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589B1 - 재봉용 지그 - Google Patents

재봉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589B1
KR102029589B1 KR1020180070724A KR20180070724A KR102029589B1 KR 102029589 B1 KR102029589 B1 KR 102029589B1 KR 1020180070724 A KR1020180070724 A KR 1020180070724A KR 20180070724 A KR20180070724 A KR 20180070724A KR 102029589 B1 KR102029589 B1 KR 102029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ewing
locking
base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성
Original Assignee
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성 filed Critical 서호성
Priority to KR102018007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1/00Workpiece holders or hold-downs in machines for sewing leathe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로부터 지그부의 교체가 간편하고, 작업자의 재봉물 교체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재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현한 재봉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부;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가압하기 위한 지그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방에 회전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지그부에 고정되어,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지그부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측벽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회전 연결부의 일측과 다른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 연결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봉용 지그{Jig for sewing}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재봉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을 재봉하는 동안 에어백(airbag)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재봉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airbag)이란, 자동차가 충돌했을 때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서 윈도우글라스(window glass) 등의 차체 내부구조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에는 에어백 쿠션이 마련되는데, 자동차의 충돌 시에 에어백 쿠션은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부풀어진다. 이렇게 부풀어진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가 차체 내부구조에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에어백 쿠션은 여러 종류의 독립된 재봉물들이 재봉기에 의해 봉제되어 완성되는데, 재봉기에 의한 봉제과정에서 재봉물들이 상호간에 상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봉물들이 재봉용 지그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봉제가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재봉용 지그는, 재봉물을 지지하는 지그하판과, 재봉물을 지그하판으로 가압하는 지그상판과, 지그상판에 결합된 자성체를 포함한다. 지그상판에 결합된 자성체는 자기력에 의해 지그상판과 지그하판 사이에 배치된 재봉물을 지그하판으로 가압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제봉용 지그에서 자성체는 지그상판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4436호(2016.11.03.)는 에어백 재봉용 지그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상기 에어백 재보용 지그는, 받침판 중앙에 형성된 작업공보다 큰 재3재봉공을 형성하고 있고 받침판 후측부에 경첩으로 개폐가 용이하도록 결합되는 누름판과, 누름판에 형성된 제3재봉공 보다 작은 크기의 제1재봉공을 갖는 밀착판을 누름판 이면에 밀착시킨 다음 밀착판의 압입공들로 압입된 자석편들의 삽입공과 압입공들 사이에 형성된 제1통공들에 다수개의 비스들을 삽입하여 누름판의 제3통공을 통해 누름판 표면으로 노출되는 비스에 다수개의 너트들을 체결하고 있는 에어백 재봉용 지그에 있어서, 누름판의 제3통공으로 노출된 다수개의 비스가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제4재봉공을 형성하고 있고 제4재봉공의 외곽에는 다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있는 나사벨트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봉용 지그는, 재봉용 지그에서 가압 해제 시에 받침판과 누름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 작업자가 재봉물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교체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상기 누름판에 간섭을 받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재봉용 지그는, 볼트결합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가압용 지그를 교체하기 위해서, 먼저 볼트를 풀어 기존 가압용 지그를 제거한 후 기존 가압용 지그의 위치에 새로운 가압용 지그를 위치시킨 후 다시 볼트로 조여 새로운 가압용 지그를 재봉기 본체에 결합해야 하는 방식으로서, 지그의 교체작업이 복잡하며, 지그의 교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443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로부터 지그부의 교체가 간편하고, 작업자의 재봉물 교체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재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봉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베이스 프레임부;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가압하기 위한 지그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방에 회전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지그부에 고정되어,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지그부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측벽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회전 연결부의 일측과 다른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 연결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재봉용 지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는, 전면에 복수 개의 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연결되는 회전블록; 후면에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핀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블록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고, 다른 일측에 상기 지그부가 연결되기 위한 착탈블록; 및 상기 회전블록를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고, 단부로 상기 결합핀을 걸림 고정시키어, 상기 회전블록에 상기 착탈블록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전후로 신축하기 위한 구동실린더; 및 일측은 상기 구동실린더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핀은, 중앙부에 상기 록킹부재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핀은, 상기 걸림 고정홈을 둘러싸기 위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결합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결합핀에 걸림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용 지그는, 지그부의 전방이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져 재봉물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재봉물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가 지그부의 간섭 없이 교체작업을 수행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봉용 지그는, 베이스 프레임과 지그부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지그부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키고 재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용 지그는, 지그부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지그부의 회전 구동을 자동 정지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재봉 작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용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착탈블록과 지그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감지센서 및 구동 제어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용 지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용 지그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봉용 지그는, 베이스 프레임부(100), 지그부(200), 회전 연결부(300) 및 회전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재봉기 본체(미도시)에 고정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110)와, 상기 측면 프레임부(110)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면 프레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 착탈블록과 지그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상기 지그부(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가압한다.
상기 지그부(200)는, 상향 회전하면서 전단이 들려지며 재봉물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고, 하향 회전하면서 전단이 내려와 재봉대(미도시)에 맞닿으면서 재봉물을 가압한다.
상기 지그부(200)는, 재봉 바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200h)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부(200)는, 다양한 형상의 가이드홀(20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지그부(미도시)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연결부(300)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회전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지그부(200)에 고정되어,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지구부(200)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300)는, 회전블록(310), 착탈블록(320) 및 록킹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블록(31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블록(310)은, 상기 전면 프레임부(120)와 회전축(3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회전블록(310)은, 전면에 복수 개의 결합구(310h)를 형성한다.
상기 착탈블록(320)은, 전방에 상기 지그부(30))가 결합되고 후방으로 상기 회전블록(310)에 착탈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착탈블록(320)은, 후면에 상기 결합구(311)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핀(321)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핀(321)은, 중앙부에 후술(後述)할 록킹부재(330)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 고정홈(321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핀(321)은, 상기 걸림 고정홈(321h)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완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미도시)는, 고무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핀(321)은, 중앙부가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330)는, 상기 회전블록(310)에 결합하여 단부가 상기 결합구(310h)에 삽입된다.
상기 록킹부재(330)는, 단부로 상기 결합구(310h)에 삽입된 상기 결합핀(321)을 걸림 고정시키어, 상기 회전블록(310)에 상기 착탈블록(320)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록킹부재(330)는, 걸림부(331), 고정부(332) 및 손잡이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331)는, 상기 결합구(310h)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핀(321)의 걸림 고정홈(321h)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332)는, 상기 걸림부(3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블록(310)을 관통한다.
상기 손잡이부(333)는, 상기 고정부(33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블록(310)의 측부에 돌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333)를 돌리어, 상기 걸림부(331)를 상기 결합구(310h)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상기 회전 구동부(400)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측벽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회전 연결부(300)의 일측과 다른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 연결부를 회전 구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400)는, 구동실린더(410) 및 회전 구동링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실린더(410)는,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측벽에 고정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실린더(410)는, 상기 측면 프레임부(110)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동링크(420)는, 두 개로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구동실린더(410)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회전축(31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실린더(110)의 신축에 따라 상기 회전축(311)을 회전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용 지그는,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위하여, 상기 지그부(20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지그부(200)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재봉용 지그는, 감지센서(500) 및 구동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감지센서(500) 및 구동 제어부(6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센서(500)는, 상기 결합핀(321)에 걸림 고정된 것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500)는, 상기 록킹부재(330)의 단부가 상기 걸림고정홈(321h)에 삽입된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센서(500)에서 상기 록킹부재(330)가 상기 결합핀(321)에 걸림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회전 구동부(400)를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상기 구동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센서(500)에서 상기 록킹부재(330)가 상기 결합핀(321)에 걸림 고정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구동부(400)를 다시 재작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봉용 지그는, 상기 지그부(200)가 상기 회전 연결부(300)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지그부(200)의 회전 구동을 자동 정지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재봉 작업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부
200: 지그부
300: 회전 연결부
310: 회전블록
320: 착탈블록
321: 결합핀
400: 회전 구동부
410: 구동실린더
420: 구동링크
500: 감지 센서
600: 구동 제어부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부;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가압하기 위한 지그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방에 회전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지그부에 고정되어,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지그부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측벽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회전 연결부의 일측과 다른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 연결부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연결부는,
    전면에 복수 개의 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연결되는 회전블록;
    후면에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핀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블록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고, 다른 일측에 상기 지그부가 연결되기 위한 착탈블록; 및
    상기 회전블록를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고, 단부로 상기 결합핀을 걸림 고정시키어, 상기 회전블록에 상기 착탈블록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록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중앙부에 상기 록킹부재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 고정홈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블록을 관통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블록의 측부에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결합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결합핀에 걸림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용 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전후로 신축하기 위한 구동실린더; 및
    일측은 상기 구동실린더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구동링크를 포함하는 재봉용 지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상기 걸림 고정홈을 둘러싸기 위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용 지그.
KR1020180070724A 2018-06-20 2018-06-20 재봉용 지그 KR102029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24A KR102029589B1 (ko) 2018-06-20 2018-06-20 재봉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24A KR102029589B1 (ko) 2018-06-20 2018-06-20 재봉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589B1 true KR102029589B1 (ko) 2019-10-08

Family

ID=6820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24A KR102029589B1 (ko) 2018-06-20 2018-06-20 재봉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5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078U (ja) * 1982-09-17 1984-03-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加工物ホルダ−着脱装置
JPS5962087A (ja) * 1982-09-29 1984-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縫い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H0730979U (ja) * 1994-12-12 1995-06-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加工布保持装置
KR101674436B1 (ko) 2016-09-08 2016-11-09 김남홍 에어백 재봉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078U (ja) * 1982-09-17 1984-03-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加工物ホルダ−着脱装置
JPS5962087A (ja) * 1982-09-29 1984-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縫い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H0730979U (ja) * 1994-12-12 1995-06-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加工布保持装置
KR101674436B1 (ko) 2016-09-08 2016-11-09 김남홍 에어백 재봉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157B1 (ko) 자수기용 피자수물 클램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
US4681051A (en) Guide device for the workpiece of a sewing machine
US20120280019A1 (en)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KR102029589B1 (ko) 재봉용 지그
JP2545738B2 (ja) 鍛造作業用ロボットハンド
CN106041381B (zh) 制动蹄挡块焊接机
JP3977500B2 (ja) タイヤのユニフォーミティ及び動釣合複合試験装置
CN211205223U (zh) 一种汽车后保险杠支架检具
CN206804305U (zh) 汽车座椅头枕前翼操作耐久试验机构
KR20100100576A (ko) 자수기용 피자수물 클램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
JPS6393552A (ja) ドリル研削盤
CN205388532U (zh) 锁扣耐久试验台
CN219967020U (zh) 一种汽车转向节衬套压装机
CN205817327U (zh) 一种十字轴机加工夹具
CN213257246U (zh) 一种铝材条高效定位加工装置
CN212714035U (zh) 花样机换模装置
CN210452325U (zh) 一种旋转式门架
CN220576334U (zh) 一种便拆式珠宝加工定位装置
CN218135936U (zh) 一种白车身定位机构
CN215701153U (zh) 一种汽车座椅治具
CN213240418U (zh) 一种主控板卡生产用检测治具
CN221006622U (zh) 一种电机扭矩用检测设备
CN211804848U (zh) 一种智能机床电机安装结构
CN113089204B (zh) 一种使用方便的刺绣机工艺夹具
CN210125748U (zh) 一种智能门锁用开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