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189B1 -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189B1
KR102021189B1 KR1020170127016A KR20170127016A KR102021189B1 KR 102021189 B1 KR102021189 B1 KR 102021189B1 KR 1020170127016 A KR1020170127016 A KR 1020170127016A KR 20170127016 A KR20170127016 A KR 20170127016A KR 102021189 B1 KR102021189 B1 KR 10202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layer
flexible
flexible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553A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2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1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F2001/1536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ditional, e.g. protective, layer inside the ce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가능한 고신뢰성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유연기판; 제1유연기판 상의 제1유연전극; 제1유연전극 상의 전기변색층; 전기변색층 상의 제2유연전극; 제2유연전극 상의 제2유연기판;을 포함하고, 제1유연전극 및 제2유연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변색층과의 사이에 배리어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가능한 고신뢰성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는 전기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하여 변색 물질이 자극되어 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가시적으로 변색 효과가 발생하는 소자이다. 전기변색소자는 제1기판 상에 형성된 제1전극과 제2기판 상에 형성된 제2전극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이온저장층, 전해질층 및 전기변색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복수의 층들 외측,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폴리머 등을 이용한 격벽 등이 마련된다.
전기변색소자는 제1 및 제2전극에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면 전해질층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이 전기변색층 내부로 이동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함으로써 가시적으로 색이 변하거나 색의 농담이 변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이 환원반응에 의하여 착색되는 소자의 경우, 전기변색층에서 이온저장층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기변색층이 착색되고, 이와 반대로 이온저장층에서 전기변색층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기변색층에서 탈색이 일어나게 된다. 전기변색층이 산화반응에 의하여 착색되는 물질일 경우에는 예시와는 반대방향의 전류 흐름에서 착색 및 탈색 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전기변색소자는 광투과 특성을 이용하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자동차용 룸미러, 투명 디스플레이의 차광판은 물론 표시 소자 등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전기변색소자의 이용 범위 및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전기변색소자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도록 제조될 필요가 있으며, 전극의 투명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산화인듐주석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이 주로 사용되는데, 전극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전도도 달성을 위해서는 일정 두께 이상으로 산화인듐주석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산화인듐주석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전극의 유연성 및 투명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상인 유기전기변색물질이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 유연한 전기변색소자 제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전기변색소자의 전극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금속나노와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도 1은 전기변색소자의 은나노와이어전극의 표면 이미지이고, 도 2는 전기변색소자 구동 후의 은나노와이어전극의 표면이미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은나노와이어 전극이 형성되었으나, 전기변색소자가 구동된 후에는 변형이 발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구동전압인가에 따라 전기변색층 내부의 성분이 은나노와이어전극과 반응하여 전극이 산화되거나 전극에 흡수되어 변형이 발생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신뢰성 높은 유연한 전기변색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가능한 고신뢰성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유연기판; 제1유연기판 상의 제1유연전극; 제1유연전극 상의 전기변색층; 전기변색층 상의 제2유연전극; 제2유연전극 상의 제2유연기판;을 포함하고, 제1유연전극 및 제2유연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변색층과의 사이에 배리어막을 포함한다.
제1유연전극 및 제2유연전극 중 배리어막을 포함하는 유연전극은 금속나노와이어를 포함일 수 있다.
전기변색층은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막은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유연기판 상에 금속나노와이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금속나노와이어층 상에 배리어막을 형성하여 제1유연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배리어막 상에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변색층 상에 제2유연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유연전극 상에 제2유연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은 배리어층은 제1배리어막이고, 전기변색층을 형성한 후, 전기변색층 상에 제2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막은 금속나노와이어층 상에 그래핀막을 위치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유연기판; 제1유연기판 상의 제1유연전극; 제1유연전극 상의 액체전기변색물질이 고분자필름에 흡수된 액체전기변색층; 전기변색층 상의 제2유연전극; 및 제2유연전극 상의 제2유연기판;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된다.
고분자필름은 미세다공성 필름일 수 있다.
고분자필름은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흡수하여 팽윤(swelling)될 수 있고, 고분자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유연기판; 제1유연기판 상의 제1금속나노와이어층 및 제1그래핀막을 포함하는 제1유연전극; 제1유연전극 상의 액체전기변색물질이 고분자필름에 흡수된 액체전기변색층; 액체전기변색층 상의 제2금속나노와이어층 및 제2그래핀막을 포함하는 제2유연전극; 및 제2유연전극 상의 제2유연기판;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기존의 ITO전극이 아닌 금속나노와이어 전극을 사용하여 우수한 특성의 유연전극을 포함하여 유연소자로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나노와이어전극에 대한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물질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서 고신뢰성의 유연전기변색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고분자필름을 이용하여 액상의 액체전기변색물질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고성능의 액체전기변색물질을 이용하는 유연전기변색소자 제조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 제조시에는 고비용, 장시간이 소요되는 증착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정이 친환경적이고 저비용으로 제조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변색소자의 은나노와이어전극의 표면 이미지이고, 도 2는 전기변색소자 구동 후의 은나노와이어전극의 표면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서 유연전극상의 금속나노와이어층과 그래핀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사용되는 고분자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사용되는 고분자필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고분자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변색소자가 전기변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전기변색소자를 5회 구동시의 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11은 도 9의 전기변색소자가 말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유연기판(110); 제1유연기판(110) 상의 제1유연전극(120); 제1유연전극(120) 상의 전기변색층(130); 전기변색층(130) 상의 제2유연전극(140); 제2유연전극(140) 상의 제2유연기판(150);을 포함하고, 제1유연전극(120) 및 제2유연전극(140)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변색층(130)과의 사이에 배리어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기판으로서, 유연한 기판을 포함한다. 제1유연기판(110) 및 제2유연기판(150)은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기판(110, 1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PET), 폴리에테르술폰(Poly Ether Sulf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rc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연기판이 전기변색소자(100)에 사용되므로 소자의 변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투명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기변색소자(100)의 전극은 유연한 전극이 사용된다. 제1유연전극(120) 및 제2유연전극(140)은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유연전극(120, 140)은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연전극(120, 140)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산화물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FTO(F-doped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ZnO:Al), GZO(ZnO:Ga), a-IGZO(In2O3:Ga2O3:ZnO), MgIn2O4, Zn2SnO4, ZnSnO3, (Ga,In)2O3, Zn2In2O5, InSn3O12, In2O3, SnO2, Cd2SnO4, CdSnO3 및 CdIn2O4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산화물일 수 있다.
금속나노와이어는 나노단위의 와이어 형태의 금속 나노와이어이다. 예를 들면, 금속 나노와이어는 은(Ag), 금(Au), 구리(Cu), 니켈(Ni), 백금(Pt), 팔라듐(Pd), 또는 알루미늄(Al) 나노와이어일 수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코어쉘 와이어(core-shell wire)일 수 있다.
전기변색층(130)은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물질은 전기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물질이며, 전기 변색 물질은 무기물이나 유기물일 수 있다. 전기변색층(130)은 전기 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의 입출입에 관여하는 이온저장층, 실제 이온저장층으로부터의 이온을 이용한 변색이 발생하는 변색부 및 이온이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해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130)에 사용되는 전기변색물질은 산화반응 또는 환원반응 중 어느 반응에 의하여 변색되느냐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온저장부와 변색부가 연결되었을 때 산화환원반응이 대응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기변색물질이 무기물인 경우에 박막 형태로 증착되는 전이 금속 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는데, NiO, Cr2O3, MnO2, Rh2O3, CoOx, Ir(OH)x, Fe2O3, WO3, ZnO, NbO5, V2O5, TiO2, MoO3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인 경우, 전기변색물질은 비올로겐(viologen) 화합물, 프타로시아닌(diphtahlocyanine) 화합물, 테트라티아풀발렌(tetrathiafulvalene) 화합물 등과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PEDOT(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이 있다.
전해질부는 전기 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이 포함된 전해질이다. 전해질에 포함되는 염으로는 LiClO4, LiPF6, LiTFSI(CF3SO2NLiSO2CF3), LiFSI(F2LiNO4S2) 등과 같은 Li+계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나 전기 변색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겔형 전해질에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로는 PEO(polyethylene oxide), PEG(poly(ethylene glycol)), PAN(poly acrylonitrile)을 기반으로 한 고분자이거나 기타 다른 종류의 고분자일 수 있다. 용매로는 전기화학반응에 안정적이며 휘발성이 낮은 유기용매가 주로 사용되며,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등이 있다.
유연전극(120, 140)이 전술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전기변색을 위한 전극으로서 전도도를 갖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금속산화물의 경우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전극의 유연성 및 투명도가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유연전극(120, 140)에 금속나노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투명도 및 전도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서 유연전극 상의 금속나노와이어층과 그래핀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유연전극(120, 140)에 금속나노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변색층(130)과의 직접 접촉으로 산화 및 전기변색물질 흡수로 인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금속나노와이어로 유연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전극의 두께가 두껍고 나노와이어 간에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기변색물질이 공간으로 흡수되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연전극(120) 및 제2유연전극(140) 중 금속나노와이어를 사용한 유연전극에는 배리어막(12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리어막(122)은 유연전극(120, 140)과 전기변색층(130) 사이에 액체전기변색물질 이동을 방지하면서도 전자의 교환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박막형태의 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막(122)은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핀은 복수개의 탄소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폴리시클릭 방향족 분자로, 층 또는 시트 형태를 형성한 것으로서, 전도성이 우수하며 얇은 박막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그래핀 박막으로 배리어막(122)을 형성하면, 유연전극(120, 140)과 전기변색층(130) 사이에서 액체전기변색물질의 이동이 방지되면서 전극과 전기변색층 사이의 전자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유연기판(110) 상에 금속나노와이어층(121)을 형성하는 단계; 금속나노와이어층(121) 상에 배리어막(122)을 형성하여 제1유연전극(120)을 형성하는 단계; 배리어막(122) 상에 전기변색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변색층(130) 상에 제2유연전극(14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유연전극(140) 상에 제2유연기판(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배리어막이 그래핀을 포함하는 경우, 금속나노와이어층 상에 별도로 제조된 그래핀막을 위치시켜 배리어막(12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유연전극(120)은 제1전극층(121) 및 제1배리어막(122)을 포함하고, 제2유연전극(140)은 제2전극층(142) 및 제2배리어막(141)을 포함하여 전기변색층(130)으로부터의 양 전극에의 액체전기변색물질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유연기판(110); 제1유연기판(110) 상의 제1유연전극(120); 제1유연전극(120) 상의 액체전기변색물질(132)이 고분자필름(131)에 흡수된 액체전기변색층(130); 전기변색층(130) 상의 제2유연전극(140); 및 제2유연전극(140) 상의 제2유연기판(15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소자(100)는 전기변색층(130)에 고분자필름(131)이 포함된다. 고분자필름(131)은 액체전기변색물질(132)을 유연전기변색소자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격벽이나 스페이서 등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들 대신 사용하는 구성이다.
고분자필름(131)은 미세다공성 필름이나,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흡수하여 팽윤(swelling)될 수 있는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필름(131)이 미세다공성 고분자 필름인 경우, 폴리올레핀 필름이 사용될수 있다. 액체전기변색물질(132)은 미세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기공에 흡수되어 안정적으로 전기변색층(130)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을 나타내는 고분자필름(131) 때문에 유연한 전기변색소자(100) 제조가 가능하다.
고분자필름이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흡수하여 팽윤(swelling)될 수 있는 고분자인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필름이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흡수하여 팽윤(swelling)될 수 있는 고분자인 경우, 액체전기변색물질(132)은 고분자필름(131)에 흡수되고, 고분자필름(131)은 팽윤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분자필름(131)에 흡수된 액체전기변색물질(132)은 이동이 자유로워 전기변색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사용되는 고분자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고분자필름은 폴리올레핀 필름으로서, 다공성 소재이므로 액체전기변색물질이 기공에 흡수되어 전기변색층의 간격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다만, 다공성 소재의 경우 도 7과 같이 투명하지 않고 백색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전기변색소자로 구현한 경우, 구동전압인가가 없는 경우에는 백색이고,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색이 변하는 방식으로 전기변색구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사용되는 고분자필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고분자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변색소자가 전기변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전기변색소자를 5회 구동시의 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11은 도 9의 전기변색소자가 말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고분자필름으로서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흡수하여 팽윤(swelling)될 수 있는 고분자인 폴리이미드 필름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하여 전기변색소자를 제작하였는데, 구동시 전기변색이 안정적으로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9참조). 또한, 5회이상 구동에서도 변색이 잘 유지되었음을 확이할 수 있다(도 10참조).
도 11은 도 9의 전기변색소자를 말아서 유연성을 확인하였는데, 말린상태에서도 구동이 가능하고, 다시 펴서 구동하는 경우에도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필름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가 유연소자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유연기판(110); 제1유연기판(110) 상의 제1금속나노와이어층 및 제1그래핀막을 포함하는 제1유연전극(120); 제1유연전극(120) 상의 액체전기변색물질이 고분자필름에 흡수된 액체전기변색층(130); 액체전기변색층(130) 상의 제2금속나노와이어층 및 제2그래핀막을 포함하는 제2유연전극(140); 및 제2유연전극(140) 상의 제2유연기판(15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기변색소자
110 제1유연기판
120 제1유연전극
121 제1전극층
122 제1배리어막
130 전기변색층
131 고분자필름
132 액체전기변색물질
140 제2유연전극
141 제2배리어막
142 제2전극층
150 제2유연기판

Claims (12)

  1. 제1유연기판;
    상기 제1유연기판 상의 제1유연전극;
    상기 제1유연전극 상의 전기변색층;
    상기 전기변색층 상의 제2유연전극;
    상기 제2유연전극 상의 제2유연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연전극 및 제2유연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변색층과의 사이에 배리어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로서,
    상기 제1유연전극 및 제2유연전극 중 상기 배리어막을 포함하는 유연전극은 금속나노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막은 그래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액체전기변색물질이 고분자필름에 흡수된 액체전기변색층이며,
    상기 고분자필름은 상기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흡수하여 팽윤(swell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유연기판 상에 금속나노와이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나노와이어층 상에 배리어막을 형성하여 제1유연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리어막 상에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제2유연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유연전극 상에 제2유연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배리어막은 그래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액체전기변색물질이 고분자필름에 흡수된 액체전기변색층이며,
    상기 고분자필름은 상기 액체전기변색물질을 흡수하여 팽윤(swell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막은 제1배리어막이고,
    상기 전기변색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제2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막은 그래핀막이고,
    상기 배리어막은 상기 금속나노와이어층 상에 상기 그래핀막을 위치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27016A 2017-09-29 2017-09-29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16A KR102021189B1 (ko) 2017-09-29 2017-09-29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16A KR102021189B1 (ko) 2017-09-29 2017-09-29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53A KR20190037553A (ko) 2019-04-08
KR102021189B1 true KR102021189B1 (ko) 2019-09-11

Family

ID=6616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16A KR102021189B1 (ko) 2017-09-29 2017-09-29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887B1 (ko) * 2020-09-29 2022-02-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기변색소자
US11835832B2 (en) 2020-06-10 2023-12-05 Skc Co., Ltd.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5810B (zh) * 2019-12-09 2022-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致变色组件、壳体和电子设备
KR102475733B1 (ko) 2020-09-01 2022-12-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107A (ja) * 2013-07-18 2015-02-02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17B1 (ko) * 2008-03-14 2010-02-19 주식회사 폴리크롬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 및 대응전극물질 류코 염료를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1682575B1 (ko) * 2009-08-24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8564B1 (ko) * 2012-05-02 2014-02-28 주식회사 삼천리 그래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107A (ja) * 2013-07-18 2015-02-02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駆動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5832B2 (en) 2020-06-10 2023-12-05 Skc Co., Ltd.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KR102357887B1 (ko) * 2020-09-29 2022-02-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기변색소자
KR20220043923A (ko) * 2020-09-29 2022-04-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기변색소자
KR102397860B1 (ko) * 2020-09-29 2022-05-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기변색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53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189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EP3457205B1 (en) Electrochromic element
US11099450B2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1377770B1 (ko) 전기변색 소자용 전극의 제조방법
CN108463912B (zh) 聚合物电解质和包括聚合物电解质的电致变色装置
JP2014512026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デバイス
CN101852960A (zh) 全固态高分子可控电致变色柔性薄膜器件及其制造方法
KR101816536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1399300B (zh) 具有边缘保护的电致变色膜
KR101959450B1 (ko) 리간드-금속산화물층을 포함하는 자기구동 전기변색소자
JP2006030820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20120064315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P3470914A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351850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483695B1 (ko) 원자층 증착공정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00081311A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468146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212675329U (zh) 一种电致变色器件以及显示装置
KR101857051B1 (ko) 산화 그래핀 보호층 포함 전기변색용 전극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산화 그래핀 보호층 포함 전극필름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2052077B1 (ko) 단일 투명전도성 기판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US20210324261A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4815431A (zh) 一种电致变色器件及电子设备
US20180067371A1 (en) Electrochromic element unit, dimming window, and imaging device
KR20230099657A (ko) 전기변색소자
KR102139829B1 (ko) 전기 변색 효율 및 시간을 개선한 전기 변색 소자와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