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079B1 -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079B1
KR102023079B1 KR1020180076994A KR20180076994A KR102023079B1 KR 102023079 B1 KR102023079 B1 KR 102023079B1 KR 1020180076994 A KR1020180076994 A KR 1020180076994A KR 20180076994 A KR20180076994 A KR 20180076994A KR 102023079 B1 KR102023079 B1 KR 10202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ven
heater
sil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관
Original Assignee
(주)삼광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광기업 filed Critical (주)삼광기업
Priority to KR102018007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히터의 형태를 "M"자 2개를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되, 이를 세라믹이 코팅된 방열판에 고정시켜 적용함으로써 오븐 내부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기름의 탄화자국을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하부히터 부근의 열편차 및 오븐 내부의 측정 위치별 열편차가 크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기오븐레인지에서 조리되는 각종 음식의 조리가 균일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 맛과 영양 및 풍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오븐 내부에서 물을 끓여 세척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하부히터의 형태 및 방열판에 의해 오븐 내부에 균일한 열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세척성 및 세척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STRUCTURE OF HEATER FOR ELECTRIC OVEN RANGE}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에 사용되는 하부히터의 형태를 "M"자 2개를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세라믹이 코팅된 방열판에 고정시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레인지(Oven range)는 조리재료를 밀폐한 후에 건열(乾熱)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오븐(Oven)과, 주로 오븐의 상부에 형성되며 요리재료를 상면에 얹어서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레인지(Range)가 결합되어 하나의 주방기기로 일체화된 것으로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오븐레인지와 전기오븐레인지로 대별된다.
가스오븐레인지는 주로 가스를 연료로하여 다수개의 버너(Burner)를 점화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전기오븐레인지는 가스오븐레인지와는 달리 전기를 이용하여 세라믹히터(Ceramic heater)와 시즈히터(Sheathe heater),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를 작동시켜 가열하는 방식을 취한다.
전기오븐레인지는 재료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가스오븐레인지보다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하여 가스오븐레인지보다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1 및 2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의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레인지(1)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상면에 얹어서 조리하는 탑버너부(10)와, 상기 탑버너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하방에 형성되어 열대류에 의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부(30)와,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 형성되어 간단한 조리기능 또는 저장기능을 하는 드로워(Drawer)부(40)가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탑버너부(10)는 전기오븐레인지(1)의 최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탑버너부(10)의 상부에는 원적외선히터 또는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가 장착된 다수개의 전기버너(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부(10)의 상면에는 상기 전기버너(12)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세라믹글래스(Ceramic galss,14)가 형성되어 상기 전기버너(12)가 형성된 탑버너부(10)의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하방에는 전기오븐레인지(1)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2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의 작동상태 및 조리시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Display,22)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2)의 측방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기오븐레인지(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조작노브(2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의 하방에는 오븐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부(30)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로써 음식물을 조리하는 밀폐된 공간으로 오븐도어(50)에 의해 전면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히터와 열기를 강제대류 시키는 컨벡션팬(Convectionfan,32)이 구비되어 음식물이 골고루 조리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5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도어(5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52)가 형성되며, 상기 오븐부(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오븐도어(50)를 관통하는 전면투시창(54)이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오븐부(30)의 하방에 형성되는 드로워부(40)는 조리된 음식을 데우거나 간단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히터가 구비되기도 하며, 조리에 필요한 용구나 음식물을 단순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서랍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오븐부(30)의 하부에서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 오븐부의 내부를 보인 부분절결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오븐부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오븐부(30)는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븐도어(50)에 의해서 전면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오븐부(30) 내측에는 상기 오븐부(30)의 내측의 양측면과 상면과 하면 그리고 후면을 형성하는 캐비티플레이트(36)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플레이트(36)는 오븐부(30) 내측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플레이트(36s)와,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와 하면플레이트(36b), 그리고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6r)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플레이트(36)는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되기도 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36s)와 상면플레이트 그리고 하면플레이트(36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플레이트(36r)가 분리형성 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36s)및 상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 하면플레이트(36b)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캐비티플레이트(36)는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 형성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하면플레이트(36b)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히터(34)를 차폐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이물들로부터 상기 하부히터(34)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오븐부(30) 내측의 상면과 하면 즉 상기 상면플레이트와 하면플레이트(36b)에는 각각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열을 발생하는 상부히터(도시되지 않음)와 하부히터(3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히터와 하부히터(34)는 열효율이 우수한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구성되며 일정한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서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오븐부(30) 내측의 상기 후면플레이트(36r)에는 컨벡션팬(32)이 형성된다. 상기 컨벡션팬(32)은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서 열대류가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요리되도록 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36r)의 일측 즉, 컨벡션팬(32)의 외주면과 인접한 부분에는 컨벡션히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컨벡션히터는 상기 컨벡션팬(32)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을 가열하여 열기가 오븐부(30)의 내부에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히터와 하부히터(34)를 보조하여 오븐부(30)의 내부를 한층 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36s)에는 다수개의 그루브(38)가 양측면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Groove,38)는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때 음식물을 적절한 높이로 지지하는 랙(Rack,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홈으로 랙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그루브(38)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하부히터(34)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하면플레이트(36b)의 하면을 통해 전도되는 형태로 오븐부(30)를 가열하게 되는데, 종래의 하부히터(34)는 'M'자 형태로만 이루어져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플레이트(36b)에 기름의 탄화 자국이 많이 잔존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히터(34) 부근의 열편차도 크게(565 ~ 284℃)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오븐부(30) 내부 역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이 골고루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측정 위치별로도 편차가 크게(214 ~ 175℃)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오븐 내부에서 물을 끓여 세척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큰 온도 편차로 인해 끓는물에 의한 열충격 역시 그 편차가 크게되고, 이로 인해 세척성 및 세척 내구성이 매우 미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3781호 "전기오븐레인지"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6997호 "전기오븐레인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히터의 형태를 "M"자 2개를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되, 이를 세라믹이 코팅된 방열판에 고정시켜 적용함으로써 오븐 내부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기름의 탄화자국을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하부히터 부근의 열편차 및 오븐 내부의 측정 위치별 열편차가 크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기오븐레인지에서 조리되는 각종 음식의 조리가 균일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 맛과 영양 및 풍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오븐 내부에서 물을 끓여 세척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하부히터의 형태 및 방열판에 의해 오븐 내부에 균일한 열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세척성 및 세척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 하면플레이트(36b)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하부히터 구조에 있어서, 하부히터(100)가
Figure 112018065328210-pat00001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히터(100)는 방열판(200)에 고정된 상태로, 하면플레이트(36b)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열판(200)은,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방열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물유리가 포함된 무기질 세라믹 코팅층으로써,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충진제 7 ~ 12 중량부, 물유리 3 ~ 10 중량부, 융점조절제 5 ~ 10 중량부 및 안료 1 ~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부히터의 형태를 "M"자 2개를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되, 이를 세라믹이 코팅된 방열판에 고정시켜 적용함으로써 오븐 내부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기름의 탄화자국을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하부히터 부근의 열편차 및 오븐 내부의 측정 위치별 열편차가 크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기오븐레인지에서 조리되는 각종 음식의 조리가 균일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 맛과 영양 및 풍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오븐 내부에서 물을 끓여 세척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하부히터의 형태 및 방열판에 의해 오븐 내부에 균일한 열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세척성 및 세척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히터 형태 및 탄화자국을 나타낸 실물사진
도 4는 종래 히터 형태를 사용함에 따른 히터 부근 온도편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종래 히터 형태를 사용함에 따른 오븐부 내부 온도편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가 방열판에 고정된 상태 및 탄화자국을 나타낸 실물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형태 및 방열판을 사용함에 따른 히터 부근 온도편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형태 및 방열판을 사용함에 따른 오븐부 내부 온도편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형태 및 방열판을 사용함에 따른 오븐부 내부의 세척성 및 세척내구성을 나타낸 실물사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는 전기오븐레인지 하면플레이트(36b, 도 2 참조)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하부히터 구조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히터(100)가 평면 기준
Figure 112018065328210-pat00002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히터 라인이 평면기준(하부히터를 설치하였을 때 상측에서 하측으로 평면상으로 볼 때)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측으로 4번 굴곡되고 상측으로 3번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히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200)에 고정된 상태로, 하면플레이트(36b)의 하부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적용에 의해 오븐부의 내부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의 탄화자국을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히터(100) 부근의 열편차 및 오븐 내부의 측정 위치별 열편차가 크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전기오븐레인지에서 조리되는 각종 음식의 조리가 균일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 맛과 영양 및 풍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오븐 내부에서 물을 끓여 세척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하부히터(100) 의 형태 및 방열판(200)에 의해 오븐 내부에 균일한 열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성 및 세척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판(200)은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방열판을 사용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오븐부의 내부 역시 세라킥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충진제 7 ~ 12 중량부, 물유리 3 ~ 10 중량부, 융점조절제 5 ~ 10 중량부 및 안료 1 ~ 3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기질 결합제는 코팅막의 내구성,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과 내식성과 같은 화학적 물성 및 열전도율과 방열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무기질 결합제의 혼합량은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질 결합제는 입자크기(평균 입경)가 각기 다른 다양한 졸을 포함하여 그 혼합 조밀도를 증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질 결합제는 실란 화합물 40 ~ 50 중량부, 실리카 졸 20 ~ 25중량부, 알루미나 졸 15 ~ 20 중량부 및 지르코니아 졸 15 ~ 2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실란 화합물은 바인더(binder)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란 화합물의 혼합량은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혼합물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실란 화합물과 무기질 혼합물의 결합력의 저하로 박리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란 화합물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노르말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노르말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또는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실리카 졸은 무정질 실리카 미립자가 수중에서 콜로이드 미립자를 형성하여 실란 화합물과 화학반응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25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졸의 혼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실란 화합물의 결합력의 약화로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카 졸은 0.2 ~ 1.0㎛ 입자크기의 분말 산화규소(SiO2) 20 ~ 40 중량%에 분산매로 물 60 ~ 80 중량%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물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루미나 졸은 우수한 소결 밀도를 형성하여 도막의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구성과 방열성능 등의 특성과 내알칼리성, 내식성과 같은 화학적 특성을 강화시키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나 졸의 혼합량이 1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소결 밀도가 떨어져 도막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도막의 소결 밀도의 향상으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향상될 수 있지만 소결 밀도의 향상으로 도리어 도막의 표면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나 졸은 0.2 ~ 1.0㎛ 입자크기의 분말 산화알루미늄(Al2O3) 10 ~ 20 중량%에 분산매로 물 80 ~ 90 중량%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물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르코니아 졸은 소결시 높은 강도와 경도로 인해 온도변화에 강하여 내열성과 내식성과 같은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르코니아 졸의 혼합량이 1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강도 및 경도의 저하로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지르코니아 졸의 혼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강도 및 경도의 물성은 향상될 수 있지만 충격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르코니아 졸은 0.2 ~ 1.0㎛ 입자크기의 분말 지르코니아(ZrO2) 10 ~ 20 중량%에 분산매로 물 80 ~ 90 중량%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물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충진제는 실란 화합물과 무기질 혼합물 사이에서 도막의 크랙을 방지하고 점도를 조절하여 도막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능성 충전제의 혼합량은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7~1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충진제의 혼합량이 7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도막의 광택이나 접착력의 저하가 우려되고, 1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도막의 표면이 거칠게 되는 등 오히려 악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용하는 기능성 충진제는 티탄산칼륨과 알루미나 또는 토르말린, 황토, 견운모, 자수정, 생광석, 죽탄, 의왕석, 귀양석, 흑요석, 맥반석, 광명석, 용암, 귀신석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충진제는 입자형태가 침상 또는 판상으로 되어 있어, 결합제 사이에서 도막의 크랙을 방지하거나 코팅제의 점도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에 장점이 있다.
상기 물유리는 금속의 내구성 및 졸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리튬실리케이트, 칼륨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지르코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또는 티타늄 실리케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제조방법이나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물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유리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구성 및 졸 간 결합력 향상 효과가 미비할 우려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도막의 상태변화 및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기 물유리는, 격한 반응에 의해 겔화가 진행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에 졸혼합 용액과 물유리를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메탄올을 서서히 투입하도록 한다(예를 들면 메탄올과 물유리가 1 : 1 ~ 10 : 1 중량비).
상기 융점조절제는 도막을 소결시켜 코팅막을 형성할 때 혼합물의 용융상태를 낮추어 보다 저온에서 도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융점조절제의 혼합량은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조절제의 혼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코팅막을 형성할 때 소결온도가 상승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기타 혼합물의 혼합량 부족으로 소성시 도막이 흘러 온도 저하시 수축현상의 발생으로 인해 도리어 도막의 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융점조절제는 장석 또는 운모 중에서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충진제 및 융점조절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코팅층은 색상을 내기 위해 안료를 사용하며, 안료의 혼합량은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안료의 사용량은 상기에서 한정한 바 있지만 안료의 색상 또는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정한 범위에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료의 채도, 명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고, 그리고 안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인 안료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세라믹 코팅층의 두께는 20 ~ 60㎛인 것이 바람직하며,세라믹 코팅층의 두께가 20㎛ 미만이 될 경우 코팅막의 소결 밀도의 한계로 내구성,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과 내식성과 같은 화학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세라믹 코팅막의 두께가 60㎛을 초과할 경우 기계적 화학적 물성은 향상되지만 그에 따른 효과가 미약하다.
즉, 본 발명은 하부히터(100)의 형태를 "M"자 2개를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되, 이를 세라믹이 코팅된 방열판(200)에 고정시켜 적용함으로써 오븐 내부로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기름의 탄화자국을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하부히터(100) 부근의 열편차 및 오븐 내부의 측정 위치별 열편차가 크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기오븐레인지에서 조리되는 각종 음식의 조리가 균일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 맛과 영양 및 풍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오븐 내부에서 물을 끓여 세척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하부히터(100)의 형태 및 방열판(200)에 의해 오븐 내부에 균일한 열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세척성 및 세척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의 우수성에 대하여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34 : 종래 하부히터
100 : 본 발명에 따른 하부히터
200 :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

Claims (5)

  1. 전기오븐레인지 하면플레이트(36b)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하부히터 구조에 있어서,
    하부히터(100)가
    Figure 112019056943922-pat00003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히터(100)는 방열판(200)에 고정된 상태로, 하면플레이트(36b)의 하부측에 구비되며,
    상기 방열판(200)은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방열판이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물유리가 포함된 무기질 세라믹 코팅층으로써, 무기질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충진제 7 ~ 12 중량부, 물유리 3 ~ 10 중량부, 융점조절제 5 ~ 10 중량부 및 안료 1 ~ 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질 결합제는 실란 화합물 40 ~ 50 중량부와, 0.2 ~ 1.0㎛ 입자크기의 분말 산화규소 20 ~ 40 중량%에 물 60 ~ 80중량%를 혼합한 실리카 졸 20~25 중량부와, 0.2 ~ 1.0㎛ 입자크기의 분말 산화알루미늄 10 ~ 20 중량%에 물 80 ~ 90 중량%를 혼합한 알루미나 졸 15 ~ 20 중량부 및, 0.2 ~ 1.0㎛ 입자크기의 분말 지르코니아 10 ~ 20중량%에 물 80 ~ 90 중량%를 혼합한 지르코니아 졸 15~2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유리는, 리튬실리케이트, 칼륨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지르코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또는 티타늄 실리케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기능성 충진제는, 티탄산칼륨, 알루미나 또는 천연광물인 토르말린, 황토, 견운모, 자수정, 생광석, 죽탄, 의왕석, 귀양석, 흑요석, 맥반석, 광명석, 용암, 귀신석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융점조절제는, 장석 또는 운모 중에서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무기질 결합제에 사용되는 실란 화합물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노르말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노르말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또는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6994A 2018-07-03 2018-07-03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KR10202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94A KR102023079B1 (ko) 2018-07-03 2018-07-03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94A KR102023079B1 (ko) 2018-07-03 2018-07-03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079B1 true KR102023079B1 (ko) 2019-09-20

Family

ID=6806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994A KR102023079B1 (ko) 2018-07-03 2018-07-03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0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289B1 (ko) * 1993-06-28 1996-03-30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장치
KR200263730Y1 (ko) * 2001-10-29 2002-02-09 이정환 전기곤로용 전열판 구조
KR20060013781A (ko)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KR20060013763A (ko) *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열배출구조
KR20060036997A (ko) 2004-10-27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KR101736961B1 (ko) * 2016-10-14 2017-05-17 주식회사 연일엔지니어링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장치
KR101805309B1 (ko) * 2016-07-13 2017-12-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자연 대류 오븐 구조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289B1 (ko) * 1993-06-28 1996-03-30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장치
KR200263730Y1 (ko) * 2001-10-29 2002-02-09 이정환 전기곤로용 전열판 구조
KR20060013781A (ko)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KR20060013763A (ko) *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열배출구조
KR20060036997A (ko) 2004-10-27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KR101805309B1 (ko) * 2016-07-13 2017-12-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자연 대류 오븐 구조체
KR101736961B1 (ko) * 2016-10-14 2017-05-17 주식회사 연일엔지니어링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160B1 (ko) 난스틱 세라믹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가열조리기구
KR101292555B1 (ko) 열감응 조리기구와 그 제조방법
US10292528B2 (en) Non-stick coating with improved hydrophobic properties
JP5965701B2 (ja) 傷つきにくい調理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325627A1 (en) Heating cooking utensi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JP2009070812A (ja) 放熱膜を用いた熱放射加熱調理器
CN103220912A (zh) 食品以及用于烘焙的方法和设备
KR102023079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WO2018047428A1 (ja) 調理器用トップ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0758B1 (ko) 법랑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코팅 가열조리기구
CN208551082U (zh) 一种具有导瓷片的双隔层耐高温陶瓷煲
JP2020094799A (ja) 調理器用トッププレート
US2018029598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omestic appliance plate and domestic appliance device having a domestic appliance plate
JP6837795B2 (ja) 親水性材料、加熱機器
CN209857543U (zh) 一种能热风循环烘烤叶腊石的微波加热炉
JP2000018586A (ja) 暖 炉
JP5483026B2 (ja) マイクロ波吸収・自己発熱性耐熱陶磁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39760B2 (ja) 調理器用トッププレート
KR100823837B1 (ko) 발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렌지용 용기
JPH0351975B2 (ko)
KR20170002349U (ko) 인덕션 렌지용 세라믹 용기
TWM553793U (zh) 雙熱源電陶爐
JPH0227687A (ja) 加熱調理器用非金属製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90598Y1 (ko) 이중 바닥을 갖는 내열 자기
CN116406950A (zh) 发热组件、烹饪器具以及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