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197A - 반려동물 목욕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목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197A
KR20220081197A KR1020200170821A KR20200170821A KR20220081197A KR 20220081197 A KR20220081197 A KR 20220081197A KR 1020200170821 A KR1020200170821 A KR 1020200170821A KR 20200170821 A KR20200170821 A KR 20200170821A KR 20220081197 A KR20220081197 A KR 2022008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hammock
supply unit
bathtub
bathtub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641B1 (ko
Inventor
이재언
Original Assignee
이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언 filed Critical 이재언
Priority to KR102020017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6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욕조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욕조공간에서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해 목욕을 한 후,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드라이가 가능한 반려동물 목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목욕 장치{PET B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려동물 목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에게서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반려견이나 반려묘를 기르는 가정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려견의 견주는 애견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문 애견샵에서 목욕, 헤어커트 등의 뷰티서비스를 이용한다.
하지만, 전문 반려견샵의 뷰티서비스 이용시 매회 많은 비용이 필요함으로써, 애견 유지비용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을 많이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보통 반려견의 견주들은 자신의 집 욕실에서 샤워기나 욕조 등을 이용해 반려견의 목욕을 진행한 후, 헤어드라이기를 통해 애견의 털을 말리는 일을 직접한다. 이처럼, 집에서 반려견의 목욕을 직접 하는 경우, 보통 가정의 욕실에서 쪼그리고 앉아, 손으로 샴푸를 묻혀 비벼서 거품을 내고, 가정 샤워기로 헹굼을 하여 목욕시키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목욕을 마친 후에는 반려견의 털로 인해 배수구와 하수구가 막히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반려견도 불편한 상태에서 목욕을 하다 보니 반려견이 목욕을 기피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반려견을 목욕시키기 위한 반려견 전용의 욕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반려견 욕조는 단순히 욕조의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목욕을 기피하는 반려견이 도망가지 못하고 욕조 안에 있을 수 있다는 장점만 있을 뿐, 여전히 반려견을 목욕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반려견 욕조는 별도의 드라이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반려견 목욕 후 신속하게 반려견 털을 말리기 위해서 별도로 판매하는 비싼 드라이룸을 구비해야하고, 이러한 드라이룸은 부피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이로 인해 보관도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0916호(2019.10.02)
본 발명은 물 공급부, 버블 공급부 등을 포함하여 욕조공간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보다 편리하게 반려견을 목욕시킬 수 있고,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여 별도로 드라이룸이나 가정용 드라이를 이용해서 털을 말리지 않고도 빠르게 반려견의 털을 말릴 수 있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에어 공급부가 커버부에 마련되어, 욕조공간에서 반려견의 목욕을 마친 상태에서 커버부를 덮어서 바로 반려견의 털을 말릴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욕조공간에서 목욕과 드라이가 가능한 반려동물 목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목욕을 하는 동안 반려견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해먹 형태의 안착부를 포함하여, 반려견과 반려견주 모두 편안하게 목욕을 할 수 있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욕조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욕조공간에서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해 목욕을 한 후,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드라이가 가능한 반려동물 목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후크; 및 상기 고정후크에 고정되며 상기 욕조공간 내에 위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는, 반려동물의 복부 및 가슴부위를 지지하는 해먹부; 및 상기 해먹부의 복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에 고정되어, 상기 해먹부를 상기 바디부 내측 바닥면과 이격시키되, 반려동물의 체중에 따라 인장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먹부에 반려동물의 복부 및 가슴부위가 지지됨으로써, 반려동물의 다리가 상기 욕조공간 내의 허공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목욕하는 동안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먹부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 형태로 형성되어 통풍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는 반려동물의 머리 또는 목 부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턱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일 측에는 상기 턱받침부와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머리가 상기 욕조공간 외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머리 돌출부가 형성되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 공급부, 버블 공급부 등을 포함하여 욕조공간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보다 편리하게 반려견을 목욕시킬 수 있고,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여 별도로 드라이룸이나 가정용 드라이를 이용해서 털을 말리지 않고도 빠르게 반려견의 털을 말릴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부가 커버부에 마련되어, 욕조공간에서 반려견의 목욕을 마친 상태에서 커버부를 덮어서 바로 반려견의 털을 말릴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욕조공간에서 목욕과 드라이가 가능하다.
또한, 목욕을 하는 동안 반려견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해먹 형태의 안착부를 포함하여, 반려견과 반려견주 모두 편안하게 목욕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에 안착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후크에 형성된 끼움홈부에 무게센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설치부가 설치된 반려동물 목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설치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 장치(1)는 안착부(4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반려동물을 안정적으로 욕조 공간에 안착시킨 후 목욕시킬 수 있으며, 드라이 과정까지 동시에 할 수 있다.
반려동물 목욕 장치(1)는 바디부(10), 조작부(20), 고정후크(30), 안착부(40) 및 커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바디부(10), 조작부(20) 및 고정후크(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디부(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욕조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외통(11), 내통(12), 욕조공간(13), 턱받침부(14), 지지턱(15), 물공급부(16), 버블공급부(17), 비누 공급부(18) 및 배수구(19)를 포함할 수 있다.
외통(11)과 내통(12)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통(11)과 내통(12) 사이의 공간에는 물공급부(16)의 구성, 버블공급부(17)의 구성, 배수구(19) 구조, 전원 패널 구성, 제어 패널 등 다양한 구성들이 내장될 수도 있다. 내통(12)의 내부에는 욕조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욕조공간(13)에는 반려동물이 안착되어 목욕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턱받침부(14)는 바디부(10)의 일 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머리 또는 목 부위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욕조공간(13)에 반려동물의 몸이 들어간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머리와 목은 턱받침부(14)에 받쳐져서, 반려동물의 얼굴이 욕조공간(13)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턱(15)은 바디부(10)의 상측 내측벽에서 내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턱(15)은 바디부(10)의 4개의 모서리의 상부 내측벽에서 내부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지지턱(15)에는 후술할 고정후크(30)가 고정될 수 있다.
물공급부(16)는 욕조공간(13)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물공급부(16)가 바디부(1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통(12)의 측벽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물공급부(16)는 온수, 정수, 냉수 모두 공급할 수 있으며, 조작부(20)에서 설정된 온도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버블공급부(17)는 욕조공간(13) 내에 수용된 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미세기포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효과, 미용 효과가 있다.
비누 공급부(18)(도 10참조)는 욕조공간(13) 내에 설치되어 액체 또는 거품 형태로 비누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누 공급부(18)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비누나 샴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배수구(19)는 바디부(10)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욕조공간(13) 내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반려동물 목욕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0)는 버튼 방식 또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20)를 통해 전원 on/off 버튼, 작동 시간 타이머(90), 물 양 조절, 수압 조절, 버블 작동, 비누 양 조절 등 목욕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고정후크(30)는 지지턱(15)에 형성되어 안착부(40)의 스트랩(42)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후크(30)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턱(15)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후크(30)는 바디부(10)의 4개의 모서리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에 안착부(4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착부(40)는 고정후크(30)에 고정되며 욕조공간(1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안착부(40)는 해먹부(41) 및 스트랩(42)을 포함할 수 있다.
해먹부(41)는 욕조공간(13) 내에 위치되어 반려동물의 복부 및 가슴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해먹부(41)는 반려동물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반려동물의 신체에 접촉되었을 때 거부감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해먹부(41)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해먹부(41)는 반려동물의 체중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으로 인장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체중에 따라 중심부가 하방으로 인장될 수 있다. 또한, 해먹부(41)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어 통풍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목욕하는 동안 물이 관통될 수 있어, 반려동물의 복부와 가슴부위가 습해짐에 따라 피부가 짓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랩(42)은 해먹부(41)의 복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고리부에 걸릴 수 있다. 스트랩(42)은 해먹부(41)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바디부(10)에 설치된 4개의 고정후크(30) 각각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42)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해먹부(41)를 바디부(10) 내측 바닥면과 이격시키되, 반려동물의 체중에 따라 인장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먹부(41)는 사각형의 형태에서 각 모서리가 사선으로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42)은 사선으로 절단된 각각의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선으로 절단된 부분 각각에 스트랩(42) 각각이 연결되되, 각 스트랩(42)이 연결될 때, 스트랩(42)의 일 단은 사선으로 절단된 부분 중 일 측의 모서리에 연결되고, 스트랩(42)의 타 단은 사선으로 절단된 부분 중 타 측의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착부(40)에 반려동물이 안착될 때, 스트랩(42)의 일 단과 스트랩(42)의 타 단이 이격된 사이로 반려동물의 다리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앞다리는 안착부(40)의 양 측 각각에 연결된 각각의 스트랩(42)의 일 단과 타 단 사이로 끼워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착부(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해먹부(41)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해먹부(4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먹부(41)는 제1 해먹(411)과 제2 해먹(412)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해먹(411)에는 홀부(4111)가 형성되고, 제2 해먹(412)에는 돌기부(41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해먹(411)에는 양 측 단부에 복수의 홀부(4111)가 서로 이격 형성되고, 제2 해먹(412)에는 양 측 단부에 홀부(4111)에 끼움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돌기부(4121)가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4121)는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2 해먹(412)이 제1 해먹(411)의 상면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해먹(411)의 복수의 홀부(4111) 중 어느 홀부(4111)에 제2 해먹(412)의 돌기부(4121)를 끼우는지에 따라 제1 해먹(411)과 제2 해먹(4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부(50)는 바디부(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커버부(50)는 머리 돌출부(51), 에어 공급부(52) 및 에어홀(53)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 돌출부(51)는 커버부(50)의 일 측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머리 돌출부(51)는 커버부(50)에 형성될 때, 바디부(10)의 턱받침부(14)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머리 돌출부(51)와 턱받침부(14)가 연결된 공간을 통해 반려동물의 머리가 욕조공간(13)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목욕시간 동안, 반려동물의 신체는 욕조공간(13) 내에 위치하고 반려동물의 머리는 욕조공간(13)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욕동안 반려동물의 눈, 귀, 코, 입에 비누나 물이 들어가지 않아 안전하여 목욕이 가능하다.
에어 공급부(52)는 바디부(1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50)가 바디부(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에어 공급부(52)가 작동되면, 에어홀(53)을 통해 욕조공간(13)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는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 온풍, 냉풍 등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는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 에어 공급부(52)는 에어 펌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50)의 상측 또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공급부(52)는 커버부(50) 내면에 형성된 에어홀(53)로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홀(53)을 통해 바디부(10) 내측의 욕조공간(13)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부(50)에서 에어가 공급됨에 따라, 욕조공간(13)내에서 목욕을 마친 후, 곧바로 반려동물의 털을 드라이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50)에는 UV 살균램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에어 공급부(52)가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동안, UV 살균램프에서 UV 빛을 조사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신체에 있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UV 살균램프를 사용함에 따라 아토피, 접촉성 피부염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후크(30)에 형성된 끼움홈부(31)에 무게센서(32)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후크(30)는 끼움홈부(31) 및 무게센서(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홈부(31)는 고정후크(30)의 전체 길이 중 일정 길이에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끼움홈부(31)에는 스트랩(42)이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홈부(31)의 외측 둘레에 스트랩(42)이 감싸질 수 있다.
무게센서(32)는 끼움홈부(31)가 형성된 부분의 고정후크(3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무게센서(32)는 스트랩(4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압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이 해먹부(41)에 안착되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라 스트랩(42)에 무게가 가해지면서 인장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부(31)에 끼워진 상태로 스트랩(42)에 무게가 가해지게 된다. 스트랩(42)에 무게가 가해짐에 따라 스트랩(42)이 끼워진 끼움홈부(31)에도 무게에 따른 압력이 가해지고, 끼움홈부(31) 내의 무게센서(32)에도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무게센서(32)에서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량 계산부(70)(도 12 참조)반려동물의 체중을 산출할 수 있다.
무게센서(32)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중량 계산부(70)에서 반려동물의 체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중량에 따라 시간 산출부(80)는 에어 공급부(52)가 작동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60)는 에어 공급부(52)가 작동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반려동물의 체중을 산출하여, 반려동물의 드라이 시간 범위를 산출하여 자동으로 에어 공급부(52)의 작동 시간을 산출하여 자동화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조작부(20)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설정값에 따라, 물공급부(16), 버블공급부(17), 비누 공급부(18), 에어 공급부(52), 후술할 모터부(330), 무게센서(32), 중량 계산부(70), 시간 산출부(80) 및 타이머(9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42) 설치부가 설치된 반려동물 목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42) 설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바디부(10)에는 고정후크(30)를 대체하여 스트랩설치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설치부(300)는 스트랩(42)을 권취 및 권출하여 스트랩(4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스트랩설치부(300)는 회전바(310), 지지바(320) 및 모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바(310)는 스트랩(42)이 권출 및 권취되도록 모터부(3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바(310)에는 스트랩(42)의 일 측이 고정되어, 회전바(3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바(310)에 스트랩(42)이 권출되고, 회전바(31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바(310)에서 스트랩(42)이 권취될 수 있다.
지지바(320)는 회전바(310)가 회전가능하게 회전바(310)를 지지할 수 있다.
모터부(330)는 회전바(310)의 일 단에 연결되어 회전바(310)를 축 회전시킬 수 있다.
스트랩설치부(300)를 통해 반려동물의 신체 조건에 따라 스트랩(42)을 권출 또는 권취하여 반려동물이 욕조공간(13) 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반려동물 목욕 장치
10: 바디부 11: 외통
12: 내통 13: 욕조공간
14: 턱받침부 15: 지지턱
16: 물 공급부 17: 버블 공급부
18: 비누 공급부 19: 배수구
20: 조작부 30: 고정후크
31: 끼움홈부 32: 무게센서
300: 스트랩설치부 310: 회전바
320: 지지바 330: 모터부
40: 안착부 41: 해먹부
411: 제1 해먹 4111: 홀부
412: 제2 해먹 4121: 돌기부
42: 스트랩 50: 커버부
51: 머리 돌출부 52: 에어 공급부
53: 에어홀 60: 제어부
70: 중량 계산부 80: 시간 산출부
90: 타이머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욕조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욕조공간에서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해 목욕을 한 후,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드라이가 가능한 반려동물 목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후크; 및
    상기 고정후크에 고정되며 상기 욕조공간 내에 위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는,
    반려동물의 복부 및 가슴부위를 지지하는 해먹부; 및
    상기 해먹부의 복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에 고정되어, 상기 해먹부를 상기 바디부 내측 바닥면과 이격시키되, 반려동물의 체중에 따라 인장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먹부에 반려동물의 복부 및 가슴부위가 지지됨으로써,
    반려동물의 다리가 상기 욕조공간 내의 허공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목욕하는 동안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먹부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 형태로 형성되어 통풍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는 반려동물의 머리 또는 목 부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턱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일 측에는 상기 턱받침부와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머리가 상기 욕조공간 외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머리 돌출부가 형성되는 반려동물 목욕 장치.
KR1020200170821A 2020-12-08 2020-12-08 반려동물 목욕 장치 KR10254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21A KR102546641B1 (ko) 2020-12-08 2020-12-08 반려동물 목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21A KR102546641B1 (ko) 2020-12-08 2020-12-08 반려동물 목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197A true KR20220081197A (ko) 2022-06-15
KR102546641B1 KR102546641B1 (ko) 2023-06-21

Family

ID=8198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821A KR102546641B1 (ko) 2020-12-08 2020-12-08 반려동물 목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64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511Y1 (ko) * 2000-06-01 2000-11-15 최영 애완견 다기능 욕조기
KR20190007279A (ko) *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 동우테크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KR20190063006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20190063007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102030916B1 (ko) 2018-02-05 2019-10-10 김철희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KR102035705B1 (ko) * 2018-11-27 2019-10-23 한미향 반려동물용 욕조
KR102106636B1 (ko) * 2017-11-29 2020-05-04 (주)다나티앤씨 반려동물용 접이식 목욕 받침대
KR20200082898A (ko) * 2018-12-31 2020-07-08 이주연 애완동물 움직임 방지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511Y1 (ko) * 2000-06-01 2000-11-15 최영 애완견 다기능 욕조기
KR20190007279A (ko) *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 동우테크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KR20190063006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20190063007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102106636B1 (ko) * 2017-11-29 2020-05-04 (주)다나티앤씨 반려동물용 접이식 목욕 받침대
KR102030916B1 (ko) 2018-02-05 2019-10-10 김철희 반려동물용 목욕받침대
KR102035705B1 (ko) * 2018-11-27 2019-10-23 한미향 반려동물용 욕조
KR20200082898A (ko) * 2018-12-31 2020-07-08 이주연 애완동물 움직임 방지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641B1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966A (en) Automatic animal washing system
US20110017147A1 (en) Pet grooming station and system
US11375857B2 (en) Automatic system for providing full body shower to a user
US10143182B1 (en) Multifunction washer box
JP2004538114A (ja) 身体乾燥機を備えたシャワー室機構
JP2007512830A (ja) ペット用美容、医療及び浴槽システム
US11700977B2 (en) Automatic system for providing full body shower to a user
KR20110110519A (ko) 애완동물 목욕거치대
KR20190028243A (ko) 가발세탁기
KR102035705B1 (ko) 반려동물용 욕조
JP3104931U (ja) ペット用お風呂装置
KR102546641B1 (ko) 반려동물 목욕 장치
KR20070098316A (ko) 그루밍 테이블이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된 애완동물용 욕조시스템
KR20180002645U (ko) 애완동물 샤워 장치
KR101934507B1 (ko) 애완동물용 욕조
KR102546642B1 (ko) 반려동물 목욕 시스템
KR20190056271A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US3854148A (en) Sheet covering means for hair coloring, permanent waving, and hair conditioning
KR20050053477A (ko) 애완동물용 미용, 의료 및 욕조 시스템
KR101377310B1 (ko) 애완동물의 샤워장치
KR102172055B1 (ko) 목욕 기능을 구비한 애완견 하우스
KR20190046488A (ko) 애완동물용 샤워기
KR200241156Y1 (ko) 애완동물 목욕 및 미용 보조장치
KR101995534B1 (ko)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KR102031072B1 (ko) 반려동물 목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