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720B1 - 파이프 결합 공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결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720B1
KR102021720B1 KR1020190049096A KR20190049096A KR102021720B1 KR 102021720 B1 KR102021720 B1 KR 102021720B1 KR 1020190049096 A KR1020190049096 A KR 1020190049096A KR 20190049096 A KR20190049096 A KR 20190049096A KR 102021720 B1 KR102021720 B1 KR 10202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ing member
gear
upper half
transf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형열
장우현
Original Assignee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8/00Portable power-driven joining or separation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는, 손잡이봉; 상기 손잡이봉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에 고정되고 상반부가 상하이동되어 파이프의 하면 및 상면을 물려서 고정하는 제1홀딩부재; 상기 구동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반부가 상하이동되어 연결관의 하면 및 상면을 물려서 고정하는 제2홀딩부재; 상기 제1홀딩부재의 상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이송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결합 공구{Pipe coupling tool}
본 발명은 파이프 결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체 또는 기체의 [0002] 이동로를 제공하는 관체로서, 사용 목적이 다양하고,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에너지 및 기타 물량을 공급하기 쉬울 뿐 아니라 수송 도중 물량의 손실이 매우 적고, 수송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크게 건축물 내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거나 공기의 인입인출로를 제공하는 건축파이프(급수, 급탕, 냉난방, 배수, 배기, 화재감지 등)와, 원유수송, 산업용수공급 및 배출 등 산업 목적을 위한 공업파이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한 용수의 공급로를 제공하거나 폐용수 및 폐가스의 배출로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개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상당한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주로 연결관의 양단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베스다 시스템(VESDA System: Very Early Smoke Detection Apparatus System)은, 에어 샘플링(Air Sampling)을 이용해 생성되는 연기를 흡입해 좀 더 빠르게 화재를 감지하는 시스템이며, 공기흡입형 감지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종래에는 베스다 시스템(VESDA System) 등의 배관 공사시 파이프(PVC관)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 일자형 연결관, L자 연결관, T자 연결관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되 파이프와 연결관이 접촉되는 양면에 PVC접착제를 바른 후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파이프 연결시에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파이프 연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배관 공사 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차후에 파이프가 파손 되거나 배관을 변경할 경우에는 이미 설치된 파이프를 절단한 후 다시 연결관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발라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새로 교체되는 파이프의 길이가 연결관에 삽입되는 길이만큼 길게 되어 연결 작업시 억지로 끼워맞추는 어려움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는 건물의 천정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를 연결관에 삽입하여 고정할 때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작업자가 파이프를 잡고 연결관을 밀어 결합시킬 때, 힘이 부족하여 본래의 위치보다 덜 삽입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6915호에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한쪽의 파이프를 다른 쪽의 파이프 또는 연결관에 간편하게 끼워줄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파이프 연결장치는, 관이음(60)이 안착 되는 관이음 안착부(12)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며, 한쪽 측면으로는 아랫면에 톱니(17)를 가진 레일봉(16)이 돌출된 본체(10)와, 상기 레일봉(16)에 끼워져 전후진 하되 상부에 파이프(50)가 안착되는 파이프 안착부(22)가 형성되고 하부에 몸체를 이동시키는 작동수단(30)이 마련된 작동부(20)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는, 관이음 안착부의 크기가 일정하여 다양한 수치의 관이음(60)을 결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이프 안착부(22)에 파이프(50)를 고정하기 위해 조임손잡이(40)를 수동으로 돌려 조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본체(10)에 대해 작동부(20)를 움직이기 위해 회전손잡이(36)를 손으로 회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6915호
본 발명은 천정 가까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치수의 파이프를 연결관과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 결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는, 손잡이봉; 상기 손잡이봉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에 고정되고 상반부가 상하이동되어 파이프의 하면 및 상면을 물려서 고정하는 제1홀딩부재; 상기 구동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반부가 상하이동되어 연결관의 하면 및 상면을 물려서 고정하는 제2홀딩부재; 상기 제1홀딩부재의 상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이송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홀딩부재는, 파이프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구동하우징에 고정되고 일측에 상반부의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하반부; 및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리브가 상기 하반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일측면에 기어톱니가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파이프를 위에서 지지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상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바는 상기 구동하우징에 마련된 관통공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면에 기어톱니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홀딩부재 상반부의 기어톱니와 맞물리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송바의 기어톱니와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에 의하면, 제2홀딩부재에 연결관을 수동으로 고정한 다음 제1홀딩부재를 조작부로 조작하여 천정 가까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치수의 파이프를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를 조작하여 이송바를 이동시키면 연결관이 파이프 쪽으로 움직여서 파이프와 연결관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 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T자형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90도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자형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135도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를 사용하여 파이프에 135도 연결관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 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 공구는, 길쭉한 손잡이봉(110), 손잡이봉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동하우징(120), 파이프를 고정하는 제1홀딩부재(160), 구동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바(140), 연결관을 고정하는 제2홀딩부재(170), 제1홀딩부재의 상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및 이송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손잡이봉(110)은 원형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부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봉(110)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길쭉하게 형성되고, 그 길이가 신축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동하우징(120)은 손잡이봉(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직육면체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홀딩부재(160)는 전체적으로 파이프를 상하에서 감싸도록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1홀딩부재(160)는 구동하우징(120)에 고정되어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반부(161)와, 하반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어 파이프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반부(165)로 구성된다.
이송바(140)는 구동하우징(12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하우징(120)에는 양측면에 이송바(140)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홀딩부재(160)의 하반부(161)에도 이송바(140)가 좌우로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바(140)는 사각형 단면의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바(140)의 일측면에는 기어톱니(142)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톱니(142)는 이송바(140)의 전방 측면에 소정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딩부재(170)는 이송바(14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제2홀딩부재(170)는 전체적으로 연결관을 상하에서 감싸도록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홀딩부재(170)는 이송바(14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연결관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반부(171)와, 하반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어 연결관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반부(175)로 구성된다.
제1홀딩부재(160)의 상반부(16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와, 이송바(1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50)는 구동하우징(120) 내에 장착된다.
제1홀딩부재(160)의 하반부(161)는 파이프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수평부와, 구동하우징(120)에 고정되고 일측에 상반부(165)의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162)을 구비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
제1홀딩부재(160)의 상반부(165)는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리브(166)가 하반부(161)의 가이드홈(162)에 삽입되고 가이드리브(166)의 일측면에 기어톱니(167)가 형성된 수직부와,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파이프를 위에서 지지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리브(166)는 제1홀딩부재(160)의 상반부(165)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1홀딩부재(160)의 하반부(161)에 형성된 가이드홈(162)에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고 회전불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리브(166)의 전방 측면에는 상하로 소정 구간에서 기어톱니(167)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62)은 가이드리브(166)의 기어톱니(167)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반부(161)의 전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1홀딩부재(160)의 하반부(161)와 상반부(165)는 그 사이에 파이프를 물릴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반부(161)의 상면은 일부 구간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에, 상반부(165)의 하면은 모든 구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반부(161)와 상반부(165)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파이프에 압착되어 파이프를 고정하는 압착부(163)를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압착부(163)는 고무 패드와 같이 마찰이 크고 파이프를 압착할 때 손상되지 않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홀딩부재(170)의 하반부(171)는 연결관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반부(175)의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구멍을 구비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
제2홀딩부재(170)의 상반부(175)는 나사부(177)가 형성된 리드스크류바(176)와 원형 단면의 가이드바(179)가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리드스크류바(176)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77)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홀딩부재(170)의 하반부(171)의 수직부에는 리드스크류바(176)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가이드구멍(172)과 가이드바(179)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가이드구멍(174)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구멍(172)은 리드스크류바(17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리드스크류바(176)가 상하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2가이드구멍(174)은 가이드바(179)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바(179)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가이드바(179)가 제2가이드구멍(174)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됨으로써, 제2홀딩부재(170)의 상반부(175)가 하반부(171)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반부(171)의 수직부 상단면에는, 리드스크류바(176)의 나사부(177)와 맞물리는 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된 노브(178)가 구비된다. 노브(178)는 하반부(171)에 상하이동이 불가능하지만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노브(178)를 손으로 회전시키면 리드스크류바(176)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2홀딩부재(170)의 하반부(171)와 상반부(175)는 그 사이에 연결관을 물릴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홀딩부재(160)와 달리, 하반부(171)의 상면과 상반부(175)의 하면은 일부 구간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반부(171)와 상반부(175)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연결관에 압착되어 연결관을 고정하는 압착부(173)를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압착부(173)는 고무 패드와 같이 마찰이 크고 파이프를 압착할 때 손상되지 않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동부(130)는 구동하우징(120) 내에 장착되는 제1모터(132)와, 제1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1홀딩부재(160) 상반부(165)의 기어톱니(167)와 맞물리는 제1기어(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132)와 제1기어(134) 사이에는 감속기어 또는 감속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홀딩부재(160)의 가이드리브(166)와 제1구동부(130)의 제1기어(134)는 랙-피니언 결합 구조를 구성한다.
제2구동부(150)는 구동하우징(120) 내에 장착되는 제2모터(152)와, 제2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송바(140)의 기어톱니(142)와 맞물리는 제2기어(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모터(152)와 제2기어(154) 사이에도 감속기어 또는 감속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개념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130)와 제2모터(150)는 각각 전원(18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180)은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구비될 수 있고, 전력원에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1모터(130)와 제2모터(150)는 각각 정역회전 가능한 전기 모터이고, 각각 조작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200)는 제1모터(130)를 작동시키는 상하이동버튼과 제2모터(150)를 작동시키는 좌우이동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바(140)에는 한 쌍의 리미트 돌기(149)가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이들이 소정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190)를 구비할 수 있다.
리미트 돌기(149)는 반드시 돌출된 돌기 형태가 아닐 수도 있고, 자석부재가 매립된 형태이거나 또는 오목한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리미트 스위치(190)는 리미트 돌기(149)의 이동 한계 위치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택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리미트 돌기(149)와 리미트 스위치(190)가 구동하우징(120)의 외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상 그렇게 도시한 것이고 실제로는 구동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리미트 돌기(149)는 이송바(140)의 이동에 따라 구동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리미트 스위치(190)는 항상 구동하우징(120) 내부에 고정된다.
전원(180)과 전선들도 구동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거나 손잡이봉(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200)는 손잡이봉(110)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거나 구동하우징(120) 내부로부터 유선으로 외부로 연결되어 리모컨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다양한 형태의 연결관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연결관(30)은 파이프 결합 부위가 3군데 형성되어 T자 모양을 이룬다.
T자형 연결관(30)의 파이프 결합 부위는 내주면에 파이프가 일시적으로 걸리는 복수의 얇은 돌기들(35)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결합 부위의 최내측에는 내경이 줄어들어서 단차면(36)이 형성되어 있다.
T자형 연결관(30)의 파이프 결합 부위에 파이프(10, 도 7 참조)를 끼울 때, 파이프(10)의 일단부가 돌기들(35)에 일차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어서, 파이프(10)를 계속 밀어넣으면 돌기들(35)이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고, 파이프(10)의 일단부가 단차면(36)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연결관(40)은 파이프 결합 부위가 2군데 형성되고 중간 부위가 호형으로 형성된다.
90도 연결관(40)의 파이프 결합 부위는 내부면에 복수의 얇은 돌기들(45)이 형성되고, 최내측에는 단차면(46)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연결관(50)은 파이프 결합 부위가 2군데 형성되고 중간 부위가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일자형 연결관(50)의 파이프 결합 부위는 중간 부위에 비해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5도 연결관(20)은 파이프 결합 부위가 2군데 형성되고 중간 부위가 135도의 호형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135도 연결관(20)의 파이프 결합 부위는 중간 부위에 비해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연결관 외에도 十자형 연결관 또는 30도 내지 180도 중 임의의 각도의 연결관도,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를 사용하여 파이프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를 사용하여 파이프에 135도 연결관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를 이용하여 파이프에 연결관을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건물의 천정에는 파이프(10)가 천정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우선, 작업자는 제2홀딩부재(170)의 노브(178)를 돌려서 제2홀딩부재(170)에 연결관(20)을 끼워 소정의 회전 각도로 고정한다.
조작부(200)를 조작하여 제1홀딩부재(160)를 벌려서 파이프(10)의 일단부 가까이에 제1홀딩부재(160)를 건 다음 상반부(165)를 내려서 파이프(10)를 제1홀딩부재(160)에 고정한다.
다음에, 조작부(200)를 조작하여 이송바(140)를 파이프(10)가 있는 쪽으로 이동시키면, 연결관(20)이 파이프(10) 쪽으로 이동하여 파이프(10)가 연결관(20)에 삽입된다. 이때, 제2홀딩부재(170)는 연결관(20)의 외주면 단차부에 걸려서 연결관(20)을 파이프(10)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조작부(200)를 조작하여 이송바(140)를 움직일 때, 리미트 스위치(190)에 의해 연결관(20)이 파이프(10) 쪽으로 이동하다가 정지하는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즉, 파이프(10)가 연결관(20) 내부의 단차부에 접촉할 때 리미트 스위치(190)가 작동하도록 부품들의 치수에 맞춰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 공구를 사용하면, VESDA 파이프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파이프도 매우 쉽고 정확하게 연결관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홀딩부재에 연결관을 수동으로 고정한 다음 제1홀딩부재를 조작부로 조작하여 천정 가까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치수의 파이프를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를 조작하여 이송바를 이동시키면 연결관이 파이프 쪽으로 움직여서 파이프와 연결관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10: 손잡이봉 120: 구동하우징
130: 제1구동부 132: 제1모터
134: 제1기어 140: 이송바
142: 기어톱니 149: 리미트 돌기
150: 제2구동부 152: 제2모터
154: 제2기어 160: 제1홀딩부재
161: 하반부 162: 가이드홈
163: 압착부 165: 상반부
166: 가이드리브 167: 기어톱니
170: 제2홀딩부재 171: 하반부
172: 제1가이드구멍 173: 압착부
174: 제2가이드구멍 175: 상반부
176: 리드스크류바 177: 나사부
178: 노브 179: 가이드바
180: 전원 190: 리미트 스위치
200: 조작부 10: 파이프
20: 135도 연결관 30: T자형 연결관
40: 90도 연결관 50: 일자형 연결관

Claims (5)

  1. 손잡이봉;
    상기 손잡이봉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에 고정되고 상반부가 상하이동되어 파이프의 하면 및 상면을 물려서 고정하는 제1홀딩부재;
    상기 구동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반부가 상하이동되어 연결관의 하면 및 상면을 물려서 고정하는 제2홀딩부재;
    상기 제1홀딩부재의 상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이송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딩부재는,
    파이프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구동하우징에 고정되고 일측에 상반부의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하반부; 및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리브가 상기 하반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일측면에 기어톱니가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파이프를 위에서 지지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상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홀딩부재 상반부의 기어톱니와 맞물리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 공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는 상기 구동하우징에 마련된 관통공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면에 기어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 공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송바의 기어톱니와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 공구.
KR1020190049096A 2019-04-26 2019-04-26 파이프 결합 공구 KR10202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96A KR102021720B1 (ko) 2019-04-26 2019-04-26 파이프 결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96A KR102021720B1 (ko) 2019-04-26 2019-04-26 파이프 결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20B1 true KR102021720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096A KR102021720B1 (ko) 2019-04-26 2019-04-26 파이프 결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915A (ko) 2006-09-22 2008-03-26 김종윤 파이프 연결장치
KR20150087966A (ko) * 2014-01-23 2015-07-31 강석근 이음관 및 압력관 결합 장치
KR101656982B1 (ko) * 2015-02-02 2016-09-30 이인순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101835785B1 (ko) * 2016-08-04 2018-03-08 강석근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915A (ko) 2006-09-22 2008-03-26 김종윤 파이프 연결장치
KR20150087966A (ko) * 2014-01-23 2015-07-31 강석근 이음관 및 압력관 결합 장치
KR101656982B1 (ko) * 2015-02-02 2016-09-30 이인순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101835785B1 (ko) * 2016-08-04 2018-03-08 강석근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2030T3 (es) Pinza de prensado.
ES2798146T3 (es) Abrazadera y herramienta de reparación
EP3616845B1 (en) Pressing tool
CN110811493A (zh) 一种蛇骨单元、蛇骨、内窥镜及内窥镜转动的控制方法
CN101796406A (zh) 超声波探伤检测用探头以及超声波探伤检测用扫查器
KR102021720B1 (ko) 파이프 결합 공구
CN215967045U (zh) 一种房屋建筑管道的旋转式焊接装置
KR101312469B1 (ko) 파이프 벤딩기
US20220057040A1 (en) Pipe interior inspection robot
CN205496810U (zh) 多功能管道x射线探测焊接机器人
ITAN20070005U1 (it) Attacco rapido per staffe che sorreggono elementi tubolari
KR101915230B1 (ko) 전동식 자동 휴대형 vcr 각도 피팅기
KR20170037324A (ko)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CN115076484A (zh) 一种避免受高温压缩可稳定对接的消防接口
TWI554685B (zh) 軟管泵及流體送出方法
CN214721933U (zh) 一种消防管焊接用的定位夹具
KR101313188B1 (ko) 전동 치공구
CN110757412A (zh) 一种阀门开闭工具
CN215722597U (zh) 一种建筑电气套管堵塞点定位装置
CN219254638U (zh) 一种圆管框架全角度焊接装置
JPH04217475A (ja) 移動ロボット
WO2024041592A1 (zh) 一种疏通器
CN108296328A (zh) 管件弯折设备
CN219511907U (zh) 一种多点空气采样设备
CN216488796U (zh) 一种快插式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