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831B1 -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 Google Patents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831B1
KR102030831B1 KR1020170148982A KR20170148982A KR102030831B1 KR 102030831 B1 KR102030831 B1 KR 102030831B1 KR 1020170148982 A KR1020170148982 A KR 1020170148982A KR 20170148982 A KR20170148982 A KR 20170148982A KR 102030831 B1 KR102030831 B1 KR 10203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arch
lateral
foot
sock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029A (ko
Inventor
신관호
김태목
Original Assignee
김태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목 filed Critical 김태목
Priority to KR102017014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831B1/ko
Priority to US15/848,683 priority patent/US20190133203A1/en
Publication of KR2019005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말 바닥면에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외측족궁지지부 중 일정 영역이 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 상부측으로 함몰되는 외측족궁함몰부가 형성되어 양말을 착용하는 착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후외측으로 위치하게 함에 따라 엄지발가락에 가중되는 하중이 감소되도록 하며, 보행시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 2중족골 사이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도록 하여 발의 회내전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회내전 후 회외전이 보다 쉽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에 착용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의 바닥면은 착용자의 종골과 입방골 및 제4, 5중족골로 이루어지는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외측족궁지지부가 일정영역 저면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외측족궁함몰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는 외측족궁지지부 중 종골과 입방골 및 제4, 5중족골의 후방 일정지점을 지지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를 제외한 양말의 바닥면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족궁함몰부의 함몰 두께는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를 제외한 양말의 바닥면의 1/3 내지 2/3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는 중앙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계선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Socks with lateral plantar arches}
본 발명은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말 바닥면에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외측족궁지지부 중 일정 영역이 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 상부측으로 함몰되는 외측족궁함몰부가 형성되어 양말을 착용하는 착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후외측으로 위치하게 함에 따라 엄지발가락에 가중되는 하중이 감소되도록 하며, 보행시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 2중족골 사이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도록 하여 발의 회내전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회내전 후 회외전이 보다 쉽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발 골격은 평지를 걷는데 가장 효과적으로 진화되었는데, 인간의 발은 33개의 관절과, 28개의 뼈, 그리고 44개의 크고 작은 근육과 힘줄로 형성되어 걸음을 걸을때 이 모든 구조들이 제각기 특이한 활동을 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뼈는 종골(calcaneus), 거골(talus), 주상골(navicular bone), 입방골(cuboid bone), 설상골(cuneiform), 중족골(metatarsal bone), 절골(phalanx) 등으로 이루어진다.
발에는 2개의 족궁(pedal arches)이 있다. 발 안쪽에 내측 족궁(medial plantar arch)과 발 바깥쪽에 외측 족궁(lateral plantar arch)가 있다.
내측족궁을 이루는 뼈들은 종골(calcaneus), 거골(talus), 주상골(navicualr), 설상골(cuneiform) 및 제1중족골(first metarsal bone)이다.
아울러 외측족궁을 이루는 뼈들은 종골(calcaneus), 입방골(cuboid) 및 제4, 5중족골(fourth and fifth metartarsal)이다.
내측족궁(medial plantar arch)의 작용은 체중부하로 인한 충격을 감소하게 하고, 보행중 발바닥이 땅에 완전히 닿았을 때, 즉 체중이 한쪽 하지에 가중될때 다리뼈(경골, tibia)는 내향을 함과 동시에 거골은 발목 관절안에서 내향을 하여 내측족궁을 가라앉게 한다(pronation). 예를 들면 내측족궁은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한다.
그런데, 내측족궁이 필요 이상 너무 주저 앉으면(hyper-pronation) 여러가지 정형학적 하지질병이 생긴다. 이로 인한 대표적인 질병이 회내 비틀림 증후군(Pronation Distortion Syndrome)인데, 회내 비틀림 증후군이란 과도한 발의 회내전(pronation) 혹은 평발이 수반되는 무릎의 내회전(internal rotation)과 내전(adduction) 상태(외반슬, knock-kneed)를 의미한다.
이런 과도한 비틀림 패턴은 발, 발목, 무릎, 엉덩이, 허리통증에 까지 연결되는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경골, 대퇴골, 골반의 정렬에 변화를 유발하여 골반과 아래쪽 허리에 내회전 스트레스를 누적시킴에 따라 연부조직(아킬레스건, 족궁, 슬개골힘줄, 장경인대)의 부상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거골하 관절, 슬개골 관절, 정강넙다리관절, 장골대퇴골의 관절, 천장관절에 압박을 가하며, 골반의 전방경사를 야기한다.
2° 내지 3°의 발의 회내(pronation)는 서있을 때 20% 내지 30%의 골반 경사를 만들고 보행시에는 50% 내지 70%의 전방경사(anterior pelvic tilt)를 유발하여 허리와 척추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도회내전(hyper-Pronation)을 방지하고 회외전(supination)을 유도하도록 하는 양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양말 바닥면에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외측족궁지지부 중 일정 영역이 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 상부측으로 함몰되는 외측족궁함몰부가 형성되어 양말을 착용하는 착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후외측으로 위치하게 함에 따라 엄지발가락에 가중되는 하중이 감소되도록 하며, 보행시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 2중족골 사이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도록 하여 발의 회내전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회내전 후 회외전이 보다 쉽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발에 착용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의 바닥면은 착용자의 종골과 입방골 및 제4, 5중족골로 이루어지는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외측족궁지지부가 일정영역 저면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외측족궁함몰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는 외측족궁지지부 중 종골과 입방골 및 제4, 5중족골의 후방 일정지점을 지지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를 제외한 양말의 바닥면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족궁함몰부의 함몰 두께는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를 제외한 양말의 바닥면의 1/3 내지 2/3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측족궁함몰부는 중앙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계선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말 착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후외측으로 위치하게 함에 따라 엄지발가락에 가중되는 하중이 감소되도록 하며, 보행시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 2중족골 사이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도록 하여 발의 회내전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회내전 후 회외전이 보다 쉽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회내전의 지연을 통해 허리를 세워주고 회내 비틀림 증후군, 관절염, 무지외반증 및 족저근막염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의 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말 착용자의 착지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말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말 착용자의 착지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말(100)은 그 바닥면(10)이 외측족궁지지부(11)와 내측족궁지지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측족궁지지부(11) 및 내측족궁지지부(12)는 각각 외측족궁 및 내측족궁을 지지하는 양말(100)의 바닥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외측족궁 및 내측족궁은 발의 2개 족궁(pedal arches)에 해당한다.
내측족궁을 이루는 뼈들은 종골(calcaneus), 거골(talus), 주상골(navicualr), 설상골(cuneiform) 및 제1중족골(first metarsal bone)이 해당되고, 외측족궁을 이루는 뼈들은 종골(calcaneus), 입방골(cuboid) 및 제4, 5중족골(fourth and fifth metartarsal)이 해당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양말(100)은 외측족궁지지부(11) 중 일정영역에 외측족궁함몰부(1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족궁함몰부(11a)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말 바닥면(10)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외측족궁함몰부(11a)의 양 모서리측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족궁함몰부(11a)의 형성에 따라 양말 착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무게 중심이 후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보행시에는 무게중심이 종골의 외측부에서 입방골로, 입방골에서 제5중족골을 거쳐 제1 및 제2중족골 사이로 이동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외측족궁함몰부(11a)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스탠딩시 무게중심은 거골 전방측 주상골 사이에 떨어져 아치부가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무게는 종골과 제1 및 제5 중족골(특히 두(head)부분)에서 분할하여 받게 된다.
아울러 보행시에는 무게중심 이동 패턴은 주상골에서 거골로 다시 오면서 종골로 갔다가 다시 입방골 -> 발의 중심 -> 1,2 중수지골 사이로 빠지게 된다.
이러한 보행시의 무게중심 이동에 따라 발이 내측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내전(pronation)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경우 착용자가 스탠딩시 무게 중심을 종골측에 70% 내지 80% 정도 가중되도록 하여 앞서 언급한 기존의 무게 중심 이동과는 다른 형태를 가진다.
즉, 무게 중심 이동이 종골에서 바로 입방골 -> 발의 중심 -> 제1 및 제2 중족골 사이로 빠지게 한다. 이에 따라 기존보행에서 일어나는 회내전(pronation)을최대한 늦게 일어나도록 지연시키고 회내전 후 회외전(supination)이 보다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외측족궁함몰부(11a)의 형성에 따라 보행시의 무게중심 이동 패턴이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로 허리가 보다 세워지며, 회내 비틀림 증후군, 관절염, 무지외반증 및 족저근막염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착용자가 스탠딩하고 있는 모습을 살펴보면 무게중심이 후외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앞발이 들리게 됨에 따라 종골 중심으로부터 약간 외측 지점에 체중의 대부분이 가중되게 된다.
이를 통해 앞발의 긴장이 완화되고 발이나 발목 및 무릎의 회내전이 방지되며 회내전이 이미 시작된 착용자의 경우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족궁함몰부(11a)는 상기 외측족궁지지부(11)의 일정영역 저면측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중족골 중간의 위치에서 외측까지 직선으로 형성된 가로 모서리 및 상기 바닥면(10)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4 중족골 위치에서 상기 종골에 이르는 직선으로 형성된 세로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모서리와 세로 모서리가 만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족궁함몰부(11a)의 형성 영역은 착용자의 대상 나이, 성별에 따라 외측족궁지지부(11)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측족궁함몰부(11a)의 형성에 따라 해당 영역의 양말 두께는 이를 제외한 영역의 두께에 비해 1/3 내지 2/3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외측족궁함몰부(11a)의 형성 영역 두께가 2mm인 경우, 이를 제외한 바닥면(10)의 두께는 4mm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족궁함몰부(11a)의 두께 단차로 인해 전술한 무게중심의 후외측 이동이 유도되고 회내전 지연 효과가 발생된다.
아울러 이러한 외측족궁함몰부(11a)의 형성을 위해 직조시 해당 영역의 두께를 고려하여 직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한 두께로 바닥면(10)을 형성한 후 외측족궁함몰부(11a) 영역의 양말 바닥면을 절개, 제거한 후 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직물로 봉제를 수행하여 외측족궁함몰부(1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바닥면 11 : 외측족궁지지부
11a : 외측족궁함몰부 12 : 내측족궁지지부
100 : 양말

Claims (4)

  1. 발에 착용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100)의 바닥면(10)은
    착용자의 종골과 입방골 및 제4, 5중족골로 이루어지는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외측족궁지지부(11);
    상기 외측족궁지지부(11)의 일정영역 저면측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중족골 중간의 위치에서 외측까지 직선으로 형성된 가로 모서리 및 상기 바닥면(10)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4 중족골 위치에서 상기 종골에 이르는 직선으로 형성된 세로 모서리를 포함하는 외측족궁함몰부(11a);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모서리와 세로 모서리가 만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48982A 2017-11-09 2017-11-09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KR10203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82A KR102030831B1 (ko) 2017-11-09 2017-11-09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US15/848,683 US20190133203A1 (en) 2017-11-09 2017-12-20 Socks with lateral plantar arc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82A KR102030831B1 (ko) 2017-11-09 2017-11-09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29A KR20190053029A (ko) 2019-05-17
KR102030831B1 true KR102030831B1 (ko) 2019-10-10

Family

ID=6632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82A KR102030831B1 (ko) 2017-11-09 2017-11-09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33203A1 (ko)
KR (1) KR102030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623A (ja) * 2005-03-14 2006-09-21 Hiromi Hori 靴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65940A (en) * 1936-07-20 1937-05-20 Hans Leo Schweiger Improved orthopaedic compensating device for insertion and fixing in footwear
US6026599A (en) * 1996-05-29 2000-02-22 Blackwell; Terry Dean Pseudo-planar insole insert
US7107235B2 (en) * 2000-03-10 2006-09-12 Lyden Robert M Method of conducting business including making and selling a custom article of footwear
DE20310652U1 (de) * 2003-07-11 2003-11-13 Brand Factory Swiss Gmbh Rotkr Socke
US7765719B2 (en) * 2006-05-26 2010-08-03 Nike, Inc. Medially or laterally textured footbeds for controlling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kinetics
US20100050322A1 (en) * 2008-09-02 2010-03-04 Matthew James Zagula Orthotic footsock and integrated removable gel arch pad
US20140345032A1 (en) * 2013-05-21 2014-11-27 Shing-Jiu Sheu Functional socks
US9439457B2 (en) * 2014-01-22 2016-09-13 Soksystem, Llc Arch-supporting s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623A (ja) * 2005-03-14 2006-09-21 Hiromi Hori 靴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29A (ko) 2019-05-17
US20190133203A1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1443B2 (en) Device for three-dimensional foot motion control and plantar pressure redistribution
US10675168B2 (en) Ankle foot orthosis
JP5498631B1 (ja) 靴用インソール
US9192502B2 (en) Ankle-foot orthotic
US8756836B2 (en) Foot support
AU2016303794B2 (en) Orthotic device for shoes
TWI657811B (zh) 下肢矯正裝具
WO2022221220A1 (en) Therapeutic sock with one or more elastomeric bands
KR102030831B1 (ko) 외측족궁함몰부를 가지는 양말
Bresnahan Flatfoot Deformity Pathogenesis A Trilogy
Shrader Nonsurgical management of the foot and ankle affected by rheumatoid arthritis
KR101799579B1 (ko) 코리고 패턴을 유도하는 아웃솔
KR101996428B1 (ko) 보정용 깔창
JP2016165432A (ja) フットバランス用ベルト及びフットバランス用靴下
US20180295931A1 (en) Corrective insole
KR102337834B1 (ko) 적당한 자세의 하이 힐 구두
Prabhakar et al. The foot and ankle
TWI679972B (zh) 下肢矯正裝具
Wójcik The effect of high-heeled footwear on the induction of selected musculoskeletal conditions and potential beneficial uses in prophylaxis and management
Ng Foot problems and their implications for footwear design
JP6474214B2 (ja) 靴底
CN204969744U (zh) 一种矫正脚拇指和足弓的多功能鞋垫
Kaplan et al. Flat Foot: A Consideration of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Normal Foot, the Pathology and Mechanism of Flat Foot, with the Resulting Roentgen Manifestations
JP2021172942A (ja) 足部骨格矯正用靴下
Wiley A Novel Treatment Approach to Over-Pronation Dysfunction: A Follow-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