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86Y1 -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86Y1
KR200479386Y1 KR2020150005671U KR20150005671U KR200479386Y1 KR 200479386 Y1 KR200479386 Y1 KR 200479386Y1 KR 2020150005671 U KR2020150005671 U KR 2020150005671U KR 20150005671 U KR20150005671 U KR 20150005671U KR 200479386 Y1 KR200479386 Y1 KR 200479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ssiere
cup
panel
mold
b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섭
Original Assignee
코웰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웰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웰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78Brassieres with backless strap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래지어 컵 사이 하단부의 받침부 중심을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하고, 브래지어 중심과 날개 부분을 밴드 라인이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브래지어 컵의 안쪽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을 통해 몰드 형태를 살려 가슴 모양을 잡아주고 업(up)되게 하여 볼륨감을 우수하게 하며, 몰드에는 몰드 옆 상면까지 연장되는 면 바이어스를 사용하여 옆구리 살까지 안정감 있게 감싸도록 한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래지어에 있어서, 브래지어 컵(10)과; 상기 브래지어 컵(10) 사이 하단부의 중심에서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브래지어 컵(10)의 양측에 밴드가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되며, 브래지어 컵(10)과 접하는 측에서 하단은 브래지어 컵(10) 사이의 중심 하단의 받침부 (20) 양단에서부터 형성되고, 상단은 브래지어 컵(10) 측면 상부에 이르도록 형성되는 날개부(30)와; 상기 브래지어 컵(10) 내부에 형성되는 몰드(40)와; 상기 브래지어 컵(10)의 안쪽에는 헴(hem)패널로 되는 가로 방향의 제1패널(51)과 PN패널로 되는 세로 방향의 제2패널(52)의 2겹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래지어 컵(10) 안쪽 하단의 받침부(20)와 날개부(30)가 봉제되는 부분에는 몰드(40) 옆 상변까지 끊어지지 않고 한 줄로 연결된 면 소재의 바이어스(60)가 함께 봉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브래지어{Brassiere}
본 고안은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지어 컵 사이 하단부의 받침부 중심을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하고, 브래지어 중심과 날개 부분을 밴드 라인이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브래지어 컵의 안쪽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을 통해 몰드 형태를 살려 가슴 모양을 잡아주고 업(up)되게 하여 볼륨감을 우수하게 하며, 몰드에는 몰드 옆 상면까지 연장되는 면 바이어스를 사용하여 옆구리 살까지 안정감 있게 감싸도록 한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brassiere)는 여성의 가슴을 보호하고 처짐을 방지하여 균형 있는 몸매를 유지하기 위한 속옷의 일종이다. 브래지어는 신체와 밀착되는 특성상 땀 흡수를 비롯한 통기성을 고려하여 면·폴리·나일론 섬유 등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가슴 부위를 수용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돔(dome) 형상의 컵과 착용을 위한 착용 밴드 및 유동에 의해 브래지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어깨끈으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브래지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컵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컵은 위생을 좋게 하기 위하여 내측에 섬유를 덧대어 구성함은 물론 가슴을 모아 처짐을 방지하고 원형 보존을 위하여 아래 측에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ire) 등이 삽입되고 있다.
그러나 가슴을 모아주고 처짐을 방지하여 컵의 원형을 보존하기 위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등과 같은 종래 브래지어에 의하면, 사용되는 와이어의 재질이 금속재로 형성됨에 따라 피부와의 접촉으로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고, 잦은 세탁으로 인하여 와이어가 휘거나 빠져나오는 등의 불편함 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의 형상 자체가 변형되어 와이어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09031호(2003.03.17. 등록)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브래지어 컵 사이 하단부의 받침부 중심을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착용 시 받침부가 늘어나면서 컵을 모으게 되어 움직임을 편하게 함은 물론 가슴을 볼륨감 있게 받쳐줄 수 있게 되어 가슴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날개 부분을 브래지어 중심에서부터 밴드 및 봉제 라인이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함에 따라 기존 밴드부분에서 압박하는 부분을 날개 원단 전체로 분산되도록 하여 착용감과 보정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날개 전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브래지어 후면을 후크를 결합하였을 때 'U'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심미감을 갖도록 함은 물론 활동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면 소재의 곡선 바이어스를 사용하여 노와이어의 단점인 몰드 퍼짐 현상을 최소화하고, 바이어스 일 측 상부가 몰드 옆 상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옆구리 살을 안정감 있게 감쌀 수 있도록 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브래지어 컵과;
상기 브래지어 컵 사이 하단부의 중심에서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브래지어 컵의 양측에 밴드가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되며, 브래지어 컵과 접하는 측에서 하단은 브래지어 컵 중심 하단의 받침부 양단에서부터 형성되고, 상단은 브래지어 컵 측면 상부에 이르도록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브래지어 컵 내측에 형성되는 몰드와;
상기 브래지어 컵의 안쪽에 헴(hem)패널로 되는 가로 방향의 제1패널과 PN패널로 되는 세로 방향의 제2패널의 2겹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로 이루어진다.
이때 날개부를 형성하는 한 판의 원단으로는 트리코트(Tricot) 원단을 2겹으로 본딩한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하여 가슴을 서로 모아 볼륨감 있게 받쳐주고, 편한 움직임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뛰어난 보정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브래지어 컵 안쪽 하단의 받침부와 날개부가 봉제되는 부분에는 곡선의 바이어스를 함께 봉제 결합하여 노와이어의 단점인 몰드 퍼짐 현상을 최소화하여 형태의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바이어스는 피부와의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면 소재로 형성하며, 그 형상은 몰드 옆 상변까지 끊어지지 않고 한 줄로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가슴의 볼륨을 몰드 내측으로 힘있게 감싸주어 옆구리 살까지 안정감 있게 감싸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브래지어 컵 사이 하단부의 받침부 중심을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착용 시 받침부가 늘어나면서 브래지어 컵을 모으게 되어 움직임이 편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슴을 볼륨감 있게 받쳐 줄 수 있게 되어 가슴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날개부를 브래지어 중심에서부터 밴드 및 봉제 라인이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밴드부분에서 압박하는 부분을 날개 원단 전체로 분산되도록 하여 착용감과 보정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날개 전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브래지어 후면을 후크를 결합하였을 때 'U'자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심미감을 갖도록 함은 물론 활동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브래지어 컵의 안쪽에 고신축성을 갖는 헴(hem)패널로 되는 가로 방향의 제1패널과 PN패널로 되는 세로 방향의 제2패널의 2겹으로 되는 지지패널을 형성함에 따라 가슴의 모양을 잡아줄 수 있게 되어 몰드 형태를 살려주고 가슴을 더 업(up)시키게 되어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브래지어 컵 안쪽 하단의 받침부와 날개부가 봉제되는 부분에는 몰드의 옆 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곡선의 바이어스를 함께 봉제 결합함에 따라 노와이어의 단점인 몰드 퍼짐 현상을 최소화하여 형태의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지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지어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지어를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지어의 내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브래지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어 컵(10) 사이 하단부의 중심에 받침부(20)를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가슴의 중량을 반대쪽 어깨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가슴을 업(up)되도록 하여 볼륨감을 갖도록 한다.
이어 상기 브래지어 컵(10)의 양측에는 날개부(30)를 형성하되, 브래지어 컵(10)과 접하는 측에서 하단은 브래지어 컵(10) 중심 하단의 받침부(20) 양단에서부터 형성하고, 상단은 브래지어 컵(10) 측면 상부에 이르도록 형성하여 가슴의 볼륨을 몰드(40) 내측으로 힘 있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옆구리 살까지 안정감 있게 감쌀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날개부(30)는 밴드가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하여 옆구리 살까지 압박감 없이 편안하게 보정 가능토록 함은 물론 착용감을 갖도록 한다.
또 날개부(30)를 형성하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는 신축성이 우수한 트리코트(Tricot) 원단을 2겹으로 본딩한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하여 가슴을 서로 모아 볼륨감 있게 받쳐주고, 편한 움직임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뛰어난 보정력을 갖도록 한다.
이어 상기 브래지어 컵(10) 내측에 몰드(40)를 형성하고 그 몰드(40)가 형성되는 브래지어 컵(10)의 안쪽에는 지지패널(50)을 형성한다.
이때 브래지어 컵(10)의 안쪽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50)은 헴(hem)패널로 되는 가로 방향의 제1패널(51)과 PN패널로 되는 세로 방향의 제2패널(52)의 2겹으로 형성하여 몰드(40)의 형태를 살려주고 가슴의 볼륨을 만들어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브래지어 컵(10)의 안쪽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50)에서 가로 방향의 제1패널(51)로는 헴(hem)패널을 형성하고, 세로 방향의 제2패널(52)로는 PN패널을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반대의 조합으로 형성하거나 모두 동일 패널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몰드(40)의 형태를 살려주고 가슴의 볼륨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조합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지지패널(50)을 형성하는 PN패널은 고무실·폴리우레탄 섬유 등 탄력 있는 실을 짜 넣은 편직물 또는 직물로서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 코르셋이나 거들 등의 파운데이션류에 사용되는 파워네트(power net)를 이용한 패널로서 탄력이 뛰어나 일래스틱(elastic) 파워네트라고도 한다.
또한 브래지어 컵(10) 안쪽 하단의 받침부(20)와 날개부(30)가 봉제되는 부분에는 노와이어의 단점인 몰드 퍼짐 현상을 최소화하여 형태의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곡선의 바이어스(60)를 함께 봉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되는 곡선의 바이어스(60)는 피부의 트러블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면 소재로 형성하고, 그 형상은 몰드(40) 옆 상변까지 끊어지지 않고 한 줄로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가슴의 볼륨을 몰드(40) 내측으로 힘있게 감싸주어 옆구리 살까지 안정감 있게 감싸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브래지어는
브래지어(1)에서 브래지어 컵(10) 사이 하단부의 받침부(20) 중심을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하게 되면, 브래지어(1)를 착용하였을 때 가슴의 중량이 반대쪽 어깨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가슴을 모으면서 업(up)시키게 되어 가슴을 볼륨감 있게 받쳐줄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움직임이 편하게 된다.
또한 브래지어 컵(10)의 양 측단에는 밴드 및 봉제 라인이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날개부(30)가 트리코트(Tricot) 원단을 2겹으로 본딩한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슴이 서로 모아지게 되어 가슴을 볼륨감 있게 받쳐줄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움직임이 편하게 된다.
즉 브래지어 컵(10)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날개부(30)가 트리코트(tricotT)를 2겹으로 본딩하여 되는 본딩 원단을 이용하여 밴드가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구성됨에 따라 기존의 날개부에서의 절개 라인과 브래지어의 착용감을 좌우하는 밴드·봉제선을 통한 압박감을 한 판으로 되는 날개부(30) 원단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착용감과 활동성을 갖게 됨은 물론 옆구리 살까지 압박감 없이 편안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되어 보정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날개부(30)를 한 판의 원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날개부(30) 전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노와이어 브래지어의 단점인 볼륨감을 날개부(30)를 구성하는 원단 자체 힘으로 대신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와이어를 이용한 브래지어에서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볼륨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받침부(20) 상부로 날개부(30)를 형성하는 본딩 원단이 덮어지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날개부(30)와 디자인적 통일성을 갖게 됨은 물론 봉제 라인이 밖으로 보이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래지어(1) 후면 중앙부는 후크를 결합하였을 때, 뒷판의 움직임을 감안하여 'U'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심미감은 물론 활동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브래지어(1) 후면 즉, 한 판의 원단으로 된 날개부(30)의 후면이 후크를 결합하였을 때 'U'자형이 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브래지어에서 'U'라인 형성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밴드에 의해 발생되는 밴드 자국 및 봉제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등판을 매끄럽게 만들어 아름다운 등판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래지어 컵(10)의 안쪽에 가로·세로 방향의 지지패널(50)을 형성함에 따라 브래지어 컵(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몰드(40) 형태를 살려 가슴의 모양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패널(50)은 헴(hem)패널로 되는 가로 방향의 제1패널(51)은 고신축성을 갖게 됨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갖게 됨은 물론 이를 통해 브래지어(1)의 형태를 잡아주게 되고 가슴을 안쪽으로 잡아당겨 볼륨을 만들어 주게 되어 아름다운 가슴 모양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 PN패널로 되는 세로 방향의 제2패널(52)은 고탄력을 갖게 됨에 따라 헴(hem) 패널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가슴을 위쪽으로 받쳐주고, 옆구리 쪽으로 퍼지는 가슴살을 중심 측으로 모으게 되어 볼륨을 살려 아름다운 가슴 모양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 브래지어 컵(10) 안쪽 하단에서 받침부(20)와 날개부(30)가 봉제되는 부분에는 몰드(40) 옆 상면까지 연장되는 곡선 형태의 면 바이어스(60)를 함께 봉제 결합함에 따라 노와이어의 단점인 몰드 퍼짐 현상을 줄여 주어 형태의 안정감을 살릴 수 있게 됨은 물론 바이어스(60)가 몰드(40) 옆 상변까지 끊어지지 않고 한 줄로 연결되어 가슴 볼륨을 몰드(40) 내측으로 힘있게 감싸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옆구리 살까지 안정감 있게 감쌀 수 있게 된다.
1 : 브래지어 10 : 브래지어 컵
20 : 받침부 30 : 날개부
40 ; 몰드 50 : 지지패널
51 ; 제1패널 52 ; 제2패널
60 : 바이어스

Claims (3)

  1. 브래지어에 있어서,
    브래지어 컵(10)과;
    상기 브래지어 컵(10) 사이 하단부의 중심에서 'V'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브래지어 컵(10)의 양측에 밴드가 없는 노라인(no-line) 형태의 한 판의 원단으로 형성되며, 브래지어 컵(10)과 접하는 측에서 하단은 브래지어 컵(10) 사이의 중심 하단의 받침부 (20) 양단에서부터 형성되고, 상단은 브래지어 컵(10) 측면 상부에 이르도록 형성되는 날개부(30)와;
    상기 브래지어 컵(10) 내부에 형성되는 몰드(40)와;
    상기 브래지어 컵(10)의 안쪽에는 헴(hem)패널로 되는 가로 방향의 제1패널(51)과 PN패널로 되는 세로 방향의 제2패널(52)의 2겹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래지어 컵(10) 안쪽 하단의 받침부(20)와 날개부(30)가 봉제되는 부분에는 몰드(40) 옆 상변까지 끊어지지 않고 한 줄로 연결된 면 소재의 바이어스(60)가 함께 봉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를 형성하는 한 판의 원단은 트리코트(Tricot) 원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3. 삭제
KR2020150005671U 2015-08-25 2015-08-25 브래지어 KR200479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71U KR200479386Y1 (ko) 2015-08-25 2015-08-25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71U KR200479386Y1 (ko) 2015-08-25 2015-08-25 브래지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386Y1 true KR200479386Y1 (ko) 2016-01-22

Family

ID=5531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71U KR200479386Y1 (ko) 2015-08-25 2015-08-25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8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312A (ja) 1998-09-14 2000-04-04 Kadoriile Nishida:Kk ブラジャー
KR200473982Y1 (ko) * 2014-05-13 2014-08-18 코웰패션 주식회사 브래지어
KR200477370Y1 (ko) * 2015-02-16 2015-06-09 코웰패션 주식회사 브래지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312A (ja) 1998-09-14 2000-04-04 Kadoriile Nishida:Kk ブラジャー
KR200473982Y1 (ko) * 2014-05-13 2014-08-18 코웰패션 주식회사 브래지어
KR200477370Y1 (ko) * 2015-02-16 2015-06-09 코웰패션 주식회사 브래지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370Y1 (ko) 브래지어
JP5520421B1 (ja) ブラジャーのカップ及びブラジャ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866870B1 (ko) 브래지어
WO2008011333A2 (en) Garment with shelf bra having improved breast support
US20150118936A1 (en) Decolletage-shaping brassiere
JPWO2018168875A1 (ja) ブラジャー
US9320305B1 (en) Garment having integrated breast support
KR200476701Y1 (ko) 브래지어
KR200483514Y1 (ko) 브래지어
EP2906060B1 (en) Brassiere
KR200479387Y1 (ko) 브래지어
JP2002115105A (ja) 乳房カップ及びそれを有する衣料
US2518975A (en) Brassiere
KR200479386Y1 (ko) 브래지어
JP4673720B2 (ja) 女性用衣料
KR102401295B1 (ko) 브래지어
KR200466795Y1 (ko) 브래지어
KR200474812Y1 (ko) 브래지어
KR200483238Y1 (ko) 브래지어
KR200438139Y1 (ko) 분할 패드가 구비된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42122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73981Y1 (ko) 브래지어
JP5887795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CN206462428U (zh) 一种侧比部侧推减压的内衣结构
JP4388003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女性用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