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122B1 -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122B1
KR102481122B1 KR1020200166732A KR20200166732A KR102481122B1 KR 102481122 B1 KR102481122 B1 KR 102481122B1 KR 1020200166732 A KR1020200166732 A KR 1020200166732A KR 20200166732 A KR20200166732 A KR 20200166732A KR 102481122 B1 KR102481122 B1 KR 10248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flight path
image
control device
ca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617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플아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플아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플아이오
Priority to KR102020016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122B1/ko
Priority to PCT/KR2021/016831 priority patent/WO2022119183A1/ko
Publication of KR2022007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드론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드론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드론이 상기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DRON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대상물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이커머스 마켓에서 취급하는 제품은 이미 오프라인 시장에 버금갈 만큼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마켓에 제품을 등록하기 위해서 여전히 사람이 동원되어 제품 촬영이 진행되고 있다.
온라인 마켓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단가가 업체간의 경쟁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다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 촬영에 필요한 인건비는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제한 시간안에 생산해 낼 수 있는 촬영물의 분량도 한정되어 있으며 제품 촬영의 구도도 한정적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현재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제품 촬영 분야에 드론을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촬영은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구도로 촬영한 영상물을 생산해 낼 수 있어 정형화된 고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0938호(2016.05.24.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적화된 방법으로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촬영대상물의 자세에 따라 최적화된 비행경로를 따라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촬영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촬영대상물의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드론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드론이 상기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의 형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의 형태가 제1 형태이면, 제1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대상물의 형태가 상기 제1 형태와 다른 제2 형태이면, 상기 제1 비행경로와 다른 제2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영상에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상기 드론이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드론이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비행경로와 상기 복수의 영상이 촬영된 지점을 연계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및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장치가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드론이 상기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때, 촬영대상물의 자세 또는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방법으로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을 자동화하여, 사람이 개입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촬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대상물에 따라 일정한 구도로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 기존 사람이 촬영하는 것과 다르게, 입체적이고 정형화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론이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제어 시스템은, 드론(100), 드론(10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0) 및 드론(100)/제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Drone)(100)은, 무인 비행 물체로서, 자율 항법 장치에 의하여 자동 조종되거나 무선 전파를 이용하여 원격 조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100)은, 제어장치(2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파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드론(100)은 자율 항법 장치(드론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음)에 의해 자동으로 조종될 수도 있다.
드론(100)은, 제어장치(200) 및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또는 제어명령)에 의해 드론(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드론의 일부분에 장착되어, 드론이 비행중인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론(100)은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100)에는, RGB카메라, 짐벌 카메라, 줌 카메라, FPV레이싱 카메라, 고화질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드론(100)은,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대상물(400)은,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촬영대상물(400)은, 일 예로, 의류, 제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대상물(400)은, 의류를 착용한 마네킹 또는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대상물(400)은, 자세(또는 포즈) 및 종류가 다양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는, 드론(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또는 무선 전파)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드론(100)에서 전송되는 정보(예를 들어, 드론의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 스크린)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드론을 제어한다는 측면에서, 드론 컨트롤러(Drone controller)로 명명될 수도 있다.
제어장치(200)는, 드론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장치(200)는, 드론(100)으로부터 드론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어장치(200)에는, 조이스틱, 이동 단말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서버(300)는, 드론(100) 및 제어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드론(100) 및 제어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드론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드론(100) 및 제어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근거하여, 촬영대상물의 자세 및/또는 종류를 판단(결정)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촬영대상물의 자세 및 종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촬영대상물의 비행경로(또는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결정된 비행경로를 드론(100) 및 제어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서버(300)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장치(200)가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한 영상을 드론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10).
또한,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장치(200)가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에 근거하여, 드론(100)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20).
또한,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장치(200)가 드론(100)이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30).
제어장치(200)는, 드론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제어명령과, 드론을 이륙시키는 제어명령 및 드론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드론(100)은,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의 형태를 결정(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는,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의 형태(예를 들어, 오른 팔을 들고 있는 자세 또는 비스듬히 기대고 있는 자세 등)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200)는, 촬영대상물(400)의 형태가 제1 형태이면, 제1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200)는, 촬영대상물(400)의 형태가 제1 형태이면, 제1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상기 촬영대상물(400)의 형태가 상기 제1 형태와 다른 제2 형태이면, 상기 제1 비행경로와 다른 제2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상기 촬영대상물(400)의 형태가 상기 제1 형태와 다른 제2 형태이면, 상기 제1 비행경로와 다른 제2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 또는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0) 또는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로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장치(200)는,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촬영대상물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200)는, 촬영대상물의 종류에 근거하여, 드론(100)의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촬영대상물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200)는, 드론이 의류를 회전하면서 촬영하도록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촬영대상물의 종류가 제품인 경우,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장치(200)는, 드론이 제품을 클로즈업하면서 촬영하도록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촬영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비행경로 및 촬영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는, 촬영대상물의 종류가 제1 종류인 경우(예를 들어, 의류), 제1 비행경로(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대상물을 회전하는 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촬영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장치(200)는, 드론의 카메라가 회전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촬영기법으로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장치(200)는, 촬영대상물의 종류가 제2 종류인 경우(예를 들어, 제품), 제2 비행경로(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대상물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움직이는 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제품을 줌(zoom) 하면서 촬영하도록 드론의 촬영기법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촬영대상물에는,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예를 들어,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가 부착되거나, 태그에 태깅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드론(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식별(추출)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영상에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가 포함(식별)된 경우, 상기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기 설정된 비행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는, 예를 들어, 촬영대상물의 특징(예를 들어, 의류의 포인트가 되는 주머니 등)이 강조되도록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는 비행경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촬영하는 촬영대상물이 의류이며, 의류의 주머니를 강조하면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코드에는, 의류의 주머니를 중점적으로 촬영하도록 미리 설정된 비행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드론(100)이 비행하면서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200)는, 드론(100)이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드론(1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드론(100)은,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복수의 영상(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촬영이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어장치(200)(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비행경로와 복수의 영상이 촬영된 지점을 연계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에서는, 드론이 비행한 비행경로와, 영상이 촬영된 지점이 연계된 정보를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비행경로와 영상이 촬영된 지점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영상을 제공받을 때, 각 영상이 어느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인지까지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드론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어장치(200)뿐만 아니라 서버(300)에서도, 촬영대상물의 형태(자세) 또는 종류에 근거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장치(200)는, 드론(100)으로 전원을 온(on)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하고(S301), 전원이 온 된 경우, 드론으로부터 전원이 온 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2).
제어장치(200)는, 드론(100)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한 영상, 즉,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한 영상을 드론(1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200)는, 상기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면서, 비행경로를 요청할 수 있다(S303).
서버(300)는, 상기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의 형태에 근거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이 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버(300)는,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의 형태(자세) 또는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드론(100)의 비행경로를 설정(결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하도록, 드론(100)을 제어할 수 있다(S305).
상기 제어에 의해, 드론(100)은, 상기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촬영대상물(400)을 촬영할 수 있다(S306).
이후, 드론(100)은, 통신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즉, ?d영 결과)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07).
서버(300)는,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고(S308), 영상 저장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09).
제어장치(20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드론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제어명령을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10). 이후, 드론(100)은, 전원 오프(off)가 되기 전에, 전원 오프(off)가 곧 완료된다는 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S311)하고,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상기 S301, S302 및 S309 내지 S311의 내용은, 도 2에서 설명한 제어방법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어장치(200)의 제어방법은, 서버(300) 또는 드론(100) 자체에서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때, 촬영대상물의 자세 또는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방법으로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을 자동화하여, 사람이 개입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촬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대상물에 따라 일정한 구도로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 기존 사람이 촬영하는 것과 다르게, 입체적이고 정형화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카메라를 구비하는 드론;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드론이 상기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드론이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비행경로와 상기 복수의 영상이 촬영된 지점을 연계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비행경로 및 상기 비행경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이 촬영된 지점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지점에 연계된 특정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상기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결정하되, 상기 영상에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상기 드론이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며,
    상기 코드 이미지의 인식을 통해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가 주머니가 포인트인 의류로 확인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는, 상기 드론이 상기 주머니를 강조하면서 상기 의류를 회전하면서 촬영하도록 설정된 것인 드론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의 형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의 형태가 제1 형태이면, 제1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대상물의 형태가 상기 제1 형태와 다른 제2 형태이면, 상기 제1 비행경로와 다른 제2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드론 및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
    제어장치가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촬영대상물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드론이 상기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드론이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행경로와 상기 복수의 영상이 촬영된 지점을 연계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비행경로 및 상기 비행경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이 촬영된 지점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출력하되,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지점을 선택받으면 상기 특정 지점에 연계된 특정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행경로 설정 단계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한 상기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드론의 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결정하되, 상기 영상에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 및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드론 제어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상기 드론이 비행하면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며,
    상기 코드 이미지의 인식을 통해 상기 촬영대상물의 종류가 주머니가 포인트인 의류로 확인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비행경로는, 상기 드론이 상기 주머니를 강조하면서 상기 의류를 회전하면서 촬영하도록 설정된 것인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9항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드론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66732A 2020-12-02 2020-12-02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48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32A KR102481122B1 (ko) 2020-12-02 2020-12-02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PCT/KR2021/016831 WO2022119183A1 (ko) 2020-12-02 2021-11-17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32A KR102481122B1 (ko) 2020-12-02 2020-12-02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17A KR20220077617A (ko) 2022-06-09
KR102481122B1 true KR102481122B1 (ko) 2022-12-23

Family

ID=8185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732A KR102481122B1 (ko) 2020-12-02 2020-12-02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1122B1 (ko)
WO (1) WO20221191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622B1 (ko) * 2018-01-31 2019-10-04 주식회사 에디테크놀로지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38B1 (ko) 2013-11-06 2016-05-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KR20160100188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65331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인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896654B1 (ko) * 2017-11-08 2018-09-07 변정태 드론을 이용한 3d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9443A (ko) * 2018-11-21 2020-05-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정 대상물 3차원 형상 정보 획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622B1 (ko) * 2018-01-31 2019-10-04 주식회사 에디테크놀로지 드론을 이용한 객체 자동 추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183A1 (ko) 2022-06-09
KR20220077617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70452B (zh) 一种拍照方法及终端和相关介质产品
WO2019134516A1 (zh) 全景图像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0186012B2 (en) Virtual lens simulation for video and photo cropping
US11870951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US10645278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9691080B (zh) 拍摄图像方法、装置和终端
CN109981944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002248B (zh) Vr场景截图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121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aking group photo
KR20180058461A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진 검색 및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진 검색 및 촬영 방법
CN11253288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EP42549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TW202203085A (zh) 自動相機指導和設置調整
CN114697539A (zh) 拍照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6235506A (zh) 用于提供图像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US2022040024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1223761B2 (en)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images by controlling frame rate for external moving object through point of interes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184722A (zh) 图像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3945116A (zh) 用于在具有相机的移动终端中处理图像的设备和方法
WO2022083118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102481122B1 (ko) 드론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0074264A (ja) 撮影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CN113454980A (zh) 全景拍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19218A (zh) 用于推荐图像捕获模式的方法和电子设备
US20220385814A1 (en) Method for generating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