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285B1 -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285B1
KR102023285B1 KR1020180116772A KR20180116772A KR102023285B1 KR 102023285 B1 KR102023285 B1 KR 102023285B1 KR 1020180116772 A KR1020180116772 A KR 1020180116772A KR 20180116772 A KR20180116772 A KR 20180116772A KR 102023285 B1 KR102023285 B1 KR 10202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virtual
generated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호
Original Assignee
오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호 filed Critical 오준호
Priority to KR102018011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6Ray-tra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1/00Image generation
    • G06T2211/40Computed tomography
    • G06T2211/416Exact re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은 촬영피사체에 기설정된 각도마다 엑스레이 소스를 방사하고, 디텍터를 통해 수신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스케일 보정하여 이미지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 보정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로부터,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모집단 내에 기설정된 수(P)보다 많은 2차원 영상 이미지가 생성될 때까지,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포함된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2차원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METHOD FOR 3D IMAGE RECONSTRUCTION}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수의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 검사장치 또는 CT 장치는 엑스레이 소스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내부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레이 검사장치 또는 CT 장치는 피사체에 엑스레이 소스를 방사하고 상기 피사체 내부를 투과한 엑스레이 소스를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 내부를 3차원으로 영상화한다. 따라서 엑스레이 검사장치 또는 CT 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피사체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의료용, 검사용 등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엑스레이 검사장치는 피사체 내부를 3차원으로 영상화하기 위해 수백 혹은 수천의 엑스레이 소스를 방사한다. 이는 피사체에게 높은 피폭량이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하여 콘 빔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가해지는 엑스선 선량을 최소화하는 엑스선 CT촬영 장치(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7563호) 등이 개시되어 있었으나, 3차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피사체를 회전하면서 수백장~수천장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적은 수의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영상화 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적은 수량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한 후,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를 3차원 영상 생성에 활용함으로써, 최소한의 2차원 영상 촬영을 통해 방사선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각도에서 촬영한 2차원 영상 간의 이미지 스케일을 보정하여 3차원 영상 재구성에 활용함으로써,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은 촬영피사체에 기설정된 각도마다 엑스레이 소스를 방사하고, 디텍터를 통해 수신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스케일 보정하여 이미지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 보정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로부터,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모집단 내에 기설정된 수(P)보다 많은 2차원 영상 이미지가 생성될 때까지,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포함된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2차원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텍터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방사한 엑스레이 소스에 의해 생성되는 수직 이미지 및 상기 수직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회전된 방향에서 방사한 엑스레이 소스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제1 측면 이미지 및 제2 측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스케일 보정하여 이미지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측면 이미지 및 상기 제2 측면 이미지를 상기 수직 이미지의 크기로 스케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영상 이미지 M개에 대한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을 n차 진행할 때마다 생성되는 가상 이미지의 수 (M-1)2n-1의 누적합이 기설정된 수(P)와 같거나 커질 때까지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85865624-pat0001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은 수량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한 후,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를 3차원 영상 생성에 활용함으로써, 최소한의 2차원 영상 촬영을 통해 방사선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각도에서 촬영한 2차원 영상 간의 이미지 스케일을 보정하여 3차원 영상 재구성에 활용함으로써,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엑스레이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촬영 과정을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엑스레이 검사장치가 3개의 2차원 영상을 디텍터를 통해 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피사체의 촬영 각도에 따라 디텍터에 수신되는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영상 중 왜곡이 발생한 영상을 보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다각도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엑스레이 검사장치를 이용한 피사체 촬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엑스레이 검사장치를 통해 피사체의 내부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각도의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되, 최소 수량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엑스레이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촬영 과정을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엑스레이 검사장치가 3개의 2차원 영상을 디텍터를 통해 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피사체의 촬영 각도에 따라 디텍터에 수신되는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영상 중 왜곡이 발생한 영상을 보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다각도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고하면, 단계(110)에서는 촬영피사체에 기설정된 각도마다 엑스레이 소스를 방사하고, 디텍터를 통해 수신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피사체)의 불량 검사 등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210) 위를 이동하는 피사체(220)에 대하여 엑스레이 방사부(230)는 다양한 각도에서 엑스레이 소스를 방사하고, 이를 디텍터(240)에서 수신하여 2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디텍터(240)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방사한 엑스레이 소스에 의해 생성되는 수직 이미지(241) 및 상기 수직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회전된 방향에서 방사한 엑스레이 소스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제1 측면 이미지(242) 및 제2 측면 이미지(243)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 이미지(242) 및 제2 측면 이미지(243)의 경우, 엑스레이 방사부(230)로부터 방출되는 엑스레이 소스의 입사각과 디텍터의 수신각이 수직인 경우(231)에는 영상의 왜곡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나, 상기 입사각과 수신각이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232)에는 영상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에서 평면의 디텍터를 향해 엑스레이 소스를 방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측면에서 방사하는 엑스레이 소스는 입사각과 수신각이 수직을 이루지 않으므로,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단계(120)에서는 상기 획득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241, 242, 243)를 스케일 보정하여 이미지 모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계(120)에서는 상기 제1 측면 이미지(242) 및 상기 제2 측면 이미지(243)를 상기 수직 이미지(241)의 크기로 스케일 보정할 수 있다. 수직 이미지(241)는 엑스레이 소스가 수직으로 입사되는 영역이므로 영상의 왜곡이 없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스케일링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측면 이미지(242)를 스케일 보정하여 제1 보정 이미지(2421)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측면 이미지(243)를 스케일 보정하여 제2 보정 이미지(243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생성된 제1 보정 이미지(2421) 및 제2 보정 이미지(2431)는 수직 이미지(241)와 동일한 스케일로 맞추어 질 수 있다.
이후, 단계(130)에서는 상기 스케일 보정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로부터,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추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이미지(241)와 제1 보정 이미지(2421)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하여 수직 이미지(241)와 제1 보정 이미지(2421) 사이에 제1 가상 이미지(250)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제1 가상 이미지(250)를 이미지 모집단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직 이미지(241)와 제2 보정 이미지(2431)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하여 수직 이미지(241)와 제2 보정 이미지(2431) 사이에 제2 가상 이미지(260)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제2 가상 이미지(260)도 이미지 모집단에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생성한 3개의 2차원 영상이미지(241, 242, 243)에 픽셀 평균을 이용하여 생성된 2개의 가상 이미지들(250, 260)이 더해져 이미지 모집단에는 5개의 영상 이미지(241, 242, 243, 250, 260)가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단계(140)에서는 상기 이미지 모집단 내에 기설정된 수(P)보다 많은 2차원 영상 이미지가 생성될 때까지,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포함된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일예에서 픽셀 평균을 이용하여 1회차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을 통해 제1 가상 이미지 및 제2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미지 모집단에 5개의 영상 이미지(241, 242, 243, 250, 260)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2회차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을 수행하면 5개의 영상 이미지 사이에 가상 이미지들을 생성하게 되므로 4개의 가상 이미지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된 2차원 영상 이미지가 M개(ex. 3개)인 경우,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을 n차 진행할 때마다 생성되는 가상 이미지의 수는 (M-1)2n-1 개 이므로, 상기 생성된 가상 이미지를 누적 합산한 값이 기설정된 수보다 커질 때까지 상기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2차원 이미지를 원하는 만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을 n차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는 가상 이미지의 총 합은
Figure 112018096546025-pat00002
개가 되므로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은 상기 가상 이미지의 총 합이 기설정된 수(P)와 같거나 많아질 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96546025-pat00003
이후, 단계(150)에서는 상기 생성된 2차원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3차원 영상 이미지를 양품 이미지와 비교하여 제품의 불량 여부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해 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엑스레이 검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사체 촬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엑스레이 검사장치는 다수의 엑스레이 방출부가 90도의 내각을 이루며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텍터에서는 4개의 엑스레이 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엑스레이 소스로부터 생성된 2차원 영상 이미지는 4개이며, 상기 4개의 영상 이미지로부터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1회차 가상 이미지 생성을 통해 3개의 이미지가 생성되며, 2회차 가상 이미지 생성을 통해 생성되는 가상 이미지는 3*2=6개이며, n회차 가상 이미지 생성을 통해 생성되는 가상 이미지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Figure 112018096546025-pat00004
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생성된 가상 이미지의 총 합이 기설정된 수(P)와 같거나 커질 때까지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을 반복하여 3차원 이미지 재구성을 위한 2차원 이미지를 충분히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은 수량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한 후,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를 3차원 영상 생성에 활용함으로써, 최소한의 2차원 영상 촬영을 통해 방사선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각도에서 촬영한 2차원 영상 간의 이미지 스케일을 보정하여 3차원 영상 재구성에 활용함으로써,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컨베이어 벨트
220: 피사체
230: 엑스레이 방사부
240: 디텍터
241: 수직 이미지
242: 제1 측면 이미지
243: 제2 측면 이미지
2421: 제1 보정 이미지
2431: 제2 보정 이미지

Claims (4)

  1. 촬영피사체에 기설정된 각도마다 엑스레이 소스를 방사하고, 디텍터를 통해 수신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스케일 보정하여 이미지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 보정된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로부터,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모집단 내에 기설정된 수(P)보다 많은 2차원 영상 이미지가 생성될 때까지, 상기 이미지 모집단에 포함된 2차원 영상 이미지들 간의 픽셀 평균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2차원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2차원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텍터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방사한 엑스레이 소스에 의해 생성되는 수직 이미지 및 상기 수직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회전된 방향에서 방사한 엑스레이 소스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제1 측면 이미지 및 제2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스케일 보정하여 이미지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측면 이미지 및 상기 제2 측면 이미지를 상기 수직 이미지의 크기로 스케일 보정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영상 이미지 M개에 대한 가상 이미지 생성 작업을 n차 진행할 때마다 생성되는 가상 이미지의 수 (M-1)2n-1의 누적합이 기설정된 수(P)와 같거나 커질 때까지 가상 이미지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9085865624-pat00015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16772A 2018-10-01 2018-10-01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KR10202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72A KR102023285B1 (ko) 2018-10-01 2018-10-01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72A KR102023285B1 (ko) 2018-10-01 2018-10-01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285B1 true KR102023285B1 (ko) 2019-09-19

Family

ID=6806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72A KR102023285B1 (ko) 2018-10-01 2018-10-01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23A1 (ko) * 2019-10-15 2021-04-22 한국전기연구원 다중 에너지 x선 단층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2668991B1 (ko) 2022-06-10 2024-05-24 테크밸리 주식회사 개선된 방식의 3d 영상 획득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637A (ja) * 2008-03-26 2009-10-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X線異物検査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x線異物検査方法
US20130129040A1 (en) * 2011-11-17 2013-05-23 Anna-Sesilia Vlachomitrou Panoramic dental x-ray unit
KR20130081798A (ko) *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뷰를 활용한 영상복원 시스템에서 가상 뷰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40087206A (ko) * 2012-12-28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영상 처리 방법
JP2015231528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東芝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像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
KR20180065351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디알텍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637A (ja) * 2008-03-26 2009-10-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X線異物検査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x線異物検査方法
US20130129040A1 (en) * 2011-11-17 2013-05-23 Anna-Sesilia Vlachomitrou Panoramic dental x-ray unit
KR20130081798A (ko) *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뷰를 활용한 영상복원 시스템에서 가상 뷰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40087206A (ko) * 2012-12-28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영상 처리 방법
JP2015231528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東芝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像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
KR20180065351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디알텍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23A1 (ko) * 2019-10-15 2021-04-22 한국전기연구원 다중 에너지 x선 단층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2668991B1 (ko) 2022-06-10 2024-05-24 테크밸리 주식회사 개선된 방식의 3d 영상 획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8599B2 (en) Iterative reconstruction with enhanced noise control filtering
US861162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fast implementation of equally-sloped tomography
US9848844B2 (en) Iterative reconstruction process
US8897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terative image reconstruction
US11380025B2 (en) Scatter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cone-beam CT
US8774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reconstruction in tomosynthesis imaging
US2008024750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omography image reconstruction
JP7118048B2 (ja) 局所的に修正された飛行時間(tof)カーネルを使用するtof pet画像再構成
JP5290145B2 (ja) ダーティアイソトープのpet再構成
JP2009545409A (ja) トモグラフィーにおけるドーズ低減および画像改良のための反復方法
JP2011510757A (ja) 対象の周囲を動的な束縛として使用することによる、トモグラフィにおける放射線量低減および画質向上
US8755586B2 (en) Image reconstruction including shift-variant blur compensation
US9105087B2 (en) System for uncollimated digital radiography
KR102023285B1 (ko) 3차원 영상 재구성 방법
US7385200B2 (en) Re-binning method for nuclear medicine imaging devices
US11375964B2 (en) Acquisition method, acquisition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tomographic image data by means of angular offset
US201301080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t sinogram extrapolation
US11160521B2 (en) Method for 3D image reconstruction
US20190385345A1 (en) Image noise estimation using alternating negation
US9996951B2 (en) Computerized tomographic image exposure and reconstruction method
US9861325B2 (en) Restoring CT scan data
Konovalov et al. Spatial resolution of few-view computed tomography using 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s
JP2005127837A (ja) Spect装置及びspect画像再構成方法
Huang et al. Combining Acceleration Techniques for Low-Dose X-Ray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 Reconstruction
Chang et al. Improve spatial resolution by projection restoration for CT re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