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621B1 -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621B1
KR102029621B1 KR1020190030640A KR20190030640A KR102029621B1 KR 102029621 B1 KR102029621 B1 KR 102029621B1 KR 1020190030640 A KR1020190030640 A KR 1020190030640A KR 20190030640 A KR20190030640 A KR 20190030640A KR 102029621 B1 KR102029621 B1 KR 10202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inner partition
partition wall
plate
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210A (ko
Inventor
박형수
김인철
고성봉
함윤경
이상인
민경구
조상래
홍진용
Original Assignee
한국농어촌공사
삼영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어촌공사, 삼영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농어촌공사
Priority to KR102019003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6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 밸브실을 재생한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은 노후 밸브실(10);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내부 격벽(20); 상기 내부 격벽(20)을 노후 밸브실(10)의 저면에 대해 띄워 지지하는 받침대(30); 상기 내부 격벽(20)의 상면을 덮어 밀폐하는 상판(40); 상기 내부 격벽(20)의 관로수용구(h)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수용구(h)와 관로(P) 간 수밀을 유지하는 수밀플랜지(50) 및 상기 노후 밸브실(10)과 상기 내부 격벽(20) 사이 공간에 주입 및 경화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충진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REGENERATION VALVE CHAMB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 및 지하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 밸브실을 재생한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밸브실은 밸브체가 작동하는 밀폐된 장소를 말하는데, 지중의 밸브실 내에 상수도관 등 지중 관로의 개폐나 분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고 밸브실과 지상을 연결하는 맨홀을 통해 작업자가 밸브실 내부로 진입하여 밸브를 제어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특허문헌 1’에 이러한 종래의 밸브실이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이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밸브실은 콘크리트 벽체(1), 관로수용구(2) 및 맨홀(3)을 구비하여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관로수용구(2)에 관로를 삽입하고 적층FRP(4)로 콘크리트 벽체(1)와 관로를 수밀 및 결합한다.
이러한 밸브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중의 압력, 콘크리트의 노후 등에 의해 측벽이 무너지거나 균열이 발생해 밸브실로서 역할을 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노후 밸브실을 철거하고 새로운 밸브실을 시공해야 하는데 관로를 우회시키거나 관로 내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관로를 철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7-0113329 A (2007. 11. 2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관로를 유지 및 작동시키면서 노후 밸브실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은 노후 밸브실; 상기 노후 밸브실의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내부 격벽; 상기 내부 격벽을 노후 밸브실의 저면에 대해 띄워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내부 격벽의 상면을 덮어 밀폐하는 상판; 상기 내부 격벽의 관로수용구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수용구와 관로 간 수밀을 유지하는 수밀플랜지 및 상기 노후 밸브실과 상기 내부 격벽 사이 공간에 주입 및 경화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 시공 방법은 노후 밸브실의 상면을 철거하는 개방 단계; 상기 노후 밸브실의 저면에 받침대를 설치하는 받침대 설치 단계; 상기 노후 밸브실의 내부에 상기 노후 밸브실의 저면과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내부 격벽을 설치하는 내부 격벽 설치 단계; 상기 내부 격벽과 관로를 수밀플랜지로 수밀시키는 수밀 단계; 상기 노후 밸브실과 상기 내부 격벽 사이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충진 단계 및 상기 내부 격벽 상부에 상판을 얹어 결합시키는 상판 조립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은 노후 밸브실을 철거하지 않고 재생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밸브실의 내구 연한을 높이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기존 관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밸브실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밸브실을 재시공하기 하는 기간 동안 관로를 우회시키거나 관로의 사용을 중지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종래의 밸브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단면도
도 4는 내부 격벽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내부 격벽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6은 내부 격벽의 제2 실시형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내부 격벽의 변형례
도 8은 도 2의 A 확대도
도 9는 수밀플랜지 체결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내부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진재의 재령-압축강도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진재의 w/c비-압축강도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 시공 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은 노후 밸브실(10), 내부 격벽(20), 받침대(30), 상판(40), 수밀플랜지(50) 및 충진재(60)로 구성된다.
노후 밸브실(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재생 대상으로서 재질에 따라 크게 콘크리트 밸브실과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밸브실로 나눌 수 있다. 콘크리트 밸브실은 벽의 균열이나 콘크리트의 산성화에 따른 벽체 박리에 의해, FRP 밸브실은 재질의 연성화 및 산성화에 따른 변형에 의해 재생 필요성이 대두된다. 노후 밸브실(10)은 유체를 수송 중인 관로(P)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내부 격벽(20)은 노후 밸브실(10)의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노후 밸브실(10)과 내부 격벽(20) 사이 공간에 충진재(60)를 주입하고 굳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내벽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노후 밸브실(10)이 직육면체 모양이므로, 내부 격벽(20)도 상부가 열린 직육면체 모양을 띄게 된다.
도 4는 내부 격벽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 내부 격벽(20)은 노후 밸브실(10)의 저면에 대응되는 하판(22), 관로(P)와 교차하는 제1 측판(24), 관로(P)와 교차하지 않는 제2 측판(25)으로 분할 구성된다. 제1 실시형태는 노후 밸브실(10)의 진입로가 좁거나 기타의 사정으로 완성된 형태의 내부 격벽(20)을 노후 밸브실(10) 내부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를 위한 것이다.
제1 측판(24)은 관로(P)를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관로(P)가 통과하는 관로수용구(h)를 2 이상으로 나눈 분할판(23)으로 구성되어, 분할판(23)의 관로수용구(h)에 관로(P)를 통과시킨 후 접합된다. 제1 측판(24)의 외측의 경우 충진재(60)로 충진되기 때문에 분할판(23)을 굳이 결합시킬 필요는 없으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용접 등으로 분할판(23)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격벽(20)의 노후 밸브실(10)을 향하는 면에는 리브(21)를 형성하여 충진재(60)가 주입되었을 때 측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21)의 단면은 ‘⊥’ 형상일 수 있고, ‘I’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I’ 형상의 아랫변과 윗변이 충진재(60)가 경화된 콘크리트를 양쪽에서 파지하므로, 리브(21)가 내부 격벽(20)과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부 격벽(20)의 상부 외측에는 노후 밸브실(10)에 내부 격벽(20)을 고정하는 고정판(26)이 형성되어 내부 격벽(20)이 노후 밸브실(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내부 격벽(20) 설치 중 받침대(30)가 넘어지더라도 내부 격벽(20)이 고정판(26)에 의해 노후 밸브실(10)에 고정되므로, 받침대(30)를 다시 세우기 위해 내부 격벽을 철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도 5는 내부 격벽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내부 격벽의 제2 실시형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형태는 완성된 형태의 내부 격벽(20)을 노후 밸브실(1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 내부 격벽(20)은 관로(P)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설치구(27)가 형성되고 노후 밸브실(10)의 저면과 마주하는 하판(22), 하부 설치구(27)와 연결되는 측면 설치구(28)가 형성되고 노후 밸브실(10)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 측판(24), 내부 격벽(20)에 관로(P)가 통과된 후 하부 설치구(27)와 측면 설치구(28)를 폐쇄하는 마감판(29)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 설치구(27)와 측면 설치구(28)가 형성된 내부 격벽(20)을 지상에서 완성시킨 후 관로(P)를 하부 설치구(27) 및 측면 설치구(28)에 통과시켜 노후 밸브실(10) 내부에 내부 격벽(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하부 설치구(27)와 측면 설치구(28)가 마감판(29)으로 폐쇄됨으로써 내부 격벽(20)에 충진재(60)가 침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측면 설치구(28)를 폐쇄하는 마감판(29)에는 관로수용구(h)가 형성되고, 마감판(29)이 2 이상으로 분할되어 관로수용구(h)에 관로(P)를 통과시킨 후 접합된다.
도 7은 내부 격벽의 변형례로서, 제1, 제2 실시형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지중 측압에 의해 노후 밸브실(10)의 측벽이 내부 격벽(20) 쪽으로 휘어들어오는데, 이에 대응하여 내부 격벽(20)이 노후 밸브실(10)의 측벽과 일정 수준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측판을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충진재(60)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받침대(30)는 내부 격벽(20), 특히 하판(22)을 노후 밸브실(10)의 저면에 대해 띄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받침대(30)는 하판(22)의 꼭짓점을 점상 지지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판(22)의 2면 또는 4면을 선상 지지할 수도 있다. 받침대(30)가 바 형상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0)의 노후 밸브실(10) 저면과 접하는 면에 충진재가 흘러들어갈 수 있는 홀(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40)은 내부 격벽(20)의 상면을 덮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을 밀폐하는 구성요소로서, 관로(P)의 밸브(V)에서 연직 상방인 곳에 밸브 제어구(42)가 형성되고, 사람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로 출입할 수 있는 점검구(44)가 형성된다. 따라서 단순히 밸브(V)를 개폐하고자 할 때에는 긴 제어봉을 밸브 제어구(42)에 넣어 밸브(V)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고, 누수 처리나 장비 설치 등 복잡한 작업이 필요할 때에는 점검구(44)를 통해 사람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에 들어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A 확대도, 즉 수밀플랜지의 상세도이다. 수밀플랜지(50)는 내부 격벽(20), 일반적으로 제1 측판(24)의 관로수용구(h)에 설치되어 관로수용구(h)와 관로(P) 간 수밀을 유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수밀플랜지(50)는 나사산이 판면에 수직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제1 측판(24)의 관로수용구(h)와 동심으로 제1 측판(24)에 결합되는 도넛형의 제1 플랜지(52), 제1 플랜지(52)와 관로(P)에 접하게 배치되는 지수링(54), 나사홀이 판면에 복수 개 형성되고 제1 측판(24)의 관로수용구(h)와 동심으로 제1 측판(24)에 대면하게 배치되어 제1 측판(24)과 사이에 지수링(54)을 개재시키는 제2 플랜지(56) 및 제1 플랜지(52)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2 플랜지(56)를 제1 플랜지(52) 쪽으로 가압하는 너트(58)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플랜지(52)와 제2 플랜지(56) 사이에서 가압되어 관로(P) 쪽으로 밀려나는 지수링(54)이 관로수용구(h)와 관로(P)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플랜지(52)와 제2 플랜지(56)도 제1 측판(24)과 동일한 이유로 관로수용구(h)를 2 이상으로 나누도록 분할 구성되어, 관로수용구(h)에 관로(P)를 통과시킨 후 접합된다. 단, 제1 플랜지(52)와 제2 플랜지(56)가 수밀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고 지수링(54)이 수밀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제1 플랜지(52)와 제2 플랜지(56)는 분할된 부분을 용접 등으로 다시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
도 9는 수밀플랜지 체결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내부도이다. 수밀플랜지(50) 체결 후의 재생 밸브실 내부가 내부 격벽(20)에 의해 구획된 신규 밸브실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충진재(60)는 노후 밸브실(10)과 내부 격벽(20) 사이 공간에 주입, 경화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벽체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모르타르, 경량기포 콘크리트 또는 이들에 슬러지나 무기질 혼화재가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런데 내부 격벽(20)의 두께가 소모 원자재의 양과 측압에 대한 저항을 모두 고려하여 단층인 경우 4 ~ 8㎜, 바람직하게는 6㎜로 그리 두껍지 않게 형성되기 때문에, 충진재(6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에 한계{충진재(60)의 두께가 너무 커지는 경우 충진재(60)의 자체 중량에 의해 내부 격벽(20)이 휘어진다}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을 단일벽 구조로 하는지 이중벽 구조로 하는지, 단층구조로 하는지 복층 구조로 하는지, 노후 밸브실(10)이 콘크리트 재질인지 FRP 재질인지에 따라서도 충진재(60)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충진재의 물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충진재의 조성이 본 발명의 개시에 충분한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를 보이는 구간을 점검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진재의 재령-압축강도 그래프이고, 도 11은 그 w/c비-압축강도 그래프이다. 시멘트:모래가 1:3 부피비, w/c비 50%인 조건에서 재령 26일차 압축강도가 20MPa로 요구 압축강도인 18MPa을 만족하고, w/c 60% 이하에서 요구 압축강도 18MPa을 만족하였는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진재의 조건을 시멘트:모래가 1:3 부피비, w/c비 50%로 정했다.
본 발명자는 최적의 노후 밸브실(10) 내부와 내부 격벽(20)의 이격거리, 즉 충진재(60)가 주입 후 경화된 콘크리트의 최적 두께를 산출하기 위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5㎝ 간격으로 충진재(60) 두께를 설정하고 압축강도, 벽체 변형 여부, 취성(fragility)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실험 조건은 내부 격벽(20) 두께 6㎜, 내부 격벽(20) 높이 3m, 내부 격벽(20)의 최상단이 지표면에 위치, 노후 밸브실(10) 재질은 콘크리트 및 FRP이다.

비고
1 ~ 5 5 ~ 10 10 ~ 15 15 ~ 20
압축강도
(kgf/cm2)
185 200 210 210 5cm X 5cm 규격으로 채취 후 확인
벽체 변형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수직벽 H 2~3m 기준 중간벽체의 변형
취성 정도 있음 없음 없음 없음 타설 후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 확인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강도는 전 실험에 걸쳐 18MPa 이상이었고(최솟값인 185kgf/㎝2 ≒ 18.14MPa), 충진재(60) 두께 15 ~ 20㎝에서 중량에 의한 벽체 돌출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충진재(60) 두께 1 ~ 5㎝에서는 충진재(60) 경화 후 측압에 의해 벽체에 균열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내부 격벽(20) 두께 6㎜, 내부 격벽(20) 높이 3m, 내부 격벽(20)의 최상단이 지표면에 위치, 노후 밸브실(10) 재질은 콘크리트 및 FRP인 조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바람직한 충진재(60) 두께는 5 ~ 15㎝이다. 노후 밸브실(10)이 콘크리트 재질인 경우 FRP 재질인 경우에 비해 측압에 잘 견디므로 충진재(60) 두께는 5 ~ 10㎝가 적합하고, FRP 재질인 경우 충진재(60) 두께는 벽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최고 구간인 10 ~ 15㎝가 적합하다.
한편, 노후 밸브실(10)의 재질이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충진재(60)가 비중이 0.6 ~ 0.8, 바람직하게는 약 0.7인 경량 기포 충진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충진재(60)의 비중이 낮아야 내부 격벽(20)에 가해지는 측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경량 기포 충진재는 시멘트(슬래그, 플라이애시 등 시멘트 대체 물질도 가능함) 400 중량부에 시멘트의 60%인 물 24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에, 기포제 0.6 ~ 0.8 중량부에 그 40배의 물(24 ~ 32 중량부)이 혼합된 혼합물을 섞고 고압공기를 가하여 제조된다. 즉, 고압공기의 주입에 의해 유동성과 내부 공극이 풍부한 비중 약 0.7 정도의 경량 기포 충진재를 현장에서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 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밸브실의 내부 격벽(20), 받침대(30), 상판(40), 수밀플랜지(50) 및 충진재(60)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① 개방 단계(S10): 노후 밸브실(10)의 상면을 철거한다.
② 받침대 설치 단계(S20): 노후 밸브실(10)의 저면에 받침대(30)를 설치한다.
③ 내부 격벽 설치 단계(S30): 노후 밸브실(10)의 내부에 노후 밸브실(10)의 저면과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내부 격벽을 설치한다. 이때 기존 관로(P)를 통과하는 제1 측판(24)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 측판(24)을 분할판(23)으로 나누고 관로(P)를 제1 측판(24)의 관로수용구(h)에 통과시킨 후 분할판(23)을 결합한다.
④ 수밀 단계(S40): 내부 격벽(20), 일반적으로 제1 측판(24)과 관로(P)를 수밀플랜지(50)로 수밀시킨다.
⑤ 충진 단계(S50): 노후 밸브실(10)과 내부 격벽(20) 사이에 충진재를 충진한다.
⑥ 상판 조립 단계(S60): 내부 격벽(20) 상부에 상판(40)을 얹어 결합시킨다.
10 노후 밸브실 20 내부 격벽
21 리브 22 하판
23 분할판 24 제1 측판
25 제2 측판 26 고정판
27 하부 설치구 28 측면 설치구
29 마감판 30 받침대
32 홀 40 상판
42 밸브 제어구 44 점검홀
50 수밀플랜지 52 제1 플랜지
54 지수링 56 제2 플랜지
58 너트 60 충진재

Claims (5)

  1. 노후 밸브실(10);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내부 격벽(20);
    상기 내부 격벽(20)을 노후 밸브실(10)의 저면에 대해 띄워 지지하는 받침대(30);
    상기 내부 격벽(20)의 상면을 덮어 밀폐하는 상판(40);
    상기 내부 격벽(20)의 관로수용구(h)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수용구(h)와 관로(P) 간 수밀을 유지하는 수밀플랜지(50) 및
    상기 노후 밸브실(10)과 상기 내부 격벽(20) 사이 공간에 주입 및 경화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충진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 격벽(20)이 관로(P)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설치구(27)가 형성되고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저면과 마주하는 하판(22), 상기 하부 설치구(27)와 연결되는 측면 설치구(28)가 형성되고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 측판(24), 상기 관로(P)가 상기 하부 설치구(27) 및 측면 설치구(28)에 통과된 후 상기 하부 설치구(27)와 측면 설치구(28)를 폐쇄하는 마감판(29)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22)과 제1 측판(24)이 상기 노후 밸브실(10) 외부에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밸브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40)에는 상기 관로(P)의 밸브(V)에서 연직 상방인 곳에 밸브 제어구(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밸브실.
  4. 삭제
  5. 노후 밸브실(10)의 상면을 철거하는 개방 단계(S10);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저면에 받침대(30)를 설치하는 받침대 설치 단계(S20);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내부에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저면과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내부 격벽(20)을 설치하는 내부 격벽 설치 단계(S30);
    상기 내부 격벽(20)과 관로(P)를 수밀플랜지(50)로 수밀시키는 수밀 단계(S40);
    상기 노후 밸브실(10)과 상기 내부 격벽(20) 사이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충진 단계(S50) 및
    상기 내부 격벽(20) 상부에 상판(40)을 얹어 결합시키는 상판 조립 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밸브실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내부 격벽(20)이 관로(P)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설치구(27)가 형성되고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저면과 마주하는 하판(22), 상기 하부 설치구(27)와 연결되는 측면 설치구(28)가 형성되고 상기 노후 밸브실(10)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 측판(24), 상기 관로(P)가 상기 하부 설치구(27) 및 측면 설치구(28)에 통과된 후 상기 하부 설치구(27)와 측면 설치구(28)를 폐쇄하는 마감판(29)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판(22)과 제1 측판(24)을 상기 노후 밸브실(10) 외부에서 일체로 결합시킨 후 상기 관로(P)를 상기 하부 설치구(27) 및 측면 설치구(28)에 통과시켜 상기 노후 밸브실(10) 내부에 상기 내부 격벽(20)을 위치시키며, 상기 하부 설치구(27)와 측면 설치구(28)를 마감판(29)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밸브실 시공 방법.
KR1020190030640A 2019-03-18 2019-03-18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KR10202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40A KR102029621B1 (ko) 2019-03-18 2019-03-18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40A KR102029621B1 (ko) 2019-03-18 2019-03-18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210A KR20190084210A (ko) 2019-07-16
KR102029621B1 true KR102029621B1 (ko) 2019-10-07

Family

ID=6747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40A KR102029621B1 (ko) 2019-03-18 2019-03-18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0772B (zh) * 2022-06-29 2023-03-28 华南理工大学 一种用于综合管廊接驳口的预制接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31B1 (ko) * 2007-03-30 2008-04-08 주식회사 한강개발 맨홀 보수공법 및 그 맨홀 보수부재
KR101952136B1 (ko) * 2018-03-28 2019-02-26 삼영기술주식회사 절연 밸브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881B1 (ko) * 2004-06-21 2006-05-17 이종환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시공 방법
KR20070113329A (ko) 2006-05-23 2007-11-2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합성구조 맨홀(상수도밸브실, 하수도맨홀)및 이를 이용한맨홀 시공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31B1 (ko) * 2007-03-30 2008-04-08 주식회사 한강개발 맨홀 보수공법 및 그 맨홀 보수부재
KR101952136B1 (ko) * 2018-03-28 2019-02-26 삼영기술주식회사 절연 밸브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210A (ko)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49B1 (ko)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KR102029621B1 (ko) 재생 밸브실 및 그 시공 방법
KR100804783B1 (ko) 조립식 맨홀
KR102219654B1 (ko) 에프알피 시트 및 종방향으로 분절된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KR100982241B1 (ko) 강관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수보강공법
JP2007197944A (ja) 可変パッド
KR101710304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세굴 이격부 보수 보강 공법
KR102218286B1 (ko) 내진보강 및 내화성 확보를 위하여 에프알피 시트 및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CN112726866B (zh) 一种装配式剪力墙建筑上下连接结构及其施工工艺
KR016466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압착주입 보강공법
JP5106835B2 (ja) 水路の補修方法および水路の補修用パネル
Farhey et al. Repaired RC flat-slab-column subassemblages under lateral loading
CN215947749U (zh) 预制装配式道床
JP5334379B2 (ja) 送電鉄塔用中空鋼管増強工法
JP2007285066A (ja) マンホールの補修及び補強方法
KR102053112B1 (ko) 보강 섬유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CN111058486A (zh) 一种基于止水钢板的地下室连通口结构及防渗漏施工方法
KR20010038429A (ko)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CN215947748U (zh) 预制组合装配式道床
CN212428173U (zh) 一种节能环保的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KR102461928B1 (ko) 콘크리트 보강 시공방법 및 보강 시스템
KR102166830B1 (ko) 경질탄산칼슘 및 천연 고성능 증점제 잔탄검을 포함하여 수밀성, 재료분리성을 향상시켜 수중 분리 저항성이 우수한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및 그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KR20040031560A (ko) 터널 내면벽 보수 보강용 복합형틀
KR102251018B1 (ko) 건물 엘리베이터실의 방진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9588296U (zh) 一种隧道套管式穿墙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