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432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432B1
KR102026432B1 KR1020170137056A KR20170137056A KR102026432B1 KR 102026432 B1 KR102026432 B1 KR 102026432B1 KR 1020170137056 A KR1020170137056 A KR 1020170137056A KR 20170137056 A KR20170137056 A KR 20170137056A KR 102026432 B1 KR102026432 B1 KR 10202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information
beac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757A (ko
Inventor
강대성
손용국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4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에 장착되며 블루투스를 이용해 버스코드를 전송하는 버스 비콘, 정류장에 장착되며 블루투스를 이용해 정류장 코드를 전송하는 정류장 비콘,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버스 비콘에서 전송한 버스코드 및 상기 정류장 비콘에서 전송한 정류장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및 버스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버스 정보, 정류장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받은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탑승하려는 버스가 블루투스 범위 내에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상기 버스 비콘에 전송하고,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상기 버스 비콘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의 기사에게 표시등, 진동,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Bus Arrival Information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한 등록 장애인 현황에 따르면, 2015년 12월 기준 등록된 시각장애인은 252,874명으로 대한민국 국민 약 200명 중 1명은 시각장애인이다. 2014년 열린 교통 약자의 버스승하차 개선을 위한 국가표준 공청회에서 시각장애인이 버스 승차 시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각장애 특성상 불규칙한 버스 정차 위치, 도착한 버스의 번호와 목적지를 알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버스정류장에 해당 정류장을 운행하는 버스들에 대한 도착 정보 및 도착 예정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안내판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음성안내가 잘못 나오거나, 음성안내가 아예 나오지 않거나, 또는 해당 버스가 어디에 정차하는지 모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버스가 동시에 도착하는 경우 버스를 구분하기도 어렵고 버스 기사에게 번호를 물어보는 사이 다른 버스가 떠나, 타려던 버스를 놓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 제10-2014-01336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 제10-10903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 제10-09182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 제10-16089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이 탑승하려는 버스의 버스 기사에게 장애인 정보를 전송하여 정차시간을 늘리고 정확한 위치에 정차하도록 유도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은 버스에 장착되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버스코드를 전송하는 버스 비콘; 정류장에 장착되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정류장 코드를 전송하는 정류장 비콘;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버스 비콘에서 전송한 버스코드 및 상기 정류장 비콘에서 전송한 정류장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및 버스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버스 정보, 정류장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받은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탑승하려는 버스가 블루투스 범위 내에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상기 버스 비콘에 전송하고,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상기 버스 비콘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의 기사에게 표시등, 진동,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해 알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기 버스 단말기 및 상기 정류장 단말기는 블루투스 4.0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 목적지, 가고자 하는 정류장 및 탑승할 버스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스피커, 진동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 및 상기 버스 비콘에서 전송한 버스코드, 상기 정류장 비콘에서 전송한 정류장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버스 도착 여부, 버스 번호, 정류장 도착 여부, 및 정류장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출력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애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버튼, 터치스크린, 마이크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버스 비콘에 할당된 버스코드 및 상기 정류장 비콘에 할당된 정류장 코드에 대응하는 버스 번호, 버스 노선, 정류장 이름,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버스 코드 또는 정류장 코드를 수신하고 버스 번호, 버스 노선, 정류장 이름,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인이 탑승하려는 버스의 버스 기사에게 장애인 정보를 전송하여 정차시간을 늘리고 정확한 위치에 정차하도록 유도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정보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정보 알림 시스템과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정보 알림시스템에서 버스 비콘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정보 알림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정보 알림 시스템과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은, 버스 비콘(10), 정류장 비콘(20), 휴대용 단말기(30), 서버(40)를 포함한다.
버스 비콘(10)은 버스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의 전방향에 주기적으로 버스코드를 전송하고, 정류장 비콘(20)은 정류장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의 전 방향에 주기적으로 정류장 코드를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버스 비콘(10)에서 전송한 버스코드 및 정류장 비콘(20)에서 전송한 정류장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를 서버(40)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및 버스 번호 정보를 서버(4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 블루투스 범위 내에, 사용자가 탑승하려 하는 버스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버스 비콘(10)에 전송하고,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버스 비콘(10)은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기사에게 표시등, 진동,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해 알린다. 이에 따라 버스 기사는 버스의 정차시간을 늘리거나 버스의 정차 위치를 기준선 안에 정확하게 정차하여 시각장애인의 버스 탑승을 도울 수 있다.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휴대용 단말기(30)는 사용자 입력부(31), 통신부(32), 출력부(33), 어플리케이션(34)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하나 이상의 버튼, 터치스크린, 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이름, 목적지, 가고자 하는 정류장 및 탑승할 버스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휴대용 단말기(30)에 입력한다.
통신부(32)는 사용자 입력부(31)에서 입력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 및 상기 버스 비콘에서 전송한 버스코드, 상기 정류장 비콘에서 전송한 정류장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한다.
출력부(33)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울리는 진동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져 휴대용 단말기(30)의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거나 또는 진동을 준다. 또한, 디스플레이, LED등 등을 포함하여 시각장애인의 보호자나 시각장애인이 아닌 다른 교통약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33)는 스피커, 진동부, 디스플레이, LED등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구성이 추가되거나 변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4)은 통신부(32)에서 수신한 정류장 코드 및 버스 코드와 같은 신호를 서버(40)에 전송하고, 서버(40)로부터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한다. 아울러 상기 출력부와 연동하여 버스 도착 여부, 버스 번호, 정류장 도착 여부, 및 정류장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서버(40)는 버스 정보, 정류장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받은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비콘(10)에 할당된 버스코드 및 정류장 비콘(20)에 할당된 정류장 코드에 대응하는 버스 번호, 버스 노선, 정류장 이름,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버스 코드 또는 정류장 코드를 수신하고 버스 번호, 버스 노선, 정류장 이름,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 버스 비콘 및 정류장 비콘은 블루투스 4.0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에서 버스 비콘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 비콘은 시작 후 버스의 정보를 블루투스 비콘신호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뿌리고 동시에 외부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한다(b1). 감지한 블루투스 신호가 정류장 신호인지 판단하고(b2) 정류장 신호인 경우 장애인이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신호가 있는지 판단한다(b3). 정류장 신호가 아닌 경우 b1 단계로 돌아간다. b3 단계에서 장애인이 있다고 판단되면 버스 기사에게 장애인의 존재 및 장애인 정보를 알린다(b4). 장애인이 없다고 판단되면 b1단계로 돌아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시작 후 사용자 장애인 정보를 입력한다(u1). 입력한 사용자 장애인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 내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를 입력(u2)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목적지에 대한 정류장 및 버스 번호 코드를 산출한다(u3). 외부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고(u4) 서버를 통해 확인한 블루투스 비콘 신호의 정보가 가려는 정류장의 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u5). 정류장 코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정류장 도착을 알리고(u6)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 감지 단계로 돌아간다(u4). 정류장에 도착한 후 사용자 장애인 정보를 블루투스를 이용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출력하고 외부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한다(u7). 감지된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블루투스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가 탑승하려는 버스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u8)한다. 탑승할 버스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버스 도착을 알리고(u8) 탑승할 버스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u7 단계로 돌아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버스 비콘
20 : 정류장 비콘
30 : 휴대용 단말기
31 : 사용자 입력부
32 : 통신부
33 : 출력부
34 : 어플리케이션
40 : 서버

Claims (4)

  1. 버스에 장착되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버스코드를 전송하는 버스 비콘(10);
    정류장에 장착되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정류장코드를 전송하는 정류장 비콘(20);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버스 비콘에서 전송한 버스코드 및 상기 정류장 비콘에서 전송한 정류장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신호를 서버(40)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류장 정보 및 버스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30); 및
    상기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34)을 통해 전달받은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30)에 전송하는 서버(40);를 포함하되,
    상기 버스 비콘(10)은, 버스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의 전 방향에 주기적으로 버스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정류장 비콘(20)은, 정류장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의 전 방향에 주기적으로 정류장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버스 비콘(10)은, 시작 후 버스의 정보를 블루투스 비콘 신호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뿌리고 동시에 외부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고(b1),
    상기 감지한 블루투스 신호가 정류장 신호인지 판단하고(b2),
    상기 정류장 신호인 경우 장애인이 소지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에서 전송한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고(b3),
    상기 정류장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b1) 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b3) 단계에서 장애인이 있다고 판단되면 버스 기사에게 장애인의 존재 및 장애인 정보를 알리고(b4),
    상기 장애인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b1) 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30)는, 탑승하려는 버스가 블루투스 범위 내에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상기 버스 비콘(10)에 전송하고, 상기 탑승하려는 버스의 상기 버스 비콘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의 기사에게 표시등, 진동, 알림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해 알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30)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 목적지, 가고자 하는 정류장 및 탑승할 버스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31);
    스피커, 진동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출력부(33);
    상기 사용자 입력부(31)에서 입력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 및 상기 버스 비콘(10)에서 전송한 버스코드, 상기 정류장 비콘(20)에서 전송한 정류장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32);
    상기 통신부(32)에서 수신한 신호를 상기 서버(40)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류장 정보, 버스 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버스 도착 여부, 버스 번호, 정류장 도착 여부, 및 정류장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출력부(33)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30)의 사용자 입력부(31)는, 하나 이상의 버튼, 터치스크린, 마이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40)는, 상기 버스 비콘(10)에 할당된 버스코드 및 상기 정류장 비콘(20)에 할당된 정류장 코드에 대응하는 버스 번호, 버스 노선, 정류장 이름,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30)에서 전송한 버스 코드 또는 정류장 코드를 수신하고 버스 번호, 버스 노선, 정류장 이름,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30), 상기 버스 비콘(10) 및 상기 정류장 비콘(20)은 블루투스 4.0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정보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37056A 2017-10-23 2017-10-23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KR10202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56A KR102026432B1 (ko) 2017-10-23 2017-10-23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56A KR102026432B1 (ko) 2017-10-23 2017-10-23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757A KR20190044757A (ko) 2019-05-02
KR102026432B1 true KR102026432B1 (ko) 2019-09-27

Family

ID=6658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056A KR102026432B1 (ko) 2017-10-23 2017-10-23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08A (ko) 2021-11-11 2023-05-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용 대중교통 탑승 지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911B1 (ko) * 2015-05-14 2016-04-05 (주)에스앤티 버스정보안내단말기에 구비되는 비콘 기반 안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75B1 (ko) 2008-12-04 2009-09-18 (주)비앤지로티스 교통약자 태그 인식 버스 안내 시스템
KR101090368B1 (ko) 2010-04-20 2011-12-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교통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5936B1 (ko) 2013-05-09 2019-11-19 주식회사 케이티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안내 서비스 방법,및 시각장애인 교통안내 서비스를 위한 버스 정류장 안내 단말
KR20160093205A (ko) * 2015-01-28 2016-08-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장치
KR20170075302A (ko) * 2015-12-23 2017-07-03 김기왕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버스 정차버튼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911B1 (ko) * 2015-05-14 2016-04-05 (주)에스앤티 버스정보안내단말기에 구비되는 비콘 기반 안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08A (ko) 2021-11-11 2023-05-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용 대중교통 탑승 지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757A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4768B2 (ja) 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002729A (zh) 用于车内警报激活和响应处理的方法和设备
JP201616147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0753912B1 (ko) 시각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JP200415330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026432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KR101592861B1 (ko) 교통적 약자를 위한 버스 승하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107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7293B1 (ko) 정류장 및 택시 정보 안내 시스템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1429A (ko)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KR10124367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6032221A (ja) ユーザ状況に応じて通知を制限可能な携帯端末、システム及び通知制御方法
US20110279222A1 (en) Travel assistant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834826B1 (ko) 비콘 신호 기반의 승하차 알림
WO2018158937A1 (ja) エレベーターのセンタ側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7130230B2 (ja) 協力補助システム及び協力補助方法
JP6525250B2 (ja) ホイッスル
KR20170004324U (ko)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스마트지팡이
JP6476051B2 (ja) ルート案内装置
KR20230122803A (ko) 시각장애인 버스 탑승 도움장치
KR102367299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청각장애인 보조 시스템
JP2016057808A (ja) 危険管理システム
KR20160005989A (ko) 청각장애인용 안전보조시스템
KR102532459B1 (ko)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