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092B1 - Root crops harvester - Google Patents

Root crops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092B1
KR102029092B1 KR1020170175841A KR20170175841A KR102029092B1 KR 102029092 B1 KR102029092 B1 KR 102029092B1 KR 1020170175841 A KR1020170175841 A KR 1020170175841A KR 20170175841 A KR20170175841 A KR 20170175841A KR 102029092 B1 KR102029092 B1 KR 10202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bar
lifting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4464A (en
Inventor
남영조
김문택
남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to KR102017017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092B1/en
Publication of KR2019007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0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2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conveyors arranged above the sieving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뿌리작물 수확기에 관한 발명으로, 원동기에 부착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본체(100)를 구비하여, 뿌리작물의 굴취에서 톤백에 저장 및 배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본체(100)에는, 본체(100)의 전측 하방에서 구굴판(111)을 일정 각도로 구동하여 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110)와, 굴취부(11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내부 하측으로 다수의 제1분리바(121) 및 제2분리바(122)를 구비하여 작물을 반송하고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부(120)와, 분리부(12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상측으로 일 방향 구동하는 다수의 승강바(131)를 구비하여 작물을 이송부(140)로 공급하는 승강부(130)와, 승강부(13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후방으로 다수의 이송바(141)를 구비하여 승강부(130)에서 낙하하는 작물을 배출부(150)로 공급하는 이송부(140)와, 이송부(140)의 후방에서 작물이 저장되는 톤백(151)을 종동 및 횡동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뿌리작물의 수확작업 전반을 기계화,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t crop harvester, comprising a main body (100) that is attached to the prime mover to receive power, in the root crop harvester performing a series of operations to store and discharge in the tone bag in the excavation of the root crop, In the main body 100, the excavation unit 110 for excavating crops by driving the bulb locating plate 111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below the main body 100,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rear of the excavation unit 110. A separation unit 120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eparation bars 121 and second separation bars 122 at a lower side to convey crops and separating impurities, and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t the rear of the separation unit 120. A plurality of lifting bars 131 driven upward in one direction to supply the crops to the transport unit 140, and a plurality of transports from the rear of the lifting unit 130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 transfer unit 140 having a bar 141 and supplying a crop falling from the lifting unit 130 to the discharge unit 150, and Mechanizing and automating the overall harvesting operation of root crops by including a discharge part 150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by following and moving the tone bag 151, the crop is stored in the rear of the unit 140 It is characteristic that can be done.

Description

뿌리작물 수확기{ROOT CROPS HARVESTER}Root crop harvester {ROOT CROPS HARVESTER}

본 발명은 뿌리작물 수확기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 마늘 등 뿌리를 식용으로 이용하는 작물의 굴취에서부터 톤백에 저장하여 배출하는 일련의 수확작업 전반을 단일 장치로 기계화, 자동화하여 수확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대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t crop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a whole series of harvesting operations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crops using the roots such as onions and garlic for edible storage in a ton bag by mechanizing and automating them in a single device. A root crop harvester that increases efficiency and productivity.

일반적으로, 뿌리작물은 경작지의 지중에서 자라는 뿌리를 식용으로 하는 양파, 마늘, 땅콩, 무, 감자, 고구마 등의 작물을 일컫는다.In general, root crops refer to crops such as onions, garlic, peanuts, radishes, potatoes, sweet potatoes, etc., which consume roots grown on the ground of cropland.

뿌리작물은 수확시 작물이 심어진 두둑을 구굴하여 채취해야 하므로, 일반 작물에 비해 수확작업의 기계화가 어렵다. 따라서, 작물을 굴취하는 작업은 대부분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다.Root crops need to be harvested by harvesting the duds on which the crops are planted, so it is difficult to mechanize harvesting operations. Therefore, the digging of the crop is a situation that is mostly made by manual labor.

결국, 인건비 상승에 의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굴취 후에도 작물을 수집, 저장 및 이송하는 작업 역시 별도의 인력 및 장비를 이용한 개별 작업으로 실시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매우 비효율적이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of enormous costs due to rising labor costs and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the work of collecting, storing and transporting crops after excavation must also be performed by individual work using separate manpower and equipment. It is difficult and very inefficient.

한편, 종래 뿌리작물의 수확 작업에 투입되는 장치에 관하여 공지된 기술을 통해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schematic configuration through a known technique with respect to the device that is put into the conventional harvesting work of root crops as follows.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4 - 0032592 호에는 트랙터의 지지장치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측면 또는 후면에 상부 전면 또는 측면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평판형의 평판프레임과, 평판프레임에 상부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평판형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하부에 구성되어 한 쌍의 지지판을 연결하고 주행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평판의 굴착판과, 굴착판의 상부 경사면에 구성되고 주행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으로 구성되는 굴착부로 구성하는 땅속작물 수확기를 구성한다. 따라서 수확 작업 시 상기 굴착판은 두둑 속으로 내재되어 두둑을 굴착하여 평탄하게 하고, 삽은 두둑 속으로 내재되어 땅속작물을 굴착하도록 구성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32592 discloses a frame connected to a support device of a tractor, a flat plate frame of which an upper front side or a sid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r the rear of the fram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lat frame. A flat plate support plat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 flat plate excavation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to connect a pair of support plates,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inclin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Consists of a ground crop harvester consisting of an excavation portion consisting of a shovel formed. Therefore, during the harvesting operation, the excavation plate is embedded in the toad and excavates the toad and flattens, and the shovel is embedded into the toad to excavate the ground crop.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32293 호에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구비되고 트랙터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축이 구비되며 그 하방이 개방된 본체와, 작물줄기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본체 양 끝단에 가로질러 설치되며 견인작업시 땅속으로 내재하여 땅속작물을 굴착할 수 있도록 주행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굴착판을 포함하는 땅속작물 수확기를 구성한다. 따라서 트랙터의 동력에 의해 본체를 하향시키면, 본체 끝단에 가로질러 설치된 굴착판이 땅속으로 소정깊이 삽입되고, 이어서 트랙터를 주행시키면 굴착과 동시에 땅속작물들이 굴착판의 경사면을 따라 땅위로 드러나고, 커터부가 작물줄기를 절단하도록 구성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0432293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to be towed by the tractor, a power shaft that rotates in response to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tractor, and the main body and the crop stem is opened below It consists of a cutter to cut, and is installed across the both ends of the main body crop harvester including an excavation plate is formed in the running direction so as to excavate the ground crops in the ground during the towing operation. Therefore, when the main body is lowered by the power of the tractor, the excavation plate installed across the end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 predetermined depth, and when the tractor is driven, the ground crops are exposed on the ground along the slope of the excavation plate at the same time as the excavation, and the cutter unit crops Configure to cut the stem.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4 - 0032592 호 (2014.03.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2592 (2014.03.1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32293 호 (2006.11.30)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2293 (2006.11.30)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74950 호 (2009.01.21)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74950 (2009.01.2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3995 호 (2004.06.23)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3995 (2004.06.23)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뿌리작물 수확기는 원동기에 의해 수확기 본체가 견인되면서 동력을 전달받고, 전방에 구비하는 굴착판을 작동하여 두둑을 구굴해 작물을 채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Root crop harvester to which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is powered by the harvester main body is pulled by the prime mover, and is made in the form of harvesting crops by operating the excavation plate provided in front.

그러나, 종래 기술의 뿌리작물 수확기는 주로 수작업에 의존해오던 작물 굴취작업을 기계화한 것에 불과하므로, 굴취 이후의 작업, 즉 수확기에 의해 굴취되어 두둑에 놓어진 상태의 뿌리작물을 일일이 수집하고, 일정 단위로 저장하여 운반차로 이송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은 여전히 별도의 인력을 동원하여 개별 작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root crop harvester of the prior art is only the mechanization of the crop excavation work that has been mainly dependent on the manual work, so that the work after the excavation, that is, the root crops are excavated by the harvester and placed on the ridge, and collected in a certain unit. A series of tasks such as storing them and transporting them to a vehicle are still being carried out as individual tasks by mobilizing separate personnel.

그러므로, 경작지에서 이루어지는 뿌리작물의 굴취에서 운반차로의 이송에 이르는 수확작업 전반의 기계화,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생산성 향상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고, 특히 작업의 연속성이 저하되어 작업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의 비효율적인 운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of the whole harvesting operation, from the excavation of root crops to the transport truck, cannot be greatly effected due to the lack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efficient operation of the system.

또한, 수작업과 기계 사용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작물 자체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과 자극의 빈도가 증대하여 품질저하를 야기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개선책이 시급히 요구된다.In addition, since the frequency of physical shock and stimulus applied to the crop itself increases as the manual operation and the machine use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improvement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원동기에 부착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본체(100)를 구비하여, 뿌리작물의 굴취에서 톤백에 저장 및 배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에 있어서,In the root crop harvester having a main body 100 is attached to the prime mover to receive power, and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to store and discharge in the tone bag in the excavation of the root crop,

상기 본체(100)에는,In the main body 100,

본체(100)의 전측 하방에서 구굴판(111)을 일정 각도로 구동하여 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110)와,And excavation unit 110 for driving the crop plate 111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extract the crops,

상기 굴취부(11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내부 하측으로 다수의 제1분리바(121) 및 제2분리바(122)를 구비하여 작물을 반송하고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부(120)와,The separation unit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eparation bars 121 and second separation bars 122 from the rear of the excavation unit 110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convey crops and separate impurities. Wow,

상기 분리부(12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상측으로 일 방향 구동하는 다수의 승강바(131)를 구비하여 작물을 이송부(140)로 공급하는 승강부(130)와,An elevating unit 130 having a plurality of elevating bars 131 driven in one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separating unit 120 to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supply crops to the conveying unit 140;

상기 승강부(13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후방으로 다수의 이송바(141)를 구비하여 승강부(130)에서 낙하하는 작물을 배출부(150)로 공급하는 이송부(140)와,A transfer unit 140 having a plurality of transfer bars 141 from the rear of the elevating unit 130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o supply crops falling from the elevating unit 130 to the discharge unit 150;

상기 이송부(140)의 후방에서 작물이 저장되는 톤백(151)을 종동 및 횡동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뿌리작물의 수확작업 전반을 단일 장치로 기계화, 자동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The harvesting operation of the root crop as a single device by including a discharge unit 150 to discharge an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by following and moving the tone bag 151, the crop is stored in the rear of the transfer unit 140 It can achieve the purpose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본 발명은 양파 등 뿌리작물의 굴취에서부터 톤백에 저장하여 배출하는 일련의 수확작업 전반을 단일 장치로 기계화 및 자동화로 실시할 수 있는 뿌리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t crop harvester that can be carried out by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of a series of harvesting operations for storing and discharging from the root crops such as onions to be stored in the tone bag.

특히, 본 발명은 굴취부, 분리부, 승강부, 이송부, 및 배출부를 포함한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 작물의 굴취 기능만을 탑재하는 수확기와는 현저히 차별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variety of functions remarkably distinguished from the harvester equipped with only the excavation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crop, as it consists of a series of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excavation unit, separation unit, lifting unit, transfer unit, and discharge unit.

따라서, 수작업과 기계 사용을 병행 실시하여야 했던 뿌리작물 수확작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수확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대하고, 인건비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가진다.Therefore, the root crop harvesting work, which had to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manual work and the use of the machine, has been dramatically improv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harvesting work, and having various advantages such as reducing labor costs and shortening working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작동 상태 예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뿌리작물 수확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t crop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art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의 작동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to Figure 7 of 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st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is shown.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뿌리작물 수확기는 양파, 마늘 등 뿌리작물을 경작지에서 굴취하는 작업에서부터 톤백(151)에 저장하여 배출하는 일련의 수확작업 전반을 원동기에 부착하는 단일 수확기로 기계화 및 자동화하여 수확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Root crop harveste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mechanized and automated by a single harvester attaching the entire series of harvesting operations stored in the ton bag 151 to excavate root crops such as onions and garlic from the farmland to the prime mover. It is noted that the technique relates to a technique aimed at dramaticall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harvesting operation.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뿌리작물 수확기는 원동기에 부착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본체(100)를 구비하여, 뿌리작물의 굴취에서 톤백(151)에 저장 및 배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뿌리작물 수확기를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Root crop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00 receives power to be attached to the prime mover, the root crop harvester for performing a series of operations to store and discharge in the tone bag 151 in the excavation of the root crop It is as follows specifically ,.

본 발명의 뿌리작물 수확기 본체(100)는 소정의 프레임을 형성하여 원동기에 본체(100)를 부착하거나, 내부 부품의 설치, 및 본체(100)를 운반하는 휠 등을 장착하도록 구성한다.The root crop harvester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edetermined frame to attach the main body 100 to the prime mover, or to install an internal component and a wheel for carrying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에는 크게 굴취부(110)와, 분리부(120)와, 승강부(130)와, 이송부(140)와, 배출부(150)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excavation unit 110, a separation unit 120, a lifting unit 130, a transfer unit 140, and a discharge unit 150.

상기 굴취부(110)는 본체(100)의 전측 하방에서 구굴판(111)을 일정 각도로 구동하여 작물을 굴취한다. 상기 구굴판(111)은 본체(100)에 탑재하여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The excavation unit 110 drives the bulb plate 111 at a predetermined angle below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excavate the crop. The orifice plate 11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and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rime mover.

상기 구굴판(111)은,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작동캠을 장착하는 커넥팅로드와 구굴판(111)을 작동하는 구굴축을 연결하여 전, 후 방향과 상, 하 방향으로 타원형 궤도를 형성하면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뿌리작물이 심어진 지면을 향해 전진과 상승을 반복하여 파헤치는 형태로 작동한다.The bulbous plate 111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for mounting the actuating cam and the bulbous shaft for operating the bulbous plate 111 to drive while forming an elliptical orbit in the front, rear and up, down direction Configure to Therefore, the root crop works by repeatedly digging forward and upward toward the planted ground.

상기 분리부(120)는 굴취부(11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내부 하측으로 다수의 제1분리바(121) 및 제2분리바(122)를 구비하여 작물을 반송하고 불순물을 분리한다.The separation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paration bars 121 and second separation bars 122 from the rear of the excavation unit 110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convey crops and separate impurities. do.

상기 제1분리바(121)는 분리부(120)의 좌, 우 방향으로 수평바의 형태로 형성하여 굴취부(110)를 거쳐 본체(100) 내부로 진입하는 뿌리작물을 안착하여 반송한다.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a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paration unit 120 and seats and transports the root crop entering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excavation unit 110.

상기 제1분리바(121)는 굴취부(110)의 후방에서 본체(100) 내부를 향해 다수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전측기어(123) 및 후측기어(124)와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구동한다. 상기 전측기어(123) 및 후측기어(124)는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The first separation bar 121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rear of the excavation unit 110, and driven in on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gear 123 and the rear gear 124. do. The front gear 123 and the rear gear 124 is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rime mover.

상기 제1분리바(121)의 배열 간격은 뿌리작물에 종류에 따라서 적용할 수 있으며, 제1분리가가 구동하는 과정에서 간격 사이로 굴취 작업시 작물과 함께 혼입되는 각종 불순물이 낙하하여 분리되도록 구성한다.Arrangement interval of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can be applied to the root crop according to the typ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various impurities mixed with the crop during the excavation work between the gap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first separation fall fall apart. do.

상기 제2분리바(122)는 분리부(120)의 전, 후 방향으로 형성하되, 작물이 안착되는 중심부를 '∨'와 같은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제1분리바(121)에서 반송되는 작물을 일시 안착한다.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is formed in the front, rear direction of the separation unit 120, the crop is conveyed from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by forming the center of the crop is bent in the form of '∨' To rest temporarily.

상기 제2분리바(122)는 후측기어(124)의 후방 하측에서 다수를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하여 본체(100)에 고정한다. 따라서, 제1분리바(121)에서 반송되는 작물이 소정의 높이로 제2분리바(122)에 낙하하면서 작물에 뭍은 흙을 털어 분리시키도록 구성한다.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ear lower side of the rear gear 124. Therefore, the crops conveyed from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by shaking off the soil struck in the crop while falling on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제2분리바(122)의 배열 간격은 상기 승강부(130)의 승강바(131)의 배열 간격과 교번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체(100)에 고정되는 제2분리바(122)의 간격 사이로 하기 승강부(130)의 승강바(131)가 통과하면서 제2분리바(122)에 안착된 작물이 승강바(131)의 상승과 함께 옮겨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is configured to alternate with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elevation bar 131 of the elevation unit 130. Therefore, as the lifting bar 131 of the following lifting unit 130 passes between the intervals of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fixed to the main body 100, the crops seated on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are lifted bar 131. It is configured to be moved with the rise of).

상기 승강부(130)는 분리부(12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상측으로 일 방향 구동하는 다수의 승강바(131)를 구비하여 작물을 이송부(140)로 공급한다.The elevating unit 130 has a plurality of elevating bars 131 driven in one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separating unit 120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supply the crops to the conveying unit 140.

상기 승강부(130)에는 승강바(131)가 장착되는 승강체인(134)을 구비하여 승강바(131)를 회전시킨다.The elevating unit 130 includes an elevating chain 134 on which the elevating bar 131 is mounted to rotate the elevating bar 131.

상기 승강체인(134)은 분리부(120)의 후방에 설치하는 하측기어(132)와,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하는 상측기어(133)를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승강체인(134)은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The lifting chain 134 rotates in one direction by interlocking a lower gear 132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parating unit 120 and an upper gear 133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lifting chain 134 is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rime mover.

상기 승강바(131)는 승강부(130)의 전, 후 방향으로 형성하되, 작물이 안착되는 중심부를 '∨'와 같은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제2분리바(122)에 안착된 작물을 들어올려 이송한다.The lifting bar 131 is formed in the front, rear direction of the lifting unit 130, the center of the crop is formed to be bent in the form of '∨' to lift the crop seated on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Transfer it up.

상기 승강바(131)는 승강체인(134) 상에 다수를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승강체인(134)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본체(1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승강하도록 구비한다.The elevating bar 131 forms a group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ly on the elevating chain 134 at regular intervals, and arranges the group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vating chain 134 of the main body 100. It is provided to raise and lower from the lower side.

즉, 상기 승강바(131)는 분리부(120)에 대향하는 일측에서는 '∨'의 형태로 승강체인(134)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승하고, 상측기어(133)를 통과한 후에는 '∧'의 형태로 뒤집혀 하강하도록 구성한다.That is, the elevating bar 131 is rais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elevating chain 134 in the form of '∨' on one side facing the separation unit 120,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gear 133 ' It is configured to descend and turn over in the form of '.

상기 승강바(131)의 배열 간격은, 상기 분리부(120)의 제2분리바(122)의 배열 간격, 및 후술하게 될 이송부(140)의 이송바(141)의 배열 간격과 교번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승강부(130)의 승강바(131)가 승강체인(134)과 함께 회전하면서 본체(100)에 고정되는 상기 제2분리바(122)의 간격 사이를 통과하여 제2분리바(122)에 안착된 작물을 이송하도록 구성한다.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lifting bar 131 is configured to alternate with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of the separation unit 120, and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transfer bar 141 of the transfer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do. Accordingly, the lifting bar 131 of the lifting unit 130 passes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fixed to the main body 100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lifting chain 134 and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 To transport crops settled in

더불어, 상기 승강바(131) 및 제2분리바(122)의 길이는 분리부(120)와 승강부(130) 사이의 설치 거리를 고려하여 최대한 교번하여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작물에 손상을 입히거나 추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겨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lengths of the elevating bar 131 and the second separating bar 122 are formed to overlap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ng unit 120 and the elevating unit 130 to damage the crops. It is configured to move stably without coating or falling down.

상기 이송부(140)는 승강부(13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후방으로 다수의 이송바(141)를 구비하여 승강부(130)에서 낙하하는 작물을 배출부(150)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The transfer unit 140 has a plurality of transfer bars 141 from the rear of the lifting unit 130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rop falling from the lifting unit 130 to the discharge unit 150. do.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131)는 상측기어(133)를 통과한 후에는 승강체인(134)에 장착된 상태에서 뒤집어진 형태로 하강하므로 승강바(131)에 안착된 작물이 낙하된다. 상기 이송부(140)에는 이송바(141)와 이송판(142)을 구비하여 소정의 높이에서 낙하하는 작물을 즉시 배출부(150)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elevating bar 131 passes through the upper gear 133, the elevating bar 131 falls down while being mounted on the elevating chain 134, so that the crop placed on the elevating bar 131 falls. . The transfer unit 140 is provided with a transfer bar 141 and the transfer plate 142 is configured to immediately transfer the crop falling from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discharge unit 150.

상기 이송바(141)는 승강부(130)의 상측기어(133)의 후방 하측에서 일정 각도 하향하도록 다수를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하여 본체(100)에 고정한다.The transfer bar 141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orizontally horizontally so as to be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ear lower side of the upper gear 133 of the lifting unit 130.

상기 이송바(141)의 배열 간격은 상기 승강부(130)의 승강바(131)의 배열 간격과 교번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130)의 승강바(131)가 승강체인(134)과 함께 상측기어(133)를 지나 뒤집어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본체(100)에 고정되는 이송바(141)의 간격 사이를 승강바(131)가 통과하여 하강하도록 구성한다.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transfer bar 141 is configured to alternate with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elevation bar 131 of the elevation unit 130. Therefore, while the lifting bar 131 of the lifting unit 130 rotates in an inverted state together with the lifting chain 134 through the upper gear 133, the interval between the transfer bars 141 fixed to the main body 100. The lifting bar 131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and descend.

상기 이송부(140)와 승강부(130) 사이의 설치 거리는 이송바와 승강바가 최대한 교번하여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작물에 손상을 입히거나 추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겨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installation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unit 140 and the elevating unit 130 is configured so that the transfer bar and the elevating bar can be alternately overlapped as possible alternately so as to be stably transferred without damaging or falling the crop.

상기 이송판(142)은 이송바(141)의 하단에 고정하고 배출부(150)의 상부로 연장한다. 상기 이송판(142)은 이송바(141)의 경사 각도보다 완만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하여 이송바(141)를 타고 하강하는 작물의 속도를 저감하도록 구성한다.The transfer plate 14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bar 141 and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150. The transfer plate 142 is configured to form a gentle angle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bar 141 is configured to reduce the speed of the crop descending riding the transfer bar 141.

상기 이송판(142)은 배출부(150)에 구비되는 톤백(151)의 상측을 중심을 향하도록 단부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transfer plate 142 is preferably configur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nd portion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tone bag 151 provided in the discharge part 150 toward the center.

상기 배출부(150)는 이송부(140)의 후방에서 작물이 저장되는 톤백(151)을 종동 및 횡동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한다.The discharge unit 150 discharg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by following and moving the tone bag 151, the crop is stored in the rear of the transfer unit 140.

상기 톤백(Ton bag, 151)은 벌크백 또는 컨테이너백이라고도 하며, 일정 용량을 가지는 주머니의 형태로 이루어져 작물을 수용 또는 저장한다. 톤백(151)에는 리프팅 벨트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50)는 톤백테이블(153)과, 리프팅바(157) 및 배출바(155)를 구비하여 톤백(151)에 작물을 저장하고 리프팅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운반, 배출한다.The ton bag 151 is also called a bulk bag or a container bag,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g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to accommodate or store crops. A lifting belt is formed on the tone bag 151, and the discharge unit 150 includes a tone bag table 153, a lifting bar 157, and a discharge bar 155 to store and lift crops in the tone bag 151. Transpor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톤백테이블(153)은 이송부(140)의 하측에서 수평 구비하여 톤백(151)의 저부를 안착하고, 본체(100)의 후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52)와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종동기어(152)는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The toneback table 153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disposed below the transfer unit 140 to seat the bottom of the toneback 151 and to move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n gear 152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riven gear 152 is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rime mover.

상기 톤백테이블(153)은 톤백(151)으로 배출되는 작물의 양이 증대될수록 높이(위치)를 점진적으로 하향 조절하여 이송부(140)에서 톤백(151)으로 작물이 투하되는 높이(낙차)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한다.The toneback table 153 gradually adjusts the height (position) downward as the amount of crops discharged to the toneback 151 increases, thereby minimizing the height (dropping) of crops dropping from the transfer unit 140 to the toneback 151. Configure to keep.

상기 톤백테이블(153)의 일측에는 종동기어(152)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반을 구비하여 톤백테이블(153)의 승강 높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다.One side of the toneback table 153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n gear 152 to configure the lifting height of the toneback table 153 manually or automatically.

상기 리프팅바(157)는 하기 배출바(155)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장착하는 종동실린더(156)와 연동하여 톤백테이블(153)의 상측으로 승강하고, 톤백(151)의 상부를 고정하여 톤백테이블(153)에서 들어올리도록 구성한다.The lifting bar 157 is lif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ne bag table 153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n cylinder 156 mounted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discharge bar 155, and fixed to the top of the tone bag 151 to fix the tone bag table It is configured to lift at 153.

상기 리프팅바(157)의 상단에는 톤백(151)의 상부에 구비되는 리프팅 벨트를 고정하는 소정의 고정수단을 장착한다.The upper end of the lifting bar 157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fixing means for fixing a lifting belt provided on the top of the tone bag 151.

상기 톤백테이블(153)은 작물의 양이 증대될수록 높이를 하향 조절하는 반면, 상기 리프팅바(157)는 높이를 상향 조절하여 톤백(151)을 톤백테이블(153)로부터 들어올리도록 구성한다.The toneback table 153 adjusts the height downward as the amount of crop is increased, while the lifting bar 157 is configured to lift the toneback 151 from the toneback table 153 by adjusting the height upward.

상기 배출바(155)는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설치하는 횡동실린더(154)와 연동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상기 톤백테이블(153)의 양측에서 본체(100)의 후방으로 전, 후진하도록 구성한다.The discharge bar 155 is provided with a pair of interlocking cylinders 154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both sides of the tone back table 153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Configure.

따라서, 상기 리프팅바(157)에 의해 톤백테이블(153)로부터 완전히 들어올려진 톤백(151)을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하여 운반차에 상차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tonnage bag 151 completely lifted from the tone bag table 153 by the lifting bar 157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carry out operations such as loading on the transport vehicle.

상기 리프팅바(157) 및 배출바(155)의 위치 역시 톤백테이블(153)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반에 의해 종동실린더(156) 및 횡동실린더(154)의 작동을 제어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종동실린더(156) 및 횡동실린더(154)는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The position of the lifting bar 157 and the discharge bar 155 is also controlled manually or automatically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n cylinder 156 and the horizontal cylinder 154 by a control pane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one back table 153. Configure. The driven cylinder 156 and the horizontal cylinder 154 is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rime mover.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뿌리작물 수확기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ot crop harvester applied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o be given b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provid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

본 발명의 뿌리작물 수확기는 경작지에 심어진 작물을 뿌리까지 송두리채 지상으로 노출하도록 파헤지는 굴취작업과, 굴취되는 과정에서 작물과 함께 혼입되는 각종 불순물을 분리하고 본체(100) 내부로 반송하는 분리작업과, 작물을 톤백(151)에 저장하기 위해서 우선 본체(100)의 상부로 작물을 이송하는 승강작업과, 본체(100)의 상부에서 톤백(151)이 구비된 배출부(150)로 작물을 투하하여 이송하는 이송작업과, 톤백(151)에 작물을 안전하게 수용, 저장하고 작물이 담긴 톤백(151)을 운반차 등에 상차하도록 톤백(151)을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작업을 일련의 과정으로 연속적하여 실시한다.The root crop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ging operation that is dug up to expose the crops planted in the tillage to the ground, and the separation operation to separate the various impurities mixed with the crop in the process of excavation and convey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in order to store the crop in the tone bag 151, first, the lifting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rop to the discharge unit 150 provided with the tone bag 151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Dropping and transporting the transfer operation, and the discharge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tone bag 151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safely accommodate and store the crop in the tone bag 151, and to load the tone bag 151 containing the crop on a transport vehicle, etc. The process is carried out continuously.

우선, 뿌리작물 수확작업을 실시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뿌리작물 수확기 본체(100)의 프레임을 원동기, 예컨대 트랙터나 경운기에 상호 연결한다.First, prior to performing the root crop harvesting operation, the frame of the root crop harvester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connected to a prime mover, such as a tractor or tiller.

또한, 원동기에 장착된 모터 등의 동력발생수단과 본체(10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 간을 연결하여, 본체(100)의 굴취부(110)에 구비되는 구굴판(111), 분리부(120)에 구비되는 전측기어(123) 및 후측기어(124), 승강부(130)에 구비되는 승강체인(134), 배출부(150)에 구비되는 종동기어(152), 종동실린더(156) 및 횡동실린더(154)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한다. In addition, by connecting between the power generating means, such as a motor mounted on the prime mov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he bent plate 111, separation portion ( The front gear 123 and the rear gear 124 provided in the 120, the lifting chain 134 provided in the lifting unit 130, the driven gear 152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150, the driven cylinder 156 And a transverse cylinder 154 to transmit power.

1) 굴취작업1) Excavation work

원동기가 뿌리작물이 심어진 두둑을 따라서 전진하면 뿌리작물 수확기 본체(100)가 견인된다. When the prime mover advances along the planted root crop, the root crop harvester body 100 is towed.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굴취부(110)는 작동캠을 장착하는 커넥팅로드와 연결된 구굴축이 타원형 궤도로 작동함에 따라 구굴판(111)을 본체(100)의 전, 후 및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여 지면을 구굴한다.The excavation part 11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has the orifice plate 111 before, after, and above the main body 100 as the bend shaft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for mounting the operation cam operates in an elliptical orbit. Drive downward to bend the ground.

상기 구굴판(111)에 의해 파헤쳐진 뿌리작물은 수확기 본체(100)의 전진에 의해 구굴판(111)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분리부(120)로 공급된다.The root crop dug by the bulb plate 111 enters the inside of the bulb plate 111 by the advancement of the harvester main body 100 and is supplied to the separation unit 120.

2) 분리작업2) Separation work

상기 구굴판(111)을 거쳐 분리부(120)로 공급된 작물은 전측기어(123) 및 후측기어(124)의 회전에 의해 본체(100)의 내측으로 구동하는 제1분리바(121) 상에서 이동한다. The crops supplied to the separating unit 120 through the bulbous plate 111 are driven on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driven into the main body 100 by the rotation of the front gear 123 and the rear gear 124. Move.

상기 제1분리바(121)는 수평바 형태로 형성한 다수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하므로 작물의 이동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1차적으로 불순물이 분리되어 제1분리바의 하측으로 낙하한다.The first separation bar 121 is arranged in a horizontal bar form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impurities are first separated by the vibration inevitably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crop to fall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bar do.

상기 제1분리바(121)를 거친 작물은 후측기어(124)의 하측에서 본체(100)에 고정된 제2분리바(122)에 안착되며, 제1분리바(121)와 제2분리바(122)의 사이에는 소정의 낙차를 형성하므로 소정의 진동에 의해서 2차적으로 불순물이 분리된다.The crop passing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is seated on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fixed to the main body 100 at the lower side of the rear gear 124,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and the second separation bar. Since a predetermined drop is formed between the 122s, impurities are separated secondarily by a predetermined vibration.

3) 승강작업3) Lifting work

상기 제2분리바(122) 상에 안착된 작물은, 다수가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된 제2분리바(122)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승강바(131)에 의해 승강부(130)로 공급된다.The crops seated on the second separating bar 122 are lifted to the lifting unit 130 by the lifting bar 131 which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second separating bars 122 arrang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upplied.

상기 승강바(131)는 본체(100)의 상, 하측에 설치하는 상측기어(133) 및 하측기어(13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승강체인(134)에 장착되어, 동일 계층을 이루는 승강바(131) 그룹 단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2분리바(122)를 통과하여 상승한다.The elevating bar 131 is mounted on the elevating chain 134 which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upper gear 133 and the lower gear 132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ereby forming the same layer. (131) Ascending through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at regular intervals in groups.

상기 제2분리바(122)에서 승강바(131)로 옮겨진 작물은 본체(10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승강작업은 승강부(130)를 이용해 작물을 톤백(151)의 상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일정 용량(부피)을 가지는 톤백(151)에 대량의 작물을 효과적으로 적재하여 수용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작업인 것이다.The crop transferred from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to the elevating bar 131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Lifting operation is to perform the operation to effectively load a large amount of crops in the tone bag 151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volume) by supplying the crops to the upper side of the tone bag 151 using the lifting unit 130.

상기 승강바(131)는 상측기어(133)를 지나면서 승강체인(134)과 함께 하강한다. 승강바(131)는 작물을 안착하도록 중심부를 '∨'의 형태로 절곡한 형상을 가지나, 하강 시에는 '∧'의 형태로 뒤집어지므로 작물은 배출부(150)의 이송바(141)로 낙하된다.The elevating bar 131 descends together with the elevating chain 134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gear 133. Lift bar 131 has a shape bent in the form of the center '∨' so as to seat the crop, but when the fall is turned over in the form of '∧' crops fall to the transfer bar 141 of the discharge part 150 do.

작물이 낙하된 직후에는 승강바(131)는 다수가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된 이송바(141) 사이를 통과하여 하측기어(132) 방향으로 하강한다.Immediately after the crop is dropped, the elevating bar 131 descends toward the lower gear 132 through a plurality of transfer bars 141 arranged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4) 이송작업4) Transfer work

상기 승강바(131)에서 투하된 작물은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이송바(141) 상을 슬라이딩하여 이송판(142)을 거쳐 배출부(150)로 투하된다.The crop dropped from the elevating bar 131 is dropped onto the discharge part 150 by sliding on the transfer bar 141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rough the transfer plate 142.

상기 이송바(141)는 승강바(131)가 뒤집어지는 상측기어(133)와의 낙차를 최소화하는 높이에서 상단을 본체(100)에 고정하며, 상기 이송판(142)은 이송바(141)에 비해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작물이 배출부(150)로 투하되는 속도를 저감한다.The transfer bar 141 is fixed to the upper body to the main body 100 at a height that minimizes the fall with the upper gear 133, the elevating bar 131 is inverted, the transfer plate 142 to the transfer bar 141 Compared to the gentle slope, the rate at which the crop is dropped into the discharge unit 150 is reduced.

5) 배출작업5) Discharge work

상기 이송부(140)를 거친 작물은 배출부(150)롤 향해 투하된다. 배출부(150)의 리프팅바(157) 상단에는 톤백(151)의 리프팅 벨트를 고정하여 투입구가 이송부(140)를 향하도록 구비한다.The crop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unit 140 is dropped toward the discharge unit 150 roll. The top of the lifting bar 157 of the discharge unit 150 is fixed to the lifting belt of the tone bag 151 is provided so that the inlet toward the transfer unit 140.

톤백(151)을 안착하는 톤백테이블(153)은 작물이 최초 투하시 이송판(142)과 톤백(151) 사이의 낙차를 최소화하도록 종동기어(152)를 제어하여 높이를 최상으로 조절하며, 톤백(151)에 작물이 적재됨에 따라 점차 톤백테이블(153)을 하강하여 낙차를 유지한다.The toneback table 153, which seats the toneback 151, controls the driven gear 152 to minimize the drop between the transfer plate 142 and the toneback 151 when the crop is first dropped, and adjusts the height to the best. As the crop is loaded at 151, the tone back table 153 is gradually lowered to maintain the free fall.

톤백(151)에 작물이 가득차면 상기 굴취부 내지 승강부(110~130)의 작동을 일시 중단하고 톤백(151)을 수확기 본체(100) 후방으로 배출한다.When the tonbag 151 is full of crops, the operation of the excavation unit to the elevating unit 110 to 130 is suspended, and the tonbag 151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harvester main body 100.

톤백(151)의 리프팅 벨트를 고정하는 리프팅바(157)의 종동실린더(156)를 상승 작동하여 작물이 수용된 톤백(151)을 톤백테이블(153)로부터 완전히 들어올린다.The driven cylinder 156 of the lifting bar 157, which fixes the lifting belt of the tone bag 151, is lifted up to completely lift the tone bag 151 containing the crops from the tone bag table 153.

상기 종동실린더(156)를 장착하는 배출바(155)의 횡동실린더(154)를 후방으로 작동하여 리프팅바(157)를 본체(100) 후방으로 후진한다. 수확기 본체(100)의 후방에는 소정의 운송차를 대기하여 배출부(150)에서 배출되는 톤백(151)의 상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By operating the horizontal cylinder 154 of the discharge bar 155 for mounting the driven cylinder 156 to the rear to move the lifting bar 157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t the rear of the harvester main body 100, a loading operation of the tone bag 151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150 may be performed by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ransport vehicl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는 상기와 같은 굴취부(110), 분리부(120), 승강부(130), 이송부(140), 및 배출부(150)를 포함한 일련의 구성에 의해 종래 작물의 굴취 기능만을 탑재하는 수확기와는 현저히 차별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한다.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 series of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excavation unit 110, the separation unit 120, the lifting unit 130, the transfer unit 140, and the discharge unit 150 as described above. By doing so implements a variety of function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harveste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rop excavation function.

따라서, 양파, 마늘, 감자, 고구마 등의 뿌리작물을 수확하는 작업 전반을 원동기에 부착하는 수확기 장치 한 대로 기계화 및 자동화하여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arried out by mechanizing and automating the whole harvesting operation of root crops, such as onions, garlic, potatoes, sweet potatoes, etc. with one harvester device attached to the prime mover.

그러므로, 수작업과 기계 사용을 병행 실시하여야 했던 종래 뿌리작물 수확작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수확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대하고, 인건비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도출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harvesting work by drastically improving the conventional root crop harvesting work, which had to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s the manual work and the use of machinery, and to derive various effects such as reducing labor costs and shortening working time. It is expected to be very large.

100: 본체 110: 굴취부
111: 구굴판 120: 분리부
121: 제1분리바 122: 제2분리바
123: 전측기어 124: 후측기어
130: 승강부 131: 승강바
132: 하측기어 133: 상측기어
134: 승강체인 140: 이송부
141: 이송바 142: 이송판
150: 배출부 151: 톤백
152: 종동기어 153: 톤백테이블
154: 횡동실린더 155: 배출바
156: 종동실린더 157: 리프팅바
100: main body 110: excavation
111: bulb plate 120: separating part
121: first separation bar 122: second separation bar
123: front gear 124: rear gear
130: lifting unit 131: lifting bar
132: lower gear 133: upper gear
134: lifting chain 140: transfer unit
141: transfer bar 142: transfer plate
150: discharge part 151: tone bag
152: driven gear 153: tone back table
154: horizontal cylinder 155: discharge bar
156: driven cylinder 157: lifting bar

Claims (5)

원동기에 부착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본체(100)를 구비하여, 뿌리작물의 굴취에서 톤백에 저장 및 배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본체(100)의 전측 하방에서 구굴판(111)을 일정 각도로 구동하여 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110)와,
상기 굴취부(11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내부 하측으로 다수의 제1분리바(121) 및 제2분리바(122)를 구비하여 작물을 반송하고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부(120)와,
상기 분리부(12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상측으로 일 방향 구동하는 다수의 승강바(131)를 구비하여 작물을 이송부(140)로 공급하는 승강부(130)와,
상기 승강부(130)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후방으로 다수의 이송바(141)를 구비하여 승강부(130)에서 낙하하는 작물을 배출부(150)로 공급하는 이송부(140)와,
상기 이송부(140)의 후방에서 작물이 저장되는 톤백(151)을 종동 및 횡동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150)는,
이송부(140)의 하측에서 수평 구비하여 톤백(151)의 저부를 안착하고, 본체(100)의 후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52)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톤백테이블(153)과,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설치하는 횡동실린더(154)와 연동하여 상기 톤백테이블(153)의 양측에서 본체(100)의 후방으로 전, 후진하는 한 쌍의 배출바(155)와,
상기 배출바(155)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장착하는 종동실린더(156)와 연동하여 톤백테이블(153)의 상측으로 승강하고, 톤백(151)의 상부를 고정하여 톤백테이블(153)에서 들어올리는 리프팅바(157)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작물 수확기.
In the root crop harvester having a main body 100 is attached to the prime mover to receive power, and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to store and discharge in the tone bag in the excavation of the root crop,
In the main body 100,
And excavation unit 110 for driving the crop plate 111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extract the crops,
The separation unit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eparation bars 121 and second separation bars 122 from the rear of the excavation unit 110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convey crops and separate impurities. Wow,
An elevating unit 130 having a plurality of elevating bars 131 driven in one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separating unit 120 to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supply crops to the conveying unit 140;
A transfer unit 140 having a plurality of transfer bars 141 from the rear of the elevating unit 130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o supply crops falling from the elevating unit 130 to the discharge unit 150;
And a discharge part 150 driven and horizontally driven to the back of the tone bag 151 where crops are stored at the rear of the transfer part 14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ischarge unit 150,
A tone back table 153 which is horizontally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nveying part 140, seats the bottom of the tone bag 151, and moves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n gear 152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A pair of discharge bars 155 which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t both sides of the tone back table 153 in association with the horizontal cylinders 154 install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main body 100,
Lifting to the upper side of the tone bag table 153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n cylinder 156 mounted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discharge bar 155, and lifting the tone bag table 153 by lifting the upper part of the tone bag table 153 Root crop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r (15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20)에는,
굴취부(110)의 후방에서 본체(100) 내부를 향해 다수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전측기어(123) 및 후측기어(124)와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분리바(121)와,
상기 후측기어(124)의 후방 하측에서 다수를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하여 본체(100)에 고정하는 제2분리바(122)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분리바(122)의 배열 간격은, 상기 승강부(130)의 승강바(131)의 배열 간격과 교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작물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paration unit 120,
The first separation bar 121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ear of the excavation unit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drives in on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gear 123 and the rear gear 124. ,
A second separation bar (122) fixed at the rear of the rear gear (124) to the main body (100)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orizontally;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the root crop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lternate with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lifting bar (131) of the lifting unit (1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30)에는,
분리부(120)의 후방에 설치하는 하측기어(132)와,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하는 상측기어(133)를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승강체인(134)과,
상기 승강체인(134) 상에 다수를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승강체인(134)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본체(1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승강하는 승강바(131)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바(131)의 배열 간격은, 상기 분리부(120)의 제2분리바(122)의 배열 간격, 및 상기 이송부(140)의 이송바(141)의 배열 간격과 교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작물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unit 130,
An elevating chain 134 rotating in one direction by interlocking a lower gear 132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parating unit 120 and an upper gear 133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groups are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lifting chain 134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group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ifting chain 134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 lifting bar 131;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lifting bar 131 is configured to alternate with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separation bar 122 of the separation unit 120, and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transfer bar 141 of the transfer unit 140. Root crop harvester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40)는,
승강부(130)의 상측기어(133)의 후방 하측에서 일정 각도 하향하도록 다수를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하여 본체(100)에 고정하는 이송바(141)와,
상기 이송바(141)의 하단에 고정하고 배출부(150)의 상부로 연장하는 이송판(142)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송바(141)의 배열 간격은, 상기 승강부(130)의 승강바(131)의 배열 간격과 교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작물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unit 140,
A transfer bar 141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orizontally so as to be downward at an angle from the rear lower side of the upper gear 133 of the elevating unit 130, and fixed to the main body 100;
A transport plate 142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bar 141 and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art 150;
Arrangement interval of the transfer bar 141, root crop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lternate with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lifting bar 131 of the lifting unit (130).
삭제delete
KR1020170175841A 2017-12-20 2017-12-20 Root crops harvester KR1020290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41A KR102029092B1 (en) 2017-12-20 2017-12-20 Root crops harv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41A KR102029092B1 (en) 2017-12-20 2017-12-20 Root crops harv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64A KR20190074464A (en) 2019-06-28
KR102029092B1 true KR102029092B1 (en) 2019-10-07

Family

ID=6706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841A KR102029092B1 (en) 2017-12-20 2017-12-20 Root crops harv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09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256B1 (en) 2021-09-28 2022-07-06 주식회사 불스 Root crops harvester with speed synchronization
KR102417247B1 (en) 2021-09-28 2022-07-07 주식회사 불스 Collector control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KR102417260B1 (en) 2021-11-25 2022-07-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oreign substance discharge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KR102638831B1 (en) 2023-07-18 2024-02-21 (유)세계스틸 eleocharis harvest
KR102650867B1 (en) 2023-05-24 2024-03-25 주식회사 불스 Collector control device for crop harvest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9625B2 (en) * 2002-07-24 2007-05-30 田中工機株式会社 Crop picking and harvesting machine
JP2008017709A (en) 2006-07-10 2008-01-31 Iseki & Co Ltd Leaf and stem harvester
KR101771239B1 (en) * 2017-04-06 2017-08-25 주식회사 죽암기계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025A (en) * 1996-10-14 1998-05-06 Kunnetsupu Kikai Kogyo Kk Field crop harvester
KR200353995Y1 (en)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A bulb harvester
KR200432293Y1 (en) 2006-07-21 2006-11-30 공영길 Harvester cultivation of land the crops
KR100874950B1 (en) 2008-08-08 2009-01-21 (주)엠엔지 Underground crop bundle harvesting apparatus
KR101006753B1 (en) * 2009-02-17 2011-01-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for pallets deposit
KR20140032592A (en) 2012-09-06 2014-03-17 이현봉 A tuber crop harve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9625B2 (en) * 2002-07-24 2007-05-30 田中工機株式会社 Crop picking and harvesting machine
JP2008017709A (en) 2006-07-10 2008-01-31 Iseki & Co Ltd Leaf and stem harvester
KR101771239B1 (en) * 2017-04-06 2017-08-25 주식회사 죽암기계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256B1 (en) 2021-09-28 2022-07-06 주식회사 불스 Root crops harvester with speed synchronization
KR102417247B1 (en) 2021-09-28 2022-07-07 주식회사 불스 Collector control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KR102417260B1 (en) 2021-11-25 2022-07-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oreign substance discharge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KR102650867B1 (en) 2023-05-24 2024-03-25 주식회사 불스 Collector control device for crop harvest machine
KR102638831B1 (en) 2023-07-18 2024-02-21 (유)세계스틸 eleocharis harv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64A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092B1 (en) Root crops harvester
KR101771239B1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CN110024546B (en) Thunberg fritillary bulb harvester
KR100871106B1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CN105557170A (en) Fritillary bulb harvesting machine
CN105794386A (en) Self-propelled potato combine harvester
KR101961857B1 (en) a self-propelled pull out type garlic harvester
CN114631423A (en) Remote control self-propelled potato combine harvester
CN107347354B (en) Self-propelled small-particle root-tuber crop combine harvester
US3198259A (en) Potato digging and separating apparatus
KR102247159B1 (en) A screening equipment for the globe-shaped farm products
CN202524757U (en) Potato combine harvester
CN204408946U (en) Multifunctional peanut combine
KR102378861B1 (en) Underground crop harvesting apparatus driven by hydraulic control
CN210093945U (en) Potato harvester
CN106385931A (en) Self-propelled combined peanut pickup and harvesting machine
CN204425995U (en) Self-propelled potato combine
CN201821661U (en) Suspended onion harvester
CN207070622U (en) Cyperue esculentus harvester and cyperue esculentus cropper
CN101796906B (en) One-off combine harvester for harvesting, cleaning and storing peanuts
KR20160035844A (en) Worker boarding type root crop harvester
KR100464958B1 (en) Pulling type carrot harvester
CN207869717U (en) Harvester for peanut chain rod structure and crop and soil separator
CN106818020A (en) A kind of shedding Fu Shou mechanisms and peanut combine
CN208300299U (en) A kind of corm kind crop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