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622B1 -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22B1
KR102028622B1 KR1020180011947A KR20180011947A KR102028622B1 KR 102028622 B1 KR102028622 B1 KR 102028622B1 KR 1020180011947 A KR1020180011947 A KR 1020180011947A KR 20180011947 A KR20180011947 A KR 20180011947A KR 102028622 B1 KR102028622 B1 KR 10202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s
drone
tracking
imag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788A (ko
Inventor
한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디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디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디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11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은 일 집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일 집단에 포함된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고유의 마커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마커가 표시된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RACKING OBJECT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추적하는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이다.
드론은 군사용으로 무기로 처음 생겨났지만,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개인이 소장할 수 있는 소형 드론이 많이 생기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은 지리적 한계나 안전상의 이유로 가지 못 했던 장소를 생생하게 렌즈에 담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고공촬영, 스포츠 중계 및 재해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다.
종래에는 드론이 피사체가 소유한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 및 위치 등을 유지한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이 개시되었다.
다만, 종래에는 드론이 촬영할 수 있는 피사체가 일정 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피사체가 소지한 단말과 드론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때문에, 전파 방해가 있는 상황에서는 피사체를 추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KR 10-2009-0080723 A
본 발명은 중계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드론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드론을 조작 가능하며, 촬영한 영상에서 피사체(이하,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이동 방향으로 함께 움직이며 객체를 자동으로 추적함으로써,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객체를 추적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은 일 집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일 집단에 포함된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고유의 마커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마커가 표시된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마커들 중 상기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일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들에 대하여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내지 추적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프레임들 각각을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 탐색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서, 상기 객체들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서 상기 타겟의 마커를 검출하여, 상기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은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들을 추출하고, 상기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마커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마커들 중에서 기설정된 마커가 검출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마커가 표시된 타겟을 추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영상 촬영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드론; 상기 영상 촬영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드론에 연결된 단말에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드론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 촬영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송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프레임들 각각을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 탐색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서, 상기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의 비행 및 이동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마커를 검출한 경우, 상기 타겟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유지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은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고유의 마커들을 검출하여 타겟의 마커와 비교함으로써, 타겟의 생김새를 통해 추적하는 것 보다 검출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타겟의 마커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며 타겟을 추적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타겟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중계 단말과 통신하고, 중계 단말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드론을 조종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드론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즉, 구성요소들을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라는 표현으로 언급되는 구성요소, 특징, 및 단계는 해당 구성요소, 특징 및 단계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특징, 단계 및 이와 동등한 것을 배제하고자 함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으로 특정되어 언급되지 아니하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구성요소 등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등의 존재나 추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1),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S103), 마커들을 검출하는 단계(S105),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S107) 및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109)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1)는 객체들을 포함하는 복수 집단들 중 일 집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로서, 예컨대 말들이 여러 집단을 이루고 있을 경우, 복수 집단들 중 일 집단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S103)는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영상의 프레임들을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 탐색하여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서,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윈도우 크기가 커지고,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윈도우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말 집단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 경우, 윈도우 크기는 드론과 말 간의 기준거리 5m에 대하여 100x2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드론이 말에 가까워질수록 윈도우 크기는 100x200보다 커지고, 드론이 말에 멀어질수록 윈도우 크기는 100x200보다 작아질 수 있다.
객체들 중 일부는 복수 개의 윈도우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윈도우에 포함된 이미지들이 병합되어 하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윈도우에 포함된 이미지들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공통되는 특징점들을 병합함으로써 객체들이 검출될 수 있다.
마커들을 검출하는 단계(S105)는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고유의 마커들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마커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 등의 디지털 코드로서, 객체의 표면에 새겨지거나, 마커가 표시된 인식표 등의 물체가 객체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추출된 객체가 말인 경우, 말의 신체부위에 부착된 인식표에서 QR코드 형태의 마커를 검출하고, 마커에 포함된 말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말의 정보에는 말의 일련번호, 나이, 태어난 곳, 부모, 소유자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S107)는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된 경우, 기설정된 마커가 표시된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이다.
기설정된 마커란 추적을 원하는 타겟에 표시된 마커로서, 사용자는 추적을 원하는 타겟에 표시된 마커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론이 타겟을 추적하는 모드를 자동 추적 모드 및 수동 추적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드론에 설정된 모드가 자동 추적 모드일 경우, 드론은 타겟이 포함된 집단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의 각 프레임에서 마커를 반복적으로 검출해가면서 타겟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며 타겟을 추적할 수 있다.
반대로, 드론에 설정된 모드가 수동 추적 모드일 경우,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타겟의 이동방향으로 드론을 수동으로 조종하여 타겟을 추적할 수도 있다.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109)는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복수 집단들 중 마커를 검출한 일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들에 대해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1) 내지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S107)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A, B, C 및 D집단이 있을 경우, A집단에 포함된 객체들에 표시된 마커를 검출하였으나 기설정된 마커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B, C 및 D집단에 대해서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집단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B집단에 포함된 객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들에 표시된 마커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B집단에서 검출된 마커들에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되었다면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S107)를 수행하고, 포함되지 않았다면 C집단에 대해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은 복수의 집단들 각각에 대해서 영상을 촬영하고, 객체를 추출하여 추출된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마커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타겟을 검출하고, 타겟이 검출된 후에는 타겟을 자동 또는 수동 조종에 따라 추적함으로써, 타겟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은 드론(100), 중계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론(100)은 송수신부(101), 촬영부(103), 추진부(105) 및 제어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01)는 중계 단말(110)로부터 영상 촬영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며, 중계 단말(110)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20)은 중계 단말(110)로 영상 촬영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 단말(110)은 수신한 영상 촬영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수신부(101)는 촬영한 영상을 중계 단말(110)로 전송하고, 중계단말(110)은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촬영부(103)는 객체들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드론의 하부에 구비되어 카메라가 결합되어, 카메라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유지유닛은 짐벌(Gimbal)과 같은 역할을 하는 유닛으로, 결합된 카메라의 수평을 유지시켜, 드론이 이동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더라도 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유지유닛은 요(yaw), 롤(roll), 피치(pitch)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제어부(107)는 수평유지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추진부(105)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드론의 비행 및 이동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송수신부(101)가 드론의 비행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07)는 추진부(105)를 작동시킴으로써 드론을 비행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7)는 자동 추적 모드로 설정된 경우, 드론의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지 않더라도, 추진부(105)를 제어함으로써 타겟의 이동방향으로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은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타겟을 추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107)는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고유의 마커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촬영된 영상의 프레임들 각각을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 탐색하여 객체들 각각을 추출할 수 있다.
윈도우의 기설정된 크기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된 거리로서,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크기가 증가하며, 객체들과 드론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크기가 감소할 수 있는 가변적인 크기이다.
예컨대, 드론과 객체들 간의 거리가 3m일 때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윈도우 크기가 설정되었다면, 드론과 객체들 간의 거리가 1m로 가까워졌을 때는 촬영된 영상에서 보이는 객체의 크기가 커졌기 때문에 윈도우의 크기가 기설정된 윈도우의 크기보다 증가될 수 있다.
즉, 드론과 객체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가변적으로 윈도우 크기를 변경시키면서,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때문에 고정된 윈도우 크기를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할 때보다 연산 속도가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107)는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들을 추출한 후,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고유한 마커들을 검출할 수 있고, 마커는 객체 표면의 외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객체가 동물인 경우, 마커에는 소유자, 나이, 병력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107)는 마커를 검출하여 마커에 포함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마커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와 동일한 마커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설정된 마커는 추적을 원하는 타겟에 표시된 마커이다.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가 존재하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에 타겟이 포함된 것이므로, 제어부(107)는 촬영부(103)를 제어하여 타겟의 영상을 촬영하고, 추진부(105)를 제어하여 타겟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될 객체들에는 타겟이 포함되지 않은 것이므로, 제어부(107)는 다른 집단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추진부(105)를 제어하여 다른 집단으로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
중계 단말(110)은 드론(100) 및 사용자 단말(120)에 연결되어, 드론(100) 및 사용자 단말(120)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중계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드론의 비행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드론(100)으로 전송함으로써 드론이 비행하거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론(10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드론(100)이 촬영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국에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몽골에 있는 중계 단말(110)에 드론의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면, 중계 단말(110)은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드론(100)에 전송할 수 있다.
드론(100)은 송수신부(101)를 통해 위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07)는 신호의 내용을 분석하여 추진부(105)를 제어함으로써 드론(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중계 단말(110)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120)과 드론(100)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먼 거리에서도 드론을 조종하고, 드론이 촬영한 타겟의 영상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예시적인 몇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범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드론
101 : 송수신부
103 : 촬영부
105 : 추진부
107: 제어부
110 : 중계 단말
120 :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일 집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일 집단에 포함된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들 각각에 표시된 고유의 마커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마커들 중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마커가 표시된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마커들 중 상기 기설정된 마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일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들에 대하여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내지 추적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프레임들 각각을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 탐색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을 추출하되, 상기 객체들 중 일부가 복수 개의 상기 윈도우에 포함될 경우, 복수개의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이미지들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공통되는 특징점들을 병합하여 객체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로서, 상기 객체들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서 상기 타겟의 마커를 검출하여, 상기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11947A 2018-01-31 2018-01-31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202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47A KR102028622B1 (ko) 2018-01-31 2018-01-31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47A KR102028622B1 (ko) 2018-01-31 2018-01-31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88A KR20190092788A (ko) 2019-08-08
KR102028622B1 true KR102028622B1 (ko) 2019-10-04

Family

ID=6761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47A KR102028622B1 (ko) 2018-01-31 2018-01-31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83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퍼플아이오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909B1 (ko) * 2020-03-11 2022-03-10 박수홍 드론을 이용한 스마트 팜 작물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723A (ko) 2008-01-22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망 설계 장치 및 방법
KR101233938B1 (ko) * 2010-08-26 2013-0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객체 추적 로봇 및 그 방법
KR101228980B1 (ko) * 2011-06-29 2013-02-01 주식회사 네스앤텍 이동체 장착 카메라의 제어장치
KR101827249B1 (ko) * 2016-01-29 2018-02-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Vpn망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지능형 객체 인식 드론 시스템 및 지능형 객체 추적 방법
KR20170131081A (ko) * 2016-05-20 2017-11-29 주식회사 에스원 객체 검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83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퍼플아이오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20077617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퍼플아이오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481122B1 (ko) * 2020-12-02 2022-12-23 주식회사 퍼플아이오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88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8078A1 (en) Camera ball turret having high bandwidth data transmission to external image processor
WO2017030259A1 (ko) 자동추적 기능을 갖는 무인항공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348348B (zh) 一种参建人员进场身份快速识别方法及预警系统
KR102177655B1 (ko) Mvs 기반의 무인항공기를 갖춘 객체 추적 시스템
CN108235815B (zh) 摄像控制装置、摄像装置、摄像系统、移动体、摄像控制方法及介质
CN109887040A (zh) 面向视频监控的运动目标主动感知方法及系统
KR101328246B1 (ko) 이동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과 그 방법
CN105100728A (zh) 无人机视频跟踪拍摄系统及方法
CN104794468A (zh) 一种基于无人机动平台的人脸检测与跟踪方法
KR102028622B1 (ko)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07065894B (zh) 无人飞行器、飞行高度控制装置、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记录介质
CN110370273B (zh) 一种机器人避障方法、装置和系统
CN111567032B (zh) 确定装置、移动体、确定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0619276A (zh) 基于无人机移动监控的异常及暴力检测系统和方法
US114834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of moving objects using multiple cameras
KR20220048200A (ko) 울타리 감지 시스템
JP2007067510A (ja) 映像撮影システム
JP5297397B2 (ja) ドア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装置
KR102203292B1 (ko) Cctv 겸용 드론을 이용한 cctv 감시 시스템
KR20150097274A (ko)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 추종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358064B1 (ko)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9068325A (ja) 動体追尾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2000211A1 (zh) 拍摄系统的控制方法、设备、及可移动平台、存储介质
JP7073729B2 (ja) 撮影システム
CN115297295A (zh) 具有有利视点变换的视频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