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95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95B1
KR102026695B1 KR1020120135537A KR20120135537A KR102026695B1 KR 102026695 B1 KR102026695 B1 KR 102026695B1 KR 1020120135537 A KR1020120135537 A KR 1020120135537A KR 20120135537 A KR20120135537 A KR 20120135537A KR 102026695 B1 KR102026695 B1 KR 102026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output unit
circuit board
mobile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811A (ko
Inventor
전민수
유이현
김홍기
전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95B1/ko
Priority to US13/958,329 priority patent/US8891806B2/en
Priority to EP13004239.3A priority patent/EP2736227B1/en
Priority to CN201310389307.0A priority patent/CN103841232B/zh
Publication of KR2014006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 유닛 및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 유닛 및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단과, 일단이 상기 고정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되어 탄성변위되는 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립편의성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들의 일례로서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에 회로기판과 각종 음향출력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위해서는 음향출력 유닛의 상단 또는 하단에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음향출력 유닛에 연결된 와이어를 솔더를 통해서 회로기판에 본딩하였다. 먼저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식은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두껍게 만다는 단점이 있고, 와이어 본딩 방식은 솔더링을 위한 시간이 과다하게 발생하여서 작업효율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이동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고, 음향출력 유닛과 회로기판의 접촉성을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 유닛 및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 유닛 및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단과, 일단이 상기 고정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되어 탄성변위되는 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출력 유닛과 회로기판이 측면으로 컨택되어서,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솔더링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고,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솔더링을 하지 않고, 탄성력에 의해 접촉되므로, 접촉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적어지게 된다.
외부의 충격에도 회로기판과 음향출력 유닛이 탄성력에 의해 접촉되고, 연결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어서, 회로기판과 음향출력 유닛 사이의 접촉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향출력 유닛을 보호하는 브라켓을 사용하여서, 외부의 충격에서 음향출력 유닛을 보호하는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향출력 유닛을 보호하면서도, 음향출력 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울림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서, 음향출력 유닛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웅장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서 점선 부분의 내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3의 결합 전 일부 단면도다.
도 7은 도 3의 결합 후 일부 단면도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와 리어 케이스(100b)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와 리어 케이스(100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와 리어 케이스(100b)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0a)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 1 카메라(121a) 및 제 1 내지 제 3 사용자 입력부(130a~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b)의 측면에서는 제 1 인터페이스부(170a), 제 4 내지 제 6사용자 입력부(130d~130f)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미도시)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사용자 입력부(130a~130f)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되거나, 키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내지 제 3 사용자 입력부(130a~130c)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 3 내지 제 6 사용자 입력부(130d~130f)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거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170a)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부(170a)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170a)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b)의 측면에서는 복합키 모듈(130g)이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b)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121b) 및 전원 공급부 커버(191)가 장착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121b)는 제 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 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 커버(191)는 리어 케이스(100b)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전원 공급부 커버(191) 내에는 전원 공급부(190),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된다.
리어 케이스(100b)에는 제 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음향출력 모듈은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 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은 도 1에서 점선 부분의 내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는 도 3의 결합 전 일부 단면도, 도 7은 도 3의 결합 후 일부 단면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회로기판(210)을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 유닛(220) 및 음향출력 유닛(220)에 결합되어 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하고, 연결부(230)는, 회로기판(210)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된다.
회로기판(210)은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본체를 형성한다.
회로기판(210)은,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100a) 또는 리어 케이스(100b) 등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내부 구조물에 장착되건, 중간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21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미도시)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회로기판(210)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회로기판(210)에는 각종 음향출력 유닛(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회로기판(210)은 도 3에서와 같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2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 공급부(190) 또는 음향출력 유닛(22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210)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전자기파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와 회로기판(210)의 사이에 배치 되어 주로 리어 케이스(100b)를 관통하여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회로기판(210)은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현되며, 메인 회로기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정면이 노출되도록 윈도우가 형성되는 프론트 케이스(100a)와, 디스플레이부(151) 및 회로기판(210)의 배면을 덮는 리어 케이스(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내에는 각종 전자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음향출력 유닛(220)가 위치한다.
음향출력 유닛(2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음향출력 유닛(220)는 마이크, 리시버, 진동모터 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음향출력 유닛(220)는 케이스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신뢰성 향상을 위해 브라켓(240)에 안착되어 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240)은 음향출력 유닛(220)가 안착되도록 음향출력 유닛(2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음향출력 유닛(220)를 케이스에 장착시킨다. 즉, 음향출력 유닛(220)가 대략적인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브라켓(240)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240)은 케이스와 동종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와 이종재질로 형성되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킨다. 즉, 브라켓(240)은 케이스 보다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케이스와 일 영역만이 접촉되어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브라켓(240)은 음향출력 유닛(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240)은 적어도 음향출력 유닛(220)가 안착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41)와 바닥부(241)에서 돌출되어 음향출력 유닛(220)의 측면을 감싸는 벽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벽부(242) 중 연결부(230)가 결합되는 음향출력 유닛(220)의 일측면을 감싸는 벽부(242)는 연결부(230)가 변위되도록 일부가 오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241)는 케이스와 면 접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어 케이스(100b)와 면접촉하여서, 음향출력 유닛(220)을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음향출력 유닛(22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40)은 음향출력 유닛(220)의 상면을 덮는 덮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면은 오픈되고, 음향출력 유닛(22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100a)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 다른 예로서, 음향출력 유닛(220)는 마이크, 리시버 또는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브라켓(240)의 일면에는 외부로 음향의 전달되는 관통홀(24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케이스에도 브라켓(240)에 형성된 관통홀(243)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바닥부(241)에 관통홀(243)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관통홀(243)은 리어 케이스(100b)와 바닥부(241)가 안정성을 위해서 면접촉하더라도 음향출력 유닛(220)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울림되는 공간을 제공하여서, 웅장한 소리를 연출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0a)는 음향출력 유닛(220)에서 발생된 소리를 통과시키는 홀(100c)을 포함할 수 있다. 홀(100c)의 위치는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음향출력 유닛(220)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음향출력 유닛(220)은 케이스에서 이격되어 소리가 울림되는 울림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론트 케이스(100a)의 측면 및/또는 상면과 이격되어 울림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향출력 유닛(220)은 리어 케이스(100b)와 이격되어 울림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 유닛(220)에는 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230)가 결합된다.
연결부(230)는 음향출력 유닛(220)에 결합되어 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연결부(230)는 회로기판(210)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230)의 탄성 본원력에 의해 회로기판(21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음향출력 유닛(220)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연결부(230)는 음향출력 유닛(220)의 두께 보다 작은 변위를 가지도록 음향출력 유닛(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230)는 음향출력 유닛(22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부(230)는 음향출력 유닛(220)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30)의 일 예로서, 연결부(230)는 판 스프링, C 클립 등이 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음향출력 유닛(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30)는 음향출력 유닛(220)와 인서트(Insert) 또는 이중 사출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음향출력 유닛(220)의 사출 금형에 연결부(230)를 인서트하여 성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도전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230)는 기 설정된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 또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230)는 음향출력 유닛(220)의 전극(210b)단자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연결부(230)는 제1연결부(230a)와 제2연결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230a)와 제2연결부(230b)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240) 내에 음향출력 유닛(220)가 안착되고, 음향출력 유닛(220)의 일측에 인접하여 회로기판(210)이 위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210)과 음향출력 유닛(22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30)와 회로기판(210)의 측면의 접촉을 위해서 음향출력 유닛(220)와 회로기판(210)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선상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에서의 완전한 동일 선상의 의미는 아니고, 오차를 포함하는 공학적 의미에서의 동일 선상을 의미한다.
프론트 케이스(100a)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는 투명재질의 윈도우(100d)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다양하게 음향출력 유닛(2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230)는 고정단(231)과, 자유단(23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231)은 일단이 음향출력 유닛(220)에 삽입결합된다. 그 결합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자유단(232)은 고정단(231)과 연결되고 회로기판(210)과 접촉되어 탄성변위된다. 자유단(232)은 그 변위의 방향에는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음향출력 유닛(220) 쪽으로 변위되는 것이 공간의 활용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회로기판(210)의 일측면과, 음향출력 유닛(220)의 측면을 근접시키면, 자유단(232)이 음향출력 유닛(220)의 방향으로 탄성변위될 수 있다.
고정단(231) 및 자유단(232)은 회로기판(210)의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로기판(2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시의 회로기판(210)의 손상을 방지하고, 접지면적을 확장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유단(232)의 끝단은 음향출력 유닛(220) 방향으로 절곡되고, 자유단(232)의 절곡된 부분(233)은 회로기판(210)의 하부영역(S1) 또는 상부영역과 접촉될 수 있다.
회로기판(210)은 절연재질의 절연부(210a)와 전원을 공급하는 도전성 재질의 전극(210b)이 전자부품의 다양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 위로 두 개의 전극(210b)이 배치되고, 두 개의 전극(210b) 사이에는 절연부(210a)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1연결부(230a)와 제2연결부(230b)에는 다른 극성의 전기가 공급되게 전극(210b)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210)의 하부영역(S1)은 회로기판(210)의 측면의 하부에 전극(210b)이 노출된 영역을 의미한다.
도 6은 회로기판(210)과 연결부(230)가 접촉되기 전에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회로기판(210)과 연결부(230)가 접촉되기 전에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회로기판(210)이 음향출력 유닛(220)의 방향으로 근접하면서, 자유단(232)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자유단(232)과 회로기판(210)의 측면을 접지시키게 된다.
종래에 회로기판(210)과 각종 음향출력 유닛(2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위해서는 음향출력 유닛(2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음향출력 유닛(220)에 연결된 와이어를 솔더를 통해서 회로기판(210)에 본딩하였다. 먼저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식은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두껍게 만다는 단점이 있고, 와이어 본딩 방식은 솔더링을 위한 시간이 과다하게 발생하여서 작업효율을 저하하며, 본딩된 와이어가 외부의 충격으로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출력 유닛(220)와 회로기판(210)이 측면으로 컨택되어서,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솔더링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고,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솔더링을 하지 않고, 탄성력에 의해 접촉되므로, 접촉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솔더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6의 실시예와 전극(210b)이 형성위치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위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극(210b)은 자유단(232)이 접촉하는 회로기판(210)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자유단(232)의 탄성에 의해 변형되어 회로기판(210)의 측면에 접촉하는 경우, 전극(210b)과 자유단(232)의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절연부(210a)의 상부 또는/및 하부에 형성된 전극(210b)이 회로기판(210)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까지 연장될 수 잇다.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자유단(232)이 접촉하게 되는 회로기판(210)의 하부영역(S1)의 측면으로 전극(210b)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4의 실시예와 회로기판(210)에 안착홈(211)이 형성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도 4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위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회로기판(210)은 테두리에 자유단(232)이 안착되는 안착홈(211)이 형성되고, 자유단(232)은 안착홈(211)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회로기판(210)에 접촉된 자유단(23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유단(232)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안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210)과 음향출력 유닛(220)의 길이 방향의 유동은 자유단(232)의 탄성력으로 방지하고, 폭 방향 유동은 안착홈(211)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 유닛; 및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단과,
    일단이 상기 고정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되어 탄성변위되는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단의 끝단은 상기 음향출력 유닛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자유단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영역과 접촉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에는 상기 자유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자유단이 접촉하는 상기 회로기판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음향출력 유닛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음향출력 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음향출력 유닛과 인서트(Insert) 또는 이중 사출방식으로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음향출력 유닛에서 발생된 소리를 통과시키는 홀을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함께 상기 본체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 유닛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홀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는 이동 단말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음향출력 유닛은 서로 이격에 의해 울림공간이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유닛이 안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향출력 유닛을 케이스에 장착시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와 이종재질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케이스보다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 유닛이 안착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 유닛의 측면을 감싸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와 면접촉되는 이동 단말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 중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음향출력 유닛의 일측면을 감싸는 벽부는 상기 연결부가 변위되도록 일부가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테두리에 자유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이동 단말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유닛은,
    마이크, 리시버 및 스피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삭제
KR1020120135537A 2012-11-27 2012-11-27 이동 단말기 KR102026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537A KR102026695B1 (ko) 2012-11-27 2012-11-27 이동 단말기
US13/958,329 US8891806B2 (en) 2012-11-27 2013-08-02 Mobile terminal
EP13004239.3A EP2736227B1 (en) 2012-11-27 2013-08-28 Mobile terminal
CN201310389307.0A CN103841232B (zh) 2012-11-27 2013-08-30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537A KR102026695B1 (ko) 2012-11-27 2012-11-2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811A KR20140067811A (ko) 2014-06-05
KR102026695B1 true KR102026695B1 (ko) 2019-09-30

Family

ID=4908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537A KR102026695B1 (ko) 2012-11-27 2012-11-2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91806B2 (ko)
EP (1) EP2736227B1 (ko)
KR (1) KR102026695B1 (ko)
CN (1) CN103841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461B1 (ko) 2009-03-20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향 기기의 소리 입·출력 홀 구조
US9591110B2 (en) 2014-09-08 2017-03-07 Apple Inc. Housing features of an electronic device
CN104296764A (zh) * 2014-10-23 2015-01-21 重庆金宏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结构更加紧凑的车载导航仪
CN104811835B (zh) * 2015-05-12 2018-11-09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模组
KR102384503B1 (ko) * 2015-08-11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전자 장치
KR101977270B1 (ko) * 2016-02-24 2019-05-10 주식회사 아모텍 가이드 결합형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887369B1 (ko) 2016-02-26 2018-09-06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N106646093A (zh) * 2016-12-28 2017-05-10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数字化计算机控制系统数字量输入输出测试设备
KR102606454B1 (ko) 2019-01-04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모듈의 실장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366077B (zh) * 2019-07-19 2021-0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内发声结构及显示面板
CN110996228B (zh) * 2019-11-25 2021-10-08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产品的振动激励器及电子产品
USD975794S1 (en) * 2021-02-07 2023-01-17 Zhaoyu Wang Toy phone
WO2023153645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완충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9061B2 (en) * 2003-07-18 2006-06-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peaker assemblies and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same
JP4383953B2 (ja) 2004-04-28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674849B1 (ko) 2005-04-26 2007-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엑츄에이터 모듈
KR100673849B1 (ko) * 2006-01-18 2007-01-24 주식회사 비에스이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 단말기
US7458826B1 (en) 2007-08-13 2008-12-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pressio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CN101472203A (zh) 2007-12-27 2009-07-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US8055003B2 (en) * 2008-04-01 2011-11-08 Apple Inc. Acoustic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US7869206B2 (en) * 2008-09-05 2011-01-11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JP2012004983A (ja) * 2010-06-18 2012-01-05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01709532B1 (ko) * 2010-11-11 2017-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2495588U (zh) * 2012-03-30 2012-10-17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音频模块的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1232A (zh) 2014-06-04
US20140146992A1 (en) 2014-05-29
CN103841232B (zh) 2016-08-10
KR20140067811A (ko) 2014-06-05
EP2736227A1 (en) 2014-05-28
US8891806B2 (en) 2014-11-18
EP2736227B1 (en)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695B1 (ko) 이동 단말기
JP2019050602A (ja) 移動端末機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US9461384B2 (en) Connec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40270303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40038243A (ko) 이동 단말기
CN110830622A (zh) 同轴线固定结构及电子设备
CN110797811B (zh) 同轴线固定结构及电子设备
US20190259551A1 (en) Mobile terminal
KR20150014293A (ko) 이동 단말기
KR101973645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2235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62026A (ko) 이동 단말기
KR20130128155A (ko) 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49648B1 (ko) 이동 단말기
KR10184124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50341B1 (ko)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CN207369096U (zh) 移动终端及其耳机座安装结构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59818A (ko) 이동 단말기
KR101564261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75088A (ko) 이동 단말기
KR101789539B1 (ko) 이동 단말기
KR1012570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142583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