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093B1 -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093B1
KR102033093B1 KR1020190020745A KR20190020745A KR102033093B1 KR 102033093 B1 KR102033093 B1 KR 102033093B1 KR 1020190020745 A KR1020190020745 A KR 1020190020745A KR 20190020745 A KR20190020745 A KR 20190020745A KR 102033093 B1 KR102033093 B1 KR 10203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ig
user
net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페이 무라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네아스토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네아스토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네아스토리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모발이 가발의 일부를 커버하여 자연스러운 긴 머리를 연출하고, 모발부가 네트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모발부의 탈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모발부의 풍성한 연출과 스타일링의 자연스러움을 높이는 가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발은 사용자의 머리에 전면적으로 착용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한 방향으로 오목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네트부, 네트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네트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 및 복수의 머리카락들을 포함하고 네트부에 상호 이격하며 위치하고 네트부와 매듭으로 결속되는 매듭부를 포함하는 모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발 {WIG}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모발 상부에 위치하면서 사용자를 긴 머리로 연출시키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전체가발, 부분가발 등으로 구분되며, 사용자의 머리 형태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가발 캡과 가발 캡에 부착된 모발로 구성된다. 가발은 모발의 길이가 짧은 사용자 상부에 위치하면서 사용자를 긴 머리로 연출시킬 수 있다.
종래의 가발은 일렬의 모발이 가발 캡의 열을 따라 층층이 중첩되면서 모발을 형성하므로 모발의 방향성을 다양하게 연출시키기 어렵고 모발의 볼륨감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가발의 모발층은 접착제로 부착되어 부착 부분이 딱딱하므로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기 어려워 착용감이 부드럽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에 대한 연출이 제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모발이 가발의 일부를 커버하여 자연스러운 긴 머리를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모발부가 네트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모발부의 탈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모발부가 네트부에 이격하게 연결되어 모발부의 풍성한 연출과 스타일링의 자연스러움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네트부가 사용자의 머리에 전면적으로 위치하여 착용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사용자의 머리에 전면적으로 착용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한 방향으로 오목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네트부, 네트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네트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 및 복수의 머리카락들을 포함하고 네트부에 상호 이격하며 위치하고 네트부와 매듭으로 결속되는 매듭부를 포함하는 모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매듭부는 모발부가 연장된 방향에서 모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 및 모발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가 교차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네트부와 연결된 매듭부에 삽입되어 상호 교차하며 형성될 수 있다. 모발부의 이격 거리는 2mm 내지 24mm일 수 있다. 네트부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사용자의 머리 측면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모발부의 이격 거리는 제2 영역에 위치하는 모발부의 이격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부는 복수의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부들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고정부들의 이격 공간은 사용자의 귀에 대응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부는 벨크로(velcro),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또는 자석 및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고 고정부에 탈부착되는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핀은 제1 고정핀의 일측 단부가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의 단면적은 제1 고정핀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고, 제2 고정핀은 제2 고정핀의 일측 단부가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커브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는 사용자의 머리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일측 및 사용자의 머리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일측과 마주보며 위치하는 개구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탄성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 제조 방법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네트부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머리카락들을 포함하는 모발부를 제공하는 단계, 모발부가 연장된 방향에서 모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 및 모발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를 교차시켜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연장선상에서 매듭부를 형성하는 단계, 매듭부를 네트부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네트부에 삽입하는 단계, 네트부와 맞닿은 상태로 네트부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네트부에서 인출하는 단계, 제1 단부를 매듭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매듭부를 감싸며 매듭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제2 단부를 매듭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매듭부를 감싸며 매듭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모발이 가발의 경계를 커버하여 자연스러운 긴 머리를 연출할 수 있으며, 모발부가 네트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모발부의 탈모 현상을 방지하고 모발부를 풍성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으며, 네트부가 사용자의 두상에 전면적으로 덮으며 모발부가 네트부에 매듭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부드럽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내측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외측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네트부와 모발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가발(100)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발(100)을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발(100)은 네트부(10), 모발부(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이외에, 가발(100)은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발(100)은 9부 가발일 수 있다. 9부 가발은 부분가발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두상 전체를 덮는 구조가 아니라 두상의 면적에서 9부(Nine-tenths)를 커버하는 가발일 수 있다.
네트부(10)는 메쉬(Mesh)망 형태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다. 네트부(10)는 유연성을 가지고 사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사용자의 모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네트부(10)는 모발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부(10)는 망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모발부(20)의 식모가 용이하고 통풍성이 클 수 있다.
네트부(10)는 섬유 재질로 제조하거나, 신축성을 가지는 끈을 메쉬 구조로 직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네트부(10)는 종래의 가발 캡으로 사용하는 하드 캡과 비교시, 무게가 가벼우므로 장착 피로감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그 모양이 유연하게 가변 될 수 있다.
네트부(10)는 개구부(101) 및 탄성줄(103)을 포함한다. 개구부(101)는 사용자 머리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한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101)는 U자형, V자형 등의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가발(100)을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모발이 개구부(101)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발을 개구부(101)로 빼내어 개구부(10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모발과 모발부(20)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다.
탄성줄(103)은 사용자 머리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개구부(101)의 일측 및 사용자 머리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개구부(101)의 일측과 마주보며 위치하는 개구부(101)의 타측을 연결한다.
탄성줄(103)은 탄성 소재로 제조하고 연장된 방향을 따라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소재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고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발(100)을 착용할 경우, 탄성줄(103)은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맞게 늘어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착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모발부(20)는 복수개의 머리카락의 묶음으로 네트부(10)에 삽입될 수 있다. 모발부(20)는 용도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모발부(20)는 생머리 또는 웨이브머리 등의 다양한 머리카락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모발부(20)는 사람의 머리카락인 천연모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인조모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천연모와 인조모가 혼용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부(30)는 네트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네트부(10)의 둘레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모발부(20)가 식재된 네트부(10)를 사용자의 모발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의 내측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가발(100)을 내측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180도 회전한 가발(100)의 내측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부(10)는 제1 영역(105) 및 제2 영역(107)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발(100)을 착용할 경우, 제1 영역(105)은 사용자의 머리 상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2 영역(107)은 사용자의 머리 측면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105)은 개구부(10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제2 영역(107)은 네트부(10)에서 제1 영역(10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모발부(20)는 네트부(10)에 상호 이격하며 삽입될 수 있다.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1, d2, d3)는 2mm 내지 24mm일 수 있다. 모발부(20)의 이격 거리가 2mm 이하일 경우, 모발부(20)가 네트부(10)에 촘촘히 위치하면서 네트부(10)를 당겨는 힘이 커지므로 네트 사이 사이가 울게 되어 네트부(10)가 평평하지 못하게 된다.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1, d2, d3)가 24mm 이상일 경우, 모발부(20)의 풍성도가 낮아져 모발부(20) 사이의 빈 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부(10)에 삽입된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1, d2, d3)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105)에 삽입된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3)와 제2 영역(107)에 삽입된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1, d2)는 상호 다를 수 있다. 제1 영역(105)에 삽입된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3)는 제2 영역(107)에 삽입된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1, d2)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05)에 삽입된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3)는 2mm 내지 6mm일 수 있으며, 제2 영역(107)에 삽입된 모발부(20)의 이격 거리(d1, d2)는 6mm 내지 24mm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105)의 모발부(20)는 밀집도가 크므로 풍성하게 연출될 수 있으며, 제2 영역(107)의 모발부(20)는 이격 거리(d1, d2)만큼 모발부(20)가 결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즉, 모발부(20)의 상부는 볼륨감 있게 연출하면서 모발부(20)의 측면부와 하부는 웨이브 등의 스타일링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제2 영역(107)에 삽입된 모발부(20)의 길이 방향인 z축 방향의 이격 거리(d1)는 모발부(20)의 둘레 방향인 x축 방향의 이격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둘레 방향의 모발부(20)는 입체감을 가지고, 길이 방향의 모발부(20)는 무게감을 가볍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레이어드 컷, 레이어드 웨이브 등의 연출이 가능하다.
고정부(30)는 네트부(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제1 고정핀(301), 제2 고정핀(303) 및 제3 고정핀(30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발(100)을 착용할 경우, 제1 고정핀(301)은 사용자의 뒷모발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고정핀(301)은 삽입핀 또는 집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뒷모발 위치에 제1 고정핀(301)을 꽂아 집어줌으로써, 네트부(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핀(301)의 일측은 고정부(30)에 연결된다. 제1 고정핀(301)의 타측은 네트부(10)를 향한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한다. 제1 고정핀(301)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은 제1 고정핀(301)의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 고정핀(301)의 단부는 점차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제1 고정핀(301)의 삽입성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가 가발(100)을 착용할 경우, 제2 고정핀(303)과 제3 고정핀(305)은 각각 사용자의 측면 모발과 전방 모발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핀(303)과 제3 고정핀(305)의 일측은 고정부(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커브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핀(303)과 제3 고정핀(305)은 커브형의 몸체를 꺾어 모발에 고정되는 헤어핀 또는 클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30)는 벨크로(velcro),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또는 자석일 수 있다. 고정핀(301, 303, 305)은 배면에 벨크로, 스냅 패스너 또는 자석을 형성하여 고정부(30)와 암수 결합할 수 있다. 고정핀(301, 303, 305)은 고정부(30)에 탈부착 되고 각각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두상에 맞추어 제1 고정핀(301), 제2 고정핀(303) 및 제3 고정핀(305)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넘김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발(100)을 착용할 경우, 넘김부(307)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넘김부(307)는 벨크로, 스냅 패스너 또는 자석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면화(cotton) 등의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넘김부(307)는 사용자의 귀 부분과 부드럽게 맞닿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모발부(20)를 귀의 뒤로 넘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의 외측을 나타내고, 도 3의 확대원에는 네트부(10)에 연결된 모발부(20)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발(1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위치하면서 사용자를 긴 머리로 연출시킬 수 있다.
도 3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발부(20)는 네트부(10)에 삽입되고 매듭 형태의 연결 구조를 형성하면서 네트부(10)에 고정된다. 모발부(20)는 매듭 연결 구조를 통해 네트부(1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네트부(10)로부터 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모발부(20)의 연결 구조는 모발부(20)가 잡아 당겨질수록 더욱 견고해지므로 모발부(20)의 고정이 느슨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모발부의 엉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가발(100)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가발(100)의 사용 기간이 길어져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모발부(20)와 네트부(10)의 연결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의 모발부(20)와 네트부(10)의 삽입 및 매듭 형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발부(20)는 직선 형태로 복수개의 머리카락의 묶음으로 형성되며 제1 단부(201) 및 제2 단부(203)를 포함한다. 제1 단부(201)는 모발부(20)를 직선 형태로 펼쳤을 때, 모발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모발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단부(203)는 모발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한 모발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단부(201)와 제2 단부(203)가 상호 교차하며 위치할 경우, 제1 단부(201)와 제2 단부(203)의 연장선상에서 매듭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모발부(20)는 매듭부(205)를 형성한 상태로 네트부(10)에 삽입된다. 매듭부(205)의 매듭 구조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듭부(205)는 네트부(1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다시 네트부(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다시 인출된다. 이 경우, 네트부(10)와 모발부(20)가 교차하며 위치하므로 모발부(20)가 네트부(1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부(201)는 제2 단부(203)의 상부에서 상호 교차하며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단부(201)는 매듭부(205)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매듭부(205)를 감싸며 매듭부(205)의 하측으로 삽입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부(201)는 매듭부(205)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매듭부(205)의 상측으로 매듭부(205)에서 인출될 수 있다. 모발부(20)는 제2 단부(203)와 매듭부(205)에 삽입된 제1 단부(201)를 잡아 당기면서 네트부(10)에 1차로 결속될 수 있다.
도 5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부(203)는 매듭부(205)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매듭부(205)를 감싸며 매듭부(205)의 하측으로 삽입된다. 즉, 제2 단부(203)는 매듭부(205)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제1 단부(201)의 상측으로 교차하면서 매듭부(205)의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발부(20)는 제1 단부(201)가 매듭부(205)에 삽입되고, 제2 단부(203)가 제1 단부(201)와 교차하며 매듭부(205)에 삽입되는 결속 구조를 통해 네트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모발부(20)는 제1 단부(201)와 제2 단부(203)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서 네트부(10)에 2차로 결속될 수 있다.
가발(100)은 제1 단부(201)와 매듭부(205)의 1차 결속 및 제2 단부(203)와 매듭부(205)의 2차 결속의 연결 구조를 통해서 모발부(20)가 네트부(10)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네트부(10)에서 모발부(20)가 탈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발(100)은 모발부(20)의 일부분이 결속된 상태에서 제1 단부(201)와 제2 단부(203)가 매듭부(205)에서 자연스럽게 좌, 우로 이동하거나 상, 하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모발부(20)는 네트부(10)의 전 방향에 걸쳐 결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발의 방향성을 높여 모발부(20)의 넘김, 묶음 등의 스타일 변화를 자연스럽게 연출 할 수 있다.
종래의 가발은 가발 캡에 모발이 층을 만들어 부착되는 구조로 부착 부분이 딱딱해 착용감이 좋지 않다. 반면에, 가발(100)은 네트부(10)가 사용자의 머리를 전면적으로 덮으면서 네트부(10)와 모발부(20)가 매듭 구조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모발과 바로 밀착되어 부드럽고 우수한 착용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발(100)은 모발부(20)가 네트부(10)에 상호 이격하며 커브형의 매듭 구조로 결속되어 모발부(20)의 유연성을 높여 다양한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도 7은 가발(100)의 사용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모발(H)의 일부를 개구부(101)의 상부로 빼내어 가발(100)을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발(100)을 먼저 착용한 후 사용자의 모발(H)을 빼낼 수 있으며, 모발(H)을 홀딩한 상태에서 가발(100)을 착용하고 모발(H)을 개구부(101)의 상부로 안착시킬 수도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제2 고정핀(303)(도 2에 도시, 이하 동일) 또는 제3 고정핀(305)(도 2에 도시, 이하 동일)을 이용하여 가발(100)을 사용자의 모발(H)과 연결시키고, 제1 고정핀(301)(도 2에 도시, 이하 동일)을 사용자의 모발(H)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발(100)의 상부는 제2 고정핀(303)과 제3 고정핀(305)에 의해 사용자의 모발(H)의 상부에 고정되고, 가발(100)의 하부는 제1 고정핀(301)에 의해 사용자의 모발(H)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발(100)을 착용한 후, 개구부(101)로 빠져 나온 사용자의 모발(H)을 정돈하면서 가르마를 형성할 수 있다. 가발(100)의 상부는 사용자 모발(H)의 가르마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모발(H)의 가르마의 자연 볼륨을 유지한 상태로 취향에 따라 가르마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모발(H)과 가발(100)과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발의 표면 굴곡/ 풍성도 실험
실험예 1
도 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네트부와 모발부를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모발부는 각각 0.5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가발의 네트부의 표면 굴곡 및 표면 풍성도를 측정하였다. 유연성은 가발을 KES-FB 시스템에 준하여 모발부가 형성된 네트부의 표면 굴곡 특징을 측정하였다. 표면 풍성도는 사용자에게 가발을 착용시킨 후 모발부 사이의 빈 공간 여부를 관찰하였다. 나머지 상세한 실험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2
모발부는 각각 2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3
모발부는 각각 4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4
모발부는 각각 6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5
모발부는 각각 8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6
모발부는 각각 10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7
모발부는 각각 12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8
모발부는 각각 14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9
모발부는 각각 16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0
모발부는 각각 18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1
모발부는 각각 20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2
모발부는 각각 22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3
모발부는 각각 24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4
모발부는 각각 26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5
모발부는 각각 28mm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네트부에 형성하여 가발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발의 표면 굴곡/ 풍성도 실험 결과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5에 따라 제조한 가발의 각 모발부의 이격 거리에 따른 네트부의 표면 굴곡 및 표면 풍성도를 조사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모발부의 이격 거리가 작을수록 풍성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예 1에서는 네트부의 표면에 움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 굴곡 특징이 좋지 않았다. 또한, 실험예 14 및 15에서는 모발부 사이의 빈 공간이 다소 관찰되어 풍성도가 좋지 않았다. 반면에, 실험예 2 내지 실험예 13처럼 모발부의 이격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한 경우, 적절한 표면 굴곡 특징과 풍성도를 가지는 가발을 제조할 수 있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모발부의 이격 거리는 4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발부는 풍성한 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고 모발부의 굴곡 특징이 양호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우수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실험예 모발부 이격 거리 표면 굴곡 특징 풍성도
실험예 1 0.5mm 불량
실험예 2 2mm 다소 양호
실험예 3 4mm 양호
실험예 4 6mm 양호
실험예 5 8mm 양호
실험예 6 10mm 양호
실험예 7 12mm 양호
실험예 8 14mm 양호
실험예 9 16mm 양호
실험예 10 18mm 양호
실험예 11 20mm 양호
실험예 12 22mm 다소 양호
실험예 13 24mm 다소 양호
실험예 14 26mm 다소 양호
실험예 15 28mm 다소 양호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네트부
20. 모발부
30. 고정부
101. 개구부
103. 탄성줄
105. 제1 영역
107. 제2 영역
201. 제1 단부
203. 제2 단부
205. 매듭부
301. 제1 고정핀
303. 제2 고정핀
305. 제3 고정핀
307. 넘김부

Claims (10)

  1. 사용자의 머리에 전면적으로 착용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한 방향으로 홈 형상의 개구부가 트여 형성된 네트부,
    상기 네트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네트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
    복수의 머리카락들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부에 상호 이격하며 위치하고 상기 네트부와 매듭으로 결속되는 매듭부를 포함하는 모발부, 및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마주보며 위치하는 상기 개구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탄성줄
    을 포함하고,
    상기 모발부의 이격 거리는 2mm 내지 24mm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는 복수의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들이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이 상기 사용자의 귀 부분에 맞닿는 가발.
  2. 제1항에서,
    상기 매듭부는 상기 모발부가 연장된 방향에서 상기 모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모발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가 교차하며 형성되는 가발.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네트부와 연결된 상기 매듭부에 삽입되어 상호 교차하며 형성되는 가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네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상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머리 측면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모발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모발부의 이격 거리 보다 작은 가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에 탈부착되는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는 벨크로(velcro),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또는 자석인 가발.
  8. 제7항에서,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고정핀의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고정핀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2 고정핀은 상기 제2 고정핀의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커브형 형상을 가지는 가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0745A 2018-07-13 2019-02-21 가발 KR102033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3753A JP2020012207A (ja) 2018-07-13 2018-07-13 ウィッグ
JPJP-P-2018-133753 2018-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93B1 true KR102033093B1 (ko) 2019-10-16

Family

ID=6842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745A KR102033093B1 (ko) 2018-07-13 2019-02-21 가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012207A (ko)
KR (1) KR102033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650U (ko) 2021-04-28 2022-11-04 박경진 이마 보정용 가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154A (ko) * 2004-11-04 2006-05-10 (주)하이모 스킨망을 이용한 모의 수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발
KR20090031782A (ko) * 2006-08-31 2009-03-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자모 활용형 가발
KR101838864B1 (ko) * 2018-01-17 2018-03-14 강정희 자연감을 향상시킨 가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154A (ko) * 2004-11-04 2006-05-10 (주)하이모 스킨망을 이용한 모의 수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발
KR20090031782A (ko) * 2006-08-31 2009-03-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자모 활용형 가발
KR101838864B1 (ko) * 2018-01-17 2018-03-14 강정희 자연감을 향상시킨 가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650U (ko) 2021-04-28 2022-11-04 박경진 이마 보정용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12207A (ja)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6591B2 (en) Headgear with ponytail pull-through
US7735495B2 (en) Partial cap hair accessory
US20060278252A1 (en) Multipurpose hair apparel
US6546563B2 (en) Sweat-absorbing headgear
US11612202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grating hair extensions
US20170095026A1 (en) Hair extension foundation cap system
US20180007988A1 (en) Wig apparatus including open parting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647384A (en) Hair pieces and mounting for hair pieces
US20200245706A1 (en) Hair extension system
US20150034112A1 (en) Shera - The Interchangeable Wig
US20190297977A1 (en) Wig apparatus including variably positionable parting area
US6263512B1 (en) Pliable garment to be worn about the head
US20150257469A1 (en) Hair Extension
KR102033093B1 (ko) 가발
US20180116321A1 (en) Wig apparatus including multiple parting sections
US4576189A (en) Partial wig assembly with extension portion
KR200483367Y1 (ko) 부분 가발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발
JP2001329420A (ja) 自毛活用型かつら、そのかつらベース、みの毛及びみの毛の取付方法
US9486023B1 (en) Artificial hair apparatus and method
KR101625048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200490151Y1 (ko) 포니테일 가발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JP3235816U (ja) ウィッグベース
US20210219642A1 (en) Frontal hairpiece
US20220279882A1 (en) Wi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head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