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549B1 -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549B1
KR102024549B1 KR1020190047008A KR20190047008A KR102024549B1 KR 102024549 B1 KR102024549 B1 KR 102024549B1 KR 1020190047008 A KR1020190047008 A KR 1020190047008A KR 20190047008 A KR20190047008 A KR 20190047008A KR 102024549 B1 KR102024549 B1 KR 10202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plate
plate
package
present
fol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강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Priority to KR102019004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을 포장하는 포장 박스로서,
제1보호판과, 이 제1보호판의 일측에 제1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제1측면보호판과, 상기 제1보호판의 하단에 제2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좌측 포장체; 제2보호판과, 이 제2보호판의 일측에 제1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제2측면보호판과, 상기 제2보호판의 상단 제2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상면보호판으로 이루어진 우측 포장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들 한쌍의 포장체를 각각 접어 끼워맞춤으로 조립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discrete type styrofoam packing box}
본 발명은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한쌍의 분할 박스체를 결합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접이식으로 구성된 각 박스체를 접거나 펼치며 끼워맞춤으로 조립되어 제품을 포장하는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와 같은 가전제품은 골판지로 제작된 외부 포장상자와, 제품을 감싸는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운반 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고, 내외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완충부재로는 펄프재질의 하니쿠션형 골판지와 스티로폼 또는 에어포켓 및 에어패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에어패드를 활용하는 포장은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10-0005172호의 택배용 충격흡수패드가 있다.
이 충격흡수패드는 포장박스의 내부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외측 에어패드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 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측 에어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러나 에어패드 및 에어포켓은 스티로품이 비해 완충 강도가 약하고, 에어를 별도 주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도 있다.
스티로폼은 발포 폴리스티렌의 상표명으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직육면체인 TV의 각 모서리 부위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 포장박스에 넣어지는 구성이다.
스티로폼을 이용한 완충부재의 다른 형태로 국내 공개특허 10-2013-0127672의 포장용 완충재가 있다. 이 완충재는, 발포폼이 커버체에 의하여 감싸여져 완충재가 형성되고, 그 완충재는 커버체의 내측에 발포폼이 내장되는 복수의 패드부와 커버체의 내측에 발포폼이 내장되지 않거나 패드부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발포폼이 내장되는 비충진부가 형성되어 비충진부에 위치하는 커버체에 의하여 패드부가 링크 연결되면서 패드부를 절첩하는 것으로, 상기 패드부는 패드부가 서로 인접하여 있는 비충진부측으로 패드부의 절첩각을 제어하기 위한 경사면이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완충부재 중 에어포켓과 패드는 스티로폼 만큼 제품을 보호하기 어렵고, 스티로폼은 제품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전면과 후면 또는 베이스판이 각각 별도로 성형되어 포장이 어렵고, 운반 후 제품을 개봉할 때도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분할 박스체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되, 각 박스체가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접거나 펼침이 용이하고, 한쌍의 분할 박스체가 끼워맞춤으로 조립되어 조립은 물론 개봉이 용이한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로폼으로 성형되어 포장 제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박스체가 분할되어 전체적으로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취급이 간편한 분리형 스티로품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전제품을 포장하는 포장 박스로서,
제1보호판과, 이 제1보호판의 일측에 제1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제1측면보호판과, 상기 제1보호판의 하단에 제2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좌측 포장체; 제2보호판과, 이 제2보호판의 일측에 제1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제2측면보호판과, 상기 제2보호판의 상단 제2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상면보호판으로 이루어진 우측 포장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들 한쌍의 포장체를 각각 접어 끼워맞춤으로 조립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보호판과 제1측면보호판, 제2보호판과 제2측면보호판 각각에 격벽이 끼워져 내부 포장 공간이 분할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이 형성된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한쌍의 포장체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것으로, 각 포장체가 접이식으로 성형되어 접거나 펼침이 용이하고, 여기에 2개의 포장체가 끼워맞춤으로 조립되어 포장 작업이 간편하고, 제품을 개봉할 때에도 용이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으로 성형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포장 제품을 보호하고, 포장박스가 분할되어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며, 또한 내부에 격벽을 세워 내부를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여러 부품을 구분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 양측 포장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측 포장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측 포장체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측 포장체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포장체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 양측 포장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측 포장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측 포장체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측 포장체의 일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포장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형 포장박스는 TV를 비롯하는 각종 가전 제품은 물론 육면체로 구성된 모든 제품을 포장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형 박스는 접이식으로 구성되고 스티로폼을 성형하여 구성된 것으로, 접거나 펼침이 용이하도록 절첩부가 형성되며, 이동 중 포장박스가 벌어지지 않도록 끼움부가 형성된 구성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10)는 한쌍의 포장체로 구성되고, 각각의 포장체는 3개의 면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포장체는 좌측과 우측으로 구성되고, 좌측 포장체(100a)는 제품 전면 또는 후면을 보호하는 제1보호판(200a)과, 상기 제1보호판의 측면에 위치하여 제품의 측면을 보호하는 제1측면보호판(300a)과, 제품이 올려지며 저면을 보호하는 베이스판(400a)으로 구성된다.
우측 포장체(100b)는 좌측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제품의 전면 또는 후면을 보호하는 제2보호판(200b)과, 제2측면보호판(200b)을 구비하고, 좌측포장체와 반대로 제품의 상면을 보호하는 상면보호판(400b)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보호판(100a)과 제1측면보호판(200a)과, 제2보호판(100b)과 제2측면보호판(200b) 각각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절첩부(20)가 구비되어 이를 중심으로 접어지거나 펼쳐지며, 상기 제1보호판(100a)과 베이스판(400a) 그리고 제2보호판(100b)과 상명보호판(400b)은 제2절첩부(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각각에 구비되는 제2절첩부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제1보호판의 우측에 제1측면보호판이 성형되어 있으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당연히 제1보호판 좌측에 제1측면보호판이 위치하는 경우 제2보호판의 우측으로 제2측면보호판이 위치하는 것이다. 또 베이스판과 상면보호판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 및 우측 포장체를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4의 우측 포장체는 제2보호판(200b)의 우측 단부에 제2측면보호판(300b)이 위치하고, 대향측에는 다른 포장체의 측면보호판이 끼워지는 측부요홈(210b)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면보호판(400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보호판(200b)에는 격벽(미도시)이 끼워져 포장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60b)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60b)은 측면보호판(300b)에도 형성되어 격벽이 2면에 걸처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은 좌측 포장체에도 형성되며, 여기서는 상부측에 위치하여 격벽이 각각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좌우측 포장체가 조립되었을 때 내부가 3개의 공간으로 나눠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측면보호판(300b)은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결착돌기(310b)(320b)가 형성되고, 측단부에는 측면돌출부(330b)가 돌출되어 좌측 포장체의 측부요홈(210a)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 결착돌기(310b)는 상면보호판에 마련된 홈부(410b)에 끼워지고, 하부 결착돌기(320b)는 좌측 포장체의 베이스판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판(400a)과 상면보호판(400b) 각각에는 도 3을 기준으로 할때 좌우측으로 각각 홈부(410a),(410b)가 마련되고, 도면과 같이 제2측면보호판(300b)에 형성된 상부결착돌기(310b)는 상면보호판(400b)의 우측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져 조립되고, 하부결착돌기(320b)는 상기 베이스판(400a)의 좌측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져 조립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1측면보호판(300a)의 상부 및 하부에 결착돌기(310a)(320a)가 구비되고, 이 좌측 포장체의 하부 결착돌기(310a)는 베이스판의 우측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져 조립되고, 상부 결착돌기(320a)는 상기 상면 보호판의 좌측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이다.
도면 부호 420a와 420b는 돌부로써, 각각은 대향측에 요부(220a)(220b)에 끼워지는 것이다.
첨부된 도 5는 좌측 포장체를 확대한 것이다.
이 좌측 포장체(100a)의 제1측면보호판(300a)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결착돌기(310a)(320a)가 구비되고, 제1측면보호판과 제1보호판 각각의 내측면 상부측에 격벽이 끼워지는 끼움홈(60a)이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제1보호판(200a)의 일측에는 상기 제1측면보호판이 위치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2보호판의 측면돌출부(330b)가 위치하는 측면 요홈(210a)이 형성되되어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부는 제1절첩부(20)와, 제2절첩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절첩부(20)는 제1, 2보호판과 제1,2 측면보호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절첩부는 제1,2보호판과 베이스판 또는 상면보호판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7은 우측 포장체에 구비된 제1절첩부이고, 도 8은 우측 포장체에 구비된 제2절첩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좌측 포장체의 제1 및 제2절첩부도 동일한 구성임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보호판과 측면보호판을 연결하며 측면보호판이 접어지도록 하는 상기 제1절첩부(20)는 제1경사면(21)과 제2경사면(22), 함몰부(23)와 결합돌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21)은 제2보호판에서 제2측면보호판으로 경사지고, 제2경사면(22)은 이와 반대로 제2측면보호판에서 제2보호판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이들 제1, 2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골이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경사면(21)의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함몰부(23)와 결합경사면(24)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22)에는 이 함몰부에 끼워지는 돌출부(25)와, 상기 결합경사면(24)이 끼워지는 삽입부(26)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1절첩부(20)는 제1,2 경사면 중앙의 골을 중심으로 접어지고, 측면보호판이 90°로 접어지면, 함몰부(23)에는 돌출부(25)가 끼워지고, 결합경사면(24)은 삽입부(26)에 끼워지는 즉 깍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쉽게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절첩부(40)는 보호판과 베이스판 또는 상면보호판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절첩부(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8과 같이 제2보호판에서 상면보호판 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41)과, 상면보호판에서 제2보호판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42) 그리고, 제1경사면에 형성되는 함몰부(43)와 결합경사면(44), 제2경사면에 형성된 돌출부(45)와 삽입부(46)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이용한 포장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한쌍의 포장체를 결합하여 육면체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2개의 포장체(100)를 구비하고, 각 포장체를 접어 포장을 준비하는 것이다.
먼저 제 1,2 측면보호판(300a)(300b)은 제1절첩부(20)를 중심으로 접는다. 다시 말해 제1절첩부(20)는 골부를 중심으로 접어지고, 함몰부(23)에는 돌출부(25)가 끼워지고, 결합경사면(24)은 삽입부(26)에 끼워져 측면보호판(300)이 자연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각 포장체에서 제1,2측면보호판이 접어지면, 좌측 포장체의 베이스판(400a)을 제2절첩부를 중심으로 접으면, 베이스판에 형성된 홉부가 제1측면보호판의 하부결착돌기에 끼워져 고정되고, 이때에서 제품을 안쪽으로 끼워넣는다.
제품이 끼워지면 우측 포장체를 조립하는데, 제2측면보호판의 하부결착돌기를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측면결착돌기는 측면 요홈에 각각 위치하고 베이스판에 형성된 돌부는 요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 포장체(100b)에서 상면보호판(400b)을 제2절첩부(40)를 중심으로 접으면, 상면보호판의 홈부 각각에 측면보호판 상단에 구비된 상부결착돌기가 끼워져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끼움홈(60a)(60b)에 격벽을 끼워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부품이 별도로 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장박스 100 : 포장체
200 : 제1보호판 300 : 측면보호판
400 : 제2보호판

Claims (4)

  1. 가전제품을 포장하는 포장 박스로서,
    제1보호판과, 이 제1보호판의 일측에 제1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제1측면보호판과, 상기 제1보호판의 하단에 제2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좌측 포장체;
    제2보호판과, 이 제2보호판의 일측에 제1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제2측면보호판과, 상기 제2보호판의 상단 제2절첩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상면보호판으로 이루어진 우측 포장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들 한쌍의 포장체를 각각 접어 끼워맞춤으로 조립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판과 제1측면보호판, 제2보호판과 제2측면보호판 각각에 격벽이 끼워져 내부 포장 공간이 분할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제1,2측면보호판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결착돌기를 구비하고, 베이스판과 상면보호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 및 하부 결착돌기가 끼워져 조립되는 홈부가 마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절첩부 각각은 한쌍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어 이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골을 중심으로 접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KR1020190047008A 2019-04-23 2019-04-23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KR10202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08A KR102024549B1 (ko) 2019-04-23 2019-04-23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08A KR102024549B1 (ko) 2019-04-23 2019-04-23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549B1 true KR102024549B1 (ko) 2019-09-24

Family

ID=6806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08A KR102024549B1 (ko) 2019-04-23 2019-04-23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5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1782A1 (en) * 2005-09-07 2007-03-08 Gary Lantz Variable-volume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KR20130127671A (ko) * 2012-05-15 2013-11-25 실드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접이식 포장용 완충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1782A1 (en) * 2005-09-07 2007-03-08 Gary Lantz Variable-volume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KR20130127671A (ko) * 2012-05-15 2013-11-25 실드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접이식 포장용 완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0796A1 (en) Shock-absorbing packaging device
WO2000041939A1 (en) Packaging for two associated articles
KR101922225B1 (ko) 충격방지용 포장박스
KR20170028959A (ko) 흡연 용품용 포장재
KR102024549B1 (ko)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WO2014190122A1 (en) Cigarette package
EP1901963B1 (en) Packing case of corrugated cardboard for protecting objects , with space for accessories above
KR20180055318A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102024553B1 (ko) 접이식 스티로폼 포장박스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KR20040099278A (ko) 절첩 가능한 저부 쉘을 구비한 담배 제품용 패키지
KR100687922B1 (ko) 포장상자
KR20150083717A (ko) 힌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JP3587244B2 (ja) 包装構造
JP2586209Y2 (ja) 中仕切り体付き包装用紙箱
KR200485662Y1 (ko) 포장용 종이 박스
KR101901274B1 (ko) 포장용 박스
KR200235873Y1 (ko) 과일 포장상자
JP3112352U (ja) 包装箱
CN210556125U (zh) 包装盒及包装产品组件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KR200345043Y1 (ko) 다기 세트 포장 및 진열용 상자
JP2002362540A (ja) 段ボール製梱包体
KR20000006250U (ko) 통풍공이 형성된 포장용 상자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