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857B1 -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857B1
KR102024857B1 KR1020190060644A KR20190060644A KR102024857B1 KR 102024857 B1 KR102024857 B1 KR 102024857B1 KR 1020190060644 A KR1020190060644 A KR 1020190060644A KR 20190060644 A KR20190060644 A KR 20190060644A KR 102024857 B1 KR102024857 B1 KR 10202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tution
filamentous
snp
expressed
unre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962A (ko
Inventor
한진
김상욱
김형규
서대윤
이희탁
소지호
김종열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8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analysis involving nucleotides or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 돌연변이를 이용한 사상체질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각 체질별 발현되는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는 사상체질 중 특정 체질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그 외 체질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므로 상기 체질별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준 지표로 이용하여 개인의 사상체질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사상체질의 유전성에 근거하여 개인의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에 근거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전자를 이용한 종래 사상체질 진단방법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정확한 사상체질을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유전자 돌연변이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사상체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치료 등 임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Composition for diagnosing Soeumin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상체질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상의학은 한국 전통의학의 고유한 체질의학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치료법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사상체질의 판단 지표는 체형, 외모, 성격, 신체 중 취약한 부분, 잘 걸리는 질병 등으로 여러 가지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사상 체질을 진단한다.
기존의 사상체질 진단은 상기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거하여 한의사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진단한다. 그러나, 상기 지표들이 객관적인 기준을 갖지 못하여 체질을 진단하는 한의사에 따라 같은 사람에 대해 다른 체질로 진단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사상체질 진단의 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이에 따라 체질 판단의 지표가 되는 신체 특징들이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사상체질과 관련한 치료법 및 관련 약재의 개발은 한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사상체질 진단에 대한 명확한 객관적 지표가 떨어져 치료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이를 보완하고자 설문 형식의 QSCC, 지문을 이용한 지문 인식기, 맥파를 이용하는 맥진기 등의 제품이 출시되었으나 이 또한 객관적인 기준을 세우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이에 대해 한의학계에서는 이를 표준화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동의수세보원에 의하면, 체질은 선천적이며 일생에 걸쳐서 변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생물학적으로는 유전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의 모든 생물학적 형질은 유전자의 정보를 근간으로 발현되는 것이며, 따라서, 사상의학에서 제시하는 체질적 속성 역시 유전자가 지닌 형질에 내재 되어 있는 속성이라 할 수 있다.
유전성을 이용하여 사상체질과 연관된 유전체 부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사상체질과 뚜렷하게 연관된 유전자를 밝히거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유전적 지표를 밝혀내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사상체질 진단 방법이 가지고 있는 비과학성, 비객관성,낮은 정확도 및 재현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사상체질을 유전성에 근거하여 구분하고자 하며, 한의학적 구분 기준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90343호(2011.11.3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체질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SNP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상체질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체질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SNP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피험자 군을 모집하는 제 1단계, 상기 임의의 피험자에게 사상체질 진단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제 2단계, 상기 사상체질 진단 설문조사 및 사상체질 분석 툴(sasang constitutional analysis tool, SCAT)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사상체질을 진단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임의의 피험자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하는 제 4단계, 상기 혈액 시료에서 단백질 코딩 영역의 염기서열 획득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획득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각 체질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SNP의 검출 빈도를 측정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체질별 발현되는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는 사상체질 중 특정 체질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그 외 체질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므로 상기 체질별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준 지표로 이용하여 개인의 사상체질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사상체질의 유전성에 근거하여 개인의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에 근거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전자를 이용한 종래 사상체질 진단방법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정확한 사상체질을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유전자 돌연변이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사상체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치료 등 임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피험자 모집 및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태양인(TY), 태음인(TE), 소양인(SY) 및 소음인(SE)에서 발현되는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공통 유전자 돌연변이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피험자의 유전자 돌연변이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A) 소음인, (B) 소양인, (C) 태음인 및 (D) 태양인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돌연변이 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피험자의 동질성을 최대로 한 모집군의 혈액세포 유전자를 이용하여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체질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돌연변이 군을 발견하였으며, 사상체질 진단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돌연변이 군이 진단의 객관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사상체질 진단 툴(sasang constitutional analysis tool, SCAT)”은 사상체질을 진단하기 위해 한의학연구원에서 개발한 것으로, 안면, 음성, 체형 및 설문의 종합적 체질요소에 대하여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으며, 체계적인 체질 병증약리 기준을 바탕으로 23개 한방 기관에서 획득한 한의학계 최대 규모인 3천여 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상체질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 기술을 확보한 진단 툴이다(J Sasang Constitut Med 2016;28(1):1-10). 상기 사상체질 진단 툴은 전문가의 체질진단에 공통 기준을 도출함으로써 체질진단의 표준화 기여 및 체질기반 생리학적 질환 연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법(whole exome sequencing, WES)”은 전체 유전체 영역의 일부분인 단백질 코딩 영역만을 표적으로 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시간 및 비용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유전자 변이를 분석할 수 있다. 엑솜은 대략적으로 게놈(genome)의 1%에 불과하지만 질병 유발 변이의 85% 정도를 차지하며, 6,800가지가 넘는 희귀 질환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rs114918214, rs140374173, rs182093842, rs200947466, rs187802437, rs77554651 및 rs78242165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중 태양인을 진단하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rs115707133, rs138635992, rs139491266, rs140079625, rs148674116, rs148791867, rs151045610, rs180834558, rs182912549, rs185455119, rs186054339, rs200619114, rs61739477 및 rs7454827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SNP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중 태음인을 진단하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rs118007790, rs138147609, rs139155473, rs144026046, rs144432562, rs17103147, rs200171942, rs201721125 및 rs3745433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SNP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중 소양인을 진단하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rs111241405, rs117194634, rs117199696, rs117837843, rs139864900, rs145698850, rs186936079, rs201025211, rs201329545, rs2306322, rs35972858, rs36084898, rs3745674, rs3841875, rs413042, rs71270423, rs7218917, rs75696429, rs76113658, rs76754479, rs77291182 및 rs7729118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SNP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중 소음인을 진단하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피험자 군을 모집하는 제 1단계, 상기 임의의 피험자에게 사상체질 진단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제 2단계, 상기 사상체질 진단 설문조사 및 사상체질 분석 툴(sasang constitutional analysis tool, SCAT)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사상체질을 진단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임의의 피험자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하는 제 4단계, 상기 혈액 시료에서 단백질 코딩 영역의 염기서열 획득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획득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각 체질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SNP의 검출 빈도를 측정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5단계의 단백질 코딩 영역의 염기서열은 혈액 시료에서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whole exome sequencing, WES)을 수행하여 획득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6단계는 각 체질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SNP가 임의의 피험자가 진단된 체질에서 최소 3회 이상의 빈도로 검출되며 타 체질에서는 검출 빈도가 0회일 때, 체질별 발현되는 SNP로 선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피험자 시료 모집
소규모 유전자 실험에서 시료 간의 연령, 생리, 병리 및 환경적 차이는 실험 결과에 노이즈(noise)로 작용하기 때문에, 피험자의 동질성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본 피험자는 22 내지 24세의 좁은 연령 분포를 가지며 질병 요인이 배제된 의과 남자 대학생으로 연령, 생리, 병리 및 환경적 차이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시료 모집을 위하여, 시료 모집 기관은 인제대학교 부산 백병원 임상시험센터로 지정하였다.
실시예 2 : 사상체질 진단 프로세스
실시예 1에서 모집한 피험자는 한의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사상체질 진단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한의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사상체질 분석 툴(sasang constitutional analysis tool, SCAT)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사상체질을 진단하였다. 사상체질 진단 툴은 얼굴 모양, 음성, 체형을 포함하는 정보와 설문조사 정보를 수치화 및 객관화하여 사상체질을 진단한다. 마지막으로, 사상체질 전문 한의사의 최종 평가 후, 피험자의 사상체질을 확정하였다. 상기 사상체질 진단 프로세스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피험자 31명 중 태양인 3명, 태음인 10명, 소양인 8명, 소음인 10명으로 진단되었으며, 이전 실험의 분석 시료와 본 실험의 분석 시료 및 분석 방법의 차이점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전 실험의 분석 시료 본 실험의 분석 시료
체질별 최종 시료 수 태양인 4명, 태음인 207명,
소양인 150명, 소음인 119명
태양인 3명, 태음인 10명, 소양인 8명, 소음인 10명
연령 분포 10 내지 80세 이상 21 내지 26세
평균 연령 - 22.3 ± 1.4
성별 남성: 201명, 여성: 279명 남성: 31명
질병 보유 알 수 없음 비질환
환경 변수 가족 연구집단 생활 패턴이 유사한
최소 단일 직업군
시료 채취 시기 및
채취 환경
채취 시기 및 채취 환경이 다양 동일 시기 및 공복 조건
분석 방법 짧은 연쇄 반복
(short tandem repeat, STR)
유전형 분석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
피험자의 혈액은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으로 코팅되어 있는 항응고제 튜브로 채혈한 다음 -4℃에 냉동보관 하였다. 냉동된 혈액 시료는 유전자 검사등록 인증 기관인 DNA link로 전달하여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whole exome sequencing, WES)을 수행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4 : 전체 엑솜 염기서열 결과 분석
실시예 3에서 얻은 각 시료별 염기서열은 GSEA(gene set enrichment analysis) (http://software.broadinstitute.org/gsea), OMIM(online mendelian inheritance in man) (https://www.omim.org) 및 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http://www.gwascentral.org)의 유전자 시스템 분석 툴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태양인(TY), 태음인(TE), 소양인(SY) 및 소음인(SE)의 4가지 체질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태양인에서 발현되는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 수는 1986개, 태음인에서 발현되는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 수는 3291개, 소양인에서 발현되는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 수는 3070개, 소음인에서 발현되는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 수는 3344개로 확인되었다. 또한, 두 개의 체질에서 발현되는 공통 유전자 돌연변이 수, 세 개의 체질에서 발현되는 공통 돌연변이 수 또는 네 개의 체질 모두에서 발현되는 공통 돌연변이 수 등 체질별 조합에 의한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 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 체질별 유전자 돌연변이 세트
도 3은 실시예 4에서 얻은 유전자 돌연변이 데이터 베이스로 각 피험자가 소속된 체질에서 최소 3회 이상의 빈도로 검출되며, 타 체질에서는 검출 빈도가 0회인 체질별 특이적 유전자 돌연변이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A) 소음인에서 돌연변이가 발현되는 유전자 19개(HSPBAP1, KNTC1, VIPR1-AS1, COBLL1, C6orf163, C14orf166B, ACO58, PRB4, NT5C1B-RDH14, CC2D1A, SKOR2, RNF166, DtAPH3, TMEM176A, SCN4A, FAM132B, PPIG, SPOCK2, DNM2), (B) 소양인에서 돌연변이가 발현되는 유전자 7개(METTL1, SULT1A2, TTYH1, VWA2, PSMA6, PACSIN2, LPCAT2), (C) 태음인에서 돌연변이가 발현되는 유전자 11개(CHD1, SP4, MICAL3, FLNC, ARL5C, KLC3, PRG3, OR4M2, TNK2, OR5D13, MNT), (D) 태양인에서 돌연변이가 발현되는 유전자 6개(RP11-274B21.1, SHKBP1, PCDP1, FAM211A, MYCBPAP, C1orf222)에서 SNP의 검출 빈도를 측정하여 각 체질별 발현되는 SNP를 확정하였으며, 사상체질별 SNP Accession number, 돌연변이 종류 및 검출 빈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상
체질
타입
유전자 NCBI SNP Accession No. 검출
빈도
HGVS.p(돌연변이 종류)
SE HSPBAP1 rs71270423 6 p.Pro456_Gln457insSer
_부분에 Ser이 들어간 mutation임
즉, Pro'Ser'Gln이 된 것임
SE KNTC1 unreported SNP 3 p.Phe684Tyr
Heetak_LEE_main 684에 원래 Phe이 있었으나 Tyr로 mutation됨
SE KNTC1 unreported SNP 3 p.Phe721Tyr
SE KNTC1 rs186936079 3 p.Leu1511Phe
SE KNTC1 unreported SNP 2 p.Lys106Asn
SE KNTC1 unreported SNP 2 p.Lys1110Asn
SE KNTC1 unreported SNP 2 p.Lys2185Asn
SE KNTC1 rs75696429 2 p.Val71Gly
SE KNTC1 rs186936079 3 p.Leu70Phe
SE KNTC1 rs75696429 2 p.Val1512Gly
SE VIPR1-AS1 rs413042 5 intron_variant
SE COBLL1 rs3841875 4 p.Ser1210fs
Ser1210 이후에 mutation에 의한 frame shift(fs)가 발생
그 이후의 peptide sequence는 알지 못 함
SE COBLL1 rs3841875 4 p.Ser1181fs
SE COBLL1 rs3841875 4 p.Ser1143fs
SE COBLL1 rs3841875 4 p.Ser1105fs
SE C6orf163 rs9353479 5 p.Ala72Val
SE C14orf166B rs201329545 2 p.Lys449Asn
SE C14orf166B rs139864900 3 p.Ile132Thr
SE C14orf166B unreported SNP 2 p.Glu139Lys
SE C14orf166B unreported SNP 2 p.Glu122Lys
SE ACOT8 rs201025211 4 p.Met1fs
SE NT5C1B-RDH14 unreported SNP 2 p.Ser176Trp
SE NT5C1B-RDH14 rs145698850 3 p.Gly353Arg
SE NT5C1B-RDH14 unreported SNP 2 p.Ser118Trp
SE NT5C1B-RDH14 rs145698850 3 p.Gly411Arg
SE CC2D1A rs76113658 3 p.Ala338Thr
SE CC2D1A unreported SNP 2 p.Glu363Lys
SE CC2D1A unreported SNP 2 p.Glu909Lys
SE CC2D1A unreported SNP 2 p.Glu910Lys
SE SKOR2 rs77291182 2 p.Pro927Leu
SE SKOR2 unreported SNP 2 p.Ser899Cys
SE SKOR2 unreported SNP 2 p.Pro291del
SE RNF166 rs117837843 4 p.Arg134Met
SE DIAPH3 rs36084898 4 p.Asn293Ser
SE DIAPH3 rs36084898 4 p.Asn352Ser
SE DIAPH3 rs36084898 4 p.Asn363Ser
SE DIAPH3 rs36084898 4 p.Asn317Ser
SE TMEM176A rs35972858 4 p.Gly63Asp
SE TMEM176A rs35972858 4 p.Gly52Asp
SE TMEM176A rs35972858 4 p.Gly111Asp
SE SCN4A unreported SNP 2 p.Val1589Ala
SE SCN4A rs7218917 3 synonymous codon
SE FAM132B rs111241405 3 p.Ala260Ser
SE FAM132B rs117194634 3 p.Val185Met
SE FAM132B rs117199696 2 p.Ala81Ser
SE PPIG rs76754479 4 p.Thr76Met
SE SPOCK2 rs2306322 4 p.Gly353Ser
SE DNM2 rs3745674 4 p.Pro263Leu
SE DNM2 rs3745674 4 p.Pro15Leu
SY METTL1 rs118007790 5 p.Ser46Phe
SY SULT1A2 rs138147609 3 p.Glu217*
Glu184가 Termination codon(*)으로 바뀜
SY SULT1A2 unreported SNP 2 p.Val176Gly
SY SULT1A2 rs138147609 3 p.Glu184*
SY TTYH1 rs3745433 2 p.Gly86Arg
SY TTYH1 rs3745433 2 p.Gly21Arg
SY TTYH1 rs3745433 2 p.Gly82Arg
SY TTYH1 rs144026046 3 p.Gln51*
SY TTYH1 rs3745433 2 p.Gly135Arg
SY VWA2 rs200171942 3 p.Arg591Trp
SY VWA2 rs201721125 2 p.Ser378Cys
SY PSMA6 rs17103147 4 p.Arg5Trp
SY PACSIN2 rs139155473 4 p.Cys27Phe
SY LPCAT2 unreported SNP 2 p.Ser51fs
SY LPCAT2 unreported SNP 2 p.Ser194fs
SY LPCAT2 rs144432562 3 p.Arg167*
TE CHD1 rs138635992 5 p.Pro1684del
Pro1684가 deletion됨
기존의 sequence가 LysProGlyMet였으나 mutation되면서 Lys_GlyMet으로 바뀜
TE SP4 rs139491266 4 p.Leu241Val
TE MICAL3 unreported SNP 2 p.Thr122Ile
TE MICAL3 rs148674116 2 p.Gly309Ser
TE MICAL3 unreported SNP 2 p.Thr1829Ile
TE MICAL3 rs61739477 2 p.Val319Ile
TE MICAL3 unreported SNP 2 p.Thr84Ile
TE FLNC rs180834558 3 p.Leu2538Phe
TE FLNC unreported SNP 2 p.Ser589Leu
TE FLNC rs180834558 3 p.Leu2505Phe
TE ARL5C rs151045610 4 p.Trp171Arg
TE KLC3 rs186054339 2 p.Ala219Ser
TE KLC3 rs182912549 2 p.Glu333Lys
TE KLC3 unreported SNP 2 p.Arg440_Gly441insGluSerIleArgArg
TE KLC3 unreported SNP 2 p.Arg455_Gly456insGluSerIleArgArg
TE KLC3 unreported SNP 2 p.Arg441_Gly442insGluSerIleArgArg
TE KLC3 rs186054339 2 p.Ala189Ser
TE KLC3 rs182912549 2 p.Glu319Lys
TE KLC3 rs182912549 2 p.Glu318Lys
TE KLC3 rs186054339 2 p.Ala205Ser
TE KLC3 rs186054339 2 p.Ala204Ser
TE PRG3 rs115707133 4 p.Cys215*
TE OR4M2 rs140079625 4 p.Ile200Met
TE TNK2 rs148791867 2 p.Pro402Leu
TE TNK2 unreported SNP 2 p.Arg6Leu
TE TNK2 rs148791867 2 p.Pro434Leu
TE TNK2 rs200619114 2 p.Leu198Gln
TE TNK2 rs200619114 2 p.Leu589Gln
TE TNK2 rs200619114 2 p.Leu667Gln
TE TNK2 rs148791867 2 p.Pro465Leu
TE TNK2 rs200619114 2 p.Leu156Gln
TE TNK2 rs200619114 2 p.Leu621Gln
TE OR5D13 rs74548274 4 p.Gln198*
TE MNT unreported SNP 2 p.Arg232fs
TE MNT rs185455119 3 p.Gly32Arg
TY RP11-274B21.1 rs77554651 3 splice donor variant
TY SHKBP1 unreported SNP 2 p.Gln111Glu
TY SHKBP1 rs114918214 2 p.Ala207Thr
TY SHKBP1 rs114918214 2 p.Ala130Thr
TY SHKBP1 rs114918214 2 p.Ala201Thr
TY PCDP1 rs182093842 2 p.Met105Ile
TY PCDP1 rs200947466 2 p.Gly611Arg
TY PCDP1 rs200947466 2 p.Gly325Arg
TY PCDP1 rs187802437 2 p.Pro106Thr
TY PCDP1 rs200947466 2 p.Gly38Arg
TY PCDP1 rs200947466 2 p.Gly169Arg
TY FAM211A rs140374173 3 p.Arg210*
TY MYCBPAP rs78242165 3 p.Ala535Val
TY MYCBPAP rs78242165 3 p.Ala546Val
TY MYCBPAP rs78242165 3 p.Ala572Val
TY MYCBPAP rs78242165 3 p.Ala5Val
TY C1orf222 unreported SNP 2 p.Thr111Met
TY C1orf222 unreported SNP 2 p.Pro45Leu
TY C1orf222 unreported SNP 2 p.Pro167Leu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rs111241405, rs117194634, rs117199696, rs117837843, rs139864900, rs145698850, rs186936079, rs201025211, rs201329545, rs2306322, rs35972858, rs36084898, rs3745674, rs3841875, rs413042, rs71270423, rs7218917, rs75696429, rs76113658, rs76754479, rs77291182 및 rs77291182의 SNP를 검출하기 위한 제제를 포함하는 사상체질 중 소음인을 진단하는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
KR1020190060644A 2019-05-23 2019-05-23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 KR10202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44A KR102024857B1 (ko) 2019-05-23 2019-05-23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44A KR102024857B1 (ko) 2019-05-23 2019-05-23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148A Division KR101983985B1 (ko) 2017-01-11 2017-01-11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상체질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962A KR20190060962A (ko) 2019-06-04
KR102024857B1 true KR102024857B1 (ko) 2019-09-24

Family

ID=6681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644A KR102024857B1 (ko) 2019-05-23 2019-05-23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59B1 (ko) * 2019-06-21 2020-12-22 한국한의학연구원 사상체질 중 소양인 진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93657B1 (ko) * 2019-06-21 2020-12-22 한국한의학연구원 사상체질 중 태음인 진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93658B1 (ko) * 2019-06-21 2020-12-22 한국한의학연구원 사상체질 중 소음인 진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43B1 (ko) * 2009-05-14 2011-12-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사상체질 진단용 다중 snp 마커,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및 그를 이용한 사상체질 진단용 키트
KR101546058B1 (ko) * 2013-11-21 2015-08-2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사증후군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17.05.26.) 6(2):165-178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2) 18(11):1070-1080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2) 18(3):262-26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962A (ko)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ayyeri et al. The UK adult twin registry (TwinsUK resource)
Ganna et al. Quantifying the impact of rare and ultra-rare coding variation across the phenotypic spectrum
Hicks et al. Salivary miRNA profiles identif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orrelate with adaptive behavior, and implicate ASD candidate genes involved in neurodevelopment
KR102024857B1 (ko) 소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인 진단방법
Tabarestani et al. A distributed multitask multimodal approach for the prediction of Alzheimer’s disease in a longitudinal study
JP6420543B2 (ja) ゲノムデータ処理方法
Norland et al. Sequence variants with large effects on cardiac electrophysiology and disease
KR101805597B1 (ko) 질병 관련 유전체 분석 서비스 방법
Shah et al. Population genomics of cardiometabolic traits: design of the university college london-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edinburgh-bristol (UCLEB) consortium
EP1244047A2 (en) Method for providing clinical diagnostic services
JP2014508994A5 (ko)
KR101983985B1 (ko) 사상체질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상체질 진단방법
Zhao et al. Efficacy of copy-number variation sequencing technology in prenatal diagnosis
Grigoriadis et al. Investig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enome associations in the ‘UK Lipoedema’cohort
Johnson et al. The UCLA ATLAS Community Health Initiative: promoting precision health research in a diverse biobank
KR102024856B1 (ko) 소양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양인 진단방법
KR102024855B1 (ko) 태음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태음인 진단방법
Vandenberg et al.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Ediae et al. The implementation of an enhanced clinical model to improve the diagnostic yield of exome sequencing for patients with a rare genetic disease: A Canadian experience
Campaner et al. Manipulative evidence and medical interventions: some qualifications
Wight et al. Chromosome loci vary by juvenile myoclonic epilepsy subsyndromes: linkage and haplotype analysis applied to epilepsy and EEG 3.5–6.0 Hz polyspike waves
Cerri et al. Multi view based imaging genetics analysis on Parkinson disease
Lee et al. Multimodal integration of neuroimaging and genetic data for the diagnosis of mood disorders based on computer vision models
KR102224048B1 (ko) Snp를 이용한 정신질환 관련 유전체 분석 시스템 및 장치
Vidrová et al. Mitochondrial DNA haplogroups in the Czech population compare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