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173B1 -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 Google Patents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0173B1 KR102030173B1 KR1020180046396A KR20180046396A KR102030173B1 KR 102030173 B1 KR102030173 B1 KR 102030173B1 KR 1020180046396 A KR1020180046396 A KR 1020180046396A KR 20180046396 A KR20180046396 A KR 20180046396A KR 102030173 B1 KR102030173 B1 KR 102030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gearbox
- auger
- flange
- lower aug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6571 aggressive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 E02D7/30—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by driving co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오거 기어박스의 회전축가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의 밑부분에 날개부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날개부로 흙을 쳐주어 유입을 방지하고, 날개부를 통해 쳐내진 흙은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기어박스 내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기 하부오거 기어박스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케이싱 파이프와 스크류 사이로 올라오는 흙을 처주어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로 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흙유입 방지부; 및 상기 흙유입 방지부를 통해 쳐내진 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흙 배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기 하부오거 기어박스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케이싱 파이프와 스크류 사이로 올라오는 흙을 처주어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로 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흙유입 방지부; 및 상기 흙유입 방지부를 통해 쳐내진 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흙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박스 내로 흙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부분, 즉 커버에 장착된 슬리브를 하부오거 기어박스 하단부까지 설치하여 회전축(메인축)과 케이스 커버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한 스커트 플랜지에 날개부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회전축과 함께 날개부가 회전되도록 함에 의해 흙이 중공관과 슬리브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회전축 및 스커트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는 날개부를 통해 쳐주어 유입을 방지하고, 날개부를 통해 쳐내진 흙은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소량이라도 기어박스 상단으로 유입된 것은 중공관에 플랜지를 부착하여 중공관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기어박스 내에 흙이 유입될 수 없으며 플랜지와 기어박스 상부에 단차를 두어 흙이 기어박스에 유입될 수 없도록 한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물은 날로 고층화 및 대형화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층의 건축물은 자중에 의한 수직 하중이나 풍력을 크게 작용받게 된다.
이와 같은 건축물은 지층을 관통하여서 지반층에 받쳐지는 지지말뚝으로 지지되는 구조로서 시공된다.
이와 같이 고층의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할 수 있는 말뚝공사는 항타기 등으로 타격하여 지중에 말뚝을 직접적으로 박아넣는 충격식과, 오거(Auger)를 회전시켜 굴착공을 천공한 후 그 굴착공 내에 말뚝을 근입하는 천공식이 있다.
충격식 말뚝공사는 주로 경암지반의 건축물 공사에 적용되는 반면에, 천공식 말뚝공사는 연약지반의 건축물 공사에 주로 적용되며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약지반에 적용되는 천공식 말뚝공사는 굴착장비에 장착된 오거로서 지중 굴착작업을 수행하여서 지지말뚝을 근입시킬 수 있도록 지반층까지 천공하고, 천공된 굴착공으로부터 오거를 인발한 후에 그 굴착공 내에 지지말뚝을 근입시켜서 설치하게 됨으로써, 기성말뚝 설치작업 중에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거는 지반을 천공하는 장치로서, 파일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한 토목공사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오거(AUGER)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전주오거 - 예전에 전봇대를 세우기 위해 사용하던 전주오가를 개량(스크류를 보강)하여 사용하던 것을 요즘에는 장비회사(수산중공업)에서 직접 5톤 복사차에 토목용으로 제작하여 나옴 천공깊이는 최대 9m까지 가능하다.
2) 포크레인 또는 크레인 오거 - 말그대로 굴삭기나 크레인에 부착되어 사용할수있는 오거로서 천공깊이 포크레인오거: 17m이하, 크레인오거: 25m 이하에서 사용한다.
각 오거(AUGER)의 활용 범위(어떤 공법에 적용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면 모든오거는 파일을 삽입하기 위한 천공 작업에 사용되며, 천공되는 지질이 토사, 풍화토등 연약지반에서만 가능하며 풍화암,연,경암 등은 따로 함마 작업이 병행된다.
각 오거(AUGER)의 제원(전장, 전폭, 수직고, 최대굴착깊이, 스크류의 최소/대 직경 등등)은 제작회사, 장비 기종에 따라 다르며 대략의 천공깊이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며 스크류의 최소작경은 100mm 부터 흔히 사용되는 400mm, 450mm, 500mm, 550mm 600mm, 800mm, 1000mm, 1200mm, 1500mm 최대 2000mm 까지 사용된다.
보통 소공이라는 것은 100 ~ 600mm를 사이를 지칭하며, 대공이라는 것은 800mm 이상을 지칭한다.
보통 대공을 천공할 때는 3 ~ 10 RPM을 요구되고 소공을 천공할 때는 14 ~ 30RPM 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기초파일공사에서 있어서 DRA(Double Rod Auger)공법은 내부오거와 외부 케이싱 오거(Casing Auger) 즉 상부오거와 하부오거를 병용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말뚝을 건입 후 하부오거를 최종 인발 후 마무리하는 공법으로 기존 매입공법의 지지력 문제점을 보완하고 진동 및 소음이 문제시 되는 지역에서 유리한 공법이다.
특히 소음,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지반의 이완 및 홀의 붕괴 등이 예상되는 지역에서 효과적이며 공사비가 약간 고가이지만 지지기반까지 말뚝의 근입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오거와 하부오거는 하나의 리더(Leader)에 상하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오거에는 일반적으로 스크류를, 하부오거에는 케이싱 파이프를 장착하며, 상기 스크류가 케이싱 파이프의 내부로 들어가며, 상기 스크류는 천공을 하고 상기 케이싱 파이프는 토사가 무너지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서로 힘의 바란스를 잡아주기 위해 상부오거의 스크류는 시계방향으로, 케이싱 파이프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천공하며 이때 슬라임배토는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하부오거의 상부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스크류와 케이싱 파이프가 지지층에 도달하면 상기 상부오거의 스크류 를 역회전하여 상부오거를 뽑아 올리면서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완전히 상부오거를 제거하고, 상기 하부오거 구동부와 상기 케이싱 파이프를 분리한 후 상기 케이싱 파이프 내부로 파일을 삽입하고, 삽입 완료 후 상기 하부오거 구동부를 다시 상기 케이싱 파이프에 결합하여 상기 하부오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싱 파이프를 뽑아올리면 1개의 파일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상부오거와 하부오거는 각각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작업하므로 천공속도가 빠르고 에어가 주입되므로 슬라임 배토가 원활하여 목적 심도까지 100% 완벽하게 천공할 수 있다.
기존의 하부오거는 케이싱 파이프와 스크류 사이로 올라오는 흙이 기어박스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회전축과 커버 사이, 오일씰 등에 항상 틈새가 있으며, 상승하는 흙이 이러한 틈새를 통해 바져나와 오일씰을 파손시키면서 기어박스로 유입되고, 기어박스로 흙이 유입되면 회전축을 마모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오거 기어박스의 회전축가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의 밑부분에 날개부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날개부로 흙을 쳐주어 유입을 방지하고, 날개부를 통해 쳐내진 흙은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기어박스 내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기 하부오거 기어박스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케이싱 파이프와 스크류 사이로 올라오는 흙을 처주어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로 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흙유입 방지부; 및 상기 흙유입 방지부를 통해 쳐내진 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흙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흙유입 방지부는: 스커트 플랜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흙 배출부는: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배출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 배출공은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흙 배출부는: 스커트 플랜지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측면 배출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배출공은 원주 방향을 따라 3~4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기 하부오거 기어박스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에 설치되어 케이싱 파이프와 스크류 사이로 올라오는 흙을 처주어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로 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커트 플랜지의 밑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에 의해 쳐내진 흙이 배출되도록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하부 배출공; 및 상기 하부 배출공으로 배출되지 않고 올라오는 흙이 배출되도록 스커트 플랜지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측면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배출공을 통해서도 배출되지 않고 하부오거 케이스와 회전축 사이의 공간으로 타고 올라오는 흙이 기어박스 내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회전축과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단 플랜지를 볼트 체결하여 사이의 공간을 없앰과 아울러 기어박스 상단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를 감싸도록 상기 상단 플랜지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의하면, 하부오거 기어박스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스커트 플랜지의 밑부분에 날개부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회전축과 함께 날개부가 회전되면서 흙을 쳐주어 유입을 방지하고, 날개부를 통해 쳐내진 흙은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기어박스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상부오거와 하부오거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구비되는 스커트 플랜지에 설치되는 날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구비되는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형성되는 하부 배출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구비되는 스커트 플랜지에 설치되는 날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구비되는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형성되는 하부 배출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상부오거와 하부오거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구비되는 스커트 플랜지에 설치되는 날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에 구비되는 케이싱 소켓 플랜지에 형성되는 하부 배출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하부에 스크류(110)가 부착된 상부오거(A)와, 하부에 케이싱 파이프(120)가 부착된 하부오거(B)를 하나의 리더(C)에 동시에 장착하여 시공하는 예로서, 일반적으로 기초파일공사에서 있어서 DRA(Double Rod Auger)공법은 상기 상부오거(A)와 하부오거(B)를 병용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말뚝을 건입 후 상기 하부오거의 케이싱 파이프(120)를 최종 인발 후 마무리하는 공법으로 기존 매입공법의 지지력 문제점을 보완하고 진동 및 소음이 문제시 되는 지역에서 유리한 공법이다.
즉, 상기 상부오거(A)와 하부오거(B)는 하나의 리더(Leader)(C)에 상하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오거(A)에는 일반적으로 스크류(110)를, 상기 하부오거(B)에는 케이싱 파이프(120)를 장착하며, 상기 스크류(110)가 케이싱 파이프(120) 내부로 들어가며 상기 스크류(110)는 천공을 하고 상기 케이싱 파이프(120)는 토사가 무너지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오거(B)는 통상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수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부에 결합되어 지반에 삽입되는 케이싱 파이프를 회전시켜주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굴삭기나 크레인에 부착할 수 있게 하고 모터부와 감속부를 감싸는 커버부, 및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 파이프와 원터치로 체결과 해체되는 소켓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는, 케이싱 파이프(120)와 스크류(110) 사이로 올라오는 흙이 하부오거 기어박스(10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함과 아울러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 파이프(120)와 스크류(110) 사이로 올라오는 흙이 기어박스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자 흙유입 방지부(2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흙유입 방지부(200)는 기어박스(100)의 회전축(102)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130)에 날개부(202)를 방사상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02)과 함께 회전되면서 날개부(202)로 흙을 쳐주어 기어박스 내로 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날개부(202)는 스커트 플랜지(130)의 밑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회전축(102)과 함께 회전되면서 흙을 쳐주어 기어박스 내로 흙이 침투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날개부(202)에 의해 쳐내진 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발명은 흙 배출부(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흙 배출부(300)는 케이싱 소켓 플랜지(140)에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싱 소켓 플랜지(14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장공 형상의 하부 배출공(30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흙유입 방지부(200)의 날개부(202)를 통해 쳐내진 흙이 흙 배출부(300)의 하부 배출공(302)을 통해 배출됨으로서,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로 흙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기어박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즉, 기어박스 내로 흙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흙에 의해 회전축의 수명이 단축되는데, 본 발명은 흙유입 방지부 및 흙 배출부에 의해 기어박스 내로 흙이 유입되지 않게 됨으로서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흙 배출부(300)는 스커트 플랜지(1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측면 배출공(30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면 배출공(304)은 원주 방향을 따라 3개 혹은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측면 배출공(304)은 상기 하부 배출공(302)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올라오는 흙을 배출시키게 된다. 즉, 상기 날개부(202)에 의해 올라오는 흙을 쳐주어 하부 배출공(302)을 통해 1차적으로 흙이 배출되도록 하고, 하부 배출공(302)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올라오는 흙은 측면 배출공(304)을 통해 2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도 타고 올라오는 흙은 하부오거 케이스와 회전축 사이의 공간으로 타고 올라오게 되는데, 회전축과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단 플랜지를 볼트 체결하여 사이의 공간을 없애 측면으로는 기어박스 내부로 흙이 들어갈 수 없는 구조이고, 기어박스 상단에 대략 50mm ~ 150mm의 단차을 형성하고 상단 플랜지를 'ㄷ'자 형식으로 단차를 주어 감싸게 만들어, 흙이 타고 올라와도 흙이 유입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구의 실시예로서, 하부오거 기어박스(100)와, 상기 하부오거 기어박스(100)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130)에 형성되어 케이싱 파이프(110)와 스크류(110) 사이로 올라오는 흙을 쳐주어 하부오거 기어박스(100)내로 흙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스커트 플랜지(130)의 밑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리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날개부(202)와, 상기 날개부(202)에 의해 쳐내진 흙이 배출되도록 케이싱 소켓 플랜지(14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하부 배출공(302)과, 상기 하부 배출공(302)을 통해서 배출되지 않고 올라오는 흙을 배출시키고자 스커트 플랜지(1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측면 배출공(304)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배출공(304)을 통해서도 배출되지 않고 하부오거 케이스와 회전축 사이의 공간으로 타고 올라오는 흙이 기어박스 내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하고자 회전축(102)과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단 플랜지(150)를 볼트 체결하여 사이의 공간을 없애고, 기어박스 상단에 단차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단차를 감싸도록 상단 플랜지(150)가 수평부(152)와 수직부(15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기존의 하부오거는 케이싱 파이프와 스크류 사이로 올라오는 흙이 기어박스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 위해 회전하는 스커트 플랜지(130) 밑부분에 날개부(202)를 형성하여 상기 날개부(202)로 흙을 쳐주게 되고, 쳐내진 흙은 케이싱 소켓 플랜지(140)에 형성된 하부 배출공(302)을 통해서 배출된다.
또한, 하부 배출공(302)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올라오는 흙은 스커트 플랜지(13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배출공(304)을 통해 다시 배출되어 기어박스 내에 흙이 침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도 타고 올라오는 흙은 하부오거 케이스와 회전축 사이의 공간으로 타고 올라오게 되는데, 회전축(102)과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단 플랜지(150)를 볼트 체결하여 사이 공간을 없애 측면으로는 기어박스 내부로 흙이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또한, 기어박스 상단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단 플랜지(150)에 수평부(152)와 수직부(154)를 구비하여 단차를 감싸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서, 흙이 타고 올라와도 흙이 유입될 수 없는 구조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기어박스 102 - 회전축
110 - 스크류 120 - 케이싱 파이프
130 - 스커트 플랜지 140 - 케이싱 소켓 플랜지
200 - 흙유입 방지부 202 - 날개부
300 - 흙 배출부 302 - 하부 배출공
304 - 측면 배출공
110 - 스크류 120 - 케이싱 파이프
130 - 스커트 플랜지 140 - 케이싱 소켓 플랜지
200 - 흙유입 방지부 202 - 날개부
300 - 흙 배출부 302 - 하부 배출공
304 - 측면 배출공
Claims (5)
- 하부오거 기어박스(100);
상기 하부오거 기어박스(100)의 회전축(102)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130)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케이싱 파이프(120)와 스크류(110) 사이로 올라오는 흙을 처주어 하부오거 기어박스(100) 내로 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흙유입 방지부(200); 및
상기 흙유입 방지부(200)를 통해 쳐내진 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흙 배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흙유입 방지부(200)는:
스커트 플랜지(13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부(202)로 이루어지며,
상기 흙 배출부(300)는:
케이싱 소켓 플랜지(140)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배출공(30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 배출공(302)은 케이싱 소켓 플랜지(14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스커트 플랜지(1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측면 배출공(30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배출공(304)은 원주 방향을 따라 3~4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하부오거 기어박스(100);
상기 하부오거 기어박스(100)의 회전축(102)과 함께 회전되는 스커트 플랜지(130)에 설치되어 케이싱 파이프(120)와 스크류(110) 사이로 올라오는 흙을 처주어 하부오거 기어박스(100) 내로 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커트 플랜지(130)의 밑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부(202);
상기 날개부(202)에 의해 쳐내진 흙이 배출되도록 케이싱 소켓 플랜지(14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하부 배출공(302); 및
상기 하부 배출공(302)으로 배출되지 않고 올라오는 흙이 배출되도록 스커트 플랜지(1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측면 배출공(304);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배출공(304)을 통해서도 배출되지 않고 하부오거 케이스와 회전축 사이의 공간으로 타고 올라오는 흙이 기어박스 내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회전축과 하부오거 기어박스 상단 플랜지(150)를 볼트 체결하여 사이의 공간을 없앰과 아울러 기어박스 상단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를 감싸도록 상기 상단 플랜지(150)가 수평부(152)와 수직부(1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396A KR102030173B1 (ko) | 2018-04-20 | 2018-04-20 |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396A KR102030173B1 (ko) | 2018-04-20 | 2018-04-20 |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0173B1 true KR102030173B1 (ko) | 2019-10-08 |
Family
ID=6820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396A KR102030173B1 (ko) | 2018-04-20 | 2018-04-20 |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017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13683A (ja) * | 2001-06-28 | 2003-01-15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掘削作業装置 |
KR100655761B1 (ko) * | 2006-01-23 | 2006-12-14 | 주식회사 세이프씨앤이 | 오거 및 케이싱 병행 작업시의 배토구조를 구비한 앵커 및네일링 시공을 위한 천공장비 |
KR101024939B1 (ko) | 2009-02-12 | 2011-03-31 | 곽희경 | 개량된 굴삭기용 오거 스크류 조립체 |
-
2018
- 2018-04-20 KR KR1020180046396A patent/KR1020301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13683A (ja) * | 2001-06-28 | 2003-01-15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掘削作業装置 |
KR100655761B1 (ko) * | 2006-01-23 | 2006-12-14 | 주식회사 세이프씨앤이 | 오거 및 케이싱 병행 작업시의 배토구조를 구비한 앵커 및네일링 시공을 위한 천공장비 |
KR101024939B1 (ko) | 2009-02-12 | 2011-03-31 | 곽희경 | 개량된 굴삭기용 오거 스크류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75318B2 (ja) | 水上構造物基礎部の防護方法 | |
KR20120119581A (ko) | 선단지반의 발파 굴착에 의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시공방법 | |
KR101109520B1 (ko) |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 |
CN112012747A (zh) | 一种ⅴ级围岩土质的隧道斜井施工方法 | |
KR200384053Y1 (ko) | 천공장비의 케이싱 구조 | |
KR102030173B1 (ko) | 하부오거 기어박스 내 흙 유입방지 및 배출구조 | |
KR20150025409A (ko) | 소구경강관을 이용한 터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JP2007332559A (ja) | 既設地中杭の撤去方法 | |
KR101080346B1 (ko) | 가변형 굴착 비트 및 그를 이용한 파일 시공 장치 | |
JP2007177488A (ja) | 浸透管の埋設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施工装置 | |
JPH08184058A (ja) | 地すべり防止構造 | |
JP2916595B2 (ja) |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工法における排水排土方法 | |
KR101596714B1 (ko) | Rcd 공법을 개선한 공압해머 굴착기 | |
JP2005127095A (ja) | 回転圧入用の開端鋼管杭及び開端鋼管杭の回転圧入方法 | |
JP6449119B2 (ja) | 立坑または斜坑における作業床の移動方法、およびライニング施工方法 | |
JP2704703B2 (ja) | 地盤改良工法 | |
KR100932952B1 (ko) | 다양한 선단부를 갖는 말뚝부재 | |
KR20160028565A (ko) | 차수기능의 분리형 선단슈를 이용한 비배토 현장타설말뚝 시공 공법 | |
KR200373276Y1 (ko) | 강관파일의 지지력 확장구조 | |
KR102648556B1 (ko) | 오거의 무동력 잔류토사 제거장치 | |
JP7357524B2 (ja) | 山留遮水工法 | |
KR20100005138U (ko) | 굴착기용 배토관 | |
JP2972921B2 (ja) | センターポール式深礎掘削機及びその工法 | |
CN210460662U (zh) | 一种盾构检修井 | |
KR200373275Y1 (ko) | 강관파일의 지지력 확장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