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435B1 -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435B1
KR102021435B1 KR1020180128915A KR20180128915A KR102021435B1 KR 102021435 B1 KR102021435 B1 KR 102021435B1 KR 1020180128915 A KR1020180128915 A KR 1020180128915A KR 20180128915 A KR20180128915 A KR 20180128915A KR 102021435 B1 KR102021435 B1 KR 10202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guide sign
beac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Priority to KR102018012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안내 표지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 공원, 박물관,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되는 안내 표지판에 제공되는 문자 정보를 열람하는 열람자의 국적에 해당하는 언어로 변역하여 제공할 수 있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Linked To Guide Sign}
본 발명은 외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안내 표지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 공원, 박물관,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되는 안내 표지판에 제공되는 문자 정보를 열람하는 열람자의 국적에 해당하는 언어로 변역하여 제공할 수 있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내 표지판은 산, 공원, 박물관,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되어 방향이나 위치, 거리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공간의 제약 상 한국어가 기본적으로 표기되지만, 외국어의 경우 표기되지 않거나 영어 정도만 표기되어 제공되므로 안내 표지판에 표시된 언어를 모르는 외국인 입장에서 안내 표지판의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입장에서 위치, 방향, 거리, 목적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표지판은 목적지를 찾거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매우 유용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공간 상의 제약과 언어 상의 제약에 따라 모든 외국인이 안내 표지판을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표지판에 제공되는 문자 정보를 열람하는 열람자의 국적에 따른 지정 언어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언어로 변역된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안내 표지판은 식별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안내 표지판에 설치되어 비콘정보를 송신하는 비콘 송신기와; 상기 수신된 비콘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유저 단말과;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비콘 정보로부터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를 통해 유저를 식별하고, 유저의 국적에 따른 외국어를 추출하여 상기 안내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을 상기 추출된 외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식별코드와;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리더기와; 상기 식별코드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식별코드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유저 단말과;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유저 식별정보로부터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를 통해 유저의 국적에 따른 외국어를 추출하여 상기 안내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을 상기 추출된 외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비콘 송신기에서 전송된 비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식별코드에서 인식된 식별코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비콘 정보 또는 식별코드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부터 식별된 유저의 국적에 해당하는 외국어로 번역된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를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유저 등록 과정을 통해 유저 정보를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에 등록하게 되고, 상기 유저 정보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정보와 유저가 지정한 외국어 정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는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등록 관리하는 안내표지판관리모듈과; 설치된 비콘 송신기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비콘관리모듈 또는 설치된 식별코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식별코드관리모듈과;
유저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유저관리모듈과; 상기 비콘 송신기의 비콘 정보와 유저 단말의 유저 식별정보를 토대로 안내 표지판과 유저를 추출하여 식별하는 식별모듈과;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번역된 번역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컨텐츠지원모듈과; 등록된 비콘정보, 등록된 안내 표지판 정보, 등록된 유저정보,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에 대한 외국어 버전의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표지판관리모듈은 특정 위치에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면 안내표지판의 식별정보와 상기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안내표지판에 게시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표지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콘관리모듈 또는 식별코드관리모듈은 비콘 송신기가 특정 안내 표지판에 할당되면 할당된 안내 표지판 식별 정보와 상기 비콘 송신기의 비콘 정보를 일대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거나, 식별코드가 특정 안내 표지판에 할당되면 할당된 안내 표지판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일대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유저관리모듈은 유저의 등록을 관리하고, 등록된 유저가 지정한 외국어를 함께 등록하여 관리하여 유저가 식별되면 유저에게 필요한 외국어가 자동으로 식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모듈은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근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비콘 정보또는 식별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비콘 정보또는 식별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비콘 정보 또는 식별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비콘 송신기 또는 식별코드를 식별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 또는 식별코드와 매핑되어 저장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유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상기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에게 필요한 외국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는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 정보는 물론 안내 표지판의 위치 정보도 포함하므로 유저의 위치 정보까지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의 게시된 정보를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버전으로 변환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제공하되, 상기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는 실제 안내 표지판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가상 안내 표지판과 상기 가상 안내 표지판 내에 삽입된 문자가 특정 외국어로 번역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안내 표지판에 개시된 정보에 대해 미리 외국어로 변역된 컨텐츠가 제작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번역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식별된 유저가 지정한 언어에 대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이 컨텐츠가 없는 경우 번역 엔진을 통해 상기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정보를 추출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외국어로 번역한 결과로 생성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련 컨텐츠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상기 관련 컨텐츠는 상기 안내 표지판이 설치된 위치와 관련되어 제공되는 컨텐츠로서 상기 안내 표지판 인근에 문화재, 유적지와 같은 주요 장소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주요 장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 제작된 관련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유저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주요 장소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보 또는 증강 현실 데이터(AR)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비콘송신기로부터 비콘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인 경우 일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일행에게 전달한 메세지를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위치정보확인모듈과 메세지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확인모듈은 안내 표지판의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로부터 유저가 식별되면 상기 비콘 정보와 매핑된 안내 표지판 정보 중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유저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유저의 이동 동선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일행에게 상기 유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세지관리모듈은 일행에 대한 공지사항이 있는 경우 일행을 지정하여 공지사항을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지정된 일행이 안내 표지판 인근에서 식별되면 상기 업로드된 공지사항을 일행이 소지한 유저 단말의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유저가 특정 장소로 향하는 과정에서 통과하는 안내 표지판의 비콘 정보에 따라 유저의 이동 동선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유저 사이 또는 관광객을 통솔하는 가이드가 일행의 동선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일행에게 공지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비콘송신기로부터 비콘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안내 표지판은 식별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리더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안내 표지판과 매핑된 비콘 정보와 식별코드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의 식별모듈은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유저 단말에 상기 식별 코드 인식을 요청하고 상기 유저 단말이 원하는 안내 표지판의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식별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 중 매핑된 식별코드 정보까지 일치하는 1개를 추출하여 안내 표지판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비콘 또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유저의 식별은 물론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여 유저가 지정한 외국어 버전의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인이 손쉽게 안내 표지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유저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동선 관리가 가능하고 안내 표지판에 연계된 다양한 관련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여 오프라인의 안내 표지판의 공간 상의 제약없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저가 지정한 외국어 버전의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유저가 원하는 안내 표지판을 특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표지판은 산, 공원, 유적지, 박물관, 공공 장소, 도로 등에 설치되어 이용하는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든 표지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특히, 특정한 장소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박물관, 유적지, 공원과 같은 장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안내 표지판에 설치되어 비콘정보를 송신하는 비콘 송신기(10)와 상기 비콘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유저 어플리케이션(210)을 구비한 유저 단말(20)과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비콘 정보로부터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를 통해 유저의 국적에 따른 외국어를 추출하여 상기 안내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을 상기 추출된 외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송신기(10)는 설치된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기 위한 고육 식별 정보인 비콘 정보를 저장하고, 인근 유저 단말에 상기 비콘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비콘 송신기(10)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라 사운드 기반의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블루투스 비콘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히,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4.0 프로토콜 기반의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한 비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정보는 비콘 ID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ID는 상기 안내 표지판의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므로 상기 비콘 ID 정보만 있으면 안내 표지판도 식별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 비콘 송신기에서 전송된 비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30)로 전송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부터 식별된 유저의 국적에 해당하는 외국어로 번역된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를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유저 단말(20)은 안내 표지판 인근을 지나가는 유저가 소지하는 단말로 본 서비스 적용을 위해 제공되는 전용 단말,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폰과 같이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은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유저는 자신이 소지한 유저 단말이 휴대폰과 같은 휴대 단말인 경우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면 유저 등록 과정을 통해 유저 정보를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에 등록하게 되고, 상기 유저 정보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외국어 정보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 식별정보를 통해 유저가 식별되면 유저에게 필요한 외국어 정보가 식별되고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정보가 해당 외국어로 번역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30)는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안내표지판관리모듈(310)과 설치된 비콘 송신기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비콘관리모듈(320)과 유저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유저관리모듈(330)과 상기 비콘 송신기의 비콘 정보와 유저 단말의 유저 식별정보를 토대로 안내 표지판과 유저를 추출하여 식별하는 식별모듈(340)과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번역된 번역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컨텐츠지원모듈(350)과 등록된 비콘정보, 등록된 안내 표지판 정보, 등록된 유저정보,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에 대한 외국어 버전의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실시간으로 식별된 유저가 요청한 외국어로 실시간으로 번역하여 번역된 외국어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번역 엔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표지판관리모듈(310)은 특정 위치에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면 안내표지판의 식별정보와 상기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안내표지판에 게시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표지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비콘관리모듈(320)은 비콘 송신기가 특정 안내 표지판에 할당되면 할당된 안내 표지판 식별 정보와 상기 비콘 송신기의 비콘 정보를 일대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상기 유저관리모듈(330)은 유저의 등록을 관리하고, 등록된 유저가 설정한 외국어를 함께 등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유저가 식별되면 유저에게 필요한 외국어가 자동으로 식별될 수 있다.
상기 식별모듈(340)은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인근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비콘 정보와 일치하는 비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비콘 송신기를 식별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와 매핑되어 저장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유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상기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에게 필요한 외국어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외국어를 선택하지 않아도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가 인공지능적으로 유저를 식별하여 자동으로 해당 외국어로 번역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는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 정보는 물론 안내 표지판의 위치 정보도 포함하므로 유저의 위치 정보까지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지원모듈(350)은 기본적으로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의 게시된 정보를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버전으로 변환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는 실제 안내 표지판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가상 안내 표지판과 상기 가상 안내 표지판 내에 삽입된 문자가 특정 외국어로 번역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즉, 식별된 안내 표지판에 표시된 한국어를 식별된 유저가 지정한 외국어로 변환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가 유저가 소지한 유저 단말로 전송되고, 유저는 실제 안내 표지판과 동일하게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통해 안내 표지판의 내용을 손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지원모듈(350)은 데이터베이스(360)에 안내 표지판에 개시된 정보에 대해 미리 외국어로 변역된 컨텐츠가 제작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번역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표지판에 대한 영어 버전으로 번역된 안내 표지판 컨텐츠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경우 식별된 유저가 지정한 언어가 영어인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어 버전의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식별된 유저가 지정한 언어에 대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이 컨텐츠가 없는 경우 번역 엔진을 통해 상기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정보를 추출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외국어로 번역한 결과로 생성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은 실제 안내 표지판과 동일한 디자인의 2D 또는 3D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360 VR로 구성되어 현장감과 실재감을 제공하면서 외국어 버전의 안내 표지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지원모듈(350)은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련 컨텐츠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련 컨텐츠는 상기 안내 표지판이 설치된 위치와 관련되어 제공되는 컨텐츠로서 상기 안내 표지판 인근에 문화재, 유적지와 같은 주요 장소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주요 장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 제작된 관련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유저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이다.
상기 관련 컨텐츠는 주요 장소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보는 물론 증강 현실 데이터(A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특정 장소로 향하는 과정에서 통과하는 안내 표지판의 비콘 정보에 따라 유저의 이동 동선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유저사이 또는 관광객을 통솔하는 가이드가 일행의 동선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일행에게 공지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지원모듈(350)은 일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일행에게 전달한 메세지를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위치정보확인모듈(351)과 메세지관리모듈(35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확인모듈(351)은 안내 표지판의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로부터 유저가 식별되면 상기 비콘 정보와 매핑된 안내 표지판 정보 중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유저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유저의 이동 동선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일행에게 상기 유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세지관리모듈(352)은 일행에 대한 공지사항이 있는 경우 일행을 지정하여 공지사항을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지정된 일행이 안내 표지판 인근에서 식별되면 상기 업로드된 공지사항을 일행이 소지한 유저 단말의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체로 여행 중인 유저 들이 일행 정보를 상기 컨텐츠지원모듈(350)을 통해 업로드하면, 상기 컨텐츠지원모듈(350)은 일행들이 소지한 유저 단말의 유저 식별정보를 그루핑하여 관리하고 유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지사항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일행에 대한 인원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유저가 원하는 안내 표지판을 특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의 위치의 인근에 2개 이상의 안내 표지판이 존재하여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유저가 원하는 안내 표지판을 특정하기 위해 안내 표지판에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는 식별 코드(11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수신된 비콘 정보 이외에 유저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면 식별 모듈이 적어도 2개의 안내 표지판 중 유자가 열람을 원하는 안내 표지판을 특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 표지판에는 식별코드(110)가 부착되고, 유저 단말(20)은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리더기(220)를 더 구비하고, 데이터베이스에는 안내 표지판과 매핑된 비콘 정보와 식별코드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안내표지판 관리 서버의 식별모듈(340)은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유저 단말(20)에 상기 식별 코드 인식을 요청하고 상기 유저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식별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 중 매핑된 식별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1개를 추출하여 안내 표지판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110)는 바코드, QR코드, RF태그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식이 가능한 수단은 무엇이나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식별코드(11)와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리더기(220)와 상기 식별코드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식별코드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유저 어플리케이션(210)을 구비한 유저 단말(20)과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비콘 정보로부터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를 통해 유저의 국적에 따른 외국어를 추출하여 상기 안내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을 상기 추출된 외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30)는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안내표지판관리모듈(310)과 설치된 식별코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식별코드관리모듈(320)과 유저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유저관리모듈(330)과 상기 식별코드 정보와 유저 단말의 유저 식별정보를 토대로 안내 표지판과 유저를 추출하여 식별하는 식별모듈(340)과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번역된 번역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컨텐츠지원모듈(350)과 등록된 비콘정보, 등록된 안내 표지판 정보, 등록된 유저정보,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에 대한 외국어 버전의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비콘 송신기 대신 식별코드가 안내 표지판에 부착되고, 유저 단말의 식별코드 리더기가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식별코드 정보를 추출하고 유저 어플리케이션이 추출된 식별코드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서버로 전송하여 안내 표지판 서버가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토대로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고, 유저 식별정보를 토대로 유저를 식별하는 것으로 안내 표지판 식별을 위한 수단이 비콘에서 식별코드로 대체된 점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이나 동작은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의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서는 비콘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유저가 유저 단말에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유저 등록 과정을 통해 유저 정보를 안내 표지판 서버에 업로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 표지판 서버의 유저관리모듈은 상기 유저 등록 과정을 통해 유저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유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유저 정보는 유저 식별정보, 유저 인적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저 인적정보는 적어도 국적 또는 번역을 원하는 외국어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저가 식별되면 유저의 국적에 따른 유저가 원하는 번역 외국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유저가 유저 단말을 소지하고 특정 안내 표지판 인근으로 이동하면 상기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에서 송신된 비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유저가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면 유저 단말이 상기 비콘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비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저가 안내 표지판을 확인하고 안내 표지판 근처로 접근하기만 하면 비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정보가 수신되면 유저 단말의 유저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유저 단말이 블루투스를 통해 비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의 식별모듈은 상기 비콘 정보를 통해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를 통해 유저를 식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모듈은 비콘 정보에 포함된 비콘 ID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비콘 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이에 매핑되어 저장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안내 표지판 정보로부터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게 된다.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는 안내 표지판 식별정보,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 정보, 안내 표지판의 위치 정보, 안내 표지판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표지판 관련 정보는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 정보에 대한 등록된 외국어 번역 정보, 안내 표지판에 관련된 화상, 동영상, 오디오, AR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콘 ID가 식별되면 안내 표지판이 식별되어 안내 표지판의 위치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모듈은 유저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저 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유저 정보를 통해 유저를 식별하고, 유저 정보에 포함된 국적 또는 외국어 정보에 따라 유저에게 번역 제공해야 할 외국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내 표지판과 유저가 식별되면 컨텐츠지원모듈은 상기 식별된 유저에게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에 대한 외국어 번역 컨텐츠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식별된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게시된 내용에 대한 상기 외국어로 번역한 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외국어 번역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국어 번역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유저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번역한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번역엔진을 통해 상기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에 대해 상기 외국어로 실시간 번역을 수행하여 상기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번역엔진은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 내에 구비될 수 있지만, 외부 번역 엔진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유저가 인도 사람으로 안내 표지판의 내용이 인도어로 번역된 번역 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번역 컨텐츠를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번역 엔진을 통해 상기 안내 표지판의 내용을 인도어로 실시간 번역을 수행하여 생성된 번역 컨텐츠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상기 번역컨텐츠 이외에 안내 표지판과 관련된 관련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유저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표지판과 관련된 증강 현실 컨텐츠(AR)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AR)는 관광 명소인 경우 해당 관광 명소에 대한 3차원 캐릭터에 의한 가이드 정보, 특정 위치를 찾아가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와 같이 유저에게 가상 현실(AR)을 이용하여 제작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안내표지판과 유저가 식별되면 상기 안내표지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유저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유저가 식별된 안내 표지판의 위치 정보로부터 유저의 이동 동선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목적지를 등록한 경우 유저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저의 실제 이동 동선 정보를 비교하여 유저가 목적지까지 제대로 이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저에게 경로를 이탈하였다는 알람과 함께 올바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비콘 송신기 20 : 유저 단말
30 :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

Claims (10)

  1. 안내 표지판에 설치되어 비콘정보를 송신하는 비콘 송신기와;
    상기 수신된 비콘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유저 단말과;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비콘 정보로부터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를 통해 유저를 식별하고, 유저의 국적에 따른 외국어를 추출하여 상기 안내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을 상기 추출된 외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비콘 송신기에서 전송된 비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로부터 식별된 유저의 국적에 해당하는 외국어로 번역된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를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유저 등록 과정을 통해 유저 정보를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에 등록하게 되고, 상기 유저 정보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정보와 유저가 지정한 외국어 정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는
    안내 표지판에 설치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등록 관리하는 안내표지판관리모듈과; 설치된 비콘 송신기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비콘관리모듈과;
    유저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유저관리모듈과;
    상기 비콘 송신기의 비콘 정보와 유저 단말의 유저 식별정보를 토대로 안내 표지판과 유저를 추출하여 식별하는 식별모듈과;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번역된 번역 안내 표지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컨텐츠지원모듈과;
    등록된 비콘정보, 등록된 안내 표지판 정보, 등록된 유저정보,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에 대한 외국어 버전의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지판관리모듈은
    특정 위치에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면 안내표지판의 식별정보와 상기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안내표지판에 게시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표지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콘관리모듈은
    비콘 송신기가 특정 안내 표지판에 할당되면 할당된 안내 표지판 식별 정보와 상기 비콘 송신기의 비콘 정보를 일대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거나, 식별코드가 특정 안내 표지판에 할당되면 할당된 안내 표지판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일대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유저관리모듈은
    유저의 등록을 관리하고, 등록된 유저가 지정한 외국어를 함께 등록하여 관리하여 유저가 식별되면 유저에게 필요한 외국어가 자동으로 식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모듈은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근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비콘 정보또는 식별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비콘 정보와 일치하는 비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비콘 송신기를 식별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 또는 식별코드와 매핑되어 저장된 안내 표지판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유저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유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상기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에게 필요한 외국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정보는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 정보는 물론 안내 표지판의 위치 정보도 포함하므로 유저의 위치 정보까지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의 게시된 정보를 상기 식별된 유저가 등록한 외국어로 버전으로 변환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제공하되, 상기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는 실제 안내 표지판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가상 안내 표지판과 상기 가상 안내 표지판 내에 삽입된 문자가 특정 외국어로 번역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안내 표지판에 개시된 정보에 대해 미리 외국어로 변역된 컨텐츠가 제작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번역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식별된 유저가 지정한 언어에 대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이 컨텐츠가 없는 경우 번역 엔진을 통해 상기 안내 표지판에 게시된 정보를 추출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외국어로 번역한 결과로 생성된 가상 번역 안내 표지판 컨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상기 식별된 안내 표지판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련 컨텐츠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관련 컨텐츠는
    상기 안내 표지판이 설치된 위치와 관련되어 제공되는 컨텐츠로서 상기 안내 표지판 인근에 문화재, 유적지와 같은 주요 장소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주요 장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 제작된 관련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유저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주요 장소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보 또는 증강 현실 데이터(AR)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지원모듈은
    비콘송신기로부터 비콘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인 경우 일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일행에게 전달한 메세지를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위치정보확인모듈과 메세지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확인모듈은
    안내 표지판의 비콘 정보와 유저 식별정보로부터 유저가 식별되면 상기 비콘 정보와 매핑된 안내 표지판 정보 중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유저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유저의 이동 동선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일행에게 상기 유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세지관리모듈은
    일행에 대한 공지사항이 있는 경우 일행을 지정하여 공지사항을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지정된 일행이 안내 표지판 인근에서 식별되면 상기 업로드된 공지사항을 일행이 소지한 유저 단말의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유저가 특정 장소로 향하는 과정에서 통과하는 안내 표지판의 비콘 정보에 따라 유저의 이동 동선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유저 사이 또는 관광객을 통솔하는 가이드가 일행의 동선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일행에게 공지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지판은 식별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리더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안내 표지판과 매핑된 비콘 정보와 식별코드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안내 표지판 관리 서버의 식별모듈은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유저 단말에 상기 식별 코드 인식을 요청하고 상기 유저 단말이 원하는 안내 표지판의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식별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적어도 2개의 비콘 정보 중 매핑된 식별코드 정보까지 일치하는 1개를 추출하여 안내 표지판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80128915A 2018-10-26 2018-10-26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2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15A KR102021435B1 (ko) 2018-10-26 2018-10-26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15A KR102021435B1 (ko) 2018-10-26 2018-10-26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435B1 true KR102021435B1 (ko) 2019-09-18

Family

ID=6807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915A KR102021435B1 (ko) 2018-10-26 2018-10-26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4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83A (ko) * 2019-11-15 2021-05-25 설동열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23880B1 (ko) * 2021-04-27 2021-11-09 다온플레이스 주식회사 머신러닝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문화재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30025649A (ko) * 2021-08-13 2023-02-22 주식회사 투어링위키 식별 코드 기반 여행 콘텐츠 메타 미디어 플랫폼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204A (ko)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세이가 다중 디바이스 연동 제어 시스템
KR20180072932A (ko) * 2016-12-22 2018-07-02 노건욱 실시간 클라우드 생활서비스 번역정보 제공방법
KR20180083653A (ko) * 2017-01-13 2018-07-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메뉴판 시스템
KR20180087961A (ko) * 2017-01-26 2018-08-03 주식회사 펀웨이브 증강현실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표지판 및 간판 번역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204A (ko)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세이가 다중 디바이스 연동 제어 시스템
KR101840381B1 (ko) * 2016-01-26 2018-05-04 주식회사 세이가 다중 디바이스 연동 제어 시스템
KR20180072932A (ko) * 2016-12-22 2018-07-02 노건욱 실시간 클라우드 생활서비스 번역정보 제공방법
KR20180083653A (ko) * 2017-01-13 2018-07-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메뉴판 시스템
KR20180087961A (ko) * 2017-01-26 2018-08-03 주식회사 펀웨이브 증강현실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표지판 및 간판 번역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83A (ko) * 2019-11-15 2021-05-25 설동열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0709B1 (ko) * 2019-11-15 2022-10-31 주식회사 에스티엘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23880B1 (ko) * 2021-04-27 2021-11-09 다온플레이스 주식회사 머신러닝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문화재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30025649A (ko) * 2021-08-13 2023-02-22 주식회사 투어링위키 식별 코드 기반 여행 콘텐츠 메타 미디어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612496B1 (ko) * 2021-08-13 2023-12-12 주식회사 투어링위키 식별 코드 기반 여행 콘텐츠 메타 미디어 플랫폼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435B1 (ko) 안내 표지판 연계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6833886B2 (ja) 初期ナビゲーションにおいて視覚ランドマークを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292805B (zh) 一种室内导航系统及其室内导航方法
KR1005330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02810A1 (en) Navigation using an image of a topological map
JP2008058276A (ja) 車載装置
KR20120115687A (ko) 코드 인식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580576B1 (ko)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시스템
KR20060092020A (ko) Rf 태그를 이용한 위치 파악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287816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dicating a return route in a mobile device
KR101187316B1 (ko) 위치 안내 방법
US20120289156A1 (en) Multiple uses of an e-book reader
US11402229B2 (en) Enhanced location-based navigation for pedestrians and public transportation users
KR20120062337A (ko) Qr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269A (ko) 경로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7961A (ko) 증강현실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표지판 및 간판 번역 서비스 시스템
KR102442239B1 (ko)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JP2019061328A (ja) 案内システム、及び案内プログラム
KR20040090498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물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8880A (ko)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EP3407303B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KR20180116200A (ko) 지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ejen DEVELOPMENT OF AN ANDROID FRAMEWORK FOR VISUAL NAVIGATION AND ORIENTATION
JP2003006219A (ja) 情報提示システム
KR101805839B1 (ko)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