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085B1 -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085B1
KR102030085B1 KR1020170161343A KR20170161343A KR102030085B1 KR 102030085 B1 KR102030085 B1 KR 102030085B1 KR 1020170161343 A KR1020170161343 A KR 1020170161343A KR 20170161343 A KR20170161343 A KR 20170161343A KR 102030085 B1 KR102030085 B1 KR 10203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pattern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793A (ko
Inventor
김자유
유동현
김희선
김지홍
Original Assignee
김자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자유 filed Critical 김자유
Priority to KR102017016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0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G06K9/46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B64C2201/027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으로 조종 가능한 무인 비행체의 움직임을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조종하기 위한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은 패턴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를 구비하여,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무인 비행체, 패턴을 구비하여 무인 비행체의 이동을 조종하고, 제2 카메라를 구비하여 무인 비행체를 촬영하며,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조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조종 가능한 무인 비행체의 움직임을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조종하기 위한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 또는 무인 비행기 (UAV; unma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승선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작하여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멀티콥터 드론은 최초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으로 방송등에서 촬영으로 많이 사용되며 최근 드론(무인 비행체)가 상용화되고 있다. 드론은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은 카메라로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위치에서 촬영을 하거나, 드론에 물건을 싣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용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을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드론은 사람이 승선하지 않는 무인 비행체 이므로, 보통 지상에 있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운용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드론은 사람의 조작이 필요한 수동운전에 의해 조작된다.
하지만 종래의 드론을 조작하는 조종 장치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 (Grab) 한 상태에서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드론의 조종은 그 조작의 난이성 때문에 드론을 사용함에 있어서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판매되는 드론의 종류도 입문용, 중급용, 고급용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드론 유저들은 드론의 능숙한 조종을 위해 드론 조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그런데, 드론이 아이들의 장난감, 레저 스포츠 등으로까지 그 활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드론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종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8045호(2009.08.1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비행체를 조종함에 있어서,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조종자도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인 비행체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은 패턴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무인 비행체, 상기 패턴을 구비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의 움직임을 조종하고, 제2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촬영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조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상기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 상기 패턴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촬영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바코드, QR코드, RFID 또는 색상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패턴이 형성된 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패턴이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면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무인 비행체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정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캐릭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복수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상기 패턴을 인식하고,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비행 몸체부, 상기 비행 몸체부가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가 회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공간부와, 상기 복수의 공간부로부터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비행 몸체부가 안착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행 몸체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로부터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배기구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중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비행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은 무인 비행체가 조종부에 구비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를 구비하여,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조종되도록 함으로써,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조종자도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무인 비행체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은 조종부가 무인 비행체를 촬영하여,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무인 비행체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100)은 무인 비행체(10) 및 조종부(20)를 포함한다.
무인 비행체(10)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자에 의해 조종되는 다양한 비행체가 적용될 수 있다. 무인 비행체(10)는 조종부(20)의 패턴부(21)에 형성된 패턴을 인식하여, 조종부(20)의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조종될 수 있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10)는 비행 몸체부(11), 하부 프레임(12), 상부 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카메라(15)를 포함한다.
먼저 비행 몸체부(11)는 복수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제1 카메라(15)를 통해 패턴을 인식하고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조종자가 제1 카메라(15)에 패턴부(21)를 근접시키게 되면, 제1 카메라(15)가 패턴부(21)에 형성된 패턴을 인식하고 동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카메라(15)는 후술할 하부 프레임(12) 또는 상부 프레임(13)에 설치될 수 있으며, 비행 몸체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비행 몸체부(11)에 구비된 컨트롤러(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동기화를 수행한 후 비행 몸체부(11)는 조종자를 통한 패턴부(21)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데 조종자가 비행 몸체부(11)에 패턴을 인식시켜 동기화를 수행하고, 비행 몸체부(11)를 공중에 던지게 되면, 비행 몸체부(11)는 공중에서 호버링(hovering)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조종자가 패턴을 제1 카메라(15)를 지향한 상태로,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면, 비행 몸체부(11)는 조종자에 의한 패턴의 움직에 따라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 몸체부(11)는 패턴이 지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비행 몸체부(11)는 패턴의 형상 변화를 통해 패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데 비행 몸체부(11)는 패턴의 크기 변화를 통해 전진 또는 후진 움직임을 파악하거나, 형성 변화를 통해 패턴의 기울기를 파악하여 좌우 움직임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12) 및 상부 프레임(13)은 비행 몸체부(11)를 보호하며, 조종자가 비행 몸체부(11)의 프로펠러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하부 프레임(12) 및 상부 프레임(13)은 후술할 조종부(20)에 의한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구현하기 위하여,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하부 프레임(12) 및 상부 프레임(13)은 구 형상, 직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 형상으로 구현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 프레임(12)은 비행 몸체부(11)가 상부에 안착되며, 복수의 프로펠러가 회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공간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공간부(12a)의 복수의 프로펠러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비행 몸체부(11)의 중심부가 하부 프레임(12)에 안착되며, 각 프로펠러는 각 제1 공간부(12a)에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2)은 복수의 제1 공간부(12a)로부터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배기구(12b)가 형성된다. 즉 하부 프레임(12)은 비행 몸체부(11)가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비행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1 배기구(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3)은 비행 몸체부(11)가 안착된 하부 프레임(12)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행 몸체부(11)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부로부터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배기구(13a)가 형성된다.
즉 하부 프레임(12) 및 상부 프레임(13)은 내부에 비행 몸체부(11)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며, 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비행 몸체부(11)의 복수의 프로펠러가 동작하게 되면, 제2 배기구(13a)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제1 배기구(12a)를 통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비행 몸체부(11)는 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10)는 미사용시 상단 프레임(13)의 제2 배기구(13a)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종부(20)는 패턴을 구비하여 무인 비행체(10)의 움직임을 조종하고, 무인 비행체(10)를 촬영하여 무인 비행체(10)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조종부(20)는 패턴부(21) 및 단말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패턴부(21)는 패턴(21a)이 형성된 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22)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패턴(21a)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로 형성되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형태, 색상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패턴부(21)는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패턴부(21)는 조종자에 의해 제1 카메라(15)를 지향한 상태로 무인 비행체(10)를 조종할 수 있다. 예컨데 패턴부(21)는 카드 형태로 단말기(22)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어 후술할 제2 카메라(22a)가 무인 비행체(10)를 촬영하면서, 패턴(21a)이 무인 비행체(10)를 지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22)는 패턴부(21)가 결합되고, 제2 카메라(22a)를 구비하여 무인 비행체(10)를 촬영하며, 무인 비행체(10)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데 단말기(22)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 화면 상에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단말기(22)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22)는 제2 카메라(22a), 입력부(22b), 표시부(22c), 통신부(22d), 저장부(22e) 및 단말 제어부(22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카메라(22a)는 무인 비행체(10)를 촬영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22b)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22)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22f)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22b)는 표시부(22c)를 통해 출력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b)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2b)는 표시부(22c)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b)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22c)는 단말기(22)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2c)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22c)는 단말 제어부(22f)의 제어 하에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2d)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2e)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 제어부(22f)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저장부(22e)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체 이미지에 정합하기 위한 가상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f)는 제2 카메라(22a)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무인 비행체(10)의 이미지(10a)를 추출하고, 추출된 무인 비행체 이미지(10a)에 가상 이미지(1)를 정합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부(22b)의 입력에 따라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이미지(1)는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22f)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2d)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로봇 제어 시스템(100)이 구현된 다른 단말기(122)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데 단말기(22)와 다른 단말기(122)는 각각 무인 비행체(10, 110)를 촬영하여 무인 비행체 이미지(10a, 110a)가 포함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2)와 다른 단말기(22)는 지향하는 방향을 통해 각각의 무인 비행체(10, 11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함과 동시에 화면 상의 증강 현실 이미지의 이동 또한 제어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22)와 다른 단말기(22)는 각각의 입력부를 통해 증강 현실 이미지에 포함된 가상 이미지(1, 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가상 이미지를 제어하여 서로 구현된 증강 현실 이미지 간에 가상 전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레이싱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컨텐츠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100)은 무인 비행체(10)가 조종부(20)에 구비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15)를 구비하여,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조종되도록 함으로써,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조종자도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무인 비행체(1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100)은 조종부(20)가 무인 비행체(10)를 촬영하여, 무인 비행체(10)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무인 비행체(10)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무인 비행체 11 : 비행 몸체부
12 : 하부 프레임 12a : 제1 공간부
12b : 제1 배기부 13 : 상부 프레임
13a : 제2 배기부 14 : 덮개
15 : 제1 카메라 20 : 조종부
21 : 패턴부 21a: 패턴
22 : 단말기 22a : 제2 카메라
22b : 입력부 22c: 표시부
22d : 통신부 22e : 저장부
22f : 단말 제어부 100 :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Claims (7)

  1. 조종부에 구비된 패턴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를 구비하, 상기 제1 카메라가 촬영한 상기 조종부에 구비된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무인 비행체;
    상기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패턴의 움직임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동을 조종하고, 제2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촬영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상기 조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상기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
    상기 패턴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촬영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바코드, QR코드, RFID 또는 색상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패턴이 형성된 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패턴이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면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무인 비행체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정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캐릭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복수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상기 패턴을 인식하고, 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비행 몸체부;
    상기 비행 몸체부가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가 회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공간부와, 상기 복수의 제1 공간부로부터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비행 몸체부가 안착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행 몸체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로부터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배기구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중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비행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KR1020170161343A 2017-11-29 2017-11-29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KR10203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43A KR102030085B1 (ko) 2017-11-29 2017-11-29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43A KR102030085B1 (ko) 2017-11-29 2017-11-29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93A KR20190062793A (ko) 2019-06-07
KR102030085B1 true KR102030085B1 (ko) 2019-10-08

Family

ID=6685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343A KR102030085B1 (ko) 2017-11-29 2017-11-29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0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045A (ko) 2008-02-14 2009-08-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조종 비행기 시스템
KR101324327B1 (ko) * 2011-12-14 2013-10-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세계를 사용한 무인 이동체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EP3136195A4 (en) * 2014-04-25 2017-11-2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93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77247B (zh) 目标追踪系统及方法
US10341612B2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pa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US1142074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ed to transformable remote controllers
US20180098052A1 (en) Translation of physical object viewed by unmanned aerial vehicle into virtual world object
CN111035918B (zh) 基于虚拟环境的侦察界面显示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8780325A (zh) 用于调整无人飞行器轨迹的系统和方法
JP7374313B2 (ja) 仮想環境における乗り物の運転方法、装置、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560481B1 (ja)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無人航空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372851B (zh) 无人航空器控制系统、无人航空器控制方法、及可读存储媒体
CN108351574A (zh) 用于设置相机参数的系统、方法和装置
KR20170090888A (ko) Hmd를 이용한 무인기 조종 장치
KR102380694B1 (ko)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831791A (zh) 一种无人机的操控方法、装置、操控设备及存储介质
US8371897B1 (en) Vision technology for interactive toys
US20210181769A1 (en) Movable platform control method, movable platform, terminal device, and system
CN112154440A (zh) 无人机的仿真方法、仿真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30085B1 (ko)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CN107544552A (zh) 悬浮摇键操控装置和方法
WO2018092947A1 (ko) 스마트 로봇 게임 시스템
KR20180068508A (ko) 손동작 인식을 이용한 촬영용 드론 시스템
KR101980601B1 (ko) 원격 조종 장치
KR101480144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구동 로봇의 제어 방법
KR20190053018A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 장치를 조종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JP6535641B2 (ja) 仮想空間に表示されるオブジェクト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SHARMA Deployment of drone demonstators-Automatic take-off and landing of a drone on a mobile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