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982B1 - 운동 부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부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982B1
KR102027982B1 KR1020180110072A KR20180110072A KR102027982B1 KR 102027982 B1 KR102027982 B1 KR 102027982B1 KR 1020180110072 A KR1020180110072 A KR 1020180110072A KR 20180110072 A KR20180110072 A KR 20180110072A KR 102027982 B1 KR102027982 B1 KR 10202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force
pulley
unit
power generation
gen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카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로스 filed Critical (주)카이로스
Priority to KR102018011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6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lectromagnetically-controlled friction, e.g. magnetic particle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랫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높아진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가변 저항에서 조절된 저항값에 따른 브레이크 역할을 통해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운동 부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동 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운동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회전력 조절부;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하부 공간에 상기 회전력 조절부를 설치시키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전부에 회전 저항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소비하는 부하 저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 부하 제어 장치{EXERCISE LOAD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운동 부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높아진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가변 저항에서 조절된 저항값에 따른 브레이크 역할을 통해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운동 부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의 부하장치는, 중력을 이용하는 웨이트방식과, 유체 점성의 저항을 이용한 유압실린더 방식, 회전 바퀴에 마찰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방식, 그리고 회전하는 도체에 자성체를 근접시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방식이 있다.
그러나 웨이트방식은, 근력운동이외의 운동에는 부하로서 쓰임이 어렵고, 무게가 무거워서 주거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사용이 불편하며, 부하의 강도를 단계적으로만 조절할 수 있어 연속적인 강도 조절은 불가능 하다.
유압실린더 방식은, 간단한 원리이기 때문에 무게와 부피가 작으나, 운동부하의 조절이 불가능 하다.
브레이크 방식은, 장치의 내구성이 다른 방식에 비해 떨어지며, 소음과 먼지가 발생되고 정지마찰력이 운동마찰력보다 큰 관계로 실제 운동에 적용시키기 힘들다.
또한, 마그네틱 방식은, 유도전류로 인한 충분한 부하를 얻기 위해서 무거운 플라이휠(fly-wheel)을 쓰기 때문에 기구의 무게가 많이 증가하고, 부하의 강도를 단계적으로만 조절이 가능하여 연속적인 강도 조절은 불가능 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553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294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높아진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가변 저항에서 조절된 저항값에 따른 브레이크 역할을 통해 운동 부하를 조절하거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운동 부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부하 제어 장치는, 운동 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운동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회전력 조절부;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하부 공간에 상기 회전력 조절부를 설치시키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전부에 회전 저항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소비하는 부하 저항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방향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상기 발전부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를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를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벨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풀리 헤드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과 상기 제1 풀리의 기둥이 서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제1 풀리를 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풀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기; 및 상기 연장 돌기의 내측과 상기 제2 풀리의 기둥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풀리의 기둥을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하 저항부는, 0옴부터 6옴까지 가변하는 가변 저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조절부는, 상기 부하 저항부의 저항 변화와 함께 운동 부하를 1/5 내지 1/10까지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방향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상기 발전부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풀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슬라이딩홀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2 풀리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지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탱부는, 상기 제2 풀리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하는 지지부; 다른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부; 상기 지지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풀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홀의 다른 일측면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풀리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상기 제1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버팀부가 파쇄된 후 상기 제2 버팀부가 파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기; 및 상기 연장 돌기의 내측과 상기 제2 풀리의 기둥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풀리의 기둥을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감속과 가속의 비를 조절하여 발전기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저항값의 변화를 발전기에 적용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장치를 구성하는 풀리 간에 설치된 벨트의 마찰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벨트가 헐거워져 풀리 간의 운동량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부하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력 전달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회전력 전달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지탱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탄성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부하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부하 제어 장치(10)는, 회전력 조절부(100), 회전력 전달부(200), 발전부(300) 및 부하 저항부(400)를 포함한다.
회전력 조절부(100)는, 운동장치 연결부(120)을 이용하여 운동 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운동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며, 조절된 회전력이 회전력 전달부(200)를 통해 발전부(300)로 전달한다.
회전력 전달부(200)는,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210, 220)를 구비하여, 플레이트 사이의 하부 공간에 회전력 조절부(100)를 설치시키고, 플레이트 사이의 상부 공간에 발전부(300)가 설치되며, 회전력 조절부(100)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발전부(300)로 전달한다.
발전부(300)는, 플레이트 사이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며, 회전력 전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부하 저항부(400)는, 발전부(300)에 연결되며, 발전부(300)에 회전 저항이 걸릴 수 있도록 발전부(300)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소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하 저항부(400)는, 0옴부터 6옴까지 가변하는 가변 저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력 조절부(100)는, 부하 저항부(400)의 저항 변화와 함께 운동 부하를 1/5 내지 1/10까지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10)는, 감속과 가속의 비를 조절하여 발전부(30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부하 저항부(400)의 저항값의 변화를 발전부(300)에 적용시켜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회전력 전달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력 전달부(200)는, 제1 플레이트(210), 제2 플레이트(220) 및 벨트(23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며 설치되고, 상부 공간에 발전부(300)가 설치되고, 하부 공간에 회전력 조절부(100)가 설치된다.
벨트(230)는, 제1 플레이트(210) 방향에 설치된 회전력 조절부(100)의 회전바퀴(110)와 발전부(300)의 회전바퀴(310)에 체결되며, 회전력 조절부(100)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발전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벨트(230)는, 후술하는 제1 풀리(240) 및 제2 풀리(25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력 전달부(200)는, 제1 풀리(240) 및 제2 풀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리(240)는, 제1 플레이트(210)에서 발전부(300)의 회전바퀴(310)의 하측에 설치되며, 벨트(230)를 회전력 조절부(100)의 회전바퀴(110)와 발전부(300)의 회전바퀴(310)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 벨트(2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제2 풀리(250)는, 제1 플레이트(210)에서 제1 풀리(240)와 회전력 조절부(100)의 회전바퀴(110)의 사이에 설치되며, 벨트(230)를 회전력 조절부(100)의 회전바퀴(110)와 발전부(300)의 회전바퀴(310)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 벨트(230)의 장력을 조절한다.
도 3은 도 2의 제1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플레이트(220)와 대향하고 있는 제1 플레이트(210)의 내측면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10)는, 슬라이딩홀(211), 연장 돌기(212) 및 스프링(213)을 포함한다.
슬라이딩홀(211)은, 제2 풀리(25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풀리(250)가 설치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연장 돌기(212)는, 제2 풀리(250)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프링(213)의 일측이 체결된다.
스프링(213)은, 연장 돌기(212)의 내측과 제2 풀리(250)의 기둥 사이에 체결되어 제2 풀리(250)의 기둥을 회전력 조절부(100)의 회전바퀴(110)와 발전부(300)의 회전바퀴(310)의 중심축 방향으로 잡아당겨 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풀리(250)는, 벨트(23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풀리 헤드로부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의 사이 공간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과 제1 풀리(240)의 기둥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제1 풀리(240)를 축으로 하여 슬라이딩홀(211)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회전력 전달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력 전달부(200)는, 제1 플레이트(210), 제2 플레이트(220), 벨트(230), 제1 풀리(240) 및 제2 풀리(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210), 제2 플레이트(220) 및 벨트(2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20)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210)는, 슬라이딩홀(211) 및 지탱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홀(211)은, 벨트(2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풀리(25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풀리(250)가 설치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홀의 일측에 제2 풀리(250)가 삽입되고 다른 일측에 지탱부(214)가 설치된다.
지탱부(214)는, 슬라이딩홀(2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풀리(250)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홀(21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된다.
벨트(230)는, 제1 플레이트(210) 방향에 설치된 회전력 조절부(100)의 회전바퀴(110)와 발전부(300)의 회전바퀴(310)에 체결되며, 회전력 조절부(100)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발전부(300)로 전달하며, 제1 풀리(240) 및 제2 풀리(25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력 전달부(200)는, 연장 돌기(212) 및 스프링(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돌기(212) 및 스프링(213)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5의 지탱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탱부(214)는, 지지부(2141), 케이스부(2142), 연장부(2143), 탄성부(2144) 및 체결부(2145)를 포함한다.
지지부(2141)는, 직사각형의 철판 등의 철재로 형성되며, 제2 풀리(250)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한다.
케이스부(2142)는, 다른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연장부(2143), 충격 완충부(2144)가 삽입되며, 연장부(2143)가 내부 공간에서 좌우 방향의 왕복운동을 하며, 개방된 다른 일측에 연장부(214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보다 좁게 형성되어 연장부(214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부(2143)는, 케이스부(2142)에 삽입된 후 일측이 지지부(2141)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용접에 의해 강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함)되며, 다른 일측에 케이스부(2142)의 관통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며, 다른 일측에 충격 완충부(2144)가 설치된다.
탄성부(2144)는, 지지부(2141)가 탄성력에 의해 제2 풀리(250)를 지탱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2142)에 삽입된 연장부(2143)의 다른 일측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2144)는, 버팀부(21441) 및 충격 흡수부(21442)를 포함한다.
버팀부(21441)는, 연장부(2143)와 체결부(214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며, 연장부(2143)가 체결부(2145)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2143)와 체결부(2145)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21441)는, 제1 버팀부(214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1441-2) 및 다수 개의 제3버팀부(21441-3)를 포함한다.
제1 버팀부(21441-1)는, 충격 흡수부(2144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일측이 연장부(2143)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연장부(2143)와 체결부(214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어, 연장부(2143)가 체결부(2145)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버팀부(21441-2)는, 제1 버팀부(21441-1)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0.8cm 내지 2.5cm 등)로 형성되며, 충격 흡수부(21442)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일측이 연장부(2143)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제3버팀부(21441-3)는, 제2 버팀부(21441-2) 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0.5cm 내지 2cm 등)로 형성되며, 제2 버팀부(21441-2)와 다른 제2 버팀부(21441-2)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일측이 연장부(2143)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버팀부(214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14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21441-3)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되 제1 버팀부(21441-1)의 직경이 제2 버팀부(2144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버팀부(21441-2)의 직경이 제3 버팀부(2144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버팀부(21441)는, 다수 개의 변형을 위한 수단(즉, 제1 버팀부(214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14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21441-3))에 의해 충격을 다수의 단계로 흡수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충격흡수능력을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21441)는,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제1 버팀부(21441-1) 및 제2 버팀부(21441-2)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버팀부(21441-1)가 파쇄된 후 제2 버팀부(21441-2)가 파쇄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21441)는,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제1 버팀부(21441-1) 및 제2 버팀부(21441-2)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버팀부(21441-1)가 파쇄된 후 제2 버팀부(21441-2)가 파쇄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2144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제2 풀리(250)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장부(2143)와 체결부(2145)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다.
체결부(2145)는, 케이스부(2142)의 다른 일측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부(2142)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홀(211)의 다른 일측면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탱부(214)는, 제2 풀리(250)를 슬라이딩홀(211)에서 일측 방향으로 지탱함으로써, 제2 풀리(250)가 벨트(230)를 효율적으로 밀어주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풀리(250)가 벨트(230)를 눌러주는 힘이 지나쳐 충격 버팀부(21441)의 각각의 파쇄 임계치를 넘어서 지탱부(214)를 누르는 경우에는, 높이가 가장 높은 제1 버팀부(21441-1)가 파쇄 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제1 버팀부(21441-1)의 파쇄만으로도 충격이 모두 흡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1441-2)가 차례로 파쇄 되면서 여분의 충격을 모두 흡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운동 부하 제어 장치
100: 회전력 조절부
200: 회전력 전달부
210: 제1 플레이트
211: 슬라이딩홀
212: 연장 돌기
213: 스프링
214: 지탱부
220: 제2 플레이트
230: 벨트
240: 제1 풀리
250: 제2 풀리
300: 발전부
400: 부하 저항부

Claims (15)

  1. 운동 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운동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회전력 조절부;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하부 공간에 상기 회전력 조절부를 설치시키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전부에 회전 저항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소비하는 부하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방향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상기 발전부로 전달하는 벨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를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를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벨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풀리 헤드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과 상기 제1 풀리의 기둥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제1 풀리를 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풀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기; 및
    상기 연장 돌기의 내측과 상기 제2 풀리의 기둥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풀리의 기둥을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저항부는,
    0옴부터 6옴까지 가변하는 가변 저항으로 형성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조절부는,
    상기 부하 저항부의 저항 변화와 함께 운동 부하를 1/5 내지 1/10까지 조절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10. 운동 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운동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회전력 조절부;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하부 공간에 상기 회전력 조절부를 설치시키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전부에 회전 저항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소비하는 부하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며 설치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방향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력을 상기 발전부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풀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슬라이딩홀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2 풀리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지탱부를 포함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부는,
    상기 제2 풀리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하는 지지부;
    다른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부;
    상기 지지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풀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홀의 다른 일측면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풀리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상기 제1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버팀부가 파쇄된 후 상기 제2 버팀부가 파쇄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제2 풀리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기; 및
    상기 연장 돌기의 내측과 상기 제2 풀리의 기둥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풀리의 기둥을 상기 회전력 조절부의 회전바퀴와 상기 발전부의 회전바퀴의 중심축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KR1020180110072A 2018-09-14 2018-09-14 운동 부하 제어 장치 KR102027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72A KR102027982B1 (ko) 2018-09-14 2018-09-14 운동 부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72A KR102027982B1 (ko) 2018-09-14 2018-09-14 운동 부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982B1 true KR102027982B1 (ko) 2019-10-02

Family

ID=6842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072A KR102027982B1 (ko) 2018-09-14 2018-09-14 운동 부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232A (ja) * 1991-08-15 1993-02-23 Matsushiyou:Kk 室内運動健康器
US20050043145A1 (en) * 2001-04-16 2005-02-24 Anderson Timothy T. Stride adjustment program
KR101085532B1 (ko) 2010-02-19 2011-11-23 (주)디자인파크개발 마그네틱 부하 조절 장치가 구비된 딥머신형 운동기구
KR20120130692A (ko) * 2011-05-23 2012-12-03 (주)휴모닉 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부하 제어 장치
KR20130102949A (ko) 2012-03-09 2013-09-23 김영문 자동 부하조절부를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
JP2015163108A (ja) * 2014-02-28 2015-09-10 株式会社フォーカルワークス 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制御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232A (ja) * 1991-08-15 1993-02-23 Matsushiyou:Kk 室内運動健康器
US20050043145A1 (en) * 2001-04-16 2005-02-24 Anderson Timothy T. Stride adjustment program
KR101085532B1 (ko) 2010-02-19 2011-11-23 (주)디자인파크개발 마그네틱 부하 조절 장치가 구비된 딥머신형 운동기구
KR20120130692A (ko) * 2011-05-23 2012-12-03 (주)휴모닉 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부하 제어 장치
KR20130102949A (ko) 2012-03-09 2013-09-23 김영문 자동 부하조절부를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
JP2015163108A (ja) * 2014-02-28 2015-09-10 株式会社フォーカルワークス 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制御ユニッ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0692호(2012.12.3. 공개) 1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5/0043145호(2005.2.24.)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4025T3 (es) Unidad de bateado y método para batear una vía
EP3269997B1 (en) Oscillation absorber for a structure
JP6101342B2 (ja) ドラムアセンブリ及びドラム上への綱の巻き取り方法
US9725855B2 (en) Assembly for vibrating a compacting drum of a compacting machine
US69740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vibration in an apparatus during a loss of power
JP2001511490A (ja) 振動特性が可変の地面締め固め装置
JP2012520655A (ja) ブレーキング機構の改良およびそれに関する改善
JP2004116286A (ja) 伸長自在な細長部材
US10774893B2 (en) Tuned mass dampers for damping an oscillating movement of a structure
KR102027982B1 (ko) 운동 부하 제어 장치
KR20180114610A (ko) 감쇠력 제어가 가능한 자기유변탄성체 마찰댐퍼
US20150135983A1 (en) Zipline braking system
US9624998B2 (en) Electromagnetic flywheel damper and method therefor
KR102530932B1 (ko) 침전방지장치가 구비된 댐퍼
CN103010967B (zh) 定位导向装置、工程机械及其吊臂
EP2011920B1 (en) Speed controlled eccentric assembly
US6257352B1 (en) Rock breaking device
EP0177643A1 (fr) Dispositif selecteur et amortisseur d'efforts dynamiques avec verrouillage precis, silencieux, et rapide, principalement destiné aux appareils de musculation et de reeducation
RU2313014C1 (ru) Амортизатор
KR20190049104A (ko) 항공기용 엠알유체 댐퍼를 포함하는 착륙장치
CN207584285U (zh) 一种建筑设备减震装置
CN206956727U (zh) 一种新型建筑用打桩机
CN101592207A (zh) 一种可变阻力能耗式吸能器
Unuh et al. Vibration isolation analysis of new design OEM damper for malaysia vehicle suspension system featuring MR fluid
JPS61500367A (ja) 地面突き固め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