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78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781A
KR20140009781A KR1020120076501A KR20120076501A KR20140009781A KR 20140009781 A KR20140009781 A KR 20140009781A KR 1020120076501 A KR1020120076501 A KR 1020120076501A KR 20120076501 A KR20120076501 A KR 20120076501A KR 20140009781 A KR20140009781 A KR 20140009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mobile terminal
key button
contac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9781A/ko
Publication of KR2014000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버튼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된 가이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바디 외부의 습기로부터 상기 바디 내부를 실링(sealing)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외부의 습기로부터 바디 내부를 실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외부의 습기로부터 바디 내부를 실링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나아가, 습도가 높은 환경 내지는 수중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외부의 습기로부터 바디 내부를 실링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버튼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된 가이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바디 외부의 습기로부터 상기 바디 내부를 실링(sealing)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경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일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하고, 상기 경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타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접촉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일측에 대향된 타측 접촉하는 제2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2 지지부 간의 제1 거리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 간의 제2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키버튼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돔스위치(dome swit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가이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외부의 습기로부터 바디 내부를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I-I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 키버튼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 키버튼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 키버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디(101, 102)와, 바디(101, 102)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키버튼(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1, 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101, 102)는 전면바디(101)와 후면바디(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바디(101)와 후면바디(102)가 결합되어 하나의 케이싱(casing)을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디(101, 102)에는 다양한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01, 102)의 전면(前面) 측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51)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는 터치센서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51)는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인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바디의 일 측에는 터치패드(131)가 위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131)는, 디스플레이(151)와 달리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은 아닐 수 있다. 다만, 터치패드(131)는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한 기능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131)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통화 기능이 실행되며, 다른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통화 종료 기능이 실행되고, 다른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되돌아가기 기능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키버튼(200)은, 바디(10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동작하는 버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버튼(200)을 푸쉬하면 키버튼(200)이 후방으로 후퇴하고, 푸쉬가 해제되면 키버튼(200)이 최초 위치로 복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키버튼(200)은 바디(100)의 복수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200)은 제1 키버튼(210)과 제2 키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키버튼(210, 220)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된 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버튼(210)은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에 대응되고, 제2 키버튼(220)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능에 대응된 버튼일 수 있다.
제1,2 키버튼(210, 220)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키버튼 커버(132, 134)와 키버튼 커버(132, 134)에 결합되는 압력전달부재(232, 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I-I 방향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키버튼(200)은, 바디(101)에서 연장된 가이드부(250)와, 가이드부(250)의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하여 바디(101) 내부를 실링(sealing)하는 탄성부재(240)를 포함하여, 방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250)는 바디(10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01)와 함께 사출(射出)성형되는 등의 공정을 통하여 바디(101)에서 연장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부(250)는, 제1,2 가이드부(251, 252)가 서로 대향된 형태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부(25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24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제1,2 가이드부(251, 252)의 사이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무 등으로 구성된 탄성부재(240)는, 제1,2 가이드부(251, 252)와 복수의 지점에서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가이드부(251, 252)의 경사부(254)의 일 지점에서는 접촉하고, 다른 지점에서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가이드부(251, 252)의 일 지점과 타 지점에서 선택적으로 접촉 및 비접촉함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기가 제1 접촉면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제1 버퍼공간에 수용되고 제2 접촉면을 통과하더라도 제2 버퍼공간에 수용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습기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탄성부재(240)의 일 측에는 돔스위치(260)가 결합될 수 있다.
돔스위치(260)는, 탄성부재(240)를 중심으로 키버튼커버(132)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버튼커버(132)를 푸쉬하면, 탄성부재(240)는 압력에 비례하여 변형되며 탄성부재(240)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가 가압되면, 돔스위치(260)가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지지부(270)에 접촉된다. 지지부(270)에 접촉되면, 돔스위치(260)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키버튼(200)이 푸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4 키버튼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키버튼(200)은, 가이드부(250)에 탄성부재(240)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부(250)의 상단과 하단의 길이는 D2일 수 있다. 가이드부(25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240)의 제1,2 지지부 사이의 길이는 D1일 수 있다. D1은 D2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40)가 가이드부(250)에 억지끼움되는 정도의 크기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가이드부(251, 252)의 경사면(254) 사이의 거리는 W2일 수 있다. 제1,2 가이드부(251, 252)의 경사면(254)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240)의 돌출점(244) 사이의 거리는 W1일 수 있다. W1은 W2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400가 가이드부(250)에 결합되면, 탄성부재(240)의 돌출점(244)이 경사면(254)에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부(250) 각 요소의 크기에 비하여 탄성부재(240)가 다소 작게 구성되어 가이드부(250)에 탄성부재(240)가 억지끼움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습기가 가이드부(250)와 탄성부재(240)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 키버튼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키버튼(200)은, 제1 가이드부(251)와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하는 탄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제1,2,3 지점(P1, P2, P3)에서 제1 가이드부(251)와 접촉할 수 있다.
제1,3 지점(P1, P3)에서의 접촉은, 가이드부(251)의 상측 및 하측과의 접촉일 수 있다. 제1,3 지점(P1, P3)에서 접촉하며, 탄성부재(240)는 가이드부(2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3 지점(P1, P3)에서 탄성부재(240)가 가이드부(251)에 접촉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가 실링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지점(P2)에서의 접촉은, 탄성부재(240)의 돌출점(244)과 가이드부(251)의 경사면(254)의 접촉일 수 있다.
제1,2,3 지점(P1, P2, P3) 사이에는, 제1,2 버퍼공간(S1, S2)가 존재할 수 있다. 제1,2 버퍼공간(S1, S2)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외부습기(WT)가 보다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P1)을 외부습기(WT)가 통과하는 경우에도 제1 버퍼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수분이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까지 침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외부습기(WT)는 제2 지점(P2)에 의하여 2차로 차단될 수 있으며, 제2 지점(P2)을 통과하더라도 제2 버퍼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점(P3)에 의하여 외부습기(WT)는 다시 한번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습기(WT)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 4 키버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키버튼(200)은, 습기를 차단하면서도 사용자의 푸쉬 입력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버튼(200)이 릴리스 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재(240)는 가이드부(250) 복수의 지점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키버튼(200)이 푸쉬되지 않고 릴리스 되어 있는 상태에서, 돔스위치(260)는 가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키버튼(200)을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 커버(132)를 F의 힘으로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키버튼 커버(132)가 가압되면, 키버튼 커버(132)가 푸쉬될 수 있다. 키버튼 커버(132)가 푸쉬되면, 탄성부재(240)의 형상이 변형되며 후퇴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의 형상이 변형되며 후퇴되어도, 가이드부(250)와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되는 탄성부재(240) 간의 접촉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200 : 키버튼

Claims (5)

  1.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버튼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된 가이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바디 외부의 습기로부터 상기 바디 내부를 실링(sealing)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경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일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하고, 상기 경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타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접촉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일측에 대향된 타측 접촉하는 제2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지부 간의 제1 거리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 간의 제2 거리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돔스위치(dome switc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76501A 2012-07-13 2012-07-13 이동 단말기 KR20140009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501A KR20140009781A (ko) 2012-07-13 2012-07-13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501A KR20140009781A (ko) 2012-07-13 2012-07-13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81A true KR20140009781A (ko) 2014-01-23

Family

ID=5014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501A KR20140009781A (ko) 2012-07-13 2012-07-1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97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5430A (zh) * 2017-03-06 2017-07-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按键模组及应用该按键模组的电子装置
WO2018038288A1 (ko) * 2016-08-25 2018-03-01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WO2018043844A1 (ko) * 2016-08-30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288A1 (ko) * 2016-08-25 2018-03-01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WO2018043844A1 (ko) * 2016-08-30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686920B2 (en) 2016-08-30 2020-06-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6935430A (zh) * 2017-03-06 2017-07-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按键模组及应用该按键模组的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402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63313A (ko)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1015921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13619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09781A (ko) 이동 단말기
KR102019120B1 (ko) 버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271540B1 (ko) 이동 단말기
KR10215063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6464B1 (ko)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KR1019197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517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커버
KR101984578B1 (ko) 이동단말기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0533U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스마트폰케이스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13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049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0708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4909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67671A (ko) 이동 단말기
KR101257092B1 (ko) 이동 단말기
KR10202924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114A (ko) 조명 기능을 갖는 충전 연결 장치
KR20140045818A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5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