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682B1 -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82B1
KR102028682B1 KR1020170140334A KR20170140334A KR102028682B1 KR 102028682 B1 KR102028682 B1 KR 102028682B1 KR 1020170140334 A KR1020170140334 A KR 1020170140334A KR 20170140334 A KR20170140334 A KR 20170140334A KR 102028682 B1 KR102028682 B1 KR 10202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skin
adhesiv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478A (ko
Inventor
권인찬
박고을
윤명한
왕성록
고흥조
김희제
유성광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4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7/00Masks or dominoes for concealing identity, e.g. for theatr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무독성 및 무잔존물을 나타내는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ADHESIVE ATTACHING TO SKIN AND MEKEUP MA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독성, 무잔존물을 가지는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에 관한 것이다.
인조 수염, 인조 모발, 가면 등과 같은 분장재료를 얼굴 등의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수염, 주름 또는 상처 등 다양한 연출효과를 나타내는 기술은 최근 영화나 연극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분장 재료는 스프릿 검(sprit gum)이나 프로스에이드(pros-aide)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제 피부에 부착되는데, 실제 피부에 분장 재료를 직접 붙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구현되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한번 붙이고 나면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피부가 당겨지고, 석유 또는 시너(thinner)를 이용하여 실제 피부로부터 분장 재료를 지워야 하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실제 피부에 분장 재료를 직접 붙이는 경우, 분장 시간이 길고, 접착제의 잔존물이 피부에 묻어나는 문제가 있으며, 재사용 시 점착제의 점착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분장 재료의 재부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점착력을 가지면서도 무독성 및 무잔존물을 가지는 점착제와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 10-1672516호(2016.11.03.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분장 재료, 이를 이용해 제작한 분장용 피스 및 분장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독성 및 무잔존물을 나타내는 피부 부착용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부착용 점착제를 이용한 분장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양말단에 수소(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양말단에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및 양말단에 실라놀기(silanol group, Si-O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양말단에 수소(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20중량부, 양말단에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0.1~10중량부 및 양말단에 실라놀기(silanol group, Si-O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20~6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30~70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0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장재료는 점착제의 경화물인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인조피부용 필름; 및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 상에 형성되는 분장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의 두께는 30~250㎛일 수 있다.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 및 분장용 재료 사이에 형성되는 친수성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접착제층과 인접한 인조피부용 필름의 일면에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형성되는 친수성 표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장용 재료는 인조 수염, 인조 흉터, 인조 모발 또는 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무독성 및 친환경적인 점착제로서, 신축성이 있어 피부에 자극이 없고, 석유 또는 시너와 같은 용매 없이 실제 피부로부터 제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장재료는 인조 피부용 필름 상에 분장용 재료를 부착하고, 상기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인조 피부용 필름을 실제 피부에 직접 부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실제 피부로부터 분장재료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를 이용한 분장재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를 이용한 인조 수염과 인조 흉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부용 필름의 두께에 따른 분장재료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부용 필름에 프로스-에이드(pros-aide)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 수염을 부착한 사진(왼쪽) 및 인조피부용 필름에 플라즈마 표면처리 및 프로스-에이드(pros-aide)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 수염을 부착한 사진(오른쪽)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부용 필름에 플라즈마 표면처리 후 3주차된 샘플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부용 필름에 땀 배출용 구멍이 형성된 모습의 사진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1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도 11은 비교예 1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도 12는 비교예 2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점착제가 도포된 탄성 중합체를 피부로부터 탈착시킨 후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도 14는 비교예 1의 점착제가 도포된 탄성 중합체를 피부로부터 탈착시킨 후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도 15는 비교예 2의 점착제가 도포된 탄성 중합체를 피부로부터 탈착시킨 후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도 16은 인조피부용 필름을 물과 소금물 안에서 일주일 동안 담근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상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우레탄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등에 비하여 신축성 및 접착력이 우수하고 인체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제 피부와 인조 피부에 적합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형 점착제로서, 화학 성분이 최소한으로 포함되어 있어 피부에 대한 독성이 적고 경화 속도가 빠른 특징이 있다.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특정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작용기를 도입한 실리콘계 유도체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식 1] ~ [구조식 5]로 표시되는 실리콘계 유도체를 포함한다.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조식 1]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1
(n은 1~1000의 정수이다.)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양말단에 수소(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조식 2]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2
(n은 1~1000의 정수이다.)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양말단에 수소(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20중량부를 포함한다.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경화 정도가 너무 낮아서 탈부착시 점착제층이 손상될 수 있고, 반대로,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의 과도한 경화로 점착제의 점착력이 너무 낮을 수 있다.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양말단에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조식 3]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3
(m, n 각각은 1~1000의 정수이다.)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양말단에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0.1~10중량부를 포함한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경화 정도가 너무 낮아서 탈부착시 점착제층이 손상될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의 과도한 경화로 점착제의 점착력이 너무 낮을 수 있다.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구조식 4]로 표시되는 양말단에 실라놀기(silanol group, Si-O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조식 4]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4
(n 각각은 1~1000의 정수이다.)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양말단에 실라놀기(silanol group, Si-O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20~60중량부를 포함한다.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점착력이 너무 낮아질 수 있고, 반대로, 6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의 점착력은 높으나 탈부착시 피착면에 액체 잔존물이 남을 수 있다.
Me 3 SiO (M 단위) 및 SiO 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MQ 수지는 일반적으로 R3SiX의 "M" 단위와 SiX4의 "Q" 단위를 포함하며, 피부에 대한 안정성과 지속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R은 C1-C20을 갖는 탄화수소기로서, 메틸기일 수 있고, 상기 X는 산소일 수 있다.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구조식 5]로 표시되는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실라놀-트리메틸실릴로 변형된 큐 레진(CAS : 56275-01-5)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MQ 수지 30~70중량부를 포함한다.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가교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고,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가교로 인한 경도 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구조식 5]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5
백금계 촉매
백금계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의 알코올 용액, 염화백금산과 알코올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 화합물의 반응물 또는 염화백금산과 비닐기를 함유하는 실록산의 반응물 등이 있다.
상기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금계 촉매 0.0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백금계 촉매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실리콘 고분자가 가교반응이 수행되도록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촉매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경화성이 저하되어 피착제에 대한 점착제의 잔존물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그 이상의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 증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고, 양말단에 특정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계 유도체, MQ 수지 및 비백금계 촉매가 적정 비율로 배합된 무독성 점착제이다.
피부에 잔존물이 없는 무독성 점착제로서, 친환경적이며, 신축성을 지니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 없이 탈부착이 가능하고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배합된 성분을 30분~5시간동안 교반하여 기포를 제거한 후, 40~60℃에서 1~20시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을 이용한 분장재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를 이용한 분장재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장재료는 점착제의 경화물인 점착제층(10),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인조피부용 필름(20), 및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 상에 형성되는 분장용 재료(30)를 포함한다.
점착제층(10)
점착제층(10)은 전술한 점착제의 경화물로, 실제 피부에 직접 맞닿는 면이다. 상기 점착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층(10)의 두께는 후술할 인조피부용 필름(20)의 두께를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인조피부용 필름(20)
상기 점착제층(10) 상에 형성되는 인조피부용 필름(20)은 신축성과 쿠션이 부여되어 인체의 피부조직과 유사한 촉감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과 같은 실리콘 기반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부용 필름의 두께에 따른 분장재료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20)은 무엇보다도 두께를 30~250㎛ 범위로 얇게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께가 이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최대한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으며, 피부에 부착 시 우수한 신축성에 의해 실제 피부가 당기는 문제가 없으며, 실제 피부에 대한 분장재료의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인조피부용 필름(20)의 두께가 30㎛ 미만인 경우, 필름의 두께가 너무 얇아 분장용 재료가 인조피부용 필름(20)에 충분히 부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두께가 250㎛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면서 피부 부착시 이물감이 크거나 자연스러움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20) 상에는 친수성 접착제층(25)을 형성하여 후술할 분장용 재료(3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접착제층(25)은 프로스-에이드(pros-aide)와 같은 상용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25)이 친수성을 나타내는 경우, 소수성인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20)의 일면에 플라즈마로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친수성 표면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친수성은 임의의 부위에 물에 대한 용해도가 다른 부위보다 높을 때 상기 부위를 친수성이라 하고, 소수성은 임의의 부위에 물에 대한 용해도가 다른 부위보다 낮을 때 상기 부위를 소수성이라 한다.
상기 플라즈마 표면처리는 진공 플라즈마, 가스 플라즈마, 대기압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친수성 접착제층(25)과 인접한 인조피부용 필름의 일면에 친수성 표면층을 더 포함하여, 분장용 재료(30)와 인조피부용 필름(2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부용 필름에 프로스-에이드(pros-aide)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 수염을 부착한 사진(왼쪽) 및 인조피부용 필름에 진공 플라즈마 표면처리 및 프로스-에이드(pros-aide)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 수염을 부착한 사진(오른쪽)이고, 도 5는 진공 플라즈마 표면처리 후 3주차된 샘플의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조피부용 필름(20)의 일면에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수염을 부착한 경우(오른쪽), 수염이 잘 부착되어 있어 수염의 접착 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한번 해주면 3주 정도의 시간이 지나도 표면처리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20)은 땀 배출용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조피부용 필름(20)을 제조한 후, 펀칭에 의해 땀 배출용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분장용 재료(3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용 점착제를 이용한 인조 수염과 인조 흉터를 나타낸 사진이다. 분장용 재료는 분장에 사용될 수 있는 인조 수염, 인조 흉터, 인조 모발 또는 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피부에 직접 프로스-에이드(pros-aide)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분장 재료를 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했으나, 이러한 방법은 탈착 시 접착제 제거를 위한 용매를 필요로 했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주고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에서는 인조피부를 베이스로 하고 인조피부에 적합한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실제 피부와 인조피부를 접착시킴으로써, 부착력을 확보하여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은 신축성이 우수하고, 무잔존물 및 무독성의 환경친화적인 재질이면서도 고점착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분장재료를 탈부착하기에 적합하다.
1. 점착제 제조
실시예 1
바이닐-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viny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68083-19-2))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라이드-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hydrogen-terminated(aldrich, CAS No: 70900-21-9)) 1중량부, 트리메틸실록산-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hydrogen(aldrich, CAS No: 68037-59-2)) 0.1중량부, 실라놀-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ano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70131-67-8)) 20중량부, MQ 실리케이트 수지(MQ silicate resin (aldrich, CAS No: 56275-01-5)) 30중량부 및 백금(Pt) 촉매 CAT-PL-50T(신에츠 가가꾸 고교사 제조) 0.01중량부를 혼합하여 데이게이터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탄성 중합체(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 일면에 교반시킨 점착제를 도포하고 50℃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실시예 2
바이닐-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viny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68083-19-2))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라이드-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hydrogen-terminated(aldrich, CAS No: 70900-21-9)) 15중량부, 트리메틸실록산-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hydrogen(aldrich, CAS No: 68037-59-2)) 10중량부, 실라놀-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ano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70131-67-8)) 50중량부, MQ 실리케이트 수지(MQ silicate resin (aldrich, CAS No: 56275-01-5)) 60중량부 및 백금(Pt) 촉매 CAT-PL-50T(신에츠 가가꾸 고교사 제조) 3중량부를 혼합하여 데이게이터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탄성 중합체(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 일면에 교반시킨 점착제를 도포하고 50℃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실시예 3
바이닐-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viny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68083-19-2))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라이드-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hydrogen-terminated(aldrich, CAS No: 70900-21-9)) 20중량부, 트리메틸실록산-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hydrogen(aldrich, CAS No: 68037-59-2)) 10중량부, 실라놀-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ano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70131-67-8)) 60중량부, MQ 실리케이트 수지(MQ silicate resin (aldrich, CAS No: 56275-01-5)) 70중량부 및 백금(Pt) 촉매 CAT-PL-50T(신에츠 가가꾸 고교사 제조) 5중량부를 혼합하여 데이게이터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탄성 중합체(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 일면에 교반시킨 점착제를 도포하고 50℃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실시예 4
바이닐-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viny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68083-19-2))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라이드-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hydrogen-terminated(aldrich, CAS No: 70900-21-9)) 30중량부, 트리메틸실록산-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hydrogen(aldrich, CAS No: 68037-59-2)) 15중량부, 실라놀-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ano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70131-67-8)) 65중량부, MQ 실리케이트 수지(MQ silicate resin (aldrich, CAS No: 56275-01-5)) 75중량부 및 백금(Pt) 촉매 CAT-PL-50T(신에츠 가가꾸 고교사 제조) 7중량부를 혼합하여 데이게이터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탄성 중합체(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 일면에 교반시킨 점착제를 도포하고 50℃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비교예 1
바이닐-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viny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68083-19-2))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라이드-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hydrogen-terminated(aldrich, CAS NO: 70900-21-9)) 10중량부, 트리메틸실록산-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hydrogen(aldrich, CAS No: 68037-59-2)) 10중량부를 혼합하여 데시게이터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탄성 중합체(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 일면에 교반시킨 점착제를 도포하고 50℃에서 15분 동안 경화시켰다.
비교예 2
바이닐-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viny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68083-19-2))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라놀-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Silanol-terminated polydimethyldisiloxane (aldrich, CAS No: 70131-67-8)) 30중량부, MQ 실리케이트 수지(MQ silicate resin (aldrich, CAS No: 56275-01-5)) 40중량부를 혼합하여 데시게이터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탄성 중합체(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 일면에 교반시킨 점착제를 도포하고 50℃에서 3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2. 점착력 테스트 및 점착제 잔존 여부 실험 및 결과
실시예 1~4,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점착제를 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에 도포한 후, 점착력 측정 및 점착제 잔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1] 내지 [표 6]에 기재된 두께(mm)는 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두께 250㎛와 점착제층의 두께를 더한 값이다.
1) 점착력 측정(UTM) : 상온에서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분의 인장 속도로 90°, 180°의 각도에서 점착제가 도포된 탄성 중합체(실리콘 하이드로겔)를 손 등으로부터 박리하는 데 필요한 힘(kgf/25mm)을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6
[표 2]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7
[표 1], [표 2] 및 도 7, 도 8은 실시예 1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표 1, 표 2 및 도 7, 8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점착력 측정(UTM) 결과, 평균 점착력 0.1031kgf, 0.1874kgf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8
[표 3] 및 도 9는 실시예 2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표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 2의 점착력 측정(UTM) 결과, 평균 점착력 0.1733kgf을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7106112249-pat00009
[표 4] 및 도 10은 실시예 3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표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 3의 점착력 측정(UTM) 결과, 평균 점착력 0.1856kgf을 나타낸다.
실시예 4는 상기 실시예 3의 점착력 측정 조건과 동일한 조건(두께, 너비, 길이)에서 측정되었으며, 점착력 테스트 결과, 평균 점착력 0.0911kgf을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7106112249-pat00010
[표 5] 및 도 11은 비교예 1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표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점착력 측정(UTM) 결과, 평균 점착력 0.0268kgf을 나타낸다.
[표 6]
Figure 112017106112249-pat00011
[표 6] 및 도 12는 비교예 2의 점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표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점착력 측정(UTM) 결과, 평균 점착력 0.2053kgf을 나타낸다.
2) 점착제 잔존 여부
손 등 표면에 점착제가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점착제 잔여 없이 박리된 것을 A, 일부 점착부 잔여가 있는 것을 B, 거의 전면에 점착부 잔여가 있는 것을 C로 평가하였다.
[표 7]
Figure 112017106112249-pat00012
도 13은 실시예 1의 점착제가 도포된 탄성 중합체(실리콘 하이드로겔)를 피부로부터 탈착시킨 후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1의 점착제 잔존 여부는 A로 평가하였다.
도 14는 비교예 1의 점착제가 도포된 탄성 중합체(실리콘 하이드로겔)를 피부로부터 탈착시킨 후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1의 점착제 잔존 여부는 A로 평가하였다.
도 15는 비교예 2의 점착제가 도포된 탄성 중합체(실리콘 하이드로겔)를 피부로부터 탈착시킨 후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피부에 점착제가 많이 잔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2의 점착제 잔존 여부는 C로 평가하였다.
3. 인조피부용 필름의 색상 보존력 실험 및 결과
인조피부용 필름은 연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hydrogel)을 사용하였다.
도 14에서와 같이, 색상 보존력 실험은 인조피부용 필름을 물과 소금물 안에서 일주일 동안 담근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상 변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1개의 샘플을 물과 소금물에서 각각 3번씩 반복 실험하였다.
[표 8]
Figure 112017106112249-pat00013
표 8은 물 또는 소금물에서 피부색을 갖는 인조피부용 필름의 색상 보존력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여기서 L*은 밝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0이면 검은색, 100이면 하얀색을 의미하고 a*은 음수일 경우 초록색, 양수일 경우 빨간색을, b*은 음수일 경우 파란색, 양수일 경우 노란색을 의미한다. 이때, 색차계를 이용한 색차 값이 3 이하이면 같은 색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작한 ‘수염이 부착된 인조피부’를 실제 피부에 붙이고 공연에 사용되었을 때를 고려하면, 인조피부가 물과 땀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색상이 보존되는지도 확인이 필요하다.
표 5에서처럼 모두 색차가 3 이하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물과 소금물 안에서 일주일 동안 색상이 보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연 때, 인조피부가 물과 땀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인조피부의 색상은 보존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점착제층
20 : 인조피부용 필름
25 : 친수성 접착제층
30 : 분장용 재료

Claims (8)

  1.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양말단에 수소(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양말단에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및 양말단에 실라놀기(silanol group, Si-O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양말단에 수소(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20중량부, 양말단에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0.1~10중량부 및 양말단에 실라놀기(silanol group, Si-O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20~6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부착용 점착제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30~70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용 점착제.
  5. 점착제의 경화물인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인조피부용 필름; 및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 상에 형성되는 분장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Me3SiO (M 단위) 및 SiO4 (Q 단위)를 포함하는 MQ 수지,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주쇄에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는
    양말단에 바이닐기(vinyl group, -CH=CH2)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양말단에 수소(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양말단에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 및 양말단에 실라놀기(silanol group, Si-OH)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장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의 두께는 3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장재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피부용 필름 및 분장용 재료 사이에 형성되는 친수성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접착제층과 인접한 인조피부용 필름의 일면에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형성되는 친수성 표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장재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장용 재료는 인조 수염, 인조 흉터, 인조 모발 또는 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장재료.
KR1020170140334A 2017-10-26 2017-10-26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 KR102028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334A KR102028682B1 (ko) 2017-10-26 2017-10-26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334A KR102028682B1 (ko) 2017-10-26 2017-10-26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78A KR20190046478A (ko) 2019-05-07
KR102028682B1 true KR102028682B1 (ko) 2019-10-04

Family

ID=6665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334A KR102028682B1 (ko) 2017-10-26 2017-10-26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6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2179A (ja) * 2004-04-08 2007-11-15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シリコーン皮膚接着ゲル
JP2015028178A (ja) * 2008-10-29 2015-02-1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皮膚に穏やかな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88B1 (ko) * 2016-04-15 2019-06-13 광주과학기술원 분장용 인조피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2179A (ja) * 2004-04-08 2007-11-15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シリコーン皮膚接着ゲル
JP2015028178A (ja) * 2008-10-29 2015-02-1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皮膚に穏やかな接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78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1925B2 (ja) 無溶剤シリコーン感圧接着剤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JP5338626B2 (ja) 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263548B2 (ja) 室温硬化性シロキサン系ゲル
KR101529060B1 (ko) 실리콘계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테이프 또는 시트
WO2008007622A1 (fr) substrat de verre avec verre de protection, processus de fabrication d'UN affichage EN utilisant un SUBSTRAT DE VERRE AVEC VERRE DE PROTECTION, et silicone pour papier détachable
JP5553395B2 (ja) シリコーン粘着層を含む積層体
JPH0565344A (ja) フルオロシリコーンコポリマー
EP2850145A1 (en) Adhesive articles for medical applications
WO2018193973A1 (ja) シリコーン系粘着材の製造方法
JP5115300B2 (ja) 基材密着性良好な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およびシリコーン粘着テープ
JP2004190013A (ja) 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KR102028682B1 (ko) 피부 부착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장재료
JP7092196B2 (ja) 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又は粘着フィルム
JP2006160923A (ja) 無溶剤型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
DE19621882A1 (de) Silicon-Haftkleber-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5320592A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20015865A (ja) 皮膚貼付用付加反応硬化型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及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JP2002371261A (ja) 紫外線硬化型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
JP4123349B2 (ja) シリコーン剥離層とシリコーン粘着層の積層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991938B2 (ja) 皮膚貼付用付加反応硬化型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及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KR100989821B1 (ko) 가발용 접착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발
JP2006022168A (ja) 粘着性支持体
JP2020019160A (ja) 手裂き可能な吸着テープ
JP2004073471A (ja) 粘着テープ付き使い捨ておむつ、フロンタルテープ、及びファスナーテープ
JP2004190202A (ja) 剥離紙用溶剤型シリコー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