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450B1 - 여성용 브라 - Google Patents

여성용 브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450B1
KR102023450B1 KR1020180051945A KR20180051945A KR102023450B1 KR 102023450 B1 KR102023450 B1 KR 102023450B1 KR 1020180051945 A KR1020180051945 A KR 1020180051945A KR 20180051945 A KR20180051945 A KR 20180051945A KR 102023450 B1 KR102023450 B1 KR 10202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up pad
cup
bra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이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정 filed Critical 이수정
Priority to KR102018005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여성용 브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반제품들의 재단을 최적화하여 가슴을 효과적으로 받쳐주는 여성용 브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라의 컵을 형성하는 상단 컵패드(10) 및 하단 컵패드(20)와,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컵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패드(30)와, 상기 상단 컵패드(10), 하단 컵패드(20) 및 하부 지지패드(30)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후방 지지패드(40)를 포함하는 여성용 브라에 있어서,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의 길이는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에 대하여 40~55%이고, 상기 높이(L3)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의 길이로 정의되며, 상기 높이(L3)를 정의하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과 하단 컵패드(20)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1)은 90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브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성용 브라{A BRASSIERE FOR WOMAN}
본 발명은 여성용 브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반제품들의 재단을 최적화하여 가슴을 효과적으로 받쳐주는 여성용 브라에 관한 것이다.
브라(bra; 업리프트(uplift) ·밴도(bandeau)라고도 한다)는 유방을 받쳐주고 보호하며 가슴의 모양을 교정해서 상의의 이상적인 실루엣을 조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브라의 기본적인 모양은 유부(乳部)를 가릴 정도의 크기로 어깨에서 드리우며, 브래지어의 아래쪽은 몸에 꽉 붙어서 흘러내리지 않아야 하나 유방 위에서는 다소 여유가 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비만한 사람에게 반드시 필요하며, 마른 사람의 경우는 적당한 가슴의 모양을 만들기 위해서 브라컵(bracup)을 넣어서 조절한다.
브래지어의 모양은 디자인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가슴의 높이·위치 등은 그 때에 유행하는 실루엣에 의해서 좌우되는 일이 많다. 예를 들면 하이 웨이스트가 유행할 때는 가슴의 포인트를 위로 두고, 가슴을 풍만하게 하는 실루엣일 경우에는 높여주어야 하며, H 라인 ·A라인과 같이 평탄한 가슴의 선을 표현할 경우에는 패드를 넣지 않고 가슴의 과장을 피해서 유방을 누르는 듯한 모양의 브래지어를 사용한다. 또 착용하는 드레스에 따라서도 변한다.
외모에 대한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가슴을 돋보이게 하는 브라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삽입하거나, 필러 등을 삽입함으로써 쳐진 가슴을 올려주거나, 작은 가슴의 볼륨감을 증대시킨다.
이하, 브라에 관한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기술들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등록특허 제10-1823800호 '유방들을 함께 더 가깝게 하는 가역 효과를 갖는 브라'는 유방들을 함께 더 가깝게 하는 가역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브리지 부분(4)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2개의 컵들(2, 3) 및 브리지 부분(4)에 위치되는 컵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며, 컵들 사이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는 수단(5)을 포함하는 브라(1)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정 수단(5)은 2개의 컵들을 함께 가역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역 체결 수단은 브리지 부분(4)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열되고, 브리지와 대향하는 컵들(2, 3)의 측면 부분에, 본질적으로 브리지의 방향으로 수동으로 인가되는 압력(F)의 작용 하에, 2개의 컵들(2, 3)이 함께 더 가까워지는 결합 위치와 2개의 컵들(2, 3)이 떨어져서 이동되는 비결합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1 체결 요소(51) 및 제 2 체결 요소(52)를 포함한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255호 ' 지지 구조 브라'는 두 개의 컵, 두 개의 지지 구조와 등부 조임 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컵의 하부에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에서 브라의 상기 측면 에지로 연장되어, 균등하게 가슴 전체를 지지하고 가슴을 더욱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만들기 위해 상기 지지 구조는 가슴 전체의 상기 하부 면에 접촉한다. 착용자의 몸(X)의 가슴(X1)을 감싸는 두 개의 컵(20)과, 각각이 가슴(X1)을 향하는 내측 표면(21)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컵(20) 각각이 첫 번째 면을 갖고, 상기 첫 번째 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컵(20)의 각각의 대향하는 두 번째 면은 상기 브라의 측면 에지(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컵(20)의 각각은 하부 에지(23)를 가지며, 상기 컵(20)의 상기 하부 에지(23)에 연결된 두 개의 지지 구조(30)와, 각각이 상기 두 컵(20)과 상기 브라의 상기 측면 에지(24)에 연결된 두 번째 에지 사이의 연결부(22)와 연결된 첫 번째 에지를 가지며, 상기 컵(20)에 연결된 두 개의 말단을 가지는 등부 조임 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구조를 가지는 브라를 개시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1823800호 '유방들을 함께 더 가깝게 하는 가역 효과를 갖는 브라' 공고일자 2018년01월30일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255호 '지지 구조 브라' 공개번호 20-2011-0010255 공개일자 2011년10월31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 내지 필러를 삽입하지 아니하면서도, 브라를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 패드의 치수만을 한정하여 가슴을 쳐지지 아니하도록 형태를 유지해주는 브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브라의 컵을 형성하는 상단 컵패드(10) 및 하단 컵패드(20)와,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컵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패드(30)와, 상기 상단 컵패드(10), 하단 컵패드(20) 및 하부 지지패드(30)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후방 지지패드(40)를 포함하는 여성용 브라에 있어서,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의 길이는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에 대하여 40~55%이고, 상기 높이(L3)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의 길이로 정의되며, 상기 높이(L3)를 정의하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과 하단 컵패드(20)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1)은 90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브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내지 필러를 삽입하지 아니하면서도, 가슴을 쳐지지 아니하도록 형태를 유지해주는 브라를 제공한다.
와이어 및 필러는 브라의 착용감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브라에 와이어 내지 필러가 부가됨으로써 브라의 착용감이 저하되며, 이러한 문제는 브라는 하루 종일 착용해야 하는 의류인 점에서 더욱 심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와이어 및 필러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반제품패드의 치수를 한정함으로써 가슴이 쳐지지 아니하도록 교정해 주면서도 양호한 착용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단컵패드의 측변의 길이를 길게 구성함으로써 브라의 컵의 볼륨을 확보하고 측후방지지패드가 하단컵패드를 위로 당길 수 있게 하며,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과 하단 컵패드(20)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1)은 90도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상변곡선의 최고점(bp1)을 가슴 내측으로 위치시켜 가슴을 더욱 모아주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종래의 측후방지지패드의 및변의 길이보다 더욱 길게 형성함으로써 가슴을 보다 전방에서 당겨주어 쳐지지 아니하게 하며, 하단컵패드의 측변의 길이를 종래보다 더욱 길게 형성함으로써 가슴의 하부를 넓은 범위에서 당기게 하여 쳐진 가슴을 올려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브라의 반제품 패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브라의 완성품의 전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브라의 상단컵패드 및 하단컵패드와 종래 브라의 상단컵패드 및 하단컵패드의 형태를 비교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브라의 반제품 패드의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브라의 완성품의 전면도이다. 브라의 컵을 형성하는 상단 컵패드(10) 및 하단 컵패드(20)와,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컵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패드(30)와, 상기 상단 컵패드(10), 하단 컵패드(20) 및 하부 지지패드(30)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후방 지지패드(40)를 포함하는 여성용 브라에 있어서,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의 길이는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에 대하여 40~55%이고, 상기 높이(L3)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의 길이로 정의되며,
상기 높이(L3)를 정의하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과 하단 컵패드(20)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1)은 90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브라를 제공한다. 상기의 길이들에 대한 기준은 완성된 제품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한다.
브라의 컵은 일반적으로 부채꼴형상의 상단컵패드(10)와 상단컵패드(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단컵패드(20)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상단컵패드(10)와 하단컵패드(20)를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체형 구성은 재질의 신축에 의해 쳐지는 가슴을 잡아주기 어렵다. 재질의 강성을 높이게 되면 착용감 또한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측후방 지지패드(40)가 브라컵을 당겨 가슴을 올려주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하단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를 종래보다 길게 형성시키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측후방 지지패드(40)가 하단컵패드(20)를 넓은 범위에서 당기게 되어 쳐진 가슴을 끌어 올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의 길이는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에 대하여 40~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브라를 제공한다. 종래의 브라에서는 하단 컵패드의 높이와 하단 컵패드의 측후방 지지패드쪽 변의 길이의 길이는 비가 하부 지지패드의 밑변길이에 대하여 26%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높이(L3)를 정의하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과 하단 컵패드(20)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1)은 90도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각(c1)이 90도보다 크게 설정되면,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의 위치가 보다 가슴 안쪽으로 위치하게 되어 가슴을 더욱 모아주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원발명의 하단컵패드(20)는 종래의 하단컵패드보다 더 폭이 좁고 넓은 형태를 가진다. 본원발명의 하단컵패드(20)의 횡방향길이(L5)에 대한 높이(L3)의 비율은 60~70%가 된다. 하단컵패드(20)의 횡방향길이(L5)의 기준은 일측의 꼭지점과 타측 측후방 지지패드쪽 변의 중점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한다.
상단컵패드(10)는 상기 하단컵패드(20) 와 맞닿게되며 곡률을 갖는 상단컵패드하변(11)과, 상기 측후방지지패드(40)와 접하며 일단이 상기 상단컵패드하변(11)과 연결되는 상단컵패드측변(12)과, 상기 상단컵패드측변(12)의 상단과 연결되는 상단컵패드상변(13)을 가지며, 상기 상단컵패드측변(12)의 평균기울기선(121)과 상기 상단컵패드상변(13)이 이루는 각(a)의 크기가 105~115°인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와 하단 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의 길이는 비가 하부 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에 대하여 40~55%으로 형성되는 것에 기인한다.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가 길어짐에 따라 반사적으로 하단 컵패드(20)의 상변의 곡률반경이 더욱 커지게 되어 볼륨감을 확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넓어진 곡률반경의 하단 컵패드(20)의 상변에 맞추기 위해 상기 상단컵패드측변(12)의 평균기울기선(121)과 상기 상단컵패드상변(13)이 이루는 각(a)의 크기가 종래의 각보다 더욱 커지게 된다. 하단 컵패드(20)의 상변 곡선의 최고점(bp1) 내측으로 더 치우쳐 형성되는 것도 각(a)의 크기가 종래의 각보다 더 커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종래의 브라에서는 상기 각이 98° 수준의 각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컵패드측변(12)의 평균기울기선(121)과 상기 상단컵패드상변(13)이 이루는 각(a)의 크기가 105~115°으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에 따라, 측후방 지지패드(40)의 어께끈인접부위(b)의 말단이 가슴쪽으로 더욱 이동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후방 지지패드(40)가 가슴을 위에서도 당겨주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쳐지는 가슴을 더욱 끌어 올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의 구성에 따라 하단 컵패드(20)가 가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받쳐주고, 상단컵패드와 함께 충분한 볼륨감을 제공해주게 된다.
한편, 상단지지패드(50)는 하부지지패드(30)와 대칭적인 구조로서 상단 컵패드(10) 및 하단컵패드(20)가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의해 당겨지는 힘의 균형을 확보하여주게 된다. 상단지지패드(50)가 적용되는 경우 어께끈(60) 또한 상기 상단지지패드(50)의 말단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를, 하부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 및 상기 측후방 지지패드(40)의 밑변길이(L2)의 합(L1+L2)에 대하여 36~42%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 및 상기 측후방 지지패드(40)의 밑변길이(L2)의 합(L1+L2)은 가슴밑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본원발명은 하부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는, 하부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 및 상기 측후방 지지패드(40)의 밑변길이(L2)의 합(L1+L2)에 대하여 36~42%로 구성함으로써 측후방 지지패드(40)의 밑변길이(L2)를 더 크게 구성하는 구성적 특이점을 갖는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하부지지패드의 밑변길이는, 하부지지패드의 밑변길이 및 측후방 지지패드의 밑변길이의 합에 대하여 45%이상의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측후방 지지패드(40)의 밑변길이(L2)이가 길어짐으로써 상기 측후방 지지패드(40)가 브라컵을 보다 가슴쪽에서 당기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가슴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가슴의 지근거리에서 당기게 되므로 가슴이 쳐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브라의 상단컵패드 및 하단컵패드와 종래 브라의 상단컵패드 및 하단컵패드의 형태를 비교하는 참고도이다.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단컵패드측변(12)의 평균기울기선(121)과 상기 상단컵패드상변(13)이 이루는 각(a)의 크기가 105~115°인 구성을 갖는 반면, 종래의 브라에서는 상기 각이 98° 수준의 각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 높이(L3)를 정의하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과 하단 컵패드(20)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1)은 90도보다 크게 설정됨에 비하여, 종래의 하단 컵패드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2)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L6)과 하단 컵패드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2)은 90도보다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은 가슴 내측으로 위치하여 가슴을 더욱 모아주는 반면, 종래의 하단 컵패드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2)은 상대적으로 겨드랑이 방향인 가슴외측으로 위치하게 되어 가슴을 모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와 하단 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의 길이는 비가 하부 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에 대하여 40~55%인 것인 반면, 종래의 브라에서는 하단 컵패드의 높이(L6)와 하단 컵패드의 측후방 지지패드쪽 변의 길이(7)의 길이는 비가 하부 지지패드의 밑변길이에 대하여 26% 이하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또한, 도3에서, 본원발명의 하단컵패드(20)의 횡방향길이(L5)에 대한 높이(L3)의 비율은 65%가 되는 반면, 종래의 하단컵패드의 횡방향길이(L8)과 높이(L6)의 비는 약 58%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 상단 컵패드
11. 상단컵패드하변
12. 상단컵패드측변
121. 평균기울기선
13. 상단컵패드상변
20. 하단 컵패드
30. 하부 지지패드
40. 측후방 지지패드
50. 상단패드
60. 어께끈

Claims (2)

  1. 브라의 컵을 형성하는 상단 컵패드(10) 및 하단 컵패드(20)와,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컵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패드(30)와, 상기 상단 컵패드(10), 하단 컵패드(20) 및 하부 지지패드(30)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후방 지지패드(40)를 포함하는 여성용 브라에 있어서,
    상기 하단 컵패드(20)의 측후방 지지패드(40)에 접하는 변의 길이(L4)의 길이는 하단 컵패드(20)의 높이(L3)에 대하여 40~55%이고, 상기 높이(L3)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의 길이로 정의되며;
    상기 높이(L3)를 정의하는 하단 컵패드(20)의 상변곡선의 최고점(bp1)과 하변곡선의 최저점을 이은 선과 하단 컵패드(20)의 하변곡선의 최저점의 접선의 기울기와의 각(c1)은 90도보다 크고;
    상기 하부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를 하부지지패드(30)의 밑변길이(L1) 와 상기 측후방 지지패드(40)의 밑변길이(L2)의 합(L1+L2)에 대하여 36~42%로 형성시키고;
    상기 상단컵패드(10)는 상기 하단컵패드(20) 와 맞닿게되며 곡률을 갖는 상단컵패드하변(11)과;
    상기 측후방지지패드(40)와 접하며 일단이 상기 상단컵패드하변(11)과 연결되는 상단컵패드측변(12)과, 상기 상단컵패드측변(12)의 상단과 연결되는 상단컵패드상변(13)을 가지며;
    상기 상단컵패드측변(12)의 평균기울기선(121)과 상기 상단컵패드상변(13)이 이루는 각(a)의 크기가 105~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브라.

  2. 삭제
KR1020180051945A 2018-05-04 2018-05-04 여성용 브라 KR10202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45A KR102023450B1 (ko) 2018-05-04 2018-05-04 여성용 브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45A KR102023450B1 (ko) 2018-05-04 2018-05-04 여성용 브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450B1 true KR102023450B1 (ko) 2019-09-20

Family

ID=6806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945A KR102023450B1 (ko) 2018-05-04 2018-05-04 여성용 브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4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104A (ja) * 1996-09-25 1998-04-14 Wacoal Corp 乳房受けカップを有する衣類
JP2010138521A (ja) * 2008-12-11 2010-06-24 Mic:Kk バストカップ部を有する女性用衣料
KR20110010255A (ko) 2009-07-24 2011-02-01 김정태 폐변압기 동코일의 분쇄과정에서 발생 된 유해가스의 처리방법
JP2015127461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Mic 二次元方式による膨出部を形成する女性用衣料の三次元化構造
KR101823800B1 (ko) 2013-07-19 2018-01-30 하네스 오퍼레이션즈 유럽 에스아에스 유방들을 함께 더 가깝게 하는 가역 효과를 갖는 브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104A (ja) * 1996-09-25 1998-04-14 Wacoal Corp 乳房受けカップを有する衣類
JP2010138521A (ja) * 2008-12-11 2010-06-24 Mic:Kk バストカップ部を有する女性用衣料
KR20110010255A (ko) 2009-07-24 2011-02-01 김정태 폐변압기 동코일의 분쇄과정에서 발생 된 유해가스의 처리방법
KR101823800B1 (ko) 2013-07-19 2018-01-30 하네스 오퍼레이션즈 유럽 에스아에스 유방들을 함께 더 가깝게 하는 가역 효과를 갖는 브라
JP2015127461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Mic 二次元方式による膨出部を形成する女性用衣料の三次元化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2591B (zh) 女式内衣
CA3098106C (en) Woman's undergarment with cup sections
KR101866870B1 (ko) 브래지어
US20050277362A1 (en) Drawstring bra cup
JP5276205B1 (ja) サイズ融通性のある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US6203400B1 (en) Push-in underwire bra
EP2324723B1 (en) Three-dimensional heart position support frame for underwear
KR102023450B1 (ko) 여성용 브라
KR102173916B1 (ko) 브래지어
JP3210852U (ja) 婦人下着
US7074108B2 (en) Multi-layer uplift bra
US7824242B2 (en) Asymmetrical underwire arrangement
US6425799B1 (en) Underwire bra
JP6301651B2 (ja) 二次元方式による膨出部を形成する女性用衣料の三次元化構造
KR20110037238A (ko) 노와이어 브라용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노와이어 브라
KR20170046272A (ko) 양면 겸용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79081Y1 (ko) 브래지어
CN220675194U (zh) 一种设置在内衣罩杯部下方的双c稳定部及无车缝内衣
JP6381612B2 (ja) カップ及び該カップ婦人下着
JP3255399B2 (ja) ブラジャーのカップの内側構造
CN213663699U (zh) 一种丰胸美胸且穿戴舒适的胸罩
KR200479386Y1 (ko) 브래지어
CN215958396U (zh) 一种具有良好支撑提拉效果的背心式内衣
JP2002235210A (ja) 乳房カップ用保形ワイヤー
US20060199470A1 (en) Brassi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