 3340: 배출관부
4000: 냉매분배기 4100: 수평관
4110: 냉매 유입관 4120: 수직 연결챔버
4121: 축소관부 4122: 하부 연장관부
4123: 냉매 유입관 장착블럭 4200: 수직관
4210: 돌출지지부 4300: 수직분배관
5000: 냉매분배기 5100 : 수평관
5200: 수지분배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관과, 상기 냉매 유입관과 연통되고 상기 냉매 유입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연결챔버를 포함하는 수평관;
    상기 수직 연결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 연결챔버에 삽입결합된 수직관; 및
    상기 수직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수직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 유입관에 연통된 상기 수직 연결챔버의 연결부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수직관의 냉매 유입부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냉매 유입관에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제1 냉매 유입부와, 상기 냉매 유입관으로 유입된 상기 냉매가 상기 수직 연결챔버로 유출되는 제1 냉매 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은 상기 수직 연결챔버를 통해 유동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 냉매 유입부와, 상기 수직관으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수직분배관으로 유출되는 제2 냉매 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은
    상기 제2 냉매 유입부가 형성된 제1 수직관과, 상기 제1 수직관에 연결되고,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고 수직 연결챔버에 적어도 일부가 내재되도록 위치된 확산관과, 상기 확산관에 연결되고 수직 연결챔버의 외부에 위치된 제2 수직관을 포함하는
    냉매분배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매 유출부는 상기 제2 냉매 유입부 보다 하측에 형성된
    냉매분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매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밀도차이에 의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로 분리되어 유동되고,
    상기 제2 냉매 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액상냉매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수직관의 내벽을 따라 유동되고, 상기 기상냉매는 상기 수직관의 내부의 중심부를 향해 유동되어 상기 수직관을 통해 유동되는 냉매의 단면형상은 환형인
    냉매분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은
    상기 수직 연결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지지부가 외주부에 형성된
    냉매분배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의 외주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나선홈이 형성된
    냉매분배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분배관은
    상기 수직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수직관 연결부와,
    상기 수직관 연결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에 연통된 분배바디와, 복수개의 배출관부를 포함하는
    냉매분배기.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93720A 2017-07-24 2017-07-24 냉매분배기 KR10203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720A KR102033350B1 (ko) 2017-07-24 2017-07-24 냉매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720A KR102033350B1 (ko) 2017-07-24 2017-07-24 냉매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135A KR20190011135A (ko) 2019-02-01
KR102033350B1 true KR102033350B1 (ko) 2019-10-17

Family

ID=6536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720A KR102033350B1 (ko) 2017-07-24 2017-07-24 냉매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3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8106A (ja) * 2004-09-10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媒分流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2032109A (ja) * 2010-08-02 2012-02-16 Daikin Industries Ltd 冷媒分流器、冷媒分流器一体型の膨張装置及び冷凍装置
JP2013148309A (ja) * 2012-01-23 2013-08-01 Hitachi Appliances Inc 冷媒分配器及びこ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43B2 (ja) * 1989-09-28 1996-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気液二相流体分配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8106A (ja) * 2004-09-10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媒分流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2032109A (ja) * 2010-08-02 2012-02-16 Daikin Industries Ltd 冷媒分流器、冷媒分流器一体型の膨張装置及び冷凍装置
JP2013148309A (ja) * 2012-01-23 2013-08-01 Hitachi Appliances Inc 冷媒分配器及びこ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135A (ko)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0749A1 (en) Holding equipment, hold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veyance equipment
CN107002601B (zh) 共鸣器
JP2011224571A (ja) ベンチュリ装置
US10570900B2 (en) Oil separation barrel, screw compressor and air conditioning unit
JP2014098500A (ja) 分流器
JP2014228273A (ja) ガスタービン用ダンパ
JP2011169496A (ja) 冷媒分配器
CN101537321B (zh) 立式气液两相流体混合稳流装置
KR102033350B1 (ko) 냉매분배기
RU200610190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для массообменной колонны
US9981208B2 (en) Cyclone reservoir
JP2020081970A (ja) リザーブタンク
KR101513923B1 (ko) 응축기
EP3479888A1 (en) Gas-liquid separator
JP4434773B2 (ja) ミニループヒートパイプ用蒸発器
KR102097675B1 (ko) 응축수 받이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CN110513927B (zh) 分液器
JP2018511603A (ja) 尿素合成反応器およびプロセス
CN114484947B (zh) 一种整流管、气液分配装置
CN108106178A (zh) 一种具有液体缓存功能的制冷剂分配装置
KR200473576Y1 (ko) 유체분배기의 분배가이드
CN113186514B (zh) 半导体热处理设备
CN209386614U (zh) 蒸发器和使用其的制冷机组
CN207111377U (zh) 一种微型流体泵
CN210862095U (zh) 一种多向吹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