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429A -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429A
KR20010038429A KR1019990046395A KR19990046395A KR20010038429A KR 20010038429 A KR20010038429 A KR 20010038429A KR 1019990046395 A KR1019990046395 A KR 1019990046395A KR 19990046395 A KR19990046395 A KR 19990046395A KR 20010038429 A KR20010038429 A KR 20010038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r
connecting sleeve
morta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870B1 (ko
Inventor
김영길
김현모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 주식회사
최명식
삼연 피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 주식회사, 최명식, 삼연 피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101999004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8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층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한 제 1 벽체에 바닥인 슬래브를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의 상면이 제 2 벽체의 하면과 접하는 외측과 중앙 및 내측에는 차단재와 백업부재, 물을 흡수하지 않고 단열성능을 갖는 스펀지 고무재의 충전물 및 깔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의 상단에서 수직의 위쪽으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이 아래쪽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바 연결용 슬리브의 위쪽 개구부에는 제 2 벽체의 수직형 철근이 삽입되도록 하고, 중앙의 스토퍼에 의해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의 측면 하단에 형성한 주입구를 통해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측면 최상단에 형성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에 의해 내부에 완전히 충전시키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성과 품질의 향상은 물론,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켜 초고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파트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접합부위의 방수성이 향상되며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고 구조적인 일체감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Wall construction method use of Bar connection sleeve}
본 발명은 바 연결용 슬리브(Bar Connection Sleeve)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 콘크리트조, 철골철근 콘크리트조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조의 제자리치기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조로 외벽이나 내벽 등을 시공할 때 직경이 다른 철근이나 위치의 오차를 갖는 철근을 포함하는 모든 철근을 양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일체감이 향상되어 초고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파트의 시공이 가능한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인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거용 가옥이나 사무용 건물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인구의 과밀 지역인 도시 지역에는 주거 및 사무용 건물을 고층으로 건설하여 인구의 과밀에 따른 주거 및 사무용 공간의 부족분을 해소하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1990년대 초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한 아파트의 시공이 활발하였지만, 15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가 일반화되면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이 법적,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아파트의 초고층화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는 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공장에서 생산되어 제반 품질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설계나 시공상의 결함으로 인해 방수 성능이 떨어지는 등 고객의 품질 요구를 일부 만족시켜주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요즈음 건설되는 16층 이상의 많은 고층 건물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타설 콘크리트만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추세이다.
즉, 건설 현장에서 기초공사를 한 상태에서 그 위에 바닥과 벽체를 모두 현장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만을 이용한 고층 건물의 시공방법에 의하여서는 현장에서 모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고 거푸집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양생을 거쳐서 완전히 굳게되면 그 위에 다른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다음 공정을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거푸집을 일일이 설치하였다가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되고, 그에 따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사용하였던 건설 폐기물이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건설 인력이 고령화되는 추세에서 현장타설 콘크리트만으로 고층 건물을 건축하기에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었다.
또한 현장타설을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시키는 비효율적인 작업성과 함께 작업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여 건설 현장의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벽체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로 시공하면서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들이 연결되게 하는 철근을 양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일체감이 향상되어 초고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파트의 시공이 가능한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래층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한 제 1 벽체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을 이용하여 바닥인 슬래브를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한 후 상기 제 1 벽체의 상면과 하면이 접하도록 위층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한 제 2 벽체를 설치하되,
상기 제 1 벽체의 상면이 제 2 벽체의 하면과 접하는 외측에는 차단재와 백업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벽체의 돌출상면이 제 2 벽체의 오목한 면과 접하는 중앙에는 물을 흡수하지 않는 스펀지 고무재의 충전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벽체의 상면이 제 2 벽체의 하면과 접하는 내측에는 깔 모르타르(pad mortar)층을 형성하여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의 상단에서 수직의 위쪽으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이 아래쪽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바 연결용 슬리브의 위쪽 개구부에는 제 2 벽체의 수직형 철근이 삽입되도록 하고,
중앙의 스토퍼에 의해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의 측면 하단에 형성한 주입구를 통해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측면 최상단에 형성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에 의해 내부에 완전히 충전시키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성과 품질의 향상은 물론,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켜 초고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파트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접합부위의 방수성이 향상되며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고 구조적인 일체감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벽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벽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5, 21, 25 : 벽체 11, 30 : 바 연결용 슬리브
12, 13, 31, 32 : 개구부 14, 33 : 스토퍼
15, 34 : 주입구 16, 26 :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
17, 35 : 배출구 18, 36 : 파형돌기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아래층과 위층의 외벽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한 제 1 외벽체(1)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2)을 연장시키는 상태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다수의 철근(4)을 내장하면서 바닥층의 슬래브(3)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거푸집의 상단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시공하고,
상기 제 1 외벽체(1)에는 상기 슬래브(3)와 접합되는 부분에 제 1 외벽체(1)의 내측으로 오목한 전단보강부(1b)를 형성하여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전단보강부(1b)까지 주입되도록 시공하며,
상기 제 1 외벽체(1)의 상면에 하면이 접하는 제 2 외벽체(5)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조립 설치하고,
상기 제 1 외벽체(1)의 상면이 상기 제 2 외벽체(5)의 하면과 접하는 부위의 외부측에는 차단재(6)와 백업부재(7)를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 1 외벽체(1)의 돌출상면(1a)이 상기 제 2 외벽체(5)의 오목한면(5a)과 접하는 중앙에는 물을 흡수하지 않고 단열성을 갖는 스펀지 고무재의 충전물(8)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외벽체(1)의 상면이 상기 제 2 외벽체(5)의 하면과 접하는 내측에는 깔 모르타르(pad mortar)층(9)을 형성하여 시공하고,
상기 제 1 외벽체(1)의 상단에서 수직의 위쪽으로 외부로 돌출된 철근(10)이 아래쪽의 개구부(12)를 통하여 삽입되는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위쪽 개구부(13)에는 제 2 외벽체(5)의 수직형 철근(20)이 삽입되도록 하고,
중앙의 스토퍼(14)에 의해 철근(20)이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측면 하단에 형성한 주입구(15)를 통해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16)를 주입하여 측면 최상단에 형성한 배출구(17)로 배출되는 상태에 의해 내부에 완전히 충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협하광형(上狹下廣形)으로 제조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내면에는 다수의 파형돌기(18)를 형성하여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외벽체의 시공방법은 아래쪽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한 제 1 외벽체(1)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2)을 연장시키는 상태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다수의 철근(4)을 내장하면서 바닥층의 슬래브(3)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거푸집의 상단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외벽체(1)에는 상기 슬래브(3)와 접합되는 부분에 제 1 외벽체(1)의 내측으로 오목한 전단보강부(1b)가 형성되어 있어서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전단보강부(1b)까지 주입되도록 타설되므로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외벽체(1)의 상면에 공장에서 규격화하여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 2 외벽체(5)의 하면을 설치한다.
즉, 상기 제 1 외벽체(1)의 상면이 상기 제 2 외벽체(5)의 하면과 접하는 부위에 외부측으로 백업부재(7)를 삽입하고, 차단재(6)를 삽입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며 과 방수의 효과를 얻도록 한다. 특히 백업부재(7)는 차단재(6)가 일정량 삽입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외벽체(1)의 돌출상면(1a)이 상기 제 2 외벽체(5)의 오목한면(5a)과 접하는 중앙에는 물을 흡수하지 않고 단열성을 갖는 스펀지 고무재의 충전물(8)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깔 모르타르층(9)을 형성하여 더욱 향상된 방수효과 및 구조적인 안정성과 일체성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외벽체(1)의 상단에서 수직의 위쪽으로 외부로 돌출된 철근(10)에는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아래쪽에 형성한 개구부(12)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위쪽 개구부(13)에는 제 2 외벽체(5)의 수직형 철근(20)이 삽입되도록 한다.
중앙의 스토퍼(14)에 의해 제 2 외벽체(5)의 철근(20)이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측면 하단에 형성한 주입구(15)를 외부로 연장한 주입용 구멍(15a)통해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16)의 충분한 양을 주입하여 측면 최상단에 형성한 배출구(17)를 외부로 연장한 배출용 구멍(17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에 의해 내부에 모르타르(16)를 완전히 충전시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래층과 위층의 내벽체를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한 제 1 내벽체(21)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22)을 내장하는 상태에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다수의 철근(24)을 내장하고, 제 1 내벽체(21)의 상단에 포인트 보강 철근(24a)을 배근한 후 바닥층의 슬래브(23)를 거푸집의 상단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시공하고,
상기 제 1 내벽체(21)의 상면과 하면이 접하는 제 2 내벽체(25)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설치할 때 상기 제 1 내벽체(21)의 상단에서 수직의 위쪽으로 외부로 돌출된 철근(22)이 아래쪽의 개구부(31)를 통하여 삽입되는 바 연결용 슬리브(30)의 위쪽 개구부(32)에는 제 2 내벽체(25)의 수직형 철근(26)이 삽입되도록 하고,
중앙의 스토퍼(33)에 의해 철근(26)이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30)의 측면 하단에 형성한 주입구(34)를 통해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27)를 주입하여 측면 최상단에 형성한 배출구(35)로 배출되는 상태에 의해 내부에 완전히 충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협하광형으로 제조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30)의 내면에는 다수의 파형돌기(36)를 형성하여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27)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에 의하여서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한 제 1 벽체에 바닥인 슬래브를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의 상면이 제 2 벽체의 하면과 접하는 외측과 중앙 및 내측에는 차단재와 백업부재, 물을 흡수하지 않고 단열성을 갖는 스펀지 고무재의 충전물 및 깔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의 상단에서 수직의 위쪽으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이 아래쪽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바 연결용 슬리브의 위쪽 개구부에는 제 2 벽체의 수직형 철근이 삽입되도록 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의 측면 하단에 형성한 주입구를 통해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측면 최상단에 형성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에 의해 내부에 완전히 충전시키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성과 품질의 향상은 물론,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켜 초고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파트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접합부위의 방수성이 향상되며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고 구조적인 일체감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아래에 위치하는 제 1 벽체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을 연장시키는 상태에서 다수의 철근을 내장하면서 바닥층의 슬래브를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제 1 벽체의 상단에 제 2 벽체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설치하는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체(1)의 상면이 상기 제 2 벽체(5)의 하면과 접하는 외측에는 차단재(6)와 백업부재(7)를 삽입하도록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1)의 돌출상면(1a)이 상기 제 2 벽체(5)의 오목한면(5a)과 접하는 중앙에는 물을 흡수하지 않고 단열성을 갖는 스펀지 고무재의 충전물(8)을 삽입하도록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1)의 상면이 상기 제 2 벽체(5)의 하면과 접하는 내측에는 깔 모르타르층(9)을 형성하도록 시공하고,
    상기 제 1 벽체(1)의 상단에서 수직의 위쪽으로 외부로 돌출된 철근(10)이 아래쪽의 개구부(12)를 통하여 삽입되는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위쪽 개구부(13)에는 제 2 벽체(5)의 수직형 철근(20)이 삽입되도록 시공하고,
    중앙의 스토퍼(14)에 의해 철근(20)이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바 연결용 슬리브(11)의 측면 하단에 형성한 주입구(15)를 통해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16)를 주입하여 측면 최상단에 형성한 배출구(17)로 배출되는 상태에 의해 내부에 완전히 충전시키도록 하는 과정들에 의해 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바 연결용 슬리브(11)는 상협하광형으로 제조되고 내면에 다수의 파형돌기(18)를 형성하여 무수축성 고강도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KR1019990046395A 1999-10-25 1999-10-25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KR100336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395A KR100336870B1 (ko) 1999-10-25 1999-10-25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395A KR100336870B1 (ko) 1999-10-25 1999-10-25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429A true KR20010038429A (ko) 2001-05-15
KR100336870B1 KR100336870B1 (ko) 2002-05-16

Family

ID=1961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395A KR100336870B1 (ko) 1999-10-25 1999-10-25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8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03B1 (ko) * 2001-09-04 2004-08-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복도식 아파트를 계단식아파트로 변경하여 실내 거주 공간을 확장하는 시공방법
KR100449340B1 (ko) * 2001-09-04 2004-09-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존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시공방법
CN108118799A (zh) * 2017-12-19 2018-06-05 浙江绿筑集成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墙的套筒式施工方法
CN108801345A (zh) * 2018-06-04 2018-11-13 广东省建筑科学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竖向预制构件的串联式套筒灌浆检测结构和方法
CN111519757A (zh) * 2020-04-16 2020-08-11 闫旺升 一种装配式混凝土建筑连接构造
CN112554392A (zh) * 2020-11-30 2021-03-26 北京元洋鑫胜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墙体施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03B1 (ko) * 2001-09-04 2004-08-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복도식 아파트를 계단식아파트로 변경하여 실내 거주 공간을 확장하는 시공방법
KR100449340B1 (ko) * 2001-09-04 2004-09-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존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시공방법
CN108118799A (zh) * 2017-12-19 2018-06-05 浙江绿筑集成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墙的套筒式施工方法
CN108801345A (zh) * 2018-06-04 2018-11-13 广东省建筑科学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竖向预制构件的串联式套筒灌浆检测结构和方法
CN108801345B (zh) * 2018-06-04 2024-02-09 广东省建科建筑设计院有限公司 竖向预制构件的串联式套筒灌浆检测结构和方法
CN111519757A (zh) * 2020-04-16 2020-08-11 闫旺升 一种装配式混凝土建筑连接构造
CN112554392A (zh) * 2020-11-30 2021-03-26 北京元洋鑫胜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墙体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870B1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0799A1 (en) Prefabricated frame
KR20180112311A (ko) 장선슬래브용 철근 일체형 데크
JP2543667B2 (ja) 雨水貯溜槽
KR100336870B1 (ko)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KR20010091697A (ko) 루프바를 이용한 피씨 벽체의 이음부위 연결방법
CN212670968U (zh) 叠合楼板和建筑物
CN216973894U (zh) 一种适用于装配式卫生间的一体化预制楼板
KR20030010407A (ko) 섬유보강 흙막이 구조물,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합성 지하외벽 구조
CN211341214U (zh) 沉箱的连接节点
CN2117141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结构
JP3074599B2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これを用いた床構造
CN113374171A (zh) 一种再生块体混凝土预制装配式圈梁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329054Y1 (ko)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피씨벽부재의 측면 연결부의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CN101059009B (zh) 一种钢筋砼预制板
KR200329055Y1 (ko)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모서리부의 피씨벽부재의 측면연결부의 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KR20010038430A (ko) 방수성능을 갖는 접합부의 구조
KR100377134B1 (ko) 초고층 아파트의 복도와 발코니의 하프 슬래브 시공방법
CN217325939U (zh) 一种具有良好防水效果的预制剪力墙构造
KR200329053Y1 (ko) 상, 하측 벽체용 피씨 벽부재의 플레이트 ·철근접합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CN213448840U (zh) 一种装配式凸窗
KR102187755B1 (ko) 층간조인트 크랙 방지 방법
CN219138251U (zh) 一种模块化电梯井道
CN219931248U (zh) 装配式钢结构外挂预制墙体与地下室顶板连接构造
JP2515227B2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壁版との取付け方法
KR20010038427A (ko) 초고층 벽식 복합화 공법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