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27B1 - 다기능 수중펌프 - Google Patents

다기능 수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27B1
KR101635427B1 KR1020150042585A KR20150042585A KR101635427B1 KR 101635427 B1 KR101635427 B1 KR 101635427B1 KR 1020150042585 A KR1020150042585 A KR 1020150042585A KR 20150042585 A KR20150042585 A KR 20150042585A KR 101635427 B1 KR101635427 B1 KR 10163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ump
control
wa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전기
Priority to KR102015004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 투입하여 양수(揚水)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에 있어서, 내측에 펌프부(P)가 설치되는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P)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12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수위감지센서(200)와 연결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펌프부(P)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300)가 원격조작되도록 리모컨 타입으로 형성되는 원격조작부재(400);와,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수신부(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수중펌프{Multi-function submersible pump}
본 발명은 다기능 수중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에 설치되어 양수(揚水)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에 있어서, 내측에 펌프부(P)가 설치되는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P)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12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수위감지센서(200)와 연결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펌프부(P)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300)가 원격조작되도록 리모컨 타입으로 형성되는 원격조작부재(400);와,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수신부(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를 일체화한 것을 수중에 투입하여 양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소형 및 경량하고 취급이 쉽고, 프라이밍 조작이 필요없는 등의 특징이 있으나 모터가 수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누수에 대한 봉입 또는 누전 대책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수중펌프는 토목공사 현장이나 농경지, 소수량 양수시설 및 공동시설물(예컨대, 아파트, 학교, 병원 등이 있다.)에 설치되어 침수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수중펌프는 대단히 다양한 일실시예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다단 수위감지 모듈(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8828호)”은 일측은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케이싱과 타측은 탱크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내부 케이싱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를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케이싱의 외부에 결합된 보조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 내부의 유체의 수위 변화에 따른 상기 보조 감지부의 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용량 센서가 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보조 감지부는 상기 내부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부 케이싱 및 상기 내부 보조 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물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싱 및 상기 보조 감지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물림홈과 맞물려 상기 보조 감지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걸림돌기를 포함된 것으로서, 제어 내지 감지하고자 하느 수위마다 센서 모듈을 장착해야 하는 구조를 일체화 또는 단순화시켜 제조 단가 및 조립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다단 수위감지 모듈”은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와 센서를 통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수중펌프 설치 시, 수중펌프, 센서, 제어장치를 각각 설치한 후 연결해야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다단 수위감지 모듈”는 모터에 결함이 발생하거나 트라이악과 구동부에 연결된 3상(R, S, T)의 배치가 잘못된 경우, 수중에 설치되어 있던 수중펌프의 고정을 해제하고 물 밖으로 인양한 후 수중펌프의 점검이 이루어짐으로써, 유지보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장치에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수중펌프의 구동 또는 모터의 결함으로 발생될 수 있는 과부하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제어장치 및 모터가 파손되어 수중펌프가 작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수중펌프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882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설치하고, 신호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를 원격조작하는 리모컨 타입의 원격조작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펌프부의 결함이 발생되거나 트라이악과 구동부에 연결된 3상(R, S, T)의 배치가 잘못된 경우, 외부에서 손쉽게 펌프부를 점검하거나 3상의 연결을 변환사켜 펌프부의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점검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킬 수 있는 다기능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에 열을 감지하는 써미스터를 설치하여 설정된 이상의 열이 제어부에 발생하면, 펌프부 및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펌프부 및 제어부의 소손을 방지하여 수중펌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기능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중펌프은, 수중에 설치되어 양수(揚水)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에 있어서, 내측에 펌프부(P)가 설치되는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P)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12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수위감지센서(200)와 연결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펌프부(P)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300)가 원격조작되도록 리모컨 타입으로 형성되는 원격조작부재(400);와,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수신부(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500)는, 상부에 수신센서(5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수신센서(511)와 연결되는 커넥트홈(512a)을 포함하는 접속부재(512)로 구성된 신호수신부(510)와,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공(130)에 결합되는 탄성몰딩부재(5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몰딩부재(521)의 상부에 구성되되 내측에는 상기 접속부재(51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522a)이 함몰형성된 연결부재(52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22a)에는 상기 커넥트홈(512a)에 삽입되어 상기 수신센서(511)와 제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동되도록 커넥트돌기(522a-1)가 형성되는 몰딩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트돌기(522a-1)의 하부 외측면에는 소량의 물이 상기 삽입홈(522a)에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트돌기(522a-1)가 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커넥트보호관(5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회로부(320) 및 구동부(3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310)와, 상기 펌프부(P)의 작동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회로부(320)와,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펌프부(P)를 제어하는 구동부(330)와, 상기 회로부(320) 및 구동부(330)를 전기적으로 분할하고, 제어정보를 광신호로 전송하는 포토커플러(341)와 상기 포토커플러(341)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부(330)의 구동을 결정하는 트라이악(342)을 포함하는 스위칭부(340)로 구성되되,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공급부(310), 회로부(320), 구동부(330) 및 스위칭부(340)를 제어하는 원격조작부재신호수신부(3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에 의해 트라이악(342)과 구동부(330)에 연결된 3상(R, S, T)의 연결이 변환되어 상기 펌프부(P)의 임펠라(I)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경시키는 릴레이부(36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에는 상기 제어부(300) 내의 열을 감지하되, 설정된 이상의 열이 감지하면 상기 회로부(320)에 시그널을 송신하여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10)의 전원 인가가 차단되도록 써미스터(3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설치하고, 신호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를 원격조작하는 리모컨 타입의 원격조작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펌프부의 결함이 발생되거나 트라이악과 구동부에 연결된 3상(R, S, T)의 배치가 잘못된 경우, 외부에서 손쉽게 펌프부를 점검하거나 3상의 연결을 변환사켜 펌프부의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점검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에 열을 감지하는 써미스터를 설치하여 설정된 이상의 열이 제어부에 발생하면, 펌프부 및 제어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펌프부 및 제어부의 소손을 방지하여 수중펌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펌프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펌프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원격조작부재에 의해 조작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펌프의 구성 중 수신부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펌프의 구성 중 수신부 단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펌프의 구성 중 제어부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펌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수중펌프(1)는 크게 하우징(100), 수위감지센서(200), 제어부(300), 원격조작부재(400), 수신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펌프부(P) 및 제어부(300)가 내장되는 일종의 외부틀로서, 본체부재(110), 배출관(120), 결합공(130), 수위표시부(140), 임펠라케이싱(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상기 펌프부(P) 및 제어부(300)가 내측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120)은 펌프부(P)의 작동으로부터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배출관(120)의 일측과 상기 임펠라케이싱(150)의 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공(130)은 후술할 수신부(500)의 탄성몰딩부재(521)가 삽입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결합공(130)에 의해 후술할 수신부(500)가 고정되어 후술할 수신부(500)의 신호수신부(510)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받을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결합공(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공(130)을 통해 상기 본체부재(110) 내부로 물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O-RING 또는 패킹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표시부(14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물의 수위에 대응하는 수치 또는 문자,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임펠라케이싱(150)은 상기 펌프부(P)의 모터(M)와 연결된 임펠라(I)가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모터(M)의 구동으로 인해 임펠라(I)가 회전하게 되면 물을 흡입하여 상기 임펠라케이싱(150)과 연통된 상기 배출관(120)을 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수위감지센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2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다기능 수중펌프(1)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수위센서(210), 고정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센서(21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케이블(210b)과 상기 케이블(210b)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정전센서(210a)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유닛(220)은 상기 본체부재(11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수위센서(2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위감지센서(200)와 연결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펌프부(P)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원공급부(310), 회로부(320), 구동부(330), 스위칭부(340), 원격조작부재신호수신부(350), 릴레이부(360), 써미스터(37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10)는 상기 회로부(320)에 회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구동부(330)의 구동 전원을 각각 공급하여 상기 회로부(320) 및 구동부(330)가 작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회로 전원은 직류 전원, 구동 전원은 교류 전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부(320)는 상기 전원공급부(310)로부터 회로 전원을 공급받아 타 장치로 인가할 수 있는 전원인가부(321), 상기 전원인가부(321)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감지되는 전원 정보를 통해 수위 정보와 오작동 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동작상태부(324) 및 수위제어부(325), 수위 정보 또는 오작동 정보에 따라 모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모터제어부(526)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인가부(321)는 상기 전원공급부(310)로부터 회로 전원을 공급받아 물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 회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를 1개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2 내지 6개의 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수위제어부(325)는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감지되는 회로 전원에 대한 전원 정보를 미리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수위를 판단할 수 있는 수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정보는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가 회로 전원을 감지하였는지에 대한 감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회로 전원이 감지되는 경우, 회로 전원이 감지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기준값은 몇 개의 감지부에서 회로 전원이 감지되었는지에 대한 수치인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수위제어부(325)는 상기 제1 감지부(322)에서만 회로 전원이 감지되면 저수위로 판단하고, 제1 감지부(322) 및 제 2 감지부(323) 모두에서 회로 전원이 감지되면 만수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위제어부(325)는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회로 전원이 감지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만수위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시간을 미달하는 경우 저수위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회로 전원이 모두 감지되고, 회로 전원이 감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수위제어부(325)는 만수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 모두에서 회로 전원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제1 감지부(322)에서만 감지되면 저수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동시에 감지되지만 감지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을 유지하지 못하면 상기 수위제어부(325)는 저수위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부(324)는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회로 전원을 잘못 감지하는 것을 판단하여 오작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오작동 정보는 회로 전원이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정상적인 패턴을 벗어나는 패턴으로 감지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1 감지부(322) 및 제2 감지부(323)에서 회로 전원이 감지되거나 감지되지 않는패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전원이 상기 제1 감지부(322)에서 순서상 먼저 감지되고 다음으로 상기 제2 감지부(323)에서 감지되는 정상적인 구조에서, 상기 제2 감지부(323)가 상기 제1 감지부(322)보다 먼저 회로 전원을 감지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제어부(326)는 상기 수위제어부(325) 및 동작상태부(324)에서 전송되는 수위 정보나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모터의 동작에 대한 기준값에 근거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제어 정보는 모터(M)를 동작 및 중지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340)는 상기 회로부(320)와 구동부(330)를 절연시키며 모터 제어 정보를 상기 회로부(320)로부터 상기 구동부(330)로 전달하는 포토 커플러(341)와, 전송받은 모터 제어 정보를 통해 구동부(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트라이악(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 커플러(341)는 회로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회로부(320)와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구동부(330)를 전기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상기 회로부(320)와 구동부(330) 사이에서 상기 회로부(320)의 모터 제어정보를 광신호로 상기 구동부(33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트라이악(342)은 상기 포토 커플러(341)를 통해 전송받은 모터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구동부(330)의 동작 및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모터(M) 및 모터(M)의 구동과 관련되는 주변 장치들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트라이악(342)의 제어에 따라 모터를 동작 및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원격조작부재신호수신부(350)는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수신부(500)로부터 발생하는 수신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10), 회로부(320), 구동부(330) 및 스위칭부(340)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릴레이부(360)는 상기 트라이악(342)과 구동부(330)에 연결된 3상(R, S, T)의 연결을 제어하여 상기 펌프부(P)의 임펠라(I)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만약, 상기 트라이악(342)과 구동부(330)에 연결된 3상(R, S, T)의 연결이 잘못되었을 경우, 펌핑부(P)의 임펠라(I)는 역방향(펌핑이 되지 않는 방향임.)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물을 펌핑시키지 못하고 상기 펌핑부(P)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상기 모터(M)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릴레이부(360)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상기 트라이악(342)과 구동부(330)에 연결된 3상(R, S, T)의 연결이 잘못되더라도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에 의해 3상(R, S, T)의 연결을 정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펌핑부(P)의 임펠라(I)는 정방향(펌핑되는 방향임.)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3상(R, S, T)의 연결 제어는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써미스터(370)은 상기 제어부(300) 내의 열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설정된 이상의 열이 감지하면 상기 회로부(320)에 시그널을 송신하여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10)의 전원 인가가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어부(300) 및 모터(M)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부(330)를 제어하는 방식을 기존 수중펌프의 외부에 설치하는 기계식 릴레이에서 내부 회로의 전자식 상기 트라이악(342)으로 변경하여 설계의 효율성과 부품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늘릴 수 있다.
또한, 기존 트랜지스터와 전자식 릴레이의 회로 구조로 상기 회로부(320)와 구동부(330)의 전원을 분리하던 방식에서 상기 단일 포토 커플러(341)를 이용해 전원을 분리함으로써 회로 설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조작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원격조작부재(4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신부(5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300)를 원격조작하는 구성요소로서, 리모컨타입, 스위치타입, 터치패널타입, 주파수타입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수신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신부(500)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원격조작부재신호수신부(35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신호수신부(510), 몰딩부(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수신부(510)는 상부에 수신센서(5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수신센서(511)와 연결되는 커넥트홈(512a)이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수신받는 요소이다.
상기 몰딩부(520)는 상기 신호수신부(51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원격조작부재신호수신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공(130)에 결합되는 탄성몰딩부재(5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몰딩부재(521)의 상부에 구성되되 내측에는 상기 접속부재(51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522a)이 함몰형성된 연결부재(52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22a)에는 상기 커넥트홈(512a)에 삽입되어 상기 수신센서(511)와 제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동되도록 커넥트돌기(522a-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넥트돌기(522a-1)의 하부 외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커넥트보호관(523)이 형성됨으로써, 소량의 물이 상기 삽입홈(522a)에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트돌기(522a-1)가 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신부(500)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22)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522a)에 침투된 물이 외부로 배수는 것을 안내하는 배수관(524)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배수관(524) 내측에는 상기 배수관(524)이 개폐되도록 폐쇄핀(525)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삽입홈(522a)에 물이 침투하게 되면, 상기 폐쇄핀(525)을 제거하여 배수관(524)을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커넥트돌기(522a-1)에 물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다기능 수중펌프
100: 하우징
110: 본체부재 120: 배출관
130: 결합공 140: 수위표시부
150: 임펠라케이싱
200: 수위감지센서 210: 수위센서
210a: 정전센서 210b: 케이블
220: 고정유닛 220a: 체결구
300, 300`: 제어부
310: 전원공급부 320: 회로부
321: 전원인가부 322: 제1 감지부
323: 제2 감지부 324: 동작상태부
325: 수위제어부 326: 모터제어부
330: 구동부 340: 스위칭부
341: 포토커플러 342: 트라이락
350: 원격조작부재신호수신부
360: 릴레이부 370: 써미스터
400: 원격조작부재
500: 수신부
510: 신호수신부
511: 수신센서 512: 접속부재
512a: 커넥트홈
520: 몰딩부
521: 탄성몰딩부재 522: 연결부재
522a: 삽입홈 522a-1: 커넥트돌기
523: 커넥트보호관 524: 배수관
525: 폐쇄핀
P: 펌프부 M: 모터
I: 임펠라

Claims (5)

  1. 삭제
  2. 수중에 설치되어 양수(揚水)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에 있어서,
    내측에 펌프부(P)가 설치되는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P)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12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수위감지센서(200)와 연결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펌프부(P)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300)가 원격조작되도록 리모컨 타입으로 형성되는 원격조작부재(400);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수신부(500);가 포함되되,
    상기 수신부(500)는,
    상부에 수신센서(5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수신센서(511)와 연결되는 커넥트홈(512a)을 포함하는 접속부재(512)로 구성된 신호수신부(510)와,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공(130)에 결합되는 탄성몰딩부재(5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몰딩부재(521)의 상부에 구성되되 내측에는 상기 접속부재(51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522a)이 함몰형성된 연결부재(52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22a)에는 상기 커넥트홈(512a)에 삽입되어 상기 수신센서(511)와 제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동되도록 커넥트돌기(522a-1)가 형성되는 몰딩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돌기(522a-1)의 하부 외측면에는 소량의 물이 상기 삽입홈(522a)에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트돌기(522a-1)가 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커넥트보호관(5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회로부(320) 및 구동부(3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310)와, 상기 펌프부(P)의 작동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회로부(320)와,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펌프부(P)를 제어하는 구동부(330)와, 상기 회로부(320) 및 구동부(330)를 전기적으로 분할하고, 제어정보를 광신호로 전송하는 포토커플러(341)와 상기 포토커플러(341)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부(330)의 구동을 결정하는 트라이악(342)을 포함하는 스위칭부(340)로 구성되되,
    상기 원격조작부재(400)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공급부(310), 회로부(320), 구동부(330) 및 스위칭부(340)를 제어하는 원격조작부재신호수신부(3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에 의해 트라이악(342)과 구동부(330)에 연결된 3상(R, S, T)의 연결이 변환되어 상기 펌프부(P)의 임펠라(I)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경시키는 릴레이부(36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에는 상기 제어부(300) 내의 열을 감지하되, 설정된 이상의 열이 감지하면 상기 회로부(320)에 시그널을 송신하여 상기 회로부(3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10)의 전원 인가가 차단되도록 써미스터(3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중펌프(1).
KR1020150042585A 2015-03-26 2015-03-26 다기능 수중펌프 KR101635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585A KR101635427B1 (ko) 2015-03-26 2015-03-26 다기능 수중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585A KR101635427B1 (ko) 2015-03-26 2015-03-26 다기능 수중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427B1 true KR101635427B1 (ko) 2016-07-01

Family

ID=5650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585A KR101635427B1 (ko) 2015-03-26 2015-03-26 다기능 수중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006A1 (ko) * 2019-03-06 2020-09-10 (주)아이오텍 무선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및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880A (ja) * 2003-12-11 2005-06-30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ポンプ装置
KR101228828B1 (ko) 2010-10-26 2013-02-0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다단 수위감지 모듈
KR101362782B1 (ko) * 2012-10-29 2014-02-13 주식회사 다인전기 수중펌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880A (ja) * 2003-12-11 2005-06-30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ポンプ装置
KR101228828B1 (ko) 2010-10-26 2013-02-0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다단 수위감지 모듈
KR101362782B1 (ko) * 2012-10-29 2014-02-13 주식회사 다인전기 수중펌프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006A1 (ko) * 2019-03-06 2020-09-10 (주)아이오텍 무선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및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2272B1 (en) High liquid alarm system
US7820995B2 (en) Component for a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dishwasher, and sump for a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dishwasher, using it
US6964278B2 (en) Non-invasive gauge glass liquid level sensor apparatus
CN106288618B (zh) 具有压力传感器的制冷器具
CN107975481B (zh) 潜水泵机组和用于运行潜水泵机组的方法
KR101635427B1 (ko) 다기능 수중펌프
CN104296952A (zh) 一种直流输电换流阀阀塔及其漏水检测系统
US20190230912A1 (en)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fishing device entering water and method thereof
KR101001392B1 (ko) 경보기능과 자동저수기능이 내장된 저수조 수위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저수조 수위 조절 방법
KR101476306B1 (ko) 레벨 스위치 기능이 내장된 초음파 레벨 센서
US20120257995A1 (en) Submersible pump and motor rotation indication circuit
JP6683462B2 (ja) ポンプ装置
KR101362782B1 (ko) 수중펌프 제어장치
WO2013061516A1 (ja) 洗濯機
KR20110030735A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KR101369158B1 (ko) 압력계 지시값을 이용한 밀폐형 보일러의 물 보충장치
KR20160072461A (ko) 다기능 심정펌프 컨트롤러
JP4410546B2 (ja) 自動給水装置
JP6553325B2 (ja) 水位制御装置
KR200416864Y1 (ko) 휴대용 가스검출기
CN114026330B (zh) 流体泵
CN216308247U (zh) 一种膨胀水箱控制装置及包括其的热水器
CN214621633U (zh) 一种内镜测漏装置
KR200436077Y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밀폐형 팽창탱크
KR101569196B1 (ko) 온도센서가 구비된 부스터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