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042B1 -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042B1
KR102025042B1 KR1020190025972A KR20190025972A KR102025042B1 KR 102025042 B1 KR102025042 B1 KR 102025042B1 KR 1020190025972 A KR1020190025972 A KR 1020190025972A KR 20190025972 A KR20190025972 A KR 20190025972A KR 102025042 B1 KR102025042 B1 KR 102025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liquid polymer
polymer
water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채
Original Assignee
곽동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채 filed Critical 곽동채
Priority to KR102019002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0Dissolving using driven stirrers
    • B01F1/00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3/0853
    • B01F5/0057
    • B01F7/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용해공간부를 갖는 용해챔버,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액상폴리머을 공급하기 위한 액상폴리머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회전시켜 상기 액상폴리머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액상폴리머와 혼합시킴에 따라 액상폴리머에서 폴리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폴리머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용해혼합부, 상기 용해혼합부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 혼합액의 와류를 가이드하여 폴리머의 분리를 보조하며, 분리된 폴리머의 용해를 보조하기 위한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 통과한 혼합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혼합액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폴리머의 분해효율을 향상시켜 폴리머를 용이하게 노출시키고, 혼합되는 물에 대한 용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High-speed instant-mixing liquid-phase polymer melting device}
본 발명은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폴리머와 물을 공급하여 혼합시킴에 따라, 액상폴리머에서 폴리머를 노출시킨 후, 용해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합체(폴리머)는 고분자로서 분자의 크기가 크고 물과 같은 용제에 쉽게 녹지 않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중합체(폴리머)는 분말형태와 액체형태로 공급되는 것으로, 주로 분말상태의 중합체를 현탁액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지만, 중합체는 물과 접촉하게 되면 접착성이 증가하여 서로 뭉침으로써 덩어리를 형성함에 따라, 액체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덩어리의 표면은 물과 접촉하여 서서히 녹지만 중합체 덩어리 내부는 물과 차단되어 중합체의 물에 의한 용해는 매우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에 원하는 농도의 현탁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고특허 제10-201821호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분말입자 용해장치는 호퍼에 공급된 폴리머가 피더케이스로 투입되면 이송스크류가 회전되어 이를 분배 헤더로 공급하게 되고, 분배헤더를 통해 인젝터로 낙하된 폴리머는 송풍기 및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됨과 동시에 인젝터 내부로 공급되므로 건조된 상태의 폴리머가 인젝터 및 이에 연결 설치된 혼합부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폴리머 분말 용해장치는 분배 해더에서 낙하된 폴리머, 즉 인젝터로 투입되기 직전의 폴리머는 송풍기와 직선상에 위치되므로 열풍이 전달되어 건조되지만, 호퍼나 피더케이스, 스크류, 스크류 둘레의 실린더 내에 위치한 폴리머에는 열풍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열풍에 의한 건조효과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호퍼의 뚜껑을 여닫는 동안 그리고 실린더 내부를 개폐하는 용매 밸브를 여닫는 동안 외부의 습기가 이들 내부로 유입되어 폴리머와 접촉되므로 폴리머가 응집되고 고착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된다.
이에 따라, 폴리머를 물에 용이하게 용해시킴은 물론, 폴리머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용해공간부를 갖는 용해챔버,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액상폴리머을 공급하기 위한 액상폴리머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회전시켜 상기 액상폴리머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액상폴리머와 혼합시킴에 따라 액상폴리머에서 폴리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폴리머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용해혼합부, 상기 용해혼합부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 혼합액의 와류를 가이드하여 폴리머의 분리를 보조하며, 분리된 폴리머의 용해를 보조하기 위한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 통과한 혼합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혼합액배출부,를 포함하여 액상폴리머의 분해효율을 향상시켜 폴리머를 용이하게 노출시키고, 혼합되는 물에 대한 용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용해공간부를 갖는 용해챔버,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액상폴리머을 공급하기 위한 액상폴리머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회전시켜 상기 액상폴리머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액상폴리머와 혼합시킴에 따라 액상폴리머에서 폴리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폴리머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용해혼합부, 상기 용해혼합부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 혼합액의 와류를 가이드하여 폴리머의 분리를 보조하며, 분리된 폴리머의 용해를 보조하기 위한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 통과한 혼합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혼합액배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해챔버는, 일단프레임, 상기 일단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타단프레임, 상기 일단프레임과 타단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에 용해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중간프레임, 및 상기 중간프레임과 일단프레임, 중간프레임과 타단프레임을 각각 밀폐되도록 연결하는 챔버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연결부는, 상기 일단프레임과 타단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는 챔버연결홈, 상기 각 챔버연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챔버연결턱, 및 탄성을 갖고, 상기 해당 챔버연결홈과 챔버연결턱 사이에 위치되어 밀폐시키기 위한 챔버밀폐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해혼합부는, 상기 타단프레임에 형성되는 혼합설치공, 상기 혼합설치공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혼합설치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액상폴리머주입공, 상기 혼합설치공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됨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여 공급된 물과 액상폴리머을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팬, 상기 회전샤프트와 혼합설치공 사이를 밀폐시켜 물이 상기 혼합설치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회전샤프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밀폐시키는 혼합밀폐부, 및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혼합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밀폐부는, 상기 혼합설치공의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액상폴리머주입공에 위치되는 밀폐부재, 상기 혼합팬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구비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폐지지판, 상기 밀폐부재에 접하기 위한 밀폐마개, 및 상기 밀폐지지판과 밀폐마개 사이에 구비되어 밀폐마개를 상기 밀폐부재로 가압하기 위한 밸브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혼합팬과 혼합샤프트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밀폐마개가 밀폐부재로의 가압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혼합팬은,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혼합팬몸체, 상기 혼합팬몸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유입공, 상기 혼합팬몸체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각 사이에 상기 물유입공과 연통되는 물유출공을 형성하는 팬블레이드, 및 상기 혼합팬몸체의 타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액상폴리머주입공을 통해 주입되는 액상폴리머을 상기 팬블레이드의 물유출공에서 유출되는 물로 가이드하기 위한 혼합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팬블레이드는, 중앙부에서 외주방향으로 갈수록 일정 호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가이드부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각 사이에 액상폴리머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혼합가이드블레이드,이다.
그리고 상기 각 액상폴리머가이드홈의 저면은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오목하게 굴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혼합가이드블레이드는, 중앙부에서 외주방향으로 갈수록 일정 호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상폴리머공급부는, 상기 용해공간부로 액상폴리머을 공급하도록 상기 타단프레임에 형성되는 액상폴리머공급공, 상기 액상폴리머공급공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액상폴리머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상폴리머주입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공급밸브, 및 상기 액상폴리머공급공으로 액상폴리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액상폴리머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 공급될 경우, 상기 공급밸브가 액상폴리머주입공을 개방시켜 액상폴리머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액상폴리머공급공의 단부는, 상기 액상폴리머주입공으로 액상폴리머를 공급하기 위한 제1액상폴리머공급구, 및 상기 혼합팬의 가장자리로 액상폴리머를 공급하기 위한 제2액상폴리머공급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밸브는 1.5㎏/㎠ 이상일 경우 개방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일단프레임에 형성되는 물공급공, 및 일단부가 상기 물공급공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혼합팬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물주입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는, 상기 물주입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정류베이스프레임, 복수의 배플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정류베이스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팬에 의해 형성된 혼합물을 더욱 와류시키기 위한 메인배플플레이트, 및 상기 용해챔버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정류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배플플레이트의 배플가이드공을 통과하며 와류를 형성한 홉합액이 충돌하여 액상폴리머을 더욱 분해시켜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서브배플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플가이드공은, 상기 메인배플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1배플가이드공, 및 상기 메인배플플레이트의 중앙부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2배플가이드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2배플가이드공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1배플가이드공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각 배플가이드공은, 일정 호를 갖는 장공으로,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플가이드공과 제2배플가이드공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배플가이드공은,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를 거쳐 분리 및 용해된 혼합물이 2차 충돌하여 폴리머의 분리 및 용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정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정류부는, 상기 물주입관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용해챔버에 설치되되, 외주에서 중앙방향으로 갈수록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서브배플플레이트,이다.
그리고 상기 제2서브배플플레이트는, 복수의 제2배플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에 의하면, 액상폴리머의 분해효율을 향상시켜 폴리머를 용이하게 노출시키고, 혼합되는 물에 대한 용해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용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챔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혼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밀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팬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배플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부에 제2정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용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챔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혼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밀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팬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배플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부에 제2정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10)는 용해챔버(100)와 물공급부(200), 액상폴리머공급부(300), 용해혼합부(400), 정류부(500) 및 혼합액배출부(600)를 포함한다.
용해챔버(100)는 내부에 용해공간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공급부(200)는 용해챔버(100)의 용해공간부(10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액상폴리머공급부(300)는 용해챔버(100)의 용해공간부(102)로 액상폴리머(1)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용해혼합부(400)는 물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된 물을 회전시켜 액상폴리머공급부(300)에 의해 공급된 액상폴리머(1)과 혼합시킴에 따라 액상폴리머에서 폴리머(2)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폴리머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정류부(500)는 용해혼합부(400)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 혼합액의 와류를 가이드하여 폴리머(2)의 분리를 보조하며, 분리된 폴리머의 용해를 보조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혼합액배출부(600)는 정류부(500)에 통과한 혼합액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폴리머 용해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물공급부(200)에 의해 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액상폴리머공급부(300)에 의해 액상폴리머(1)이 공급된다.
이 공급된 물과 액상폴리머(1)은 용해혼합부(400)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여 혼합되며, 이에, 액상폴리머(1)에서 폴리머(2)가 분리되어 물에 용해된 후, 배출된다.
여기서, 액상폴리머(1)은 일정 크기를 갖는 복수의 폴리머(2)를 오일이 감싸는 구조로, 큰 사이즈의 폴리머가 물과 직접 접촉될 경우, 폴리머 덩어리가 형성되어 용해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에, 물과 접촉 시, 용해될 수 있는 폴리머(2)의 사이즈로 형성한 후, 오일로 감싸는 것이다.
이러한 액상폴리머(1)을 수중으로 공급하여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감싸고 있는 오일을 파괴시켜 내포하고 있던 작은 사이즈의 폴리머(2)가 노출되어 물에 용해됨에 따라, 용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용해챔버(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프레임(110)과 타단프레임(120), 중간프레임(130) 및 챔버연결부(140)를 포함한다.
타단프레임(120)은 일단프레임(110)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중간프레임(130)은 일단프레임(110)과 타단프레임(120)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에 용해공간부(102)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챔버연결부(140)는 중간프레임(130)과 일단프레임(110), 중간프레임(130)과 타단프레임(120)을 각각 밀폐되도록 연결한다.
여기서, 챔버연결부(140)는 챔버연결홈(142)과 챔버연결턱(144) 및 챔버밀폐부재(146)를 포함한다.
챔버연결홈(142)은 일단프레임(110)과 타단프레임(120)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챔버연결턱(144)은 각 챔버연결홈(142)에 삽입되도록 중간프레임(130)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챔버밀폐부재(146)는 탄성을 갖고, 해당 챔버연결홈(142)과 챔버연결턱(144) 사이에 위치되어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혼합부(400)는 혼합설치공(410)과 액상폴리머주입공(420), 회전샤프트(430), 혼합팬(440), 혼합밀폐부(450) 및 혼합구동부(460)를 포함한다.
혼합설치공(410)은 타단프레임(120)에 형성된다.
또한 액상폴리머주입공(420)은 혼합설치공(410)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혼합설치공(4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회전샤프트(430)는 혼합설치공(410)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혼합팬(440)은 회전샤프트(43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됨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여 공급된 물과 액상폴리머(1)을 혼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혼합밀폐부(450)는 회전샤프트(430)와 혼합설치공(410) 사이를 밀폐시켜 물이 혼합설치공(4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회전샤프트(43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밀폐시킨다.
또한 혼합구동부(460)는 회전샤프트(43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되며, 3000RPM 이상의 회전속도를 발생시키며, 일 실시 예로, 3450RPM으로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구동부(460)는 용해챔버(100)와 직결로 설치되는 것으로, 용해공간부(102)에서의 에너지 전달률이 그대로 유지된다.
여기서, 혼합밀폐부(45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부재(452)와 밀폐지지판(454), 밀폐마개(456) 및 밸브스프링(458)을 포함한다.
밀폐부재(452)는 혼합설치공(410)의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액상폴리머주입공(420)에 위치된다.
그리고 밀폐지지판(454)은 혼합팬(440)에 인접하도록 회전샤프트(430)에 구비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밀폐마개(456)는 밀폐부재(452)에 접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밸브스프링(458)은 밀폐지지판(454)과 밀폐마개(456) 사이에 구비되어 밀폐마개(456)를 밀폐부재(452)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혼합밀폐부(45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혼합구동부(460)에 의해 회전되는 혼합팬(440)과 혼합샤프트(430)의 유동에 대응하여 밀폐마개(456)가 밀폐부재(452)로의 가압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용해챔버(100)의 용해공간부(102)의 물이 혼합설치공(4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액상폴리머공급부(300)는 액상폴리머공급공(310)과 공급밸브(320) 및 공급펌프(330)를 포함한다.
액상폴리머공급공(310)은 용해공간부(102)로 액상폴리머을 공급하도록 타단프레임(120)에 형성된다.
또한 공급밸브(320)는 액상폴리머공급공(310)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액상폴리머의 압력에 의해 액상폴리머주입공(420)을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공급밸브(320)는 1.5㎏/㎠ 이상일 경우 개방되는 것으로, 공급펌프(330)가 제어함에 따라, 개폐를 조절한다.
공급펌프(330)는 액상폴리머공급공(310)으로 액상폴리머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액상폴리머공급부(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공급펌프(330)에 의해 공급되는 액상폴리머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 공급될 경우, 공급밸브(320)가 액상폴리머주입공(310)을 개방시켜 액상폴리머가 공급된다.
여기서, 액상폴리머주입공(310)의 단부는 제1액상폴리머공급구(312)와 제2액상폴리머공급구(314)를 포함한다.
제1액상폴리머공급구(312)는 액상폴리머주입공(310)으로 액상폴리머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액상폴리머공급구(314)는 혼합팬(440)의 가장자리로 액상폴리머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물공급부(200)는 물공급공(210)과 물주입관(220)을 포함한다.
물공급공(210)은 일단프레임(110)에 형성된다.
또한 물주입관(220)은 일단부가 물공급공(210)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혼합팬(440)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이 물공급공(210)과 물주입관(220)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펌프(230)를 포함한다.
또한 혼합팬(44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팬몸체(442)와 물유입공(444), 팬블레이드(446) 및 혼합가이드부(448)를 포함한다.
혼합팬몸체(442)는 회전샤프트(430)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물유입공(444)은 혼합팬몸체(442)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물이 공급된다.
팬블레이드(446)는 혼합팬몸체(442)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각 사이에 물유입공(444)과 연통되는 물유출공(447)을 형성한다.
또한 혼합가이드부(448)는 혼합팬몸체(442)의 타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액상폴리머주입공(420)을 통해 주입되는 액상폴리머(1)을 팬블레이드(446)의 물유출공(447)에서 유출되는 물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팬블레이드(446)는 중앙부에서 외주방향으로 갈수록 일정 호로 형성된다.
그리고 혼합구동부(460)에 의해 고속 회전되는 혼합팬(440)은 자흡력이 발생되어 물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물이 물유입공(444)으로 용이하게 흡입된 후, 물유출공(447)으로 유출된다.
이와 동시에, 액상폴리머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액상폴리머는 혼합가이드부(448)를 통해 혼합팬(440)의 후측에서 물유출공(447)으로 공급되어 혼합률을 향상시킴은 물론, 용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고속 회전에 의한 높은 에너지(와류)에 의해 단시간에 액상폴리머를 혼합 및 용해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의 향상에 따른 약품비 절감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가이드부(448)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각 사이에 액상폴리머가이드홈(4484)을 형성하는 혼합가이드블레이드(4482)로 액상폴리머(1)을 균일하게 공급한다.
이 각 혼합가이드블레이드(4482)는 중앙부에서 외주방향으로 갈수록 일정 호로 형성된다.
이에, 액상폴리머(1)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공급하여 물과의 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액상폴리머가이드홈(4484)의 저면은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오목하게 굴곡형성되어 액상폴리머(1)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가이드부(448)는 혼합가이드공(4486)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이 혼합가이드공(4486)은 혼합팬(440)의 혼합팬몸체(442)에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가이드공(4486)은 혼합팬(440)의 각 물유출공(447)과 연통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물과의 혼합율을 향상시켜 용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혼합가이드공(4486)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류부(5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베이스프레임(510)과 메인배플플레이트(520) 및 서브배플플레이트(530)를 포함한다.
정류베이스프레임(510)은 물주입관(22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또한 메인배플플레이트(520)는 복수의 배플가이드공(522)을 갖고, 정류베이스프레임(51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이 메인배플플레이트(520)의 배플가이드공(522)을 통해 혼합물이 통과되는 것으로, 혼합팬(440)에 의해 형성된 혼합물을 더욱 와류시켜 액상폴리머(1)에서 오일과 폴리머를 분리시켜 폴리머의 용해율을 향상시킨다.
서브배플플레이트(530)는 용해챔버(10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정류베이스프레임(51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이 서브배플플레이트(530)는 메인배플플레이트(520)의 배플가이드공(522)을 통과하며 와류를 형성한 혼합액이 충돌하여 액상폴리머(1)을 더욱 분해시켜 물에 용해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배플가이드공(522)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배플가이드공(5222)과 제2배플가이드공(5224)을 포함한다.
제1배플가이드공(5222)은 메인배플플레이트(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배플가이드공(5224)은 메인배플플레이트(520)의 중앙부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여기서, 각 제2배플가이드공(5224)은 인접한 두 개의 제1배플가이드공(5222)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각 제1배플가이드공(5222)과 제2배플가이드공(5224)은 일정 호를 갖는 장공으로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용해혼합부(400)에서 혼합된 혼합액이 혼합액배출부(600) 방향으로 이동되되,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동된다.
여기서, 제1배플가이드공(5222)과 제2배플가이드공(5224)의 경사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와류각도를 설정된다.
이때, 제1배플가이드공(5222)과 제2배플가이드공(5224)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혼합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제1배플가이드공(5222)과 제2배플가이드공(5224)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배플가이드공(5222)을 통과한 혼합액과 제2배플가이드공(5224)을 통과한 혼합액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각 와류의 충돌을 가이드하여 액상폴리머(1)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킨다.
일 실시 예로, 제1배플가이드공(5222)을 통과한 혼합액은 중앙부로 가이드하고, 제2배플가이드공(5224)을 통과한 혼합액은 가장자리로 가이드한다.
이에,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의 와류층을 형성하며, 서브배플플레이트(530)에 충돌함에 따라, 각 와류가 혼합되어 액상폴리머(1)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킨다.
그리고 각 배플가이드공(5222, 5224)은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이에, 각 배플가이드공(5222, 5224)을 통과한 혼합액은 통과속도를 증가시켜 와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부(500)는 제2정류부(700)를 더 포함한다.
제2정류부(700)는 정류부(500)를 거쳐 분리 및 용해된 혼합물이 2차 충돌하여 액상폴리머(1)에서 폴리머(2)의 분리 및 용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2정류부(700)는 제2서브배플플레이트(710)로 물주입관(220)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용해챔버(100)에 설치되되, 외주에서 중앙방향으로 갈수록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이동되는 혼합액은 제2서브배플플레이트(710)에 충돌되어 액상폴리머(1)의 분리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러한 제2서브배플플레이트(710)는 복수의 제2배플가이드공(712)이 형성되어 혼합액의 일부가 통과되며, 나머지 혼합액을 개방된 제2서브배플플레이트(710)의 중앙부를 통해 이동된다.
이에, 혼합액의 충돌과 정체 및 이동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 : 폴리머 용해장치 100 : 용해챔버
200 : 물공급부 300 : 액상폴리머공급부
310 : 액상폴리머공급공 320 : 공급밸브
330 : 공급펌프 400 : 용해혼합부
410 : 혼합설치공 420 : 액상폴리머주입공
430 : 회전샤프트 440 : 혼합팬
450 : 혼합밀폐부 460 : 혼합구동부
500 : 정류부 600 : 혼합액배출부
700 : 제2정류부

Claims (10)

  1. 내부에 용해공간부를 갖는 용해챔버;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용해챔버의 용해공간부로 액상폴리머을 공급하기 위한 액상폴리머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회전시켜 상기 액상폴리머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액상폴리머와 혼합시킴에 따라 액상폴리머에서 폴리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폴리머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용해혼합부;
    상기 용해혼합부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 혼합액의 와류를 가이드하여 폴리머의 분리를 보조하며, 분리된 폴리머의 용해를 보조하기 위한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 통과한 혼합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혼합액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해챔버는, 일단프레임; 상기 일단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타단프레임; 상기 일단프레임과 타단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에 용해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중간프레임; 및 상기 중간프레임과 일단프레임, 중간프레임과 타단프레임을 각각 밀폐되도록 연결하는 챔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해혼합부는, 상기 타단프레임에 형성되는 혼합설치공; 상기 혼합설치공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혼합설치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액상폴리머주입공; 상기 혼합설치공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됨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여 공급된 물과 액상폴리머을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팬; 상기 회전샤프트와 혼합설치공 사이를 밀폐시켜 물이 상기 혼합설치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회전샤프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밀폐시키는 혼합밀폐부; 및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혼합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밀폐부는, 상기 혼합설치공의 단부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액상폴리머주입공에 위치되는 밀폐부재; 상기 혼합팬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구비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폐지지판; 상기 밀폐부재에 접하기 위한 밀폐마개; 및 상기 밀폐지지판과 밀폐마개 사이에 구비되어 밀폐마개를 상기 밀폐부재로 가압하기 위한 밸브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혼합팬과 혼합샤프트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밀폐마개가 밀폐부재로의 가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팬은,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혼합팬몸체;
    상기 혼합팬몸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유입공;
    상기 혼합팬몸체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각 사이에 상기 물유입공과 연통되는 물유출공을 형성하는 팬블레이드; 및
    상기 혼합팬몸체의 타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액상폴리머주입공을 통해 주입되는 액상폴리머을 상기 팬블레이드의 물유출공에서 유출되는 물로 가이드하기 위한 혼합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폴리머공급부는,
    상기 용해공간부로 액상폴리머을 공급하도록 상기 타단프레임에 형성되는 액상폴리머공급공;
    상기 액상폴리머공급공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액상폴리머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상폴리머주입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공급밸브; 및
    상기 액상폴리머공급공으로 액상폴리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액상폴리머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 공급될 경우, 상기 공급밸브가 액상폴리머주입공을 개방시켜 액상폴리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일단프레임에 형성되는 물공급공; 및
    일단부가 상기 물공급공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혼합팬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물주입관;을 포함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물주입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정류베이스프레임;
    복수의 배플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정류베이스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팬에 의해 형성된 혼합물을 더욱 와류시키기 위한 메인배플플레이트; 및
    상기 용해챔버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정류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배플플레이트의 배플가이드공을 통과하며 와류를 형성한 홉합액이 충돌하여 액상폴리머을 더욱 분해시켜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서브배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가이드공은,
    상기 메인배플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1배플가이드공; 및
    상기 메인배플플레이트의 중앙부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2배플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를 거쳐 분리 및 용해된 혼합물이 2차 충돌하여 폴리머의 분리 및 용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KR1020190025972A 2019-03-06 2019-03-06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KR10202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72A KR102025042B1 (ko) 2019-03-06 2019-03-06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72A KR102025042B1 (ko) 2019-03-06 2019-03-06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042B1 true KR102025042B1 (ko) 2019-09-24

Family

ID=6806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72A KR102025042B1 (ko) 2019-03-06 2019-03-06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070A (ko) * 2019-10-01 2021-04-09 한국화학연구원 입도제어 가능한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CN117482835A (zh) * 2024-01-02 2024-02-02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松材线虫的杀线剂混合装置及其混合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520B1 (ko) * 2012-07-18 2012-12-07 (주)이화에코시스템 급속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KR20130099200A (ko) * 2010-12-29 2013-09-05 옌타이 완후아 폴리우레탄 코., 엘티디 고속 혼합 반응기 및 그의 사용방법
US20140043931A1 (en) * 2012-08-08 2014-02-13 Edwin Figueroa Container with Internal Structure for Mixing
KR101380679B1 (ko) * 2012-11-12 2014-04-02 이인티에스주식회사 폴리머 용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200A (ko) * 2010-12-29 2013-09-05 옌타이 완후아 폴리우레탄 코., 엘티디 고속 혼합 반응기 및 그의 사용방법
KR101209520B1 (ko) * 2012-07-18 2012-12-07 (주)이화에코시스템 급속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US20140043931A1 (en) * 2012-08-08 2014-02-13 Edwin Figueroa Container with Internal Structure for Mixing
KR101380679B1 (ko) * 2012-11-12 2014-04-02 이인티에스주식회사 폴리머 용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070A (ko) * 2019-10-01 2021-04-09 한국화학연구원 입도제어 가능한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KR102333426B1 (ko) * 2019-10-01 2021-12-02 한국화학연구원 입도제어 가능한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CN117482835A (zh) * 2024-01-02 2024-02-02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松材线虫的杀线剂混合装置及其混合方法
CN117482835B (zh) * 2024-01-02 2024-03-15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松材线虫的杀线剂混合装置及其混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042B1 (ko)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KR100472620B1 (ko) 교반기
WO2011071205A1 (ko) 유체 혼합장치
CN109310959B (zh) 搅拌或弥散装置以及搅拌或弥散布置
KR101672657B1 (ko) 습식 과립화 장치
JPH10296065A (ja) 混合方法および混合装置
CN217042144U (zh) 上进料粉液混合装置
US10780406B2 (en) Mixing device with integrated delivery pump
US1496641A (en) Mixing, incorporating, and disintegrating machine
US20080002520A1 (en) Fluid blending methods utilizing either or both passive and active mixing
KR102333426B1 (ko) 입도제어 가능한 고속 순간 혼화방식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JP6692104B1 (ja) 二軸式分散機
JP4855051B2 (ja) 高分子凝集剤等粉体の分散装置
JP6534482B2 (ja) 二軸式分散機
JP2620919B2 (ja) 液体と他の物質の混合方法及び混合装置
JP3073685U (ja) 均質化装置
CN104289129B (zh) 适于pvc的搅拌混料器
KR100757403B1 (ko) 자동판매기용 믹싱장치
KR0137785Y1 (ko) 분말 공급장치
JPH10337505A (ja) 防除機の薬剤導出装置
KR101919539B1 (ko) 슬래그 교반 장치
CN206240421U (zh) 食品级固液物料混均机
KR20230064226A (ko) 화장품 용기
KR100757404B1 (ko) 자동판매기용 믹싱장치
KR200194030Y1 (ko) 교반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