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227B1 -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 Google Patents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227B1
KR102033227B1 KR1020170169771A KR20170169771A KR102033227B1 KR 102033227 B1 KR102033227 B1 KR 102033227B1 KR 1020170169771 A KR1020170169771 A KR 1020170169771A KR 20170169771 A KR20170169771 A KR 20170169771A KR 102033227 B1 KR102033227 B1 KR 10203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plate
receiving member
strike
bol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244A (ko
Inventor
전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림임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to KR102017016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2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05B15/0245Movable elements held by friction, cooperating teet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05B2015/027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auto-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가 개시된다. 래치볼트수용부재에는, 정면에 도어록의 래치볼트가 삽입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래치볼트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배면판에 원형 홀이 형성되고, 배면판 이면에 복수의 돌기가 원형 홀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돌기와 돌기 사이에 방사형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는, 원형의 몸체, 몸체에서 돌출되어 래치볼트수용부재의 원형 홀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돌출부,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1 핀, 및 돌출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다른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2 핀을 포함하고, 위치조절부재를 회전시키면, 제1 핀 및 제2 핀이 삽입된 방사형 홈부가 교체되어, 커버 및 스트라이크 본체를 따라 래치볼트수용부재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adjust type door lock strike}
본 발명은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록의 래치볼트를 수용하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에 관한 것이다.
도어록은 도어를 잠그는 장치로, 도어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도어록 스트라이크는 도어를 가이드하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의 래치볼트를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커버 및 래치볼트가 수용되는 래치볼트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스트라이크 본체를 구비한다.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록의 래치볼트가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래치볼트수용공간부에 수용되면서 도어의 개방이 차단된다. 반대로 도어록의 래치볼트를 래치볼트수용공간부에서 빠져나가게 하면, 도어는 열릴 수 있게 된다.
래치볼트 및 래치볼트수용공간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면, 닫힌 도어에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닫힌 도어의 흔들림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유격 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래치볼트 및 래치볼트수용공간부를 상호 대응하는 규격으로 제조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종래의 방법은 설치시에 도어의 상태에 따라 도어록 스트라이크가 설치될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도어프레임에 부착할 경우, 발생 가능한 작은 오차로 인해 래치볼트가 래치볼트수용공간부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어,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분리해내어 다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 중인 도어가 주변 환경조건에 의해 형태 변형이 일어나 래치볼트가 래치볼트수용공간부에 수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프레임에서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분리하여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특히 도어프레임에서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설치해야 할 위치가 확보되지 않으면 도어프레임을 새로 교체 또는 보수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도어록 산업분야에서는 다시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수용공간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도록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래치볼트수용공간부에 공차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상기 공차를 만듦으로써, 설치 시 오차와 도어의 변형으로 인해 도어의 래치볼트가 문틀의 래치볼트수용공간부에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이렇게 함으로 인해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수용공간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닫힌 도어에 흔들림과 소음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0811534 B1
(특허문헌 2) KR20-2009-0004785 U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래치볼트와 도어록 스트라이크가 걸리는 부분인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를 누구나 손쉽게 조작이 가능한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면서, 종래의 도어록 스트라이크와 동일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종래의 스트라이크와 설치방법이 동일하여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는, 커버 및 스트라이크 본체를 포함하는 도어록의 스트라이크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래치볼트수용부재, 및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 및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에는, 정면에 도어록의 래치볼트가 삽입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삽입된 래치볼트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배면판에 원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 이면에 복수의 돌기가 상기 원형 홀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돌기와 돌기 사이에 방사형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원형의 몸체, 상기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원형 홀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1 핀, 및 상기 돌출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다른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2 핀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이 삽입된 방사형 홈부가 교체되어, 상기 커버 및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를 따라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에 나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는, 좌측판, 우측판,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은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회전시에 상하 방향으로 용수철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는, 정면에서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의 좌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좌측 날개판, 및 정면에서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의 우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우측 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는, 상기 상판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 날개판, 및 상기 하판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 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는, 상기 상부 날개판 및 상기 하부 날개판의 절곡 부분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는, 상기 배면판 상측에 돌출 형성된 상측 다리부, 및 상기 배면판 하측에 돌출 형성된 하측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상측 다리부 및 상기 하측 다리부보다 짧게 돌출되며,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상측 다리부 및 상기 하측 다리부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측 다리부 및 상기 하측 다리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의 내부 폭과 동일 또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돌출부의 중심은, 상기 몸체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몸체의 직경은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 배면판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 배면판 및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 배면판에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에 의하면, 도어프레임에 도어록 스트라이크를 설치한 후에, 래치볼트수용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래치볼트와 스트라이크가 걸리는 부분인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위치조절부재를 드라이버로 회전시켜 래치볼트수용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를 누구나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래치볼트수용부재 및 위치조절부재가 커버와 스트라이크 본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종래의 도어록 스트라이크와 동일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고 종래의 도어록 스트라이크와 설치방법이 동일하여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래치볼트수용공간부를 이동할 수 있어, 설치시에 도어록 스트라이크가 설치될 위치를 쉽게 결정할 수 있고, 부착 후에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부착시에 발생 가능한 작은 오차를 만회할 수 있음으로써,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부착이 용이하고,
사용 중인 도어가 주변 환경조건에 의해 변형된 경우에는, 래치볼트수용공간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재설치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다른 방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에 래치볼트가 삽입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 및 위치조절부재의 분리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다른 방향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에 래치볼트가 삽입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1)는 커버(10), 래치볼트수용부재(20), 위치조절부재(30) 및 스트라이크 본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래치볼트(2)가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1)에 삽입되는 방향의 면을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1)의 정면이라고 지칭한다. 래치볼트(2)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며 래치볼트수용부재(20)에 삽입되게 된다.
커버(10)는 스트라이크 본체(40)의 정면에 결합되어 래치볼트수용부재(20) 및 스트라이크 본체(40)에 위치조절부재(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커버(10)는 중심부에 형성된 래치볼트홀(11), 좌측에서 굴곡되면서 연장 형성된 미끄럼편(12), 래치볼트홀(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나사홀(14) 및 래치볼트홀(11)의 하측에 제2 나사홀(15)을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편(12)이 굴곡됨으로써, 래치볼트(2)의 경사면(21)과의 마찰이 완화되어, 래치볼트(2)가 용이하게 래치볼트홀(11)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래치볼트수용부재(20)는 커버(10) 및 스트라이크 본체(40)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볼트홀(11)을 관통한 래치볼트(2)를 수용할 수 있다. 래치볼트수용부재(20)는 정면에 래치볼트(2)가 삽입 가능하게 개구부(203)가 형성되고, 좌측판(21), 우측판(22), 상판(23), 하판(24), 배면판(25), 좌측 날개판(26), 우측 날개판(27),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판(21), 우측판(22), 상판(23), 하판(24) 및 배면판(25)은 래치볼트(2)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배면판(25)에는 원형 홀(251)이 형성되며, 배면판(25) 이면에 복수의 돌기(252, 252-2)가 원형 홀(251)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돌기(252)와 돌기(252-2) 사이에 방사형 홈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날개판(26)은 정면에서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트라이크 본체(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날개판(27)은 정면에서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트라이크 본체(4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좌측 날개판(26)의 폭이 우측 날개판(27)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다리부(28)는 배면판(25) 상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측 다리부(28)는 좌측판(21) 및 우측판(22)의 일측, 및 상판(23)이 배면판(25)에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다리부(29)는 배면판(26) 하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하측 다리부(29)는 좌측판(21) 및 우측판(22)의 일측, 및 하판(24)이 배면판(25)에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252, 252-2)는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보다 짧게 돌출되며, 위치조절부재(30)는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위치조절부재(30)는 래치볼트수용부재(20) 및 스트라이크 본체(40) 사이에 배치되고, 원형의 몸체(31), 몸체(31)에서 돌출되어 원형 홀(251)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돌출부(32), 돌출부(32)의 일측에 위치하여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1 핀(33) 및 돌출부(32)의 타측에 위치하여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다른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2 핀(3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의 직경은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배면판(25)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또는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치조절부재(30)는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 사이에 배치가 가능해진다. 일부 실시예로,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의 높이는 복수의 돌기(252, 252-2)의 높이 및 몸체(31)의 높이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의 중심은, 몸체(3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돌출부(32)의 중심점(321)은 몸체(31)의 중심점(311)에서 이격되어 위치한다. 돌출부(32)의 중심점(321) 및 몸체(31)의 중심점(311)의 거리의 2배가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이동 가능한 거리가 될 수 있다.
돌출부(32)에는 나사 구멍(32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32)의 나사구멍(322)에 드라이버 등의 회전용 공구를 삽입하여 위치조절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 및 위치조절부재의 분리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핀(33) 및 제2 핀(34)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30)를 회전시키면, 제1 핀(33) 및 제2 핀(34)이 삽입된 방사형 홈부가 교체되어, 커버(10) 및 스트라이크 본체(40)를 따라 래치볼트수용부재(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방사형 홈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돌기는 9개 내지 72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돌기는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며 원형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가 9개보다 작은 경우에는,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미세한 이동이 불가하고, 72개보다 크게 되면 방사형 홈부의 간격이 너무 작아져 제1 핀(33) 및 제2 핀(34)의 삽입이 불가하게 되고 방사형 홈부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스트라이크 본체(4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래치볼트수용부재(20) 및 위치조절부재(30)를 수용할 수 있다. 스트라이크 본체(40)는 좌측판(41), 우측판(42), 상판(43), 하판(44), 배면판(45), 상부 날개판(46) 및 하부 날개판(47)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판(41), 우측판(42), 상판(43), 하판(44) 및 배면판(45)은 래치볼트수용부재(20) 및 위치조절부재(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48)를 형성한다. 공간부(48)의 폭(W2)은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배면판(25) 폭(W1)보다 크게 형성되며, W1 및 W2의 차이값만큼 래치볼트수용부재(20)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공간부(48)의 길이는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상하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배면판(25)의 길이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공간부(48)의 길이는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배면판(25)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판(43)은 좌측판(41) 및 우측판(42)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시에 상하 방향으로 용수철 작용을 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30)가 회전되어, 돌출부(32)의 중심점(321)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에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력에 의해 래치볼트수용부재(2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력이 발생한다. 상판(43)이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이동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되는 용수철 작용으로,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다.
하판(44)은 좌측판(41) 및 우측판(42)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시에 상하 방향으로 용수철 작용을 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30)가 회전되어, 돌출부(32)의 중심점(321)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에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력에 의해 래치볼트수용부재(2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력이 발생한다. 하판(44)이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이동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되는 용수철 작용으로,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다.
상부 날개판(46)은 상판(43)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1 나사홀(46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날개판(47)은 하판(44)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 나사홀(4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홀(461)은 커버(10)의 제1 나사홀(14)을 관통한 나사와 체결될 수 있고, 제2 나사홀(471)은 커버(10)의 제2 나사홀(15)을 관통한 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1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스트라이크 본체(40)에 결속될 수 있다. 래치볼트수용부재(20)는 상부 날개판(46) 및 하부 날개판(47)의 절곡 부분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동될 수 있다. 즉,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이동시에, 커버(10)가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정면을 눌러 가이드하고, 상판(43) 및 상부 날개판(46)이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상부를 눌러 가이드하며, 하판(44) 및 하부 날개판(47)이 래치볼트수용부재(20)의 하부를 눌러 가이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치조절부재(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볼트수용부재(10)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즉 드라이버로 나사 구멍(32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부(32)는 회전하면서 래치볼트(2)의 입구측으로 점차 이동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돌출부(32)의 나사 구멍(322)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도 3의 지점(A)은 도 9의 지점(B)로 이동하게 되고, 도 9의 (b)와 같이 돌출부(32)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래치볼트수용부재(10)는 도 9의 (b)와 같이 좌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핀(33) 및 제2 핀(34)이 래치볼트수용부재(10)의 방사형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드라이버의 회전력으로 제1 핀(33) 및 제2 핀(34)이 해당 방사형 홈부를 형성하는 돌기를 좌측으로 밀어 올리려고 하고, 이때 위치조절부재(30)는 래치볼트수용부재(10)의 배면판(25)에 의해 스트라이크 본체(40)의 배면판(45)에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음으로써, 제1 핀(33) 및 제2 핀(34)이 돌기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배면판(45)은 판 용수철 작용으로 미세하게 휘면서,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핀(33) 및 제2 핀(34)은 좌측에 이웃한 방사형 홈부로 이동하게 되고, 배면판(45)은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고, 다시 위치조절부재(30)를 스트라이크 본체(40)의 배면판(45)에 강하게 밀착시켜 고정한다.
또한, 위치조절부(3)의 몸체(31)의 직경은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몸체(31) 하부로 공간부가 존재하여 돌출부(32)의 중심점(321)의 상하 이동이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다. 그리고 스트라이크 본체(40)의 상판(43) 또는 하판(44)의 용수철 작용에 따라, 미세하게 돌출부(32)의 중심점(321)의 하부로의 이동을 돕고,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이 정지하면, 스트라이크 본체(40)의 상판(43) 또는 하판(44)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수용부재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부재(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볼트수용부재(20)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즉 드라이버로 나사 구멍(32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부(32)는 회전하면서 래치볼트(2)의 입구측의 반대편으로 점차 이동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돌출부(32)의 나사 구멍(322)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도 3의 지점(A)은 도 10의 지점(C)로 이동하게 되고, 도 10의 (b)와 같이 돌출부(32)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래치볼트수용부재(10)는 도 10의 (b)와 같이 우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핀(33) 및 제2 핀(34)이 래치볼트수용부재(10)의 방사형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드라이버의 회전력으로 제1 핀(33) 및 제2 핀(34)이 해당 방사형 홈부를 형성하는 돌기를 우측으로 밀어 올리려고 하고, 이때 위치조절부재(30)는 래치볼트수용부재(10)의 배면판(25)에 의해 스트라이크 본체(40)의 배면판(45)에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음으로써, 제1 핀(33) 및 제2 핀(34)이 돌기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배면판(45)은 판 용수철 작용으로 미세하게 휘면서,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핀(33) 및 제2 핀(34)은 우측에 이웃한 방사형 홈부로 이동하게 되고, 배면판(45)은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고, 다시 위치조절부재(30)를 스트라이크 본체(40)의 배면판(45)에 강하게 밀착시켜 고정한다.
또한, 위치조절부(3)의 몸체(31)의 직경은 상측 다리부(28) 및 하측 다리부(29)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몸체(31) 하부로 공간부가 존재하여 돌출부(32)의 중심점(321)의 상하 이동이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다. 그리고 스트라이크 본체(40)의 상판(43) 또는 하판(44)의 용수철 작용에 따라, 미세하게 돌출부(32)의 중심점(321)의 하부로의 이동을 돕고, 위치조절부재(30)의 회전이 정지하면, 스트라이크 본체(40)의 상판(43) 또는 하판(44)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어록 스트라이크 1 커버 10
래치볼트수용부재 20 위치조절부재 30
스트라이크 본체 40

Claims (5)

  1. 커버 및 스트라이크 본체를 포함하는 도어록의 스트라이크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래치볼트수용부재; 및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 및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에는,
    정면에 도어록의 래치볼트가 삽입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삽입된 래치볼트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배면판에 원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 이면에 복수의 돌기가 상기 원형 홀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돌기와 돌기 사이에 방사형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원형의 몸체;
    상기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원형 홀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1 핀; 및
    상기 돌출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의 다른 방사형 홈부에 삽입되는 제2 핀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이 삽입된 방사형 홈부가 이웃한 방사형 홈부로 교체되어, 상기 커버 및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를 따라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는,
    상기 배면판 상측에 돌출 형성된 상측 다리부; 및
    상기 배면판 하측에 돌출 형성된 하측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상측 다리부 및 상기 하측 다리부보다 짧게 돌출되며,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상측 다리부 및 상기 하측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 다리부 및 상기 하측 다리부의 높이는 복수의 돌기의 높이 및 몸체의 높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는,
    좌측판, 우측판,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은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회전시에 상하 방향으로 용수철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는,
    정면에서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의 좌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좌측 날개판; 및
    정면에서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의 우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우측 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크 본체는,
    상기 상판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 날개판; 및
    상기 하판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 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는,
    상기 상부 날개판 및 상기 하부 날개판의 절곡 부분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다리부는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의 좌측판 및 우측판의 일측, 및 상판이 상기 배면판에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 다리부는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의 좌측판 및 우측판의 일측, 및 하판이 상기 배면판에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돌출부의 중심은,
    상기 몸체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몸체의 직경은 상기 래치볼트수용부재 배면판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KR1020170169771A 2017-12-11 2017-12-11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KR10203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771A KR102033227B1 (ko) 2017-12-11 2017-12-11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771A KR102033227B1 (ko) 2017-12-11 2017-12-11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44A KR20190069244A (ko) 2019-06-19
KR102033227B1 true KR102033227B1 (ko) 2019-10-16

Family

ID=6710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771A KR102033227B1 (ko) 2017-12-11 2017-12-11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2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6906A (ja) * 2010-08-25 2012-03-08 Kawaguchi Giken Inc 錠片受け装置
JP2014240546A (ja) * 2013-06-11 2014-12-25 河淳株式会社 ラッチ受け具
CN105442948A (zh) * 2015-12-11 2016-03-30 坚士锁业有限公司 可调解锁槽位置的锁扣盒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042U (ko) *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공진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6906A (ja) * 2010-08-25 2012-03-08 Kawaguchi Giken Inc 錠片受け装置
JP2014240546A (ja) * 2013-06-11 2014-12-25 河淳株式会社 ラッチ受け具
CN105442948A (zh) * 2015-12-11 2016-03-30 坚士锁业有限公司 可调解锁槽位置的锁扣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44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6562B2 (en) Quick install method and apparatus for door locks
KR20110044039A (ko) 도어 힌지 어셈블리
RU2640814C2 (ru) Отделочная пластина, оснащенная средствами центрирования на внутреннем элементе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9135138A (ja) ロック装置及び自動車シート回転機構
KR102033227B1 (ko)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US10244646B2 (en) Fastening structure of detachable door
US20100212228A1 (en) Fastening mechanism
JP6131440B2 (ja) ラッチ受け具
CN114489286B (zh) 一种服务器机箱栓锁结构及服务器
GB2415461A (en) Espagnolette locking device with at least one pair of locking pins on each side of a drive mechanism each pair cooperating with a respective striker
US7402072B1 (en) Positioning device for fixing an interface card on a computer casing without using screws
CN204691490U (zh) 止动装置及门窗
EP2891438A1 (en) Shower door assembly with continuous control
KR101845774B1 (ko) 방화문 힌지
TWM566245U (zh) Modular electric latch control device
GB2520951A (en) An adjustable hinge
JP2014105525A (ja) 天井点検口
CN108843130B (zh) 一种推拉锁的推拉盒
EP1676969B1 (en) Catch locking mechanism featuring a key mechanism with lock failsafe system and high resistance against forced entry.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200481473Y1 (ko) 도어용 잠금장치
TWI616871B (zh) 光碟機及鎖固模組
JP3128567U (ja) シャッター装置のシャッター錠
JP4291250B2 (ja) スライド蝶番
CN110113907B (zh) 一种带自锁功能的服务器盖板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