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960B1 -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60B1
KR102023960B1 KR1020190013705A KR20190013705A KR102023960B1 KR 102023960 B1 KR102023960 B1 KR 102023960B1 KR 1020190013705 A KR1020190013705 A KR 1020190013705A KR 20190013705 A KR20190013705 A KR 20190013705A KR 102023960 B1 KR102023960 B1 KR 10202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isododecane
dimethicone
silicone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Priority to KR102019001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 실리콘 검 및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25℃에서 동점도가 500,000~1,000,000cSt인 다이메티콘(Dimethico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모발의 상태를 개선하며, 그 지속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인체에 위험성이 없고, 환경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hair cosmetic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 실리콘 검과 아이소도데케인을 포함하여, 모발의 보습, 탄력 및 윤기를 향상시키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모발은 위치에 따라 각기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두피 모발은 두피의 손상을 방지하고, 눈썹과 속눈썹은 햇빛과 땀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두피모발은 최근 자신만의 개성과 자신감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또한 사람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히 두피모발에 대한 미용비용이 증가되면서 모발자체는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퍼머넌트 웨이브나 염색 및 탈색과 같은 화약약물을 모발에 처리하여 다양한 색 및 모양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강조하는 것은 현대인에게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이러한 잦은 퍼머넌트 웨이브나 염색, 탈색으로 인해 모발은 부드러움, 매끄러움 및 윤기 등이 저하되고 건조하여 푸석푸석진다.
따라서, 헤어세럼, 워터 에센스 등의 모발용 화장료를 이용하여 손상된 모발 보수, 윤기, 부드러움 증진 등을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발용 화장료들은 사용하고 난 후에 모발이 신속하게 건조되지 않을 경우, 두피 및 모발에 남아있는 수분으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증이나 각질, 염증 등이 유발되는 2차 문제를 일으키므로,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종래 모발용 화장료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다이메티콘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은 현재 모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먼저, 상기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은 실리콘계 오일로 합성하여 얻어지는 순수 합성물질로, 무색, 무취의 유동성 액체이며 표면 장력이 작아서 잘 퍼지며 발림성이 우수하며 끈적이지 않는 특징이 있다. 즉, 종래 피부 컨디셔닝제, 윤활제로 쓰이는데 수분 증발을 막으면서 번들거리지 않고, 피부를 매끈하게 만들어 주며, 휘발성이 있어서 바를 때 시원한 느낌이 있다. 그래서 기초제품은 물론 색조제품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헤어 제품에서는 모발을 부드럽게 하여 엉키지 않게 유지시켜 준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은 암 유발 가능성, 장기에 대한 독성, 축적, 내분비 호르몬 교란, 잔류와 축적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안전평가원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사이클로펜타실록산(D5)의 경우에는 2018년 1월 10일자로 EU REACH에서 사용제한 원료로 지정한 바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은 씻어내는 화장품(Wash-off cosmetic products)인 경우 함량을 중량 대비 0.1% 미만으로 2020년 2월 1일부터 제한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은 실리콘 오일의 일종으로, 헤어 컨디셔닝제, 유연제, 용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클로실록세인은 미세 플라스틱과 유사하게 쉽게 분해되지 않아 환경에 잔류하거나 생물체 내에 높은 농도로 축적되는 문제가 있는 성분이다. 이는 화장품 성분의 종류에 따라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으로 표시된다.
한편, 다이메티콘(Dimethicone)은 트라이메틸셀록시 단위로 끝이 막힌 완전 메틸화된 선형 실록세인 중합체 혼합물로서, 실리콘이 여러 개 결합된 고분자 성분이다. 상기 다이메티콘 피부 완화제임과 동시에 보습 효과 및 수분의 이탈 방지에 도움을 주고, 피부를 보호해주는 보호막 역할(밀폐형 보습제)도 한다. 그로 인해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등 피부가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상기의 밀폐형 보습제인 다이메티콘은 입체적인 구조와 탄력적인 특성 때문에 화장품에 적용했을 때 사용감이 좋고 피부에 끈적임을 주지 않고 피부에 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하므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헤어컨디셔너나 샴푸 같은 제품들 대부분 엉킨 머리를 빗질하는 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나 모발에 윤기를 더 주기 위해서 다이메티콘을 사용한다. 이러한 다이메티콘은 장기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거나 자극을 준다는 평가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다이메티콘 특성상 보호막을 형성해 내부에 있는 수분을 바깥으로 못나가게 하는 역할을 하나, 이로 인해 다른 물질들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인데, 이는 다이메티콘의 함유량이 적은 화장품을 사용하면 문제가 안 되며 세안을 꼼꼼히 해주면 방지할 수 있어 안전도에 문제가 없는 성분이다.
한편, 이러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0974호에서는 고점도, 점도가 1,000cst 이상인 다이메티콘, 물 및 저점도의 디메티콘과 사이클로메티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은 특유의 끈적임으로 인하여 사용감이 좋지 못하면서도, 사용 지속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이클로메티콘의 체내 축적, 환경 잔류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9665호에서는 고점도의 디메치콘 검에 양이온 폴리머, 디알킬카보네이트 등을 배합하여 수성 에멀젼 형태의 모발 조성물을 제공하여 그 사용감을 개선하였으나, 이 역시 지속성이 좋지 못하고, 모발의 뭉침을 개선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발의 보습, 윤기 및 매끄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KR 10-2008-0040974 A KR 10-1029665 B1
권승빈, 이강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실리콘 오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62, 2013. 화장품 원료 '디메치콘' 위해 평가 검토,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5.01 세정용 화장품 성분 '사이클로실록세인', 독성·잔류성 문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적, 환경적으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고, 사용감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없고, 모발의 상태를 현저하게 개선하면서도, 컨디셔닝 지속성이 우수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분자 실리콘 검 및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25℃에서 동점도가 500,000~1,000,000cSt인 다이메티콘(Dimethico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아이소도데케인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99.99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 코팅 에센스, 헤어 팩, 헤어 트리트먼트 중 1종의 것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발의 보습, 탄력 및 윤기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실리콘 검을 80~90℃의 온도 조건에서 아이소도데케인에 첨가한 후, 밀봉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25℃에서 동점도가 500,000~1,000,000cSt인 다이메티콘(Dimethico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모발의 상태를 개선하며, 그 지속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인체에 위험성이 없고, 환경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시료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1의 상용성 테스트에 사용된 시료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1의 점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1의 점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분자 실리콘 검 및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실리콘 검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감 및 지속성이 좋지 못하며, 소량 사용시 충분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고분자의 실리콘 검을 아이소도데케인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모두 개선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모발에 보습력, 윤기, 부드러움 등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5℃에서 동점도가 500,000~1000,000cSt인 다이메티콘(Dimethic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메티콘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리콘 오일의 일종인 실록산 중합체의 한 종류로서, 안전도에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동점도가 500,000~1000,000cSt 다이메티콘을 사용하는 것인데, 저점도의 다이메티콘은 충분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지 못하고, 지속성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다이메티콘의 동점도가 500,000cSt 보다 낮을 경우, 보습력 유지, 윤기 부여의 효과가 미미하고, 지속성이 좋지 못하므로, 동점도가 500,000cSt이상 다이메티콘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점도가 너무 높으면, 제형 안정성이 좋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은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과 함께 적용하여, 사용감을 개선하고, 끈적임을 없애는 역할을 하면서도, 제형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상기 아이소도데케인은 사용성 친유성 성분으로, 알칸계 탄화수소로 변형이 잘 되지 않아 안정화률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시 실리콘은 아니나, 실리콘의 역할을 해서 가볍고 크리미한 발림성을 나타내며, 퍼짐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어, 논란의 대상이 되는 사이클로메티콘에 대한 대안제품이 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다른 성분을 잘 용해시켜 용제로서의 역할도 하며, 안전성 역시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2종의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모발에 보습, 탄력 및 윤기를 부여하고, 모발의 뭉침을 방지하여 모발의 상태를 개선해주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감을 좋게하고 끈적임을 방지하며, 사용 지속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분자 실리콘 검과 아이소도데케인의 사용량은 제한하지 않으나,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 미만이면 모발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고, 50%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이소도데케인 역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99.99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아이소도데케인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 코팅 에센스, 헤어 팩, 헤어 트리트먼트 중 1종의 것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형화 방법은 종래 게시된 방법에 따른다. 또한, 이외 다양한 모발용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인체 및 환경 문제로 논란이 되는 성분은 배제하면서도, 사용감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없고, 모발의 상태를 현저하게 개선시키며, 그 컨디셔닝 지속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앞서 화장료 조성물에서 설명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실리콘 검을 80~90℃의 온도 조건에서 아이소도데케인에 첨가한 후, 밀봉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분자 실리콘 검을 80~90℃의 온도 조건에서 아이소도데케인에 첨가한 후, 밀봉하여 교반하는 단계
먼저, 고분자 실리콘 검을 80~90℃의 온도 조건에서 아이소도데케인에 첨가한다. 그리고 이를 밀봉하여 아지믹서로 교반한다. 이때, 그 교반속도는 제한하지 않는바, 150~200rpm 정도면 족하다.
여기서, 상기 아이소도데케인과 고분자 실리콘 검을 밀봉하여 교반하는 이유는 아이소도데케인은 휘발성이 있으므로, 쉽게 증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교반 온도가 9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과 아이소도데케인은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양을 고려하여, 그 혼합 비율을 결정한다.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냉각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교반물을 20℃ 정도까지 냉각한다. 이때, 그 냉각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감, 효과 지속성이 우수하며, 모발의 상태를 현저히 개선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분자 실리콘 검으로는 동점도는 600,000cSt(25℃)인 다이메티콘을 사용하였으며, 저점도 다이메티콘으로는 동점도 5cSt(25℃)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시료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실리콘 검을 80℃의 아이소도데케인(비교예1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비교예 2는 저점도 다이메티콘)에 투입하고, 이를 밀봉하여 아지믹서로 150rpm으로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아울러, 실시예 1, 비교예 1, 2 모두 다양한 배합예로서 제조하였는바, 이하 이를 배합예의 순서에 따라 실시예 1-1(고분자 실리콘 검 1중량%), 실시예 1-2(고분자 실리콘 검 15중량%), 실시예 1-3(고분자 실리콘 검 30중량%), 실시예 1-4(고분자 실리콘 검 50중량%)로 하고, 비교예 1, 2 역시 같은 방법으로 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조성비
구분 실시예 1(중량%) 비교예 1(중량%) 비교예 2(중량%)
1 2 3 4 1 2 3 4 1 2 3 4
고분자 실리콘 검 1 15 30 50 1 15 30 50 1 15 30 50
아이소도데케인 99 85 70 50 - - - - - - -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 - - 99 85 70 50 - - - -
저점도 다이메티콘 - - - - - - - - 99 75 70 50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상용성을 테스트하였다. 이때, 그 시료로는 실시예 1-2, 비교예 1-2, 2-2을 사용하였다.
상용성의 테스트는 시료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의 교반시간, 즉 용해시간과 제조된 시료의 점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평가에 사용된 기기는 제조사:BROOKFIELD, 모델명:DV1MRVTJ0 이었으며, 조건은 Spindle 4, 20rpm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1-2 비교예 1-2 비교예 2-2
용해시간 8분 10분 10분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용해시간이 비교예 1-2 및 비교예 2-2에 비해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2의 시료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1-2, 비교예 2-1 및 2-2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료는 상용성이 우수하고 제형 안정성 역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료의 점도 측정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점도는 990cp이고, 비교예 1-2의 점도는 5,990cp, 비교예 2-2의 점도는 4,370cp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료는 사용감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비교예 1-2, 2-2는 점도가 너무 높아 사용감이 좋지 못하고 끈적임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4는 투명한 아크릴 판에 동일한 양의 시료를 떨어뜨리고, 아크릴 판을 세워 흘러내림 정도를 촬영한 사진으로, 실시예 1-2에 의한 시료가 흘러내림 정도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20~50대의 남성 및 여성 120명을 12군으로 나누고,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배합예들을 각 군에 한 종류씩 제공하여, 헤어 코팅 에센스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헤어 코팅 에센스의 사용은 샴푸 후 젖은 모발에 1일 1회 한 달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평가기준은, 모발의 보습, 윤기, 부드러움, 뭉침 및 사용감으로 정하였고, 각 평가기준의 정도는 1~5로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는 높은 숫자일수록 높은 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평균점을 하기 표 3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의 결과
구분 실시예 1(중량%) 비교예 1(중량%) 비교예 2(중량%)
1 2 3 4 1 2 3 4 1 2 3 4
보습 4.0 4.2 4.3 4.3 3.4 3.5 3.6 3.6 3.7 3.7 3.8 3.8
윤기 4.0 4.1 4.2 4.3 3.1 3.0 3.2 3.2 3.3 3.4 3.4 3.5
부드러움 4.1 4.3 4.2 4.3 3.6 3.5 3.7 3.8 3.5 3.5 3.7 3.8
뭉침 0.6 0.8 0.9 1.0 3.8 3.9 4.3 4.5 3.1 3.1 3.2 3.3
사용감 4.0 4.3 3.9 3.8 3.1 3.5 3.0 3.0 3.5 3.6 3.7 3.6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 2에 비하여 보습, 윤기, 부드러움, 사용감에 있어서 모든 배합예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모발의 뭉침에 있어서는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어 뭉침을 방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각 배합예를 평균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보습, 윤기, 부드러움, 뭉침 및 사용감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보습, 윤기, 부드러움, 사용감에 있어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 2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뭉침에 있어서는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형예를 설명한다. 하기 제형예는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이외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제형예로서 제형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형예 1): 헤어 코팅 에센스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헤어 코팅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의 성분비
원료명 중량 %
실리콘 검(Dimethicone, 50만 cSt이상) 9.0
아이소도데케인 51.0
C12-15알킬벤조에이트 10.0
캐스터오일 8.3
메도우폼씨오일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부틸렌글라이콜 4.0
로즈힙 꽃 추출물 1.0
호호바씨오일 1.0
1,2-헥산다이올,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부틸렌글라이콜 0.7
(제형예 2): 헤어 트리트먼트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헤어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의 성분비
원료명 중량 %
정제수 63.7
에탄올 0.1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0.3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1.0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4.0
1,2-헥산다이올,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부틸렌글라이콜 0.7
세테아릴 알코올 5.2
실리콘 검(Dimethicone, 50만 cSt이상) 3.0
아이소도데케인 17.0
메도우폼씨오일 3.0
코코버터 2.0
(제형예 3): 헤어 팩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헤어 팩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의 성분비
원료명 중량 %
정제수 34.0
글리세린 2.0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3.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1.0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4.0
1,2-헥산다이올,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부틸렌글라이콜 0.7
세테아릴 알코올 5.3
실리콘 검(Dimethicone, 50만 cSt이상) 6.0
아이소도데케인 34.0
메도우폼씨오일 3.0
코코버터 2.0
쉐어버터 2.0
토코페롤 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고분자 실리콘 검 및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25℃에서 동점도가 600,000cSt인 다이메티콘(Dimethicone)이고,
    상기 고분자 실리콘 검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5중량%의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아이소도데케인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85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990cp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 코팅 에센스, 헤어 팩, 헤어 트리트먼트 중 1종 이상의 것으로 제형화된 것으로, 모발의 뭉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3705A 2019-02-01 2019-02-01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05A KR102023960B1 (ko) 2019-02-01 2019-02-01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05A KR102023960B1 (ko) 2019-02-01 2019-02-01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960B1 true KR102023960B1 (ko) 2019-09-23

Family

ID=6806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705A KR102023960B1 (ko) 2019-02-01 2019-02-01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6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974A (ko) 2006-11-06 2008-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20090092243A (ko) * 2008-02-26 2009-08-31 로레알 특수한 실리콘 공중합체, 휘발성 용매 및 특수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KR101005468B1 (ko) * 2009-04-27 2011-01-0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 모발 화장료
KR101023288B1 (ko) * 2002-05-10 2011-03-18 유니레버 엔.브이.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029665B1 (ko) 2008-10-02 2011-04-15 애경산업(주) 수성 에멀젼 형태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US20130039873A1 (en) * 2011-08-12 2013-02-14 Kao Corporation Hair and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KR20160129594A (ko) * 2015-04-30 2016-11-09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의 건조 시간 단축 및 부드러움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2018030812A (ja) * 2016-08-25 2018-03-01 株式会社アリミノ 非泡状ヘアスプレー用組成物
KR20180126033A (ko) * 2016-03-31 2018-11-26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화장료 세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288B1 (ko) * 2002-05-10 2011-03-18 유니레버 엔.브이.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080040974A (ko) 2006-11-06 2008-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20090092243A (ko) * 2008-02-26 2009-08-31 로레알 특수한 실리콘 공중합체, 휘발성 용매 및 특수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KR101029665B1 (ko) 2008-10-02 2011-04-15 애경산업(주) 수성 에멀젼 형태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1005468B1 (ko) * 2009-04-27 2011-01-0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 모발 화장료
US20130039873A1 (en) * 2011-08-12 2013-02-14 Kao Corporation Hair and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KR20160129594A (ko) * 2015-04-30 2016-11-09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의 건조 시간 단축 및 부드러움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80126033A (ko) * 2016-03-31 2018-11-26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화장료 세트
JP2018030812A (ja) * 2016-08-25 2018-03-01 株式会社アリミノ 非泡状ヘアスプレー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권승빈, 이강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실리콘 오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62, 2013.
세정용 화장품 성분 '사이클로실록세인', 독성·잔류성 문제
화장품 원료 '디메치콘' 위해 평가 검토,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16526T2 (de) Filmformende Polysiloxanzusammensetzung und dies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e Toilettenprodukte
JP4129000B2 (ja) 少なくとも一つのシリコーン−ポリアミドポリマーで構造化された少なくとも一つのオイル、及び少なくとも一つの皮膜形成性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並びにその方法。
KR101821850B1 (ko) 립 스틱
JP5759721B2 (ja) 使用感と保存安定性に優れた化粧料およびその製法
DE60220119T2 (de) Verwendung einer stukturierte Fettphase basierend auf einem verfestigten Siliconöl zum begrenzen der Migration einer Schminkzusammensetzung
JP4149994B2 (ja) シリコーンポリマーおよびオルガノゲル化剤によって構造化された固形のケア用および/またはメークアップ用組成物
US6387382B1 (en) Water-proof, respirable, skin barrier composition
CN114224753B (zh) 一种油包水型乳化组合物、粉底液及其制备方法
FR284080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de soin et/ou de maquillage, structuree par des polymeres silicones et des organogelateurs, sous forme rigide
BR112012029317B1 (pt) gel, método para a aplicação de uma composição cosmética para a pele, para aumentar a sua duração e para sua proteção da degradação sobre a pele
US10959937B2 (en) Oil-in-water type organopolysiloxane emul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osmetic raw material, and cosmetic product
CN109674687B (zh) 一种乳化口红及其制备方法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US6592855B1 (en) Use of a diphenyldimethicone dissolved in a non-volatile silicone such as phenyltrime-thicone for making a cosmetic or pharmaceutical, in particula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atty phase
US8765110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alkoxysilane and hyaluronic acid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23960B1 (ko)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JP7017527B2 (ja) 濃縮物からの毛髪ケア処方物
DE212019000314U1 (de) Stabilisierte Emulsionen mit säurehaltigen Mitteln
KR20080085315A (ko) 진주 단백질 추출물과 내츄럴 오일을 함유한 모발 화장료조성물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WO2019145144A1 (en) A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evening primrose oil and use thereof
CN110200850A (zh) 毛发调理组合物
JP7091282B2 (ja) ジェル状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