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916B1 -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916B1
KR102030916B1 KR1020180014003A KR20180014003A KR102030916B1 KR 102030916 B1 KR102030916 B1 KR 102030916B1 KR 1020180014003 A KR1020180014003 A KR 1020180014003A KR 20180014003 A KR20180014003 A KR 20180014003A KR 102030916 B1 KR102030916 B1 KR 10203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bath
pet
faste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635A (ko
Inventor
김철희
Original Assignee
김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희 filed Critical 김철희
Priority to KR102018001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9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전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고정용 브라켓과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공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 체결되는 받침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본체는 상면에서 외곽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상기 측벽에서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측벽 중 일부가 상기 상면의 후단에서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굴곡지면서 형성되는 수전용 공간부 및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고임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상기 고정용 브라켓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벽부착용 수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Pet bath base}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반려동물의 주인이 반려동물을 목욕시킬 때 입식으로 목욕을 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반려동물은 사용자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별도로 키우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으며, 주로 마당 등 외부공간이 있는 단독주택 등의 거주형태에서 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주거환경이 아파트, 빌라 등 공동주택 중심으로 변화되고, 반려동물을 단지 동물이 아닌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 대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최근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울 경우 실내 위생 관리 및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반려동물 병원, 반려동물 뷰티샵 등을 이용할 경우 편리하고 전문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소요되는 비용이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가정 내에서 직접 목욕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욕실의 공간이 좁고 세면대, 수전의 위치 등 욕실의 구조가 사람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반려동물을 목욕시키기에 불편한 경우가 많다.
특히, 사용자가 허리나 무릎을 굽힌 자세를 유지한 채 장시간 목욕을 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체력부담 및 관절에 무리를 주어 심한 경우에는 관절이상이 생기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려동물 전문샵에서 사용하는 목욕전용 욕조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9954호) 이는 부피가 커서 가정 내 욕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공개 제10-2015-0059954호, “소형 애완견 욕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에서 직접 반려동물을 목욕시킬 때,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는 편한 자세로 혼자서도 용이하게 반려동물 목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고정용 브라켓과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공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 체결되는 받침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본체는 상면에서 외곽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상기 측벽에서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측벽 중 일부가 상기 상면의 후단에서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굴곡지면서 형성되는 수전용 공간부 및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고임대를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 본체는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벽의 상면에 미끌림 방지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구 및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는 거름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상기 고정용 브라켓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벽부착용 수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벽부착용 수납부재는 하단에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중앙에는 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본체가 상기 벽부착용 수납부재에 체결될 경우 상기 수전용 공간부의 하단에 상기 연통홈이 위치하여 목욕물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벽부착형 수납부재 후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목욕물 유입구를 통해 흘러 들어온 목욕물이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단면 형상이 원호 모양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양 측에서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단면 형상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에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끼움으로써 상기 받침대 본체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대 및 고정대 상단에 체결되는 수전 거치대 및 상기 수전 거치대에 체결되는 모발건조기 거치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크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익스텐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는 반려동물을 가정 내에서 직접 목욕 시킬 때, 허리를 숙이거나 앉은 자세를 취할 필요없이 바로 서서 목욕을 시킬 수 있어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는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헤어드라이어나 샤워 수전을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거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혼자서도 용이하게 반려동물을 목욕을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자리에서 씻긴 후 털을 말려줄 수 있어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용 브라켓과 받침대 본체가 탈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세면대 또는 수전의 구조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탈착 과정이 용이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받침대 본체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체결용 브라켓(110)과 체결부재(13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가 세면대(1)(1)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고정대(140) 및 수전거치대(141)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모발건조기 거치대(14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스크린(1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익스텐션(16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벽부착용 수납부재(2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벽부착형 수납부재(210)에 받침대 본체(12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받침대 본체(120)가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가 구현된 실시예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고정용 브라켓(110) 과 받침대 본체(120)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용 브라켓(110) 은 세면대(1)가 위치한 벽면에서 부착되어, 받침대 본체(120)와 체결되어 받침대 본체(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받침대 본체(120)는 고정용 브라켓(110) 과 체결되어 세면대(1) 위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받침대 본체(120) 위에 올려놓고 목욕을 시킬 수 있게 된다.
받침대 본체(120)는 상면에서 외곽선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121)과 상기 측벽(121)에서 상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홈(126), 측벽(121) 중 일부가 상면의 후단에서 내측으로 굴곡지면서 형성되는 수전용 공간부(127) 및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고임대(1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받침대 본체(120) 상면 및 측벽(121)의 상면에는 미끌림 방지 패턴이 형성되어있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배수구(124)가 형성되고 배수구(124)에 끼워지는 거름망(125)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121)은 받침대 본체(12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에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올려놓고 목욕물을 받아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벽(121) 후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30)를 사용해 고정용 브라켓(110)과 체결이 가능하고 좌우 양 측 측벽(121)에는 고정홈(126)이 형성되어 지지대(212)를 끼워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종류의 모발 건조기 및 샤워수전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측벽(121) 후측의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굴곡지면서 일부 구간이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수전용 공간부(127)가 형성된다.
수전용 공간부(127)는 받침대 본체(120)를 세면대(1) 위에 설치하는 경우 세면대(1)의 수전(2)이 수전용 공간부(127) 안쪽으로 들어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받침대 본체(120)가 세면대(1)의 수전(2)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세면대(1) 상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수전(2)에서 배출되는 물이 받침대 본체(120)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세면대(1) 및 수전(2)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을 목욕 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받침대 본체(120) 하면에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고임대(123)는 받침대 본체(120)가 세면대(1) 위에 설치될 경우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받침대 본체(120)의 상면은 배수를 위해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받침대 본체(120)의 하면 역시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세면대(1) 위에 얹어 설치될 경우 기울어지게 안착되어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 본체(120) 하면 전측에 아래로 돌출된 하부고임대(123)를 형성함으로써 받침대 본체(120)가 세면대(1) 위에 수평으로 얹혀져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받침대 본체(120) 상면 및 받침대 본체(120) 측벽(121)의 상면에는 미끌림 방지 패턴(122)이 형성되어 있다.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이 몸부림을 치거나 움직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받침대 본체(120) 상면 및 측벽(121) 상면이 목욕물에 의해 매우 미끄러워지는 상태가 되면서 반려동물이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세면대(1) 아래로 떨어져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받침대 본체(120) 상면 및 측벽(121) 상면에 양각으로 돌출된 일정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면, 반려동물의 발바닥과 받침대 본체(120)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반려동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받침대 상면 중앙부에는 목욕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구(124)가 형성된다. 배수구(124)를 통해 흘러나가는 목욕물은 받침대 본체(120) 아래에 위치한 세면대(1)로 떨어지게 되어 세면대(1)의 배수구(124)를 통해 하수도로 배수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124)에 끼워질 수 있는 망사 형상의 거름망(1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목욕과정에 반려동물의 털이 빠져 배수구(124)를 막히게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털갈이 기간에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경우에는 그 정도가 심해 한 번의 목욕으로 배수구(124)가 막히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목욕을 시작하기 전에 배수가 거름망(125)을 끼우면 목욕과정에서 빠지는 반려동물의 털이 거름망(125)에 모아지게 되고, 털이 거름망(125)에 쌓여 목욕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거름망(125)만 분리하여 털을 제거하고 다시 배수구(124)에 끼워 반려동물의 털로 인해 배수구(124)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체결용 브라켓(110)과 체결부재(13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 도면은 체결용 브라켓의 전면형상, (b)도면은 후면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체결용 브라켓 전면에는 좌우 양측에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 본체의 측벽(121) 후측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돌출부(112)가 관통하여 삽입되고 다시 체결부재(130)가 관통하여 삽입된 후 체결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체결용 브라켓(110)과 받침대 본체(120)가 체결된다.
고정용 브라켓(110) 후면에는 접착물질(111)이 구비되어 있어 별도로 못이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박을 필요가 없으므로 욕실 벽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부착할 수 있다.
접착물질(111)은 알려진 다양한 접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받침대 본체(12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지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접착력이 필요하므로 실리콘을 도포하되, 실리콘 도면의 주위로 양면테이프나 글루건 등을 이용해 실리콘이 건조될 때까지 임시로 고정시켜주는 방법이 적합하다.
고정용 브라켓(110) 은 세면대(1)와 수전(2)의 설치된 위치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부착할 수 있으므로 세면대(1) 또는 수전(2)의 위치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전(2)이 받침대 본체(120)의 수전용 공간부(127)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용 브라켓(110) 은 세면대(1)의 수전(2) 뒤쪽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도면은 돌출부(112)에 체결용 부재가 관통하여 삽입된 것을 보다 확대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c)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2)에는 체결부재(13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조여질 수 있도록 나사산(1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산(1121)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1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만 형성되고 직선으로 연결된 양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체결부재(130)를 끼운 후, 너트와 같이 수 차례 회전을 시킬 필요 없이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약90도 정도 회전시켜도 받침대 본체(120)와 체결용 브라켓(11)을 조여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 도면은 돌출부(11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돌출부(11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와 하단부가 양측에서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 도면은 체결부재(13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돌출부(112)의 단면과 대응되는 통공(131)이 형성되어 돌출부(112)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가 세면대(1)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욕실 벽면에 세면대(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 벽면에 고정용 브라켓(110) 이 접착물질(111)로 부착된다. 세면대(1) 위로 받침대 본체(120)가 얹혀지는데 이 때 세면대(1)에 설치된 수전(2)이 수전용 공간부(127)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받침대 본체(120) 하부에 형성된 하부고임대(123)가 세면대(1)의 끝단과 맞닿아 받침대 본체(120)가 세면대(1)와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편, 받침대 본체(120)가 얹혀지면서 받침대 본체(120) 후측에 형성된 체결공에 돌출부(112)가 관통하여 삽입되고, 체결부재(130)가 다시 관통되어 삽입된 후 체결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조임으로서 체결용 브라켓과 받침대 본체(120)가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용 브라켓과 받침대 본체(120) 사이에 체결부재(130)를 더 삽입하여 체결용 브라켓과 받침대 본체(120) 후면 사이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체결부재(130)를 더 삽입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과정이 더 필요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간격만큼 한 번에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 본체(120)가 세면대(1) 위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받침대 본체(120) 위에 반려동물을 올려놓고 목욕을 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평소에 세면대(1)를 사용하는 자세와 동일하게 허리나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편한 자세로 서서 세면대(1)의 수전(2)을 사용하여 반려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고정대(140) 및 수전 거치대(141)를 표시한 도면이다.
고정홈(126)에는 고정대(14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고정대(140)가 끼워져 고정홈(126)이 고정대(140)를 파지하여 지지하게 된다.
고정홈(126)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받침대 본체(120) 내측에 좌우로 대칭 되어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대(140)의 상단에는 수전 거치대(141)가 체결되는데, 수전 거치대(141)에는 샤워수전(3)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a) 도면과 같이 수전 거치대(141)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에 고정대(140)를 관통하여 끼움으로써 고정대(140)와 수전 거치대(141)가 체결될 수 있다.
(b) 도면은 세면대(1) 위에 설치된 받침대 본체(120)의 고정홈(126)에 고정대(140)와 수전 거치대(141)를 고정시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세면대(1) 위에 받침대 본체(120)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받침대 본체(120)에 복수로 형성된 고정홈(126) 중 편리한 위치에 고정대(140)를 끼워 고정하고, 수전(2)거치대를 체결하여 샤워수전(3)(2)을 수전(2)거치대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반려견 주인은 평소처럼 샤워수전(3)을 고정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허리나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편한 자세로 서서 양손으로 보다 용이하게 반려견을 목욕시킬 수 있다.
도 5는 모발건조기 거치대(142)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 4를 참조하여 설명한대로 고정홈(126)에 수전 거치대(141)를 체결한 고정대(140)를 끼워 고정한 후, 수전 거치대(141)에 모발건조기 거치대(142)를 끼워 모발건조기(4)를 고정시킬 수 있다.
(a) 도면은 모발건조기 거치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내부에 모발건조기(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한 굴곡을 형성하되, 하면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수전 거치대(141)에 끼울 수 있도록 체결돌기(14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모발건조기의 핸들이 유도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유도홈(1422)이 형성되고, 체결돌기(1421)이 형성된 일측 상단에는 모발건조기의 송풍구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용홈(1423)이 형성된다.
(b) 도면은 세면대(1) 위에 설치된 받침대 본체(120)의 고정홈(126)에 고정대(140)와 수전 거치대(141)를 고정시킨 후 모발건조기(4)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세면대(1) 위에 받침대 본체(120)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받침대 본체(120)에 복수로 형성된 고정홈(126) 중 편리한 위치에 고정대(140)를 끼워 고정하고, 수전 거치대(141)를 체결한 후 수전 거치대에(141) 모발건조기 거치대(142)를 끼우고 여기에 모발건조기(4)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모발건조기(4)를 고정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허리나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편한 자세로 서서 양손으로 보다 용이하게 반려견을 목욕시킨 후 반려견의 모발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욕실 내부에서 반려동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욕실 외부로 반려동물의 털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스크린(150)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린(150)에는 사각형 형상의 스크린부(1501)가 형성되고 스크린부(1501) 하단 좌우 양측에 고정홈(126)에 끼울 수 있는 체결대(150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대(1502)가 형성되는 간격은 받침대 본체(120)에 복수로 형성된 고정홈(126) 중 좌우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126)이 형성된 간격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받침대 본체(120) 좌우 양측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
받침대 본체(120) 측면에 스크린을 체결함으로써 일 측 방향이 차단되므로, 목욕과정에서 목욕물이 주변으로 튀거나 반려동물이 낙하하여 부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익스텐션(160)을 도시한 도면이다.
(a) 도면은 익스텐션(16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단에 직사각형 형상의 연장부(160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 좌우 측단에서 연장되어 고정홈(126)에 끼울 수 있는 체결돌기(160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602)가 형성되는 간격은 받침대 본체(120)에 복수로 형성된 고정홈(126) 중 좌우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126)이 형성된 간격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받침대 본체(120) 좌우 양측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
(b) 도면은 세면대(1) 위에 설치된 받침대 본체(120)의 고정홈(126)에 익스텐션(160)을 끼워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받침대 본체(120) 측면에 익스텐션(160)을 체결함으로써 익스텐션(160)의 연장부에 반려동물이 발을 대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체형이 커서 받침대 본체(120)에 안정적으로 올려놓는 것이 어려운 반려동물들도 안정적으로 올려 목욕을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가 구현된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는 벽부착용 수납부재(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벽부착용 수납부재(210)를 도시한 것으로서, (a), (b) 도면은 각각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는 고정용 브라켓(110)의 돌출부(112)가 삽입되는 통공(211)이 형성되고, 하단에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120)를 지지하는 지지대(2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12) 중앙에는 연통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본체(120)가 상기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 체결될 경우 상기 수전용 공간부(127)의 하단에 상기 연통홈(213)이 위치하여 목욕물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홈(213)의 후면에 복수의 배수공(214)이 형성되어 상기 목욕물 유입구를 통해 흘러 들어온 목욕물이 배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공(211)은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총 4개가 형성되고, 벽부착용 수납부재(210)후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체결용 브라켓(110)의 형상과 대응되게 홈이 형성되어 체결용 브라켓(110)이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욕실 벽면에 체결용 브라켓(110) 2개가 상기 벽부착용 수납부재(210) 후면에 형성된 홈의 상하 간격과 대응되게 부착되고, 체결용 브라켓(110)이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의 후면 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후면 홈에 체결용 브라켓(110)을 삽입한다.
이 때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 형성된 통공(211)에 체결용 브라켓(110)의 돌출부(112)가 관통하여 삽입되고 다시 체결부재(130)가 관통하여 삽입된 후 체결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체결용 브라켓(110)과 벽부착용 수납부재(210)가 체결된다.
도 9는 벽부착형 수납부재(210)에 받침대 본체(12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부착형 수납부재가 체결용 브라켓과 체결되어 욕실 벽에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받침대 본체(120)를 벽부착형 수납부재의 하단에 체결하게 된다.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 형성된 통공에 벽부착형 수납부재 하단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체결용 브라켓의 돌출부(112 )가 관통하여 삽입되고 다시 체결부재(130)가 관통하여 삽입된 후 체결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받침대 본체(120)와 벽부착용 수납부재(210)가 체결된다.
여기서 받침대 본체(120)와 벽부착형 수납부재 사이에 체결부재(130)를 더 삽입하여 받침대 본체(120) 후면과 벽부착형 수납부재(210) 사이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받침대 본체(120)가 벽부착형 수납부재(21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받침대 본체(120) 위에 반려동물을 올려놓고 목욕을 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평소에 세면대(1)를 사용하는 자세와 동일하게 허리나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편한 자세로 서서 반려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받침대 본체(120)와 벽부착형 수납부재(210)가 체결되면 벽부착형 수납부재(210)의 지지대(212) 중앙에 형성된 연통홈(213)이 받침대 본체(120)의 수전용 공간부(127)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수전용 공간부(127)와 연통홈(213)이 공간적으로 이어지면서 목욕물 유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목욕물은 상기 목욕물 유입구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상기 목욕물은 벽부착형 수납부재(210) 후면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길이방향 배수공(214)을 통해 벽부착형 수납부재 외부로 배수된다.
이 때, 상기 배수공(214)은 욕실벽면과 접해 있어 배수공(214)을 통해 흘러나온 목욕물은 벽을 타고 흘러내리므로, 사용자에게 목욕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받침대 본체(120)가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서 지지대(212) 상단은 받침대 본체(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 본체(120)를 세웠을 때 받침대 본체(12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수용공간을 지지대(212) 상단 부분에 형성하여 받침대 본체(120)를 세워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받침대 본체(120)를 수용할 수 있다.
받침대 본체(1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위와 같이 수용공간에 받침대 본체(120)를 수용함으로써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받침대 본체(120)를 보관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세면대
2 : 수전
3 : 사워수전
110 : 고정용 브라켓
111 : 접착부
112 : 돌출부
1121 : 나사산
120 : 받침대 본체
121 : 측벽
122 : 미끌림방지패턴
123 : 하부고임대
124 : 배수구
125 : 거름망
126 : 고정홈
127 : 수전용 공간부

130 : 체결부재
131 : 관통공
140 : 고정대
141 : 수전 거치대
142 : 헤어드라이어 거치대
1421 : 체결돌기
1422 : 유도홈
1423 : 수용홈
150 : 스크린
1501 : 스크린부
1502 : 체결돌기
160 : 익스텐션
1601 : 연장부
1602 : 체결돌기
210 : 벽부착용 수납부재
211 : 통공
212 : 지지대
213 : 연통홈
214 : 배수공

Claims (8)

  1. 전면에 나사산(1121)이 형성된 돌출부(112)가 구비되는 고정용 브라켓(110); 및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2)가 상기 체결공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고정용 브라켓(110)에 체결되는 받침대 본체(120);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본체(120)는 상면에서 외곽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121), 상기 측벽(121)에서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홈(126), 상기 측벽(121) 중 일부가 상기 상면의 후단에서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굴곡지면서 형성되는 수전용 공간부(127) 및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고임대(123)를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본체(120)는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벽(121)의 상면에 미끌림 방지 패턴(1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구(124) 및 상기 배수구(124)에 끼워지는 거름망(125)을 더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브라켓(110)의 상기 돌출부(112)가 삽입되는 통공(211)이 형성되는 벽부착용 수납부재(210)를 더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착용 수납부재(210)는 하단에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120)를 지지하는 지지대(2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12) 중앙에는 연통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본체(120)가 상기 벽부착용 수납부재(210)에 체결될 경우 상기 수전용 공간부(127)의 하단에 상기 연통홈(213)이 위치하여 목욕물 유입구(214)를 형성하고, 상기 벽부착형 수납부재(210) 후면에 복수의 배수공(214)이 형성되어 상기 목욕물 유입구(214)을 통해 흘러 들어온 목욕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2)는 단면 형상이 원호 모양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양 측에서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에만 나사산(112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2)의 단면 형상 대응하는 통공(131)이 형성되는 체결부재(130)가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112)에 상기 체결부재(130)의 상기 통공(131)을 관통하여 끼움으로서 상기 받침대 본체(120)가 체결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2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대(140) 및 고정대 상단에 체결되는 수전거치대 (142) 및 상기 수전거치대(142)에 체결되는 모발건조기 거치대(142)를 더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2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크린(150)을 더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2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익스텐션(160)을 더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KR1020180014003A 2018-02-05 2018-02-05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KR10203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03A KR102030916B1 (ko) 2018-02-05 2018-02-05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03A KR102030916B1 (ko) 2018-02-05 2018-02-05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35A KR20190094635A (ko) 2019-08-14
KR102030916B1 true KR102030916B1 (ko) 2019-10-10

Family

ID=6762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03A KR102030916B1 (ko) 2018-02-05 2018-02-05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97A (ko) 2020-12-08 2022-06-15 이재언 반려동물 목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24B1 (ko) * 2019-12-05 2020-12-03 김병현 애완동물용 욕조
KR102372482B1 (ko) * 2021-09-16 2022-03-10 주식회사 오스터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954A (ko) 2013-11-25 2015-06-03 이재혁 소형 애완견 욕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97A (ko) 2020-12-08 2022-06-15 이재언 반려동물 목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35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916B1 (ko)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US5181284A (en) Infant bathtub
US5974601A (en) Small animal washing container
US7047577B1 (en) Portable shower stall for invalids
US5711252A (en) Pet bath apparatus
US5926866A (en) Movable bathtub for a baby
US5809588A (en) Collapsible baby tub
US20060037133A1 (en) Shower tray
US10893779B1 (en) Foam roll bath mat
US6298501B1 (en) Bathing structure table and associated method
JP2006218066A (ja) 浴室用椅子
KR101348743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장치
JP2005224540A (ja) 浴室用洗面器及び浴室用備品載置台
US6405388B1 (en) Sink and drained area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0485509Y1 (ko) 크로젯형 유니트 화장실
JP2009261626A (ja) 浴室構造
KR102372482B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US11758881B1 (en) Pet bathing enclosure
KR101325099B1 (ko) 샤워기 및 욕실용품을 구비한 욕실용 샤워보드
KR200432920Y1 (ko) 발 세척 겸용 세탁장치
US10758090B2 (en) Dry floor bath tub attachment
US6637047B1 (en) Waterfall-simulated wall structure for a shower stall/tub
KR200300781Y1 (ko) 부착식 대야
KR101571236B1 (ko) 시각 장애인용 욕실기구
JP3460014B2 (ja) シャワーホース保持具を取付けた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