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839B1 -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839B1
KR101805839B1 KR1020170073881A KR20170073881A KR101805839B1 KR 101805839 B1 KR101805839 B1 KR 101805839B1 KR 1020170073881 A KR1020170073881 A KR 1020170073881A KR 20170073881 A KR20170073881 A KR 20170073881A KR 101805839 B1 KR101805839 B1 KR 101805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nformation
image
barcode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치헌
Original Assignee
파이키앤컴퍼니 주식회사
현인호
김병훈
송치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키앤컴퍼니 주식회사, 현인호, 김병훈, 송치헌 filed Critical 파이키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839B1/ko
Priority to PCT/KR2018/006050 priority patent/WO20182308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종이 팜플랫이나 책자 형태로 배포되는 인쇄지도와 연계하여 다수의 관심지점(Point-Of-Interest, POI)에 관련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도 크기, 제작 비용, 특정 목적 등을 이유로 관심지점 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쇄지도(예: 종이형 관광안내 지도)를 GIS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시킴으로써 여행, 교육, 운동 등을 위해 사용자가 방문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통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이해 및 이용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팜플랫이나 책자 형태로 배포되는 특수 목적의 인쇄지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맛집지도 등과 같이 독창적인 포맷의 인쇄지도를 통해 각각의 특수 목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범례에 따른 정식 지도에서 제공하는 지도 고유의 기능도 활용할 수 있고 정보통신 기술을 통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어 인쇄지도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Point-Of-Interest contents management platform system interworking with printed map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종이 팜플랫이나 책자 형태로 배포되는 인쇄지도와 연계하여 다수의 관심지점(Point-Of-Interest, POI)에 관련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도 크기, 제작 비용, 특정 목적 등을 이유로 관심지점 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쇄지도(예: 종이형 관광안내 지도)를 GIS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시킴으로써 여행, 교육, 운동 등을 위해 사용자가 방문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통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이해 및 이용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단방향 전자 화면 등에 표현되는 지도의 경우에 주변 관광지(POI) 안내, 홍보 등의 목적을 위하여 지도 작성의 일반 범례를 따르지 않고 자체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예를 들어 주요 관광지나 맛집은 실제보다 크고 자세하게 그리면서 그외 지역은 작게 그리거나 아예 생략하는 것이다.
이처럼 특수한 목적을 위해 작성되는 인쇄지도는 해당 지역에 대한 일반적이고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지도의 본질을 벗어난 것이어서 해당 특수 목적의 측면 이외에는 별로 가치가 없거나 오히려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지도는 그 자체로는 별다른 가치가 없고 단지 광고지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어 숙박시설이나 휴게소 등지에서 관광객들에게 무료로 배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들 특수 목적의 지도를 통해서는 정확한 지리 정보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범례에 맞는 정식 지도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식 지도가 특수 목적 지도의 구석에 작게 축소하여 병기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부분의 시간에는 범례에 맞게 작성된 정식 지도를 활용하다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잠시 특수 목적 지도를 참조한다. 이러한 활용 양태로 인하여 특수 목적의 인쇄지도는 자체적인 가치를 거의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목적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특수 목적 지도는 매우 유용하다. 또한, 범례에 따른 정식 지도의 단점인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표현 방식의 단조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는 해당 분야에서는 공간 표상의 주관화를 통한 지리시각화(geographic visualization)라고 부른다. 심미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보면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맛집지도 등이 정식 지도에 비해 더 우월하기 때문에 더많이 보급할 필요도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 발전하고 있는 컴퓨터 기술, GIS 기술,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시켜 특수 목적의 인쇄지도의 사용상 단점을 해결하고 부가기능을 추가하여 지도 본연의 기능은 강화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이들 지도를 좀더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인쇄지도와 연계하여 다수 관심지점에 대한 콘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 크기, 제작 비용, 특정 목적 등을 이유로 관심지점 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쇄지도(예: 종이형 관광안내 지도)를 GIS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시킴으로써 여행, 교육, 운동 등을 위해 사용자가 방문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통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이해 및 이용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각각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 및 미리 설정된 하나이상의 표상체가 인쇄되어 있는 다수의 인쇄지도와 관련하여 지도발행 정보와 표상체 연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표상체 이미지에 대응하여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표상체 연계정보를 획득하는 연계분석 처리부(230);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표상체 이미지를 연계분석 처리부로 제공하고 연계분석 처리부로부터 표상체 연계정보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하는 POI 콘텐츠를 발행하여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POI 콘텐츠 제공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표상체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선형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이미지 바코드, 마커 이미지, 방안격자, 무늬 패턴 이미지, 스탬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POI 콘텐츠는 유무료 모바일 티켓으로 사용 가능한 고유 바코드, 티켓사용처의 위치정보, 인근 지역의 부대정보, 스마트 단말에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활용 정보값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는, 각각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와 인쇄지도의 제휴사 및 해당 지역의 관심지점에 관한 하나이상의 표상체가 누적 인쇄된 다수의 인쇄지도와 관련하여 지도 발행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 관심지점에 대한 범용 축적의 지도 이미지, 제휴사에 대한 광고 정보 및 바코드 일련번호, 제휴사 인근의 부대정보 및 공공정보, 관심지점에 관한 입장권 구매정보 및 할인쿠폰 정보 중 하나이상을 표상체 연계정보로서 저장 관리하는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이미지 마커의 패턴 분석에 의해 GIS 정보값을 획득하여 그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활용 정보값으로 매핑하고 촬영 이미지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여 그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스마트 단말 화면의 지도 표출 범위를 설정하고,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관심지점에 대한 범용 축적의 지도 이미지를 POI 콘텐츠로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에 표시될 화면의 최적 배율을 계산하여 스마트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바코드 추출 정보와 잔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POI 콘텐츠 제공부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 이미지에 인쇄된 표상체에 대응하는 POI 콘텐츠를 제공받는 지도연계 처리부(620);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연계분석 처리부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POI 콘텐츠를 제공받아 스마트 단말에 표출하는 UX 처리부(6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바코드 추출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 바코드 리스트를 연계분석 처리부로 전달하고 잔여 이미지 정보로부터 이미지 마커를 추출하여 연계분석 처리부로 전달하며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계분석 처리부로부터 추출 바코드 리스트와 이미지 마커에 대한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의 조회결과 분석 값을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POI 콘텐츠를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추출바코드 리스트에 대해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해당 제휴사 정보를 획득하고 이미지 마커에 기초하여 지도 표출 범위를 설정하고 표출 범위에 대해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제휴사 인근 부대정보를 획득하며 조회결과 분석 값을 POI 콘텐츠 제공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POI 콘텐츠에 기초하여 제휴사 바코드를 생성하고 화면최적화 지도와 제휴사 정보를 UX 처리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에 표출하며, 제휴사 입구에 설치된 비콘 장치(500)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그 생성된 제휴사 바코드 중에서 그 수신된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제휴사 바코드를 식별하여 UX 처리부를 통해 자동 활성화시키며, GIS 서버(300)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면 그 생성된 제휴사 바코드 중에서 그 수신된 GPS 정보에 대응하는 제휴사 바코드를 식별하여 UX 처리부를 통해 자동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범용 축적의 도로 및 지형 이미지, 다수의 관심지점에 관련된 특수 축적의 지형 이미지, 관심지점과 관련된 바코드 이미지, 각종 마커 및 이들의 배열과 각종 패턴 이미지를 누적 인쇄하여 지역별 인쇄지도를 발행 제어하고 인쇄지도의 발행 정보를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로 제공하는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UX 처리부(610)는 인쇄지도에 대한 촬영 이미지로부터의 표상체 인식을 보조하기 위하여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 모듈에 대해 연속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고,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방사 필터링을 통해 촬영 이미지에 대한 회전각을 추출하고 회전각을 고려한 수직 필터링과 수평 필터링을 통해 촬영 이미지로부터 하나이상의 바코드 후보군을 추출하고 촬영 이미지에서 바코드 후보군의 비트맵 이미지와 잔여 이미지 정보를 POI 콘텐츠 제공부로 전달하며,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바코드 추출 정보에 대응하는 추출바코드 리스트를 생성하고 촬영 이미지로부터 바코드를 제외한 잔여 이미지를 분리한 후 이로부터 이미지 마커를 추출하고 추출바코드 리스트와 이미지 마커를 연계분석 처리부로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표상체 연계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팜플랫이나 책자 형태로 배포되는 특수 목적의 인쇄지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맛집지도 등과 같이 독창적인 포맷의 인쇄지도를 통해 각각의 특수 목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범례에 따른 정식 지도에서 제공하는 지도 고유의 기능도 활용할 수 있고 정보통신 기술을 통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어 인쇄지도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맛집지도 등과 관련하여 각각의 특수 목적에 맞도록 제작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통해 독창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표현력을 가지면서도 정식 지도와 동일한 레벨의 정보 전달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가 인쇄지도를 발행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인쇄지도와 스마트 단말 간의 인터페이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과 연계분석 처리부 간의 인터페이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인쇄지도 캡쳐 이미지의 분석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위한 이미지 분석 기술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관광지도에 적용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맛집지도 등과 같이 종이 팜플랫이나 책자 형태로 배포되는 특수 목적의 인쇄지도(700)를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60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통신 기술을 채용하였다. 인쇄지도(700)의 제작 과정에서는 종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특정의 물리 매체 상에 지도 이미지 뿐만 아니라 관련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각종 표상체를 함께 인쇄하였다.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600)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자신이 휴대한 인쇄지도(700)의 관심 부분을 촬영하면 그 위에 인쇄된 표상체들도 자동적으로 함께 촬영된다. 스마트 단말(600)에 설치된 앱(APP) 또는 서버 장치에 설치된 이미지 처리 소프프웨어가 이들 표상체를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여 각각 의미있는 실시간, 동기화된 정보인 POI 콘텐츠를 발행하여 스마트 단말(6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100),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 연계분석 처리부(230), POI 콘텐츠 제공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 연계분석 처리부(230),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개별적으로 독립된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 장치 내에 이들을 모두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스마트 단말(600)의 앱(APP)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외부에 마련된 시스템인 GIS 서버(300), 비콘 관리서버(400), 비콘 장치(500)와 연동하여 그때그때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600)을 휴대하는데, 본 발명을 위하여 스마트 단말(600)에는 UX 처리부(610)와 지도연계 처리부(620)가 예컨대 앱(APP)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100)는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맛집지도 등과 같은 특수 목적의 인쇄지도(700)를 발행하고 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100)는 특정의 인쇄지도(700)에 대하여 이를 발행하기 위해 필요한 해당 지점의 범용 축적의 도로 및 지형 이미지, 다수의 관심지점에 관련된 특수 축적의 지형 이미지, 관심지점과 관련된 바코드 이미지(표상체), 각종 마커 및 이들의 배열과 각종 패턴 이미지(표상체)를 인쇄지도 별로 확보하고 이들을 누적 인쇄하여 지역별 인쇄지도를 발행 제어한다.
이중에서 일부는 인쇄지도 제작시에 인쇄되는 것이 아니라 제작된 인쇄지도(700) 상에 스탬프 날인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표상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관심지점과 관련된 바코드 이미지는 지도 인쇄할 때에는 공백으로 두고 사후적으로 스탬프 날인하는 방식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넓은 지역을 위한 인쇄지도(700)를 제작한 후에 좀더 좁은 지역 단위로 바코드 이미지를 특화하여 설정하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바코드 이미지는 스탬프 날인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제작 단가와 서비스 유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 경우에는 해당 스탬프 날인 상황에 맞도록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도 그때그때 별도 채널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해당 인쇄지도(700)와 연계하여 각종 POI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100)는 인쇄지도(700)를 한가지 발행하면 그에 관련된 발행 정보(예: 인쇄지도의 고유식별코드, 인쇄지도의 발행 주체 및 시기, 해당 인쇄지도의 발행에 사용된 표상체 이미지 등)를 생성 및 패키징하며, 이를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인쇄지도(printed map)는 기본적으로 특정의 물리 매체에 지도 이미지가 표시된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이 팜플랫, 지도 책자, 관광 안내판, 지역안내 입간판, 간소화 지도, 지역 홍보물, 옥외 광고물, 약도가 그려져있는 명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표상체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선형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이미지 바코드, 마커 이미지, 방안격자, 무늬 패턴 이미지, 스탬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상체는 인쇄지도(700) 상에 사용자에게 인식 가능한 형태 또는 인식 불가능한 형태로 지도 이미지에 겹쳐져서 인쇄되는데 이중에서 일부는 스탬프로 날인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표상체는 그 인쇄된 지점의 GIS 정보, 그 인쇄된 지점과 관련된 관심지점(예: 주요 관광지, 맛집, 주요 교통안내 지점 등)에 대한 식별정보, 해당 인쇄지도의 제휴사 정보 등을 인코딩하여 나타낸 것이다.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는 다수의 인쇄지도(700)와 관련하여 지도 발행정보를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 관리한다. 이들 인쇄지도에는 각각 해당하는 특정 지역에 대한 범용 축적 및 특수 축적의 지도 이미지와 인쇄지도의 제휴사, 그리고 해당 지역의 관심지점에 관한 하나이상의 표상체가 누적 인쇄되어 있다.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는 이들을 인쇄지도(700)에 대한 지도 발행정보로서 저장 관리한다.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는 인쇄지도(700)에 인쇄되어 있는 각종 고유식별정보와 표상체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600)로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는 여러 관심지점에 대한 범용 축적의 지도 이미지, 인쇄지도 제휴사에 대한 광고 정보 및 바코드 일련번호, 제휴사 인근의 부대정보 및 공공정보, 관심지점에 관한 입장권 구매정보 및 할인쿠폰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표상체 연계정보라고도 부른다.
스마트 단말(600)을 사용하여 특정의 인쇄지도(700)에서 일부 특정 영역을 촬영하면 본 발명에서는 해당 촬영 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각종 표상체를 식별하고 그에 연계되어 있는 POI 콘텐츠를 제공한다.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는 이를 위해 개별 표상체에 대하여 어떠한 POI 콘텐츠가 연계되어 있는지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스마트 단말(600)에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지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어떠한 표상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표상체에 어떠한 POI 콘텐츠가 연계되어 있는지를 식별해낸다. 즉, 특정 인쇄지도(700)에 대한 스마트 단말(600)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표상체 이미지에 대응하여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와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로부터 표상체 연계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지도에 인쇄되어 있던 이미지 마커의 패턴 분석에 의해 GIS 정보값을 획득한다. 각각의 인쇄지도(700)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지점에 각각의 지리적 위치(GIS 정보값)가 어디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이미지 마커의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마커의 형태로부터 해당 마커가 GIS 정보에 관련된 것임을 구분할 수 있고, 이미지 마커의 패턴으로부터 GIS 정보의 값이 얼마인지 구체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스마트 단말(600)에서 촬영한 인쇄지도(700)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그 이미지 마커의 이미지 패턴으로부터 그 촬영 영역에 대한 GIS 정보값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그 GIS 정보값을 그 스마트 단말(600)에 임베드되어 있는 디지털맵의 활용 정보값으로 매핑한다. 스마트 단말(600)에는 네이버 지도나 구글 지도, 혹은 자체 지도 등을 통해 표준 범례를 따르는 디지털맵 데이터가 임베드되어 있다. 앞서의 과정에서 촬영 이미지의 지리적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IS 정보값을 식별하였는데, 그 GIS 정보값에 대응하는 표준 범례의 디지털맵 데이터를 그 임베드된 디지털맵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한,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인쇄지도(700)에 대한 촬영 이미지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여 그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스마트 단말(600) 화면의 지도 표출 범위를 설정한다. [도 5]의 좌측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600)을 통해 인쇄지도(700)의 일부분을 촬영한 것이므로, 그 촬영 영역에 맞도록 디지털맵이 화면 상에 표출되는 범위를 설정한다.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600)로부터 특정 인쇄지도(700)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제공받고, 해당 정보를 연계분석 처리부(230)로 제공하며 연계분석 처리부(230)로부터 표상체 연계정보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하는 POI 콘텐츠를 발행하여 스마트 단말(600)로 리턴한다. 본 발명에서 POI 콘텐츠로는 유무료 모바일 티켓으로 사용 가능한 고유 바코드, 티켓사용처의 위치정보, 인근 지역의 부대정보, 스마트 단말에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활용 정보값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관심지점에 대하여 스마트 단말(600)에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지도 이미지를 POI 콘텐츠로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 단말(600)에 표시될 디지털맵 지도 화면의 최적 배율을 지도 촬영 이미지로부터 계산하여 스마트 단말(60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과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600)의 이용자는 다음과 같은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관광지도, 여행안내책자, 맛집지도 등과 같이 특정 상황에 최적화 제작되는 특수 목적 인쇄지도의 오랜 단점인 정보 부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쇄지도(700)에서 특정 지점에 대해 상세한 정보와 부가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600)을 사용하여 인쇄지도(700)에서 해당 영역을 촬영하면 전용 앱(APP)을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하여 범용 축적에 따라 작성된 정식 지도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과 관련된 각종 콘텐츠(POI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방문 예정이거나 현재 방문 중인 관광지와 여행지에 대하여 공간현상의 연속성과 상호의존성 두가지 차원의 정보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열람할 수 있고 기타 상호 작용이 가능해진다. 이때, 공간현상의 연속성 정보로는 도로, 기상상태, 대중교통, 공립 관광지, 생태관광지 현황 정보를 들 수 있고, 공간현상의 상호의존성 정보로는 차량통행, 유동인구, 입장권 등 가격의 변화, 사설 관광지의 신설 및 폐지 정보를 들 수 있다.
이처럼 인쇄지도(700)에 GIS 정보통신 기술을 결합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관광지도와 같이 종이에 인쇄되어 직접 휴대하고 다니는 아날로그 지도와 스마트 단말(600)을 통해 전자적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지도의 장점들을 적절히 병합하여 활용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단말(600)은 상대적으로 화면이 작기 때문에 디지털 지도로는 한번에 볼 수 있는 정보의 폭이 매우 좁은 단점이 있다. 아날로그 지도는 종이를 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전체적인 지형이나 도로의 배치, 그리고 그 지역 내에서 관심지점의 배치 및 도로와의 연관성 등이 한눈에 파악 가능하다.
반면, 아날로그 지도는 그 지도가 인쇄된 시점의 정보를 담고있기 때문에 정보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다. 스마트 단말(600)에 설치된 앱(APP)의 역할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휴사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각종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지리관련 정보를 획득한다는 동일한 목적을 위해 기존에 각자 취향에 따라 나름대로 이용되었던 아날로그 지도와 디지털 지도를 결합하여 재미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이용 행태를 지속적으로 추적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해당 사용자의 개인 특성을 추출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정보를 개인화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인쇄지도(700)와 스마트 단말(600) 간의 인터페이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UX 처리부(610)와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스마트 단말(600)에 본 발명을 위한 전용 앱(APP)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600)과 연계분석 처리부(230) 간의 인터페이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도 3]과 [도 4]를 연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특정 인쇄지도(700)의 특정 영역을 스마트 단말(600)을 조작하여 촬영한다. 이 때, UX 처리부(610)는 스마트 단말(600)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쇄지도(700)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연계분석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UX 처리부(610)는 그 전달한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POI 콘텐츠를 연계분석 처리부(230)로부터 리턴받아 스마트 단말(600)에 표출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UX 처리부(610)로부터 인쇄지도(700)에 대한 촬영 이미지(지도 이미지)를 제공받는데, 그 지도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바코드 추출 정보와 잔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도(700)에는 각종 표상체가 인쇄되어 있는데, 지도 이미지에는 이들 표상체의 이미지도 포함되어 있다. 바코드는 표준 포맷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므로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지도 이미지에서 바코드의 포함 상태를 추출한 후에, 바코드 추출 정보와 그 외의 나머지에 관한 정보를 생성한다. 바코드 이외의 비표준 포맷의 정보는 스마트 단말(600)보다는 원격지의 서버에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바코드 추출 정보와 잔여 이미지 정보를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 이미지(지도 이미지)에 인쇄된 표상체에 대응하는 POI 콘텐츠를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부터 리턴받는다.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바코드 추출 정보를 수신하면 인쇄지도(700)에 발행된 바코드에 관한 정보와 대조하여 추출 바코드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그 촬영된 지도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던 바코드가 식별된 것이다.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그 생성한 추출 바코드 리스트를 연계분석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210, 220)를 조회하여 추출바코드 리스트에 대응하는 제휴사 정보를 획득한다. 제휴사는 일반적으로 해당 인쇄지도(700)에 무언가 광고를 하거나 티켓을 판매하기를 원하는 업체이다.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그 제휴사 정보 조회 결과를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 리턴한다.
한편,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210, 220)는 각각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 및 미리 설정된 하나이상의 표상체가 인쇄되어 있는 다수의 인쇄지도와 관련하여 지도발행 정보와 표상체 연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장치이며,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와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를 구비한다.
또한,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잔여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마커를 추출한다. 지도 이미지 중에서 바코드가 아닌 부분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함으로써 어떠한 이미지 마커가 있는지 추출하는 것이다. 이미지 마커는 표준 포맷이 존재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마트 단말(600)의 앱(APP)에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서버 장치에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그 추출된 하나이상의 이미지 마커를 연계분석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이미지 마커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그 촬영 이미지의 GIS 정보값을 도출한다. GIS 정보값은 스마트 단말(600)에 임베드된 디지털맵에 매칭하는 정보이다. 또한,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이미지 마커의 패턴이 어디까지 노출되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촬영 이미지의 지도 표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해당 표출 범위에 대해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210, 220)를 조회하여 제휴사 인근 부대정보를 획득한다.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210, 220)에 대한 조회결과 분석 값을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 제공한다. 연계분석 처리부(230)가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 제공하는 조회결과 분석 값으로는 제휴사 바코드 일련번호, 제휴사 정보(명칭, 이미지, GPS 좌표, 상품 가격정보 등), 앱(APP)에 출력될 디지털맵 화면의 최적 배율, 제휴사 인근의 부대정보 및 공공정보, 각 정보에 따른 주제별 PIN 이미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이처럼 추출바코드 리스트의 조회 결과 및 이미지 마커의 조회 결과를 연계분석 처리부(230)로부터 제공받으며, 이에 대응하여 POI 콘텐츠를 발행하여 스마트 단말(600)로 전달한다. 이때 발행되는 POI 콘텐츠는 인쇄지도(700)에서 스마트 단말(600)이 촬영한 영역에 인쇄되어 있던 각종 표상체에 대응하여 생성 또는 선택된 것이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관심갖는 지역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단말(600)의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그 제공받은 POI 콘텐츠에 기초하여 제휴사 바코드를 생성하고 UX 처리부(610)를 통해 제휴사 바코드를 스마트 단말(600)의 화면에 표출한다. 또한,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그 제공받은 POI 콘텐츠에 따른 화면최적화 지도와 제휴사 정보를 UX 처리부(610)를 통해 스마트 단말(600)의 화면에 표출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600)을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하던 중에 특정의 제휴사 근처에 위치하면, 그 제휴사 입구에 설치된 비콘 장치(500)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스마트 단말(600)이 수신하게 되며, 이를 통해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사용자가 제휴사에 접근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그 생성된 제휴사 바코드 중에서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제휴사 바코드를 식별하여 UX 처리부(610)를 통해 자동 활성화시킨다.
또한, 외부의 GPS 서버(300)로부터 GPS 정보를 제공받거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직접 수신함으로써 스마트 단말(600)은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데, GPS 정보를 POI 콘텐츠에 포함된 제휴사 GPS 좌표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사용자가 제휴사에 접근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제휴사에 접근하는 경우에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그 생성된 제휴사 바코드 중에서 GPS 정보에 대응하는 제휴사 바코드를 식별하여 UX 처리부(610)를 통해 자동 활성화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인쇄지도 캡쳐 이미지의 분석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미지 분석 기술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600)을 통해 인쇄지도(700) 중에서 자신이 관심있는 지역을 촬영한다. 스마트 단말(600)에 전용 앱(APP)의 형태로 구현된 UX 처리부(610)와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그 촬영된 영역의 지도 이미지를 스캐닝한 후에 이미지 처리를 통해 각종의 표상체를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UX 처리부(610)는 표상체 인식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인쇄지도(700)를 촬영하려고 할 때에 스마트 단말(600)의 카메라 모듈에 대해 연속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수평 필터링(horizontal filtering), 수직 필터링(vertical filtering), 방사 필터링(radial filtering)을 통해 촬영 이미지로부터 하나이상의 표상체 이미지를 추출해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확히 수직 수평을 맞추어서 지도를 사진찍는 것을 기대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먼저 방사 필터링을 통해 촬영 이미지에 대한 회전각을 추출한다. 그 회전각을 고려한 상태에서 수직 필터링과 수평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서 촬영 이미지로부터 하나이상의 바코드 후보군을 추출하고 촬영 이미지에서 바코드 후보군 각각의 비트맵 이미지와 잔여 이미지 정보를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 전달한다. 이처럼 기확보된 촬영 이미지에 대해 3가지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바코드와 이미지 마커를 한꺼번에 복수 개 추출할 수 있다.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인쇄지도(700)에 대해 발행되어 있는 바코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바코드 추출 정보에 대응하는 추출바코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추출바코드 리스트는 그 촬영 이미지에 실제로 유효하게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의 목록이다. 그리고 나서,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촬영 이미지로부터 바코드 항목을 제외한 잔여 이미지를 분리하여 이미지 처리 및 객체 인식에 적합한 형태로 만든 후에, 이로부터 이미지 마커를 추출한다.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추출바코드 리스트와 이미지 마커를 연계분석 처리부(230)로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표상체 연계정보를 수신한다.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210, 220)를 조회하여 추출바코드 리스트에 대응하는 제휴사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이미지 마커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촬영 이미지가 지리적으로 현실의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 GIS 정보값을 도출한다. 또한,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이미지 마커의 패턴이 어디까지 노출되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촬영 이미지의 지도 표출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스마트 단말(600)의 화면에 표출할 때의 최적 배율을 계산해낼 수 있다.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추출바코드 리스트와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표상체 연계정보로서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210, 220)에 대한 조회결과 분석 값을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 제공한다. 연계분석 처리부(230)가 POI 콘텐츠 제공부(240)로 제공하는 조회결과 분석 값으로는 제휴사 바코드 일련번호, 제휴사 정보(명칭, 이미지, GPS 좌표, 상품 가격정보 등), 앱(APP)에 출력될 디지털맵 화면의 최적 배율, 제휴사 인근의 부대정보 및 공공정보, 각 정보에 따른 주제별 PIN 이미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600)의 UX 처리부(610)는 앱(APP)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활용하여 최적 배율에 따라 POI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비콘 신호나 GIS 신호를 활용하여 근접 인식영역 내에 존재하는 제휴사의 할인쿠폰(바코드)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한다.
[도 7]은 본 발명을 관광지도에 적용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600)에 전용 앱(APP)을 설치하고, 인터넷이나 주변 사람들을 통해 미리 입수한 관광지도를 스캐닝하여 실시간 정보와 POI 콘텐츠를 확보한다. 이후에, 관광지도에 따른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게 되면 이처럼 미리 확보해둔 POI 콘텐츠를 활용한다. 예를 들어, 관심지점에 진입하면 비콘이나 GPS 정보로부터 이를 인식하게 되고, 자동적으로 해당 관심시점에 대응하는 POI 콘텐츠를 활성화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
210 :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
220 :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
230 : 연계분석 처리부
240 : POI 콘텐츠 제공부
300 : GIS 서버
400 : 비콘 관리서버
500 : 비콘 장치
600 : 스마트 단말
610 : UX 처리부
620 : 지도연계 처리부
700 : 인쇄지도

Claims (7)

  1. 각각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 및 미리 설정된 하나이상의 표상체가 인쇄되어 있는 다수의 인쇄지도와 관련하여 지도발행 정보와 표상체 연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표상체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표상체 연계정보를 획득하는 연계분석 처리부(230);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표상체 이미지를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로부터 상기 표상체 연계정보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하는 POI 콘텐츠를 발행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POI 콘텐츠 제공부(240);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바코드 추출 정보와 잔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POI 콘텐츠 제공부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촬영 이미지에 인쇄된 표상체에 대응하는 상기 POI 콘텐츠를 제공받는 지도연계 처리부(620);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인쇄지도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POI 콘텐츠를 제공받아 스마트 단말에 표출하는 UX 처리부(61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UX 처리부(610)는 상기 인쇄지도에 대한 촬영 이미지로부터의 표상체 인식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 모듈에 대해 연속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고,
    상기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방사 필터링을 통해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한 회전각을 추출하고 상기 회전각을 고려한 수직 필터링과 수평 필터링을 통해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하나이상의 바코드 후보군을 추출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바코드 후보군의 비트맵 이미지와 잔여 이미지 정보를 상기 POI 콘텐츠 제공부로 전달하며,
    상기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바코드 추출 정보에 대응하는 추출바코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바코드를 제외한 잔여 이미지를 분리한 후 이로부터 이미지 마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바코드 리스트와 상기 이미지 마커를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로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표상체 연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상체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선형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이미지 바코드, 마커 이미지, 방안격자, 무늬 패턴 이미지, 스탬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POI 콘텐츠는 유무료 모바일 티켓으로 사용 가능한 고유 바코드, 티켓사용처의 위치정보, 인근 지역의 부대정보, 스마트 단말에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활용 정보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는,
    각각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와 인쇄지도의 제휴사 및 해당 지역의 관심지점에 관한 하나이상의 표상체가 누적 인쇄된 다수의 인쇄지도와 관련하여 지도 발행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범용 축적의 지도 이미지, 상기 제휴사에 대한 광고 정보 및 바코드 일련번호, 상기 제휴사 인근의 부대정보 및 공공정보, 상기 관심지점에 관한 입장권 구매정보 및 할인쿠폰 정보 중 하나이상을 표상체 연계정보로서 저장 관리하는 POI 부가데이터 관리부(2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 마커의 패턴 분석에 의해 GIS 정보값을 획득하여 상기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활용 정보값으로 매핑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임베드된 디지털맵의 스마트 단말 화면의 지도 표출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OI 콘텐츠 제공부(240)는 상기 바코드 추출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 바코드 리스트를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잔여 이미지 정보로부터 이미지 마커를 추출하여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로 전달하며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계분석 처리부로부터 상기 추출 바코드 리스트와 이미지 마커에 대한 상기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의 조회결과 분석 값을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POI 콘텐츠를 발행하며,
    상기 연계분석 처리부(230)는 상기 추출바코드 리스트에 대해 상기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해당 제휴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마커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표출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표출 범위에 대해 상기 지도연계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제휴사 인근 부대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조회결과 분석 값을 상기 POI 콘텐츠 제공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도연계 처리부(620)는,
    상기 POI 콘텐츠에 기초하여 제휴사 바코드를 생성하고 화면최적화 지도와 제휴사 정보를 상기 UX 처리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에 표출하며,
    제휴사 입구에 설치된 비콘 장치(500)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제휴사 바코드 중에서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제휴사 바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UX 처리부를 통해 자동 활성화시키며,
    외부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제휴사 바코드 중에서 상기 수신된 GPS 정보에 대응하는 제휴사 바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UX 처리부를 통해 자동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범용 축적의 도로 및 지형 이미지, 다수의 관심지점에 관련된 특수 축적의 지형 이미지, 상기 표상체를 위하여 상기 관심지점과 관련된 바코드 이미지, 상기 표상체를 위하여 각종 마커 및 이들의 배열과 각종 패턴 이미지를 누적 인쇄하여 지역별 인쇄지도를 발행 제어하고 상기 인쇄지도의 발행 정보를 상기 인쇄지도 정보 관리부(210)로 제공하는 인쇄지도 발행 관리서버(1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7. 삭제
KR1020170073881A 2017-06-13 2017-06-13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1805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81A KR101805839B1 (ko) 2017-06-13 2017-06-13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PCT/KR2018/006050 WO2018230861A1 (ko) 2017-06-13 2018-05-28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81A KR101805839B1 (ko) 2017-06-13 2017-06-13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839B1 true KR101805839B1 (ko) 2017-12-12

Family

ID=6094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881A KR101805839B1 (ko) 2017-06-13 2017-06-13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5839B1 (ko)
WO (1) WO201823086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44B1 (ko) * 2010-11-04 2011-07-13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86183B1 (ko) * 2013-01-03 2013-07-23 (주)글로벌종합상사 푸쉬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KR101518400B1 (ko) 2015-01-14 2015-05-12 송치헌 대중교통 탑승객을 위한 비콘 기반의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10B1 (ko) * 2008-11-13 2011-06-21 엔에이치엔(주)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10131346A (ko) * 2010-05-31 2011-12-07 김경중 정보제공, 전자지불수단충전, 티켓발행, 유에프아이디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KR20160027605A (ko) * 2014-09-01 2016-03-10 한국교통연구원 사용자기기의 실내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위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44B1 (ko) * 2010-11-04 2011-07-13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86183B1 (ko) * 2013-01-03 2013-07-23 (주)글로벌종합상사 푸쉬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KR101518400B1 (ko) 2015-01-14 2015-05-12 송치헌 대중교통 탑승객을 위한 비콘 기반의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0861A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0145B2 (ja) 単一統合型印刷データ入力カードを使用する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591353B2 (ja) 文字認識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固定局装置、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US7451041B2 (en) Network-based navigation system having virtual drive-thru advertisements integrated with actual imagery from along a physical route
US8825404B2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oute-related information
US20170328730A1 (en) Dynamic map synchronization
US20090106126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of visual field agreement typ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server for use in the system
US20120183172A1 (en) Community-Based Data for Mapping Systems
US9583074B2 (en) Optimization of label placements in street level images
CN102037326A (zh) 以3d显示导航数据的方法
CN107131884A (zh) 基于设备的方向信息的设备交易模型和服务
NZ5431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nd displaying an optimal route between at least three locations
KR20190043405A (ko) 관광지도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175863B (zh) 一种基于大数据的个性化多用景区广告平台
KR101213132B1 (ko) 공간객체 정보를 저장한 코드패턴, 코드패턴 생성기, 코드패턴을 이용한 지리정보표시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1805839B1 (ko) 인쇄지도 연계형 poi 콘텐츠 관리 플랫폼 시스템
JP6047939B2 (ja) 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0491431B1 (ko)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지능형 디지털 전시 시스템
KR101520908B1 (ko) 팜플렛의 추가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Morita Theory and development of research in ubiquitous mapping
US20180040024A1 (en) Enhancing marketing efforts by associating locations, media, or other information with a coded, geotagged icon
CN108513028A (zh) 信息显示系统及第一电子装置
KR20170032150A (ko) 사물을 이용하여 인증페이지 없이 광고 및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100082050A (ko) 지리기반의 컨텐츠/정보 포털사이트와 연계한 컨텐츠/정보를 업데이트 시키는 위치정보 디바이스
JP6019888B2 (ja) 評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JP5966714B2 (ja) 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