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903B1 - 코일 운반용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운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903B1
KR102027903B1 KR1020180058507A KR20180058507A KR102027903B1 KR 102027903 B1 KR102027903 B1 KR 102027903B1 KR 1020180058507 A KR1020180058507 A KR 1020180058507A KR 20180058507 A KR20180058507 A KR 20180058507A KR 102027903 B1 KR102027903 B1 KR 10202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oller
fixing
phenomenon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5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Abstract

실시예는 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코일을 이송하는 본체; 상기 코일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부가 이동하는 풀림 현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지지대에 배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풀림 현상 감지시,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의 단부를 고정하는 코일 운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는 코일의 풀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 코일의 단부를 코일에 고정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운반용 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COIL}
실시예는 코일을 운반하는 코일 운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권선기에 의해 권선된 코일의 운반시,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코일 운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코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권취기에 의해 권선되는 코일 및 인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강공정의 연속주조기로 공급 받은 슬라브(SLAB)를 가열로(10)에서 적당한 온도로 재가열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조 압연기(20)에서 바 형태로 폭 및 두께 압연을 실시한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는 코일의 권선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상압연기(30)에서 원하는 두께의 스트립(STRIP)의 상태로 최종 두께 압연을 실시한 후, 권취기(40)에서 압연된 스트립(STRIP)을 코일(C) 제품으로 감아내어 코일(C)을 연속 생산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기(40)의 일측에 배치되는 맨드렐(41)에 코일(C)이 완전히 감기게 되면, 인출장치(50)에 의해 코일(C)은 맨드렐(41)에서 탈거되어 코일 운반용 장치(60)로 이동된다.
그리고, 권취기(40)에 의해 권선된 코일(C)은 코일 운반용 장치(50)에 의해 이송된 후 콘베이어(60)를 통해 검사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60)를 통해 코일(C)이 콘베이어(6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밴딩 머신에 의해 코일(C)을 묶는 밴딩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60)에서 밴딩 머신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코일(C)의 단부가 권선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풀리는 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림 현상에 의해 작업자는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풀림 현상은 공정상 문제 및 코일(C)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권취기(40)에 의해 코일(C)의 권선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코일(C)의 외경 증가 및 자중에 의해 코일(C)이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권선량이 적은 경우 상기 풀림 현상이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요청된 권선량 이상으로 코일(C)을 권선하여 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요청된 권선량 이상으로 코일(C)이 권선되면, 코일(C)의 권선 여유분에 의한 로스(Loss)로 인해 생산 효율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량의 권선량으로 권선된 코일(C)의 권선시 발생하는 코일의 풀림 현상을 조기에 감지하고, 상기 풀림 현상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일 운송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풀림 현상 발생시, 풀림 현상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코일의 단부를 고정하는 코일 운송용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코일을 이송하는 본체; 상기 코일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부가 이동하는 풀림 현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지지대에 배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풀림 현상 감지시,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의 단부를 고정하는 코일 운반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가 장전된 건으로 제공되며, 상기 건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코일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에 상기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전동드라이버로 제공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전동드라이버의 단부측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는 상기 코일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게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롤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의 단부는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대한 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림 현상에 의해 상기 롤러의 회동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는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동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풀림 현상을 완화시키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완화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는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의 회동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풀림 현상을 완화시키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완화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는 상기 감지수단의 센서에 의해 상기 풀림 현상 감지시, 상기 풀림 현상을 인지시키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는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는 코일의 풀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 코일의 단부를 코일에 고정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는 감지수단으로 적어도 두 개의 롤러와 센서를 구비하여 코일(C)의 일측에만 편심되어 발생하는 코일의 풀림 현상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코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권취기에 의해 권선되는 코일 및 인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의 풀림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감지수단과 고정수단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고정수단에 의해 코일의 단부가 고정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고정수단에 고정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감지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의 풀림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감지수단과 고정수단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화살표는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의 이동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방향은 코일(C)의 이동방향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1)는 레일(R)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인출장치(50)에 의해 탈거된 코일(C)을 운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코일카로 불릴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코일(C)을 이송하는 본체(100), 코일(C)의 단부(C1)가 코일(C)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풀림 현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200),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한 코일(C)의 단부(C1)를 코일(C)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0) 및 감지수단(200)과 고정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작업자에게 상기 풀림 현상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의 풀림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에서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에서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코일(C)의 단부(C1)측은 코일(C)의 권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코일(C)의 단부(C1)측은 코일(C)의 권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감지수단(200)을 이용하여 코일(C)의 풀림 현상을 감지하고, 고정수단(300)을 이용하여 코일(C)의 단부(C1)를 코일(C)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100)는 권취기(40)에서 권선된 코일(C)을 이송한다.
본체(100)는 바퀴(110)와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110)는 레일(R)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0)가 레일(R)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한다. 이때, 본체(100)의 바퀴(110)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은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코일(C)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120)의 상부측에는 코일(C)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20)는 코일(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수단(200)은 상기 코일(C)의 단부(C1)의 풀림 현상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200)은 지지대(120)의 경사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수단(200)은 롤러(210) 및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C)의 단부(C1)가 이동됨에 따라 롤러(210)는 상기 권선방향과 동일한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220)는 롤러(21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권선방향의 반대방향을 풀림방향이라 명명하여 설명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롤러(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20)의 경사면(12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는 두 개의 경사면(121)을 구비할 수 있는바, 롤러(210)는 각 경사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210)는 코일(C)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코일(C)과 롤러(210)는 선접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과 롤러(210)의 접촉 영역을 잇는 가상의 제1 선(L1)을 따라 선접촉할 수 있다.
센서(220)는 롤러(2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220)가 롤러(210)의 회전을 감지하고, 회전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부(400)에 송출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풀림 현상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220)와 제어부(4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센서(2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감지수단(200)이 상기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경사면(121)에 두 개의 감지수단(200)이 상기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감지수단(200)은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각각은 롤러(210)와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각각의 롤러(210)는 상기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경사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220)는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각각의 롤러(210)의 회전을 개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220)는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각각의 롤러(21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롤러(210) 각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수단(200)이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으로 마련된 경우, 상기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코일(C)의 일측에만 편심되어 발생하는 상기 풀림 현상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한 코일(C)의 단부(C1)측을 코일(C)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C)의 단부(C1)측은 코일(C)의 최외각에 감긴 코일(C)의 일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고정수단에 의해 코일의 단부가 고정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수단(300)은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한 코일(C)의 단부(C1)측에 고정부재(2)를 관통시켜 코일(C)의 단부(C1)를 코일(C)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2)로는 피스, 나사, 볼트 또는 핀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300)은 고정부재(2)가 장전된 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은 에어를 이용하여 고정부재(2)가 코일(C)의 단부(C1)측을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고정부재(2)는 코일(C)의 외권을 2~3바퀴 정도 관통하여 상기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수단(200)이 상기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게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으로 제공되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00)은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300)은 코일(C)의 외주면에 대한 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정부재(2)의 단부 또한 상기 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법선은 코일(C)의 외주면의 일점과 코일(C)의 중심(CP)을 잇는 가상의 제2 선(L2)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선(L1)과 상기 제2 선(L2)이 만나는 점에 고정부재(2)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각각의 롤러(210) 사이에 상기 고정수단(30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공간 효율성 및 편심되어 발생하는 풀림 현상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가 코일(C)에 체결된 상태에서 코일(C)에 풀림 현상이 상기 감지수단(200)에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고정수단(300)을 제어하여 고정부재(2)를 추가적으로 코일(C)에 관통시킬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고정수단에 고정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고정수단(300)에 고정부재(2)를 공급하는 공급수단(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급수단(3)은 고정부재(2)를 계속적으로 고정수단(300)의 단부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3)은 컨베이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대(120)의 경사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의 고정수단(300)은 고정부재(2)를 회전시켜 코일(C)의 단부(C1)측을 관통시키는 전동드라이버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에 의해 코일(C)을 계속적으로 운송할 때, 상기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고정부재(2)를 지속적으로 고정수단(300)에 공급하여 코일(C)에 대한 운송작업이 지속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의 생산 효율성은 상기 건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본체(100), 감지수단(200)의 센서(220), 고정수단(300), 구동부(500) 및 알림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본체(100)에 설치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제어부(400)는 알림부(60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400)는 본체(100)의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코일(C)을 운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감지수단(200)의 센서(220)에서 송출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풀림 현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롤러(220)가 기 설정된 회동량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이를 기반으로 상기 풀림 현상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풀림 현상으로 판단될 때, 제어부(400)는 상기 고정수단(300)을 제어하여 고정부재(2)를 코일(C)의 단부(C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고정부재(2)가 코일(C)에 관통되어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풀림 현상이 감지되면, 제어부(400)는 상기 고정수단(300)을 제어하여 추가적으로 고정부재(2)를 코일(C)에 관통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구동부(500)를 제어하여, 감지수단(200)의 롤러(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210)는 코일(C)의 권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센서(220)는 롤러(21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부(400)에 송출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400)는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한 코일(C)을 감지한 롤러(210)를 상기 권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일(C)에 대한 상기 풀림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400)에 의해 롤러(210)는 코일(C)의 단부(C1)측을 상기 권선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림 현상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00)는 고정수단(300)을 제어하여 고정부재(2)를 코일(C)에 관통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코일(C)의 일측에만 편심되어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400)는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각각의 롤러(210) 중 상기 풀림 현상을 감지한 롤러(210)를 상기 권선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풀림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고정수단(300)을 제어하여 고정부재(2)를 코일(C)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상기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을 이용하여 코일(C)의 일측에만 발생하는 상기 풀림 현상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수단(200a)과 제2 감지수단(200b) 각각의 롤러(210) 중 상기 풀림 현상을 감지한 롤러(210)를 상기 권선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코일(C)과 롤러(210)의 마찰에 의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의 내구성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롤러(210)에 의해 코일(C)에 인가되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코일(C)이 상기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롤러(210)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50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알림부(60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풀림 현상 발생시 작업자에게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때, 알림부(600)는 디스플레이(610), 램프(620) 또는 스피커(63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풀림 현상 발생시 알림부(600)는 상기 풀림 현상의 발생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킨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의 감지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운반용 장치(1)는 코일(C)을 이송하는 본체(100), 코일(C)의 단부(C1)가 코일(C)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풀림 현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200), 상기 풀림 현상이 발생한 코일(C)의 단부(C1)를 코일(C)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0) 및 감지수단(200)과 고정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는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작업자에게 상기 풀림 현상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일 운반용 장치(1)의 감지수단(200)은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의 롤러(210) 및 센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21)이 두 개로 제공되는 경우 경사면(121) 각각에 감지수단(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300)은 롤러(210)와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폭방향이라 함은 평면상 상기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폭방향이라 함은 평면상 롤러(210)의 반경방향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코일 운반용 장치
100: 본체 120: 지지대
200: 감지수단
210: 롤러 220: 센서
300: 고정수단
400: 제어부
500: 구동부
600: 알림부

Claims (10)

  1. 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코일을 이송하는 본체;
    상기 코일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부가 이동하는 풀림 현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지지대에 배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 현상에 의해 상기 코일과 접촉하게 배치되는 상기 롤러의 회동시, 상기 롤러의 회전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에 고정하는 코일 운반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가 장전된 건으로 제공되며,
    상기 건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코일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에 상기 단부를 고정시키는 코일 운반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전동드라이버로 제공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전동드라이버의 단부측에 공급되는 코일 운반용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코일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게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운반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단부는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대한 법선상에 배치되는 코일 운반용 장치.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동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풀림 현상을 완화시키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완화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에 고정시키는 코일 운반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의 회동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의 권선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풀림 현상을 완화시키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풀림 현상이 완화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에 고정시키는 코일 운반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의 센서에 의해 상기 풀림 현상 감지시, 상기 풀림 현상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 운반용 장치.
KR1020180058507A 2018-05-23 2018-05-23 코일 운반용 장치 KR10202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07A KR102027903B1 (ko) 2018-05-23 2018-05-23 코일 운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07A KR102027903B1 (ko) 2018-05-23 2018-05-23 코일 운반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903B1 true KR102027903B1 (ko) 2019-10-04

Family

ID=6820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507A KR102027903B1 (ko) 2018-05-23 2018-05-23 코일 운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54Y1 (ko) * 2000-06-28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크랩코일 인출장치
US20010017068A1 (en) * 1993-02-17 2001-08-30 Habermehl G. Lyle Screwdriver with dual cam slot for collated screws
KR20040055258A (ko) * 2002-12-20 2004-06-2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 고정패드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7068A1 (en) * 1993-02-17 2001-08-30 Habermehl G. Lyle Screwdriver with dual cam slot for collated screws
KR200203654Y1 (ko) * 2000-06-28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크랩코일 인출장치
KR20040055258A (ko) * 2002-12-20 2004-06-2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 고정패드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17079A (ja) ターンテーブル
CN104326237B (zh) 带式矿物运输机
CN106164642A (zh) 轮胎保持装置、轮胎试验系统
JP5975232B2 (ja) 鋼管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KR102027903B1 (ko) 코일 운반용 장치
KR101036318B1 (ko)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US9896316B2 (en) End effector for a transport device for the movement of parent roll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KR101522165B1 (ko)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20210019347A (ko) 소재 이송장치
JP2000343121A (ja) コイル移載装置
KR20200011705A (ko) 선재코일 이송설비
JP5581862B2 (ja) スラブ搬送装置
JP3711727B2 (ja) コイル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040056322A (ko) 선재 코일 이송용 가이드 장치
KR102181746B1 (ko) 다운엔더 장치
KR102448746B1 (ko) 선재코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218460476U (zh) 一种卷材内径撑径装置
KR101366176B1 (ko) 강판코일 권취 불량 감지장치
CN113631289B (zh) 用于避免在金属卷材中的形状变化、尤其用于避免新卷绕的热卷材的坍塌的方法
KR100792742B1 (ko) 코일 드럼 공급장치
KR20100011678A (ko) 불량제품 이송용 롤러테이블의 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7302382A (ja) コイルリフター
JP2000254722A (ja) ビレット編成方法及び装置
JPH07328961A (ja) 金属帯コイルの移載機、搬送装置および圧延設備
KR20230056388A (ko) 슬리브 공급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