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936B1 -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936B1
KR102025936B1 KR1020170093881A KR20170093881A KR102025936B1 KR 102025936 B1 KR102025936 B1 KR 102025936B1 KR 1020170093881 A KR1020170093881 A KR 1020170093881A KR 20170093881 A KR20170093881 A KR 20170093881A KR 102025936 B1 KR102025936 B1 KR 10202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board
board assembly
water level
sen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848A (ko
Inventor
유경록
김태진
박상규
황현국
남영철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to KR102017009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9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인쇄보드어셈블리 및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하우징은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가 수용되는 돌출부와 인쇄보드어셈블리의 회로부품이 수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중 센싱면에 형성되는 표시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수위 감지장치를 유체 탱크에 조립하는 작업 및 하우징에 인쇄보드어셈블리를 조립하는 작업시 방향성 확인이 용이하여 조립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capacitive types fluid detector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탱크 내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의 확인이 용이하여 조립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나 가습기 등의 유체 탱크는 그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확인하여 이 수위에 따른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져야만 하며, 이에 종래에는 상기 유체 탱크 내에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감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시기에 정확한 수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수위 감지장치는 통상 유체의 부력에 의해 승강되는 플로트의 승강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를 토대로 해당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기구적인 방식의 장치와, 상기 위치 변화에 따른 자기력의 변화에 대한 센싱값을 이용하거나 혹은, 액체와 공기 간의 정전용량 값에 대한 차이를 이용하는 전자적인 방식의 센서로 구분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위 감지장치에 대하여는 공개실용신안 실1999-009168호, 등록특허 제10-042182호, 등록특허 제10-0836724호, 등록특허 제10-1156886호, 등록특허 제10-1734192호, 등록특허 제10-122882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특히, 전술된 종래의 수위 감지장치들 중 등록특허 제10-1156886호, 등록특허 제10-1734192호에 개시된 수위 감지장치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는 장치로써, 상면 및 저면의 정전용량 값에 대한 차이를 토대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유체 탱크 내에 물이 없을 때에는 상면 및 저면 모두가 공기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면의 정전용량 값이 저면의 정전용량 값에 비해 큰 상태로 유지되지만, 유체 탱크 내에 물이 차오르게 될 경우 저면에 물이 닿음에 따른 저면의 정전용량 값이 상면의 정전용량 값에 비해 크게 역전됨으로써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은 정전용량형의 수위 감지장치는 바디 내의 설치홈에 설치되는 인쇄보드어셈블리(PBA:Printed Board Assembly)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상면측 두께가 저면측 두께에 비해 더욱 두껍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실상 외부에서 해당 수위 감지장치를 볼 경우 어느 부위가 상면 혹은, 저면인지를 구분하기가 사실상 어려워 해당 수위 감지장치를 유체 탱크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정확히 일치되지 못함에 따른 오설치가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물론, 등록특허 제10-1734192호의 경우는 외면 형상을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그 방향성의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사실상 미숙련자의 경우는 상하 방향을 혼돈할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가 상하면 모두에 감지영역이 존재하여야만 하는 구조이면서도 이러한 상하면 구조는 사실상 상이하게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그의 상하면에 대한 방향 역시 정해진데로 설치되어야 하지만, 작업자는 단순히 수위 감지장치를 이루는 하우징의 외관 형상만 보고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상하 방향을 결정하여 바디의 설치홈 내에 설치함에 따라 작업자의 순간적인 혼동으로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상하면이 뒤바뀐 상태로 바디의 설치홈 내에 설치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불량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제품이 출시될 경우 수위의 감지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야기될 우려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실1999-009168호 등록특허 제10-042182호 등록특허 제10-0836724호 등록특허 제10-1156886호 등록특허 제10-1734192호 등록특허 제10-122882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 감지장치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변경함과 더불어 인쇄보드어셈블리(PBA)의 구조 변경을 통해 조립시의 방향성 확인이 용이하여 조립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는 유전율의 차이를 통해 수위를 감지하도록 감지부 및 각종 회로부품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인쇄보드어셈블리; 내부에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가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유체 탱크 내의 유체가 저장되는 부위로 돌출됨과 더불어 내부의 중앙으로는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가 수용되도록 설치홈이 요입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체 탱크에 결합됨과 더불어 내부에는 상기 설치홈의 후방측 어느 한 둘레에 연통되면서 인쇄보드어셈블리의 회로부품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중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가 향하는 센싱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센싱면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 및 각종 회로부품은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어느 한 면에 일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은 상기 표시돌부가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는 고유의 정전용량 값을 가지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상기 캐패시터가 가지는 고유의 정전용량 값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용량 값을 비교하여 출력신호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는 네 평면을 가지는 바(bar)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돌부는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가 향하는 센싱면 중 상기 결합부 간의 연결 부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는 인쇄보드어셈블리의 두 면에 감지부를 각각 형성한 후 이 두 감지부 간의 정전용량 값을 서로 비교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어느 한 면에만 감지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캐패시터의 고유한 정전용량 값을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오작동 발생 우려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는 어느 한 면에만 회로부품과 감지부를 일괄적으로 구비함과 더불어 이러한 회로부품에 의한 높이를 고려하여 하우징의 설치홈과 수용홈 및 삽입홈을 각각 구분하여 형성함에 따라 작업자가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설치 방향을 정확히 인지한 상태로 조립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는 하우징을 이루는 돌출부의 각 외면 중 센싱면에 표시돌부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미숙련자라 하더라도 상기 센싱면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서 유체 탱크에의 설치시 정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조립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중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상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중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저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는 크게 인쇄보드어셈블리(210)와, 하우징(220)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하우징(220)은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가 수용되는 돌출부(221)와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회로부품(213)이 수용되는 결합부(222) 및 상기 돌출부(221)의 둘레면 중 센싱면에 형성되는 표시돌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수위 감지장치(20)를 유체 탱크(10)에 조립하는 작업 및 하우징(220)에 인쇄보드어셈블리(210)를 조립하는 작업시 방향성 확인이 용이하여 조립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PBA:Printed board assembly)(210)는 유전율의 차이를 통해 수위를 감지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인쇄보드어셈블리(210)는 인쇄회로기판(211) 상에 감지부(212) 및 각종 회로부품(213,214)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이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212)는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전체로 이루어진 박막의 코팅 부위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211)의 어느 한 면(상면) 중 일측 부위를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회로부품(213,214)은 상기 감지부(212)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값을 기준 정전용량 값과 비교하여 출력신호를 결정하도록 설계된 부품으로써, 상기 기준 정전용량 값을 고유의 정전용량 값으로 갖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캐패시터(capacitor)(213)와, 상기 감지부(212)와는 패턴으로 연결된 터치 IC(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 및 각종 회로부품(213,214)은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어느 한 면(상면)에 일괄적으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다른 한 면에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접지 영역(GND;ground)(215)만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구조는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양면에 대한 정전용량 값의 차이를 토대로 수위를 센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어느 한 면에 대한 정전용량 값의 변동에 따라 수위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설치시 방향성을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오작동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양면 모두에 감지부(2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경우 평상시 이 두 감지부(212)의 정전용량 값이 서로 차이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설치 부위의 두께 차이가 존재하여야 한다는 제조상의 어려움과, 각 정전용량 감지면에 습기나 이물질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차이가 발생되어 오작동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제 유체가 저장될 경우 이 유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면의 정전용량 값에 대한 변화로만 수위가 센싱되도록 하여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220)은 내부에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가 삽입 설치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22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탱크(10) 내의 유체가 저장되는 부위로 돌출되는 돌출부(221)와, 상기 돌출부(221)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체 탱크(10)에 결합되는 결합부(222) 및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가 위치된 센싱면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돌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21)는 상하 및 좌우 등 네 평면을 가지는 바(bar) 구조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중앙으로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인쇄회로기판 중 감지부(212)가 형성된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설치홈(224)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결합부(222) 내의 후방측 부위에는 상기 설치홈(224)과 연통되면서 인쇄보드어셈블리(21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225)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5)과 상기 설치홈(224) 사이에는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회로부품(213,214)이 수용되는 수용홈(226)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용홈(226)은 상기 설치홈(224)과 삽입홈(225) 사이 중 어느 한 둘레(상측 둘레) 부위를 연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220) 내로 인쇄보드어셈블리(210)를 삽입할 때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상면이 상기 수용홈(226)과 일치될 경우에만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돌부(223)는 상기 돌출부(221)의 둘레면 중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가 향하는 센싱면에 형성되면서 작업자가 상기 센싱면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가 향하는 센싱면 중 상기 결합부(222) 간의 연결 부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최대한 넓은 센싱면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작업자가 정확히 해당 센싱면에 대한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20)의 결합부(222)에 형성되는 수용홈(226)은 상기 표시돌부(223)가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표시돌부(223)의 위치를 토대로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설치 방향을 다시 한번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의 조립 과정 및 센싱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우징(220) 및 인쇄보드어셈블리(210)가 각각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를 상기 하우징(220) 내에 삽입 결합하는 조립 작업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가 제조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 및 회로부품(213,214)이 위치된 면을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시킴과 더불어 하우징(220)의 돌출부 중 표시돌부(223)가 형성된 면을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를 상기 하우징(220)의 수용홈(226) 내로 삽입시킨다.
만일, 상기한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 및 회로부품(213,214)이 위치된 면을 하부로 향하도록 위치시키거나 혹은, 하우징(220)의 돌출부(221) 중 표시돌부(223)가 형성된 면을 상부가 아닌 다른 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게 된다면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각 회로부품(213,214)이 상기 수용홈(226) 내로 삽입되지 못하고 걸림에 따라 인쇄보드어셈블리(210) 중 인쇄회로기판(211)의 일부만 하우징(220)의 설치홈(224) 내로 삽입될 뿐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전 부위가 하우징(220)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음에 따라 해당 작업자는 자신의 부주의로 인한 오조립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작업에 의해 인쇄보드어셈블리(210)와 하우징(220)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이렇게 인쇄보드어셈블리(210)가 결합된 하우징(220)을 유체 탱크(10)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20)은 그의 돌출부(221)가 제공하는 각 면 중 센싱면이 저부나 측부 혹은,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상기 유체 탱크(1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센싱면이 저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는 유체 탱크(10) 내의 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저수위용 센서로 사용되고, 상기 센싱면이 측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는 유체 탱크 내의 만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만수위용 센서로 사용되며, 상기 센싱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는 유체 탱크(10) 내의 과다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과다수위용 센서로 사용된다.
즉, 유체 탱크(10) 내에 유체가 가득 찬 상태에서는 상기 만수위용 센서로 사용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의 센싱면 및 상기 저수위용 센서로 사용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의 센싱면이 모두 물에 잠긴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각 센서의 센싱면 내측에 위치된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감지부(212)를 통해 감지된 정전용량 값이 캐패시터(213)가 가지는 고유의 정전용량 값에 비해 커짐으로써 적정 수위에 이르기까지 유체가 저장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상기 만수위용 센서 및 저수위용 센서로 사용되는 두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의 각 감지부(212)를 통해 감지된 정전용량 값이 각 캐패시터(213)가 가지는 고유의 정전용량 값에 비해 작을 경우에는 저수위 상태임으로 판단하여 유체의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며, 상기 유체가 보충되는 도중 만수위용 센서로 사용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20)의 감지부(212)를 통해 감지된 정전용량 값이 캐패시터(213)가 가지는 고유의 정전용량 값에 비해 커짐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적정 수위에 이르렀음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유체 공급은 차단되도록 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는 인쇄보드어셈블리의 두 면에 감지부(212)를 각각 형성한 후 이 두 감지부(212) 간의 정전용량 값을 서로 비교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어느 한 면에만 감지부(212)를 형성함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캐패시터(213)의 고유한 정전용량 값을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오작동 발생 우려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는 어느 한 면에만 회로부품(213,214)과 감지부(212)를 일괄적으로 구비함과 더불어 이러한 회로부품(213,214)에 의한 높이를 고려하여 하우징(220)의 설치홈(224)과 삽입홈(225) 및 수용홈(226)을 각각 구분하여 형성함에 따라 작업자가 인쇄보드어셈블리(210)의 설치 방향을 정확히 인지한 상태로 조립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는 하우징(220)을 이루는 돌출부(221)의 각 외면 중 센싱면에 표시돌부(223)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미숙련자라 하더라도 상기 센싱면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서 유체 탱크(10)에의 설치시 정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10. 유체 탱크 20.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210. 인쇄보드어셈블리 211. 인쇄회로기판
212. 감지부 213. 회로부품(캐패시터)
214. 회로부품(터치 IC) 215. 접지 영역
220. 하우징 221. 돌출부
222. 결합부 223. 표시돌부
224. 설치홈 225. 삽입홈
226. 수용홈

Claims (4)

  1. 유전율의 차이를 통해 수위를 감지하도록 감지부 및 각종 회로부품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인쇄보드어셈블리와, 내부에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가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체 탱크 내의 유체가 저장되는 부위로 돌출되면서 네 평면을 가지는 바(bar)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의 중앙으로는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가 수용되도록 설치홈이 요입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유체 탱크에 결합되며, 내부의 후방측 부위에는 상기 설치홈과 연통되면서 인쇄보드어셈블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삽입홈과 상기 설치홈 사이의 어느 한 둘레에는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회로부품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확장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중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가 향하는 센싱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센싱면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돌부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돌부는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가 향하는 센싱면 중 상기 결합부 간의 연결 부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은 상기 표시돌부가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며,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감지부 및 각종 회로부품은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의 어느 한 면에 일괄적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보드어셈블리는 고유의 정전용량 값을 가지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상기 캐패시터가 가지는 고유의 정전용량 값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용량 값을 비교하여 출력신호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4. 삭제
KR1020170093881A 2017-07-25 2017-07-25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KR10202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81A KR102025936B1 (ko) 2017-07-25 2017-07-25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81A KR102025936B1 (ko) 2017-07-25 2017-07-25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48A KR20190011848A (ko) 2019-02-08
KR102025936B1 true KR102025936B1 (ko) 2019-09-27

Family

ID=6536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81A KR102025936B1 (ko) 2017-07-25 2017-07-25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798A1 (en) 2004-10-14 2009-02-05 Bunn-O-Matic Corporation Fluid level measuring device for a beverage dispenser
KR100934179B1 (ko) 2009-06-04 2009-12-29 알마인드(주) 조립 방향성 번인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168A (ko) 1997-07-08 1999-02-05 윤종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836724B1 (ko) 2007-03-15 2008-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1156886B1 (ko) 2008-11-04 2012-06-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KR101734192B1 (ko) * 2010-08-27 2017-05-12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KR101228828B1 (ko) 2010-10-26 2013-02-0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다단 수위감지 모듈
KR101797587B1 (ko) * 2011-02-17 2017-11-14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수위/탁도 복합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798A1 (en) 2004-10-14 2009-02-05 Bunn-O-Matic Corporation Fluid level measuring device for a beverage dispenser
KR100934179B1 (ko) 2009-06-04 2009-12-29 알마인드(주) 조립 방향성 번인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48A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5543B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led thereby
KR101156886B1 (ko) 수위감지장치
EP2985544B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led thereby
CN209166589U (zh) 容器和具有流体料位传感器的设备
US20110079078A1 (en) Fuel Level Sensor
JP2009133861A (ja) 液漏れを検出するセンサ
EP1795110A2 (en) Component for a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dishwasher, and sump for a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dishwasher, using it
KR20160016119A (ko)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US20190230912A1 (en)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fishing device entering water and method thereof
KR102025936B1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CN104997409B (zh) 一种咖啡机
KR101734192B1 (ko) 수위감지장치
KR20190090267A (ko)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및 그 제어방법
CN109596189A (zh) 一种家用电器中的水箱安装结构及应用有该水箱安装结构的电蒸箱
KR101344731B1 (ko) 수위 레벨 센서용 pcb
JP5626186B2 (ja) 燃料タンク構造
KR102046526B1 (ko) 압력센서
RU26760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давления мягкого резервуара для воды,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впуском мягкого резервуара для воды и очиститель воды с мягким резервуаром для воды
CN108068762B (zh) 车辆用除雾传感装置
CN204839165U (zh) 一种咖啡机
CN221173544U (zh) 液位检测装置和净饮机
KR101635427B1 (ko) 다기능 수중펌프
KR102658109B1 (ko) 가습기
US10919307B2 (en) Relating to inkjet printers
JPH04203714A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