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24B1 -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24B1
KR100836724B1 KR1020070025660A KR20070025660A KR100836724B1 KR 100836724 B1 KR100836724 B1 KR 100836724B1 KR 1020070025660 A KR1020070025660 A KR 1020070025660A KR 20070025660 A KR20070025660 A KR 20070025660A KR 100836724 B1 KR100836724 B1 KR 10083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level sensor
tan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규섭
노진환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는 정수기의 정수 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탱크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 사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그 외측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수위 감지 센서에서 정수 탱크의 정전 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수위 감지 장치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전 용량, 수위 감지, 밀착, 기준선

Description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의 수위 감지 센서가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수위 감지 센서가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장착된 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수위 감지 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수위 감지 센서의 일면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위 감지 센서의 타면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의 수위 감지 센서가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수위 감지 센서의 일면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수 탱크 130 : 기준선
141, 142, 143, 144 : 결합홀 150 : 수위 감지 센서
151 : 기판 153, 157 : 관통홀
154 : 도포부 170 : 결합 부재
본 발명은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water purifier)는 물리적, 화학적 과정을 거쳐 물을 깨끗하게 거르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에서 걸러진 물은 냉각 장치에 의해 냉수가 되거나, 가열 장치에 의해 온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물을 수용하는 정수 탱크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 탱크에는 수위 센서가 설치되어, 정수 탱크 내의 수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플로트(float)를 이용한 기구 방식의 수위 센서, 탱크의 정전 용량(electric capacity)을 측정하는 방식의 수위 센서 등이 적용되어, 탱크 내의 수위가 감지되었다.
그러나, 플로트를 이용한 기구 방식의 수위 센서는 센서 크기가 커지고,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방식의 수위 센서는 탱크 케이스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그 이용된 양면 테이프의 두께만큼 탱크 케이스와 이격된다. 이러한 이격에 의해, 탱크 내의 정확한 정전 용량이 측정될 수 없어서, 탱크 내의 정확한 수위 감지가 곤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탱크 케이 스에 접착시킬 때, 그 접착의 기준선이 제대로 구비되지 아니하여, 요구되는 정확한 위치에 수위 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어려워져, 결국 탱크 내의 정확한 수위 감지가 곤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에서 탱크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는 정수기의 정수 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탱크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 사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그 외측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정수 탱크와, 수위 감지 센서 사이가 밀착되면서, 정수 탱크의 표면에 수위 감지 센서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정수 탱크의 정전 용량을 수위 감지 센서에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감지 장치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기준선이 탱크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고, 그 기준선의 교차점에 결합부의 일 구성인 결합홀이 형성되므로, 결합홀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그 형성 위치가 정확해진다. 따라서, 수위 감지 센서 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수위 감지 장치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의 수위 감지 센서가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수위 감지 센서가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장착된 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수위 감지 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는 정수 탱크(100)에 설치된다. 상기 정수 탱크(100)는 탱크 상부(110)와, 탱크 하부(120)로 구분될 수 있고, 원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면서 정수되어 저장된다. 도시된 도면번호 121은 상기 정수 탱크(100) 내부의 정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배출관이다.
상기 수위 감지 장치는 수위 감지 센서(150)와,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위 감지 센서(150)는 상기 정수 탱크(100)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정수 탱크(100)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와,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 사이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되도록,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를 상 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결합시킨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는 결합홀들(141)(142)(143)(144)과, 결합 부재(17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은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소정 위치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170)는 상기 결합홀(141)(142)(143)(144)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에 대한 상기 결합 부재(17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들의 내면과, 상기 결합 부재(170)의 외면에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는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 중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이 결합되어야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를 관통한 상기 결합 부재(17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 부재(170)의 머리가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를 그 외측에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 탱크(100)와,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 사이가 밀착되면서, 상기 정수 탱크(100)의 표면에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정수 탱크(100)의 정전 용량을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에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위 감지 장치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볼트 형식의 결합 부재(170)와, 결합홀 들(141)(142)(143)(144)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를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이 요구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 탱크(100)의 표면에는 기준선(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130)은 세로 기준선들(131)(132)과, 가로 기준선들(133)(134)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에서 서로 교차된다. 따라서, 그 교차점에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홀들(141)(142)(143)(144)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그 형성 위치가 정확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수위 감지 센서의 일면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위 감지 센서의 타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수위 감지 센서(150)는 수위 감지를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151)과, 상기 기판(151) 표면에 소정 정보를 나타내도록 도포되는 도포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부(154)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에 대한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글씨, 문양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글씨, 문양 등과 함께, 상기 도포부(154)는 상기 회로 패턴을 덮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도포부(154)는 외부로 노출되는 회로 패턴을 덮어 방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포부(154)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글씨, 문양 등을 형성하는 마스 킹 공정 등에 의해, 상기 회로 패턴에 대한 방수 처리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 패턴의 방수 처리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그 제조가 용이해지며,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에는 상기 결합 부재(170)가 관통되는 관통홀(152)(15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52)(153)은 서로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의 양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가 상기 정수 탱크(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면번호 155는 상기 회로 패턴과 정수기의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을 연결하는 연결선이고, 도면번호 156은 상기 연결선(155)과 상기 회로 패턴의 커넥터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의 수위 감지 센서가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수위 감지 센서의 일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결합되는 수위 감지 센서(150)의 중앙부에 추가로 관통홀(157)이 더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57)에는 결합 부재(170)가 관통된다. 상기 관통홀(157)을 관통한 결합 부재(170)가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의 중앙부가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밀착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의 양 말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52)(153)에도 결합 부재(17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의 중앙부가 가압되어,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 상에서 상기 정수 탱크(100)에 뒤틀림 등이 발생되어,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수위 감지 센서(150)가 상기 정수 탱크(100)의 케이스 표면에 밀착될 수 있어서, 그 측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정수 탱크와, 수위 감지 센서 사이가 밀착되면서, 정수 탱크의 표면에 수위 감지 센서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정수 탱크의 정전 용량을 수위 감지 센서에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감지 장치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기준선이 탱크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고, 그 기준선의 교차점에 결합부의 일 구성인 결합홀이 형성되므로, 결합홀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그 형성 위치가 정확해진다. 따라서, 수위 감지 센서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수위 감지 장치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 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정수기의 정수 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탱크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 사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그 외측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수위 감지 센서의 양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그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의 케이스 표면에는, 상기 결합홀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준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수위 감지를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 표면에 소정 정보를 나타내도록 도포되는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상기 회로 패턴을 덮어 방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20070025660A 2007-03-15 2007-03-15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83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660A KR100836724B1 (ko) 2007-03-15 2007-03-15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660A KR100836724B1 (ko) 2007-03-15 2007-03-15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724B1 true KR100836724B1 (ko) 2008-06-10

Family

ID=3977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660A KR100836724B1 (ko) 2007-03-15 2007-03-15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18B1 (ko) * 2009-07-02 2011-06-17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회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약액 도포 장치
KR101296571B1 (ko) 2011-07-08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센서 및 정수기
KR20190011848A (ko) 2017-07-25 2019-02-08 주식회사 진텍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45U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브래킷
KR19990019022A (ko) * 1997-08-28 1999-03-15 전주범 정수기의 수위 센서 구조
KR200328796Y1 (ko) 2003-07-14 2003-10-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정수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666557B1 (ko) 2005-05-16 2007-01-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45U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브래킷
KR19990019022A (ko) * 1997-08-28 1999-03-15 전주범 정수기의 수위 센서 구조
KR200328796Y1 (ko) 2003-07-14 2003-10-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정수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666557B1 (ko) 2005-05-16 2007-01-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18B1 (ko) * 2009-07-02 2011-06-17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회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약액 도포 장치
KR101296571B1 (ko) 2011-07-08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센서 및 정수기
KR20190011848A (ko) 2017-07-25 2019-02-08 주식회사 진텍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6531B (zh) 用于检测水分的泄漏传感器装置
WO2007126716A3 (en) Multi-zone capacitive force sensing device and method
CA26251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entering a wellbore
DE602006006718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essung von echtzeit-korrosion
KR101538507B1 (ko) 측면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KR100836724B1 (ko)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WO200610218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ively determining the uppermost level of a liquid in a container
WO2009148233A3 (ko) 레벨 감지 장치
FR2896587B1 (fr) Capteur de detection d&#39;etat d&#39;un liquide.
RU2011107279A (ru) Электронный термометр
TW200643434A (en) Inspection device, and conductive pattern inspection method
CN106716310A (zh) 保持状态检测装置
CN203337352U (zh) 一种电涡流传感器多通道动态校准装置
TW200613754A (en) Inspection apparatus, inspection method and sensor for inspection apparatus
KR101702360B1 (ko) 약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20160057973A (ko) Cvd 방식의 비접촉 정전용량 수위센서
DE59813633D1 (de) Verfahren zur detektion von kondensationen an oberflächen
KR100380179B1 (ko) 매립지 차수막 파손 외부측정 감지기
US20230314264A1 (en)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742558B1 (ko) 앰프 일체형 누설 감지 센서
JP5084198B2 (ja) 圧力センサ
CN101625058B (zh) 用于法兰连接的密封装置
KR102084721B1 (ko)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50131888A (ko) 누수 감지 센서
JP3250505B2 (ja) スライム又はスケール付着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