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092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7092B1 KR101257092B1 KR1020110078804A KR20110078804A KR101257092B1 KR 101257092 B1 KR101257092 B1 KR 101257092B1 KR 1020110078804 A KR1020110078804 A KR 1020110078804A KR 20110078804 A KR20110078804 A KR 20110078804A KR 101257092 B1 KR101257092 B1 KR 101257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terminal body
- terminal
- mobile terminal
- seal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덮어 상기 단말기 바디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에 접하며,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측에 접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실링부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변형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멤버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제조 및 조립 공정을 요구하지 않고, 조립과 동시에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간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전기적 소자들이 배치되는 단말기의 내부공간은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되지 않아야 하므로, 이를 위한 케이스의 밀폐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기의 밀폐 또는 방수 구조에 있어서,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덮어 상기 단말기 바디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에 접하며,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측에 접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실링부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변형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의 탄성 계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실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된 그루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그루브부는, 리세스된 주면과 상기 주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양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멤버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그루브부 중 적어도 상기 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일측면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주면과 상기 만곡된 일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멤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의 실링을 위한 별도의 제조 및 조립 공정을 요구하지 않고, 케이스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조립과 동시에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밀폐시켜 단말기를 방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간의 틈으로 유입되는 유입물의 가압 방향을 전환시켜, 유입물이 케이스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므로, 일정 이상의 외부 압력에도 충분한 방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그루브부 및 실링부의 개념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그루브부 및 실링부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사상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하우징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 일 예로 배터리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103)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제1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170)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제2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와 거울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는 음향 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배터리 하우징(190)에 의해 내장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제2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제1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5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5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케이스(10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3)이 장착되고, 회로 기판(160)은 디스플레이 모듈(153)을 덮도록 배치된다.
회로 기판(160)의 일면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되며, 상기 일면에는 전자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쉴드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재는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를 확장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회로 기판(160)은 안테나 장치(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 장치(18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또는 무선 전자기파)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복수의 송수신 회로들이 회로 기판(160)에 형성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의 일 예로서 배터리(191)가 배치되며, 배터리(191)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안착부재에 수용된다. 안착부재는 회로 기판(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를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안착부재, 쉴드부재 및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 레이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180)는 그 일부가 단말기 본체의 케이스(즉, 중간 케이스)나 배터리 하우징(즉, 제2 케이스) 또는 캐리어(181)에 열융착 또는 압착(적절한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캐리어(181)에 방사체가 될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장착시킨 것을 말한다)되거나, 프린팅 또는 필름타입으로 형성되어 어느 일면에 부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1, 이하 제1 하우징이라 한다)와 중간 케이스(103, 이하 제2 하우징이라 한다)에는 단말기 바디의 측단을 따라 측단에 근접하게 실링부들(210, 220, 230)이 형성된다. 즉, 케이스들간의 결합시 케이스 간의 틈을 덮어, 단말기 바디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들(210, 220, 230)은 단말기 바디 측단을 따라 형성된다.
제2 하우징(103)은 제2 케이스(102)에 의해 덮이도록 형성된다.
제2 케이스(102)는 제1 하우징(101)나 제2 하우징(103)에 형성된 홈에 후크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사용상의 부주의로 물이나 습기 등이 제2 하우징(103)과 제2 케이스(102) 사이의 틈으로 침투할 수 있다. 단말기 바디 내에 실장되는 각종 전기 소자들은 습기가 노출되거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링부들(210, 220, 230)은 단말기 방수 구조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실링부들(210, 220, 230)은 제2 케이스(102)를 마주보는 제2 하우징(103)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실링부(210)와 제1 하우징(101)를 마주보는 제2 하우징(103)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실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제2 실링부(220)와 관련된다.
이하, 제2 실링부(220, 이하 실링부(220)라 한다)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2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220)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실링부(220)는 제1 멤버(221)와 제2 멤버(222)를 포함한다. 제1 멤버(221)와 제2 멤버(222)를 포함하는 실링부(220)는 이중 사출에 의하여 제1 하우징(101)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멤버(221)는 단말기 바디의 외측에 접하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제2 하우징(103)을 향하는 제1 방향(w1)으로 연장된다. 제2 멤버(222)는 단말기 바디의 내측에 접하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w2)으로 연장된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예각 범위 내에서 서로 교차한다.
실링부(220)는 제1 하우징(101)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실링부(220)의 두께는 점차 가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가늘어지는 이유는 실링부(220)의 휘어짐을 단말기 바디의 외측으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휘어짐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멤버(221) 또는 제2 멤버(222)의 탄성 계수나 강성을 다르게 하여 유도할 수도 있다.
이 때, 결합된 일단은 고정단이 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휘어지게 되고, 제2 멤버(222)는 상기 제2 하우징(103)에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220)는 그루브부(2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러버(Rubber)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멤버(221)와 제2 멤버(222)가 서로 다른 탄성 계수 또는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탄성 계수 또는 강성을 가짐으로써,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3) 결합시, 제1 멤버(221)가 제2 멤버(222)에 비해 보다 잘 휘어지게 된다. 즉, 실링부(220)는 단말기 바디의 내측이 아닌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3)은 결합되더라도,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3) 사이에는 미세한 틈(갭)이 존재한다. 이러한 갭(10)으로 외부의 유입물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물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 내에 실장되는 각종 전기 소자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갭을 덮어 단말기 바디를 밀폐시켜야 한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링부(22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3)의 결합 전에는 제2 하우징(103)을 향하도록 서 있다. 하지만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 후에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3)의 사이의 틈을 따라 단말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도록 휘어진다. 이렇게 휘어지면서, 제2 하우징(103)에 제2 멤버(222)가 밀착되어 단말기 바디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은 이물질 특히,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방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2 멤버(222)가 제2 하우징(103)에 밀착되는 제2 멤버(222)의 일면에는 방수층(2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층(223)에 의해 단말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방수층(22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제2 멤버(222)의 공극을 충진하거나, 불용성 물질을 제2 멤버(222)의 일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밀랍이나 파라핀을 제2 하우징(103)에 접촉하는 제2 멤버(222)의 일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방수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2 멤버(22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규소수지를 이용한 제2 멤버(222)의 가공이나 고무를 제2 멤버(222)의 일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그루브부(250) 및 실링부(220)의 개념도이다.
제1 하우징(101)과 마주보는 제2 하우징(103)에는 실링부(220)에 상응하여 그루브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부(250)는 제2 하우징(103)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리세스된 홈이다. 그루브부(250)는 바닥면에 해당하는 리세스된 주면(251)과 주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양 측면(252, 25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1, 103)이 결합되는 경우, 제2 멤버(222)의 일부분이 그루브부(250)의 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루브부(250)의 일 측면(252)은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멤버(222)가 만곡된 형상을 따라 미끄러져 그루브부(250)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2 멤버(222)는 주면과 만곡된 일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외측으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유입되는 유입물은 제1 멤버(221)를 지지하면서, 제2 하우징(103)을 향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실링부(220)와 제2 하우징(103)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즉, 제1 하우징(101)와 제2 하우징(103) 사이의 갭(10)을 통해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이 제1 멤버(221)에서 제2 하우징(103)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실링부(220)의 밀폐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링부(220)는 그루브부(250)의 주면과 타 측면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를 갖으면, 외부의 압력의 대부분은 제2 멤버(222)가 제2 하우징(103)에 밀착되는 제2 멤버(222)의 반대면(제1 멤버(221))에 가해진다. 즉, 제1 멤버(221)와 제1 하우징(101) 사이의 틈으로 가해지는 압력보다, 제1 멤버(221)에서 제2 하우징(103)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링부(220)와 그루브부(250)가 각각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3)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제2 하우징(103)과 제1 하우징(101)에 실링부(220)와 그루브부(250)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덮어 상기 단말기 바디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에 접하며,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측에 접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실링부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변형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실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된 그루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유입물이 상기 갭으로 유입되면, 그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실링부가 상기 그루브부에 더욱 밀착되도록, 상기 그루브부가 리세스되는 방향은 상기 유입물의 유입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의 탄성 계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부는,
리세스된 주면과 상기 주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양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멤버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그루브부 중 적어도 상기 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부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주면과 상기 만곡된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멤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8804A KR101257092B1 (ko) | 2011-08-08 | 2011-08-08 | 이동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8804A KR101257092B1 (ko) | 2011-08-08 | 2011-08-08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6706A KR20130016706A (ko) | 2013-02-18 |
KR101257092B1 true KR101257092B1 (ko) | 2013-04-19 |
Family
ID=4789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8804A KR101257092B1 (ko) | 2011-08-08 | 2011-08-08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709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55339A (ja) * | 2008-08-28 | 2010-03-11 | Kyocera Corp | 携帯電子機器 |
KR20100093476A (ko) * | 2009-02-16 | 2010-08-25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케이스의 방수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
JP2010276169A (ja) * | 2009-05-29 | 2010-12-09 | Fujitsu Ltd | 電子機器、筐体及びガスケット |
US7926818B2 (en) | 2005-02-08 | 2011-04-19 | Nok Corporation | Gasket and structure for sealing between two members |
-
2011
- 2011-08-08 KR KR1020110078804A patent/KR1012570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26818B2 (en) | 2005-02-08 | 2011-04-19 | Nok Corporation | Gasket and structure for sealing between two members |
JP2010055339A (ja) * | 2008-08-28 | 2010-03-11 | Kyocera Corp | 携帯電子機器 |
KR20100093476A (ko) * | 2009-02-16 | 2010-08-25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케이스의 방수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
JP2010276169A (ja) * | 2009-05-29 | 2010-12-09 | Fujitsu Ltd | 電子機器、筐体及びガスケ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6706A (ko) | 2013-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1402B1 (ko) |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 |
CN108881539B (zh) |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 |
KR101969801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44739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20108827A (ko) |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4006781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78211B1 (ko) | 이동단말기 | |
KR20130063313A (ko)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
KR10127154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2293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5902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257092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49090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4000978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7145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04915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6598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6989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97364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50341B1 (ko) |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090068973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279517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0902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59818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20060684A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