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159B1 - 다기능 지팡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159B1
KR102020159B1 KR1020180146953A KR20180146953A KR102020159B1 KR 102020159 B1 KR102020159 B1 KR 102020159B1 KR 1020180146953 A KR1020180146953 A KR 1020180146953A KR 20180146953 A KR20180146953 A KR 20180146953A KR 102020159 B1 KR102020159 B1 KR 10202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ne
extension
le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복영
Original Assignee
신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복영 filed Critical 신복영
Priority to KR102018014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4Walking sticks with means for hanging-up or with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child unit emits, i.e. the child unit incorporates the emit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지팡이 및 상기 지팡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포함되는 다기능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제1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손잡이부와 T형상을 갖도록 수직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2공간부가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3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연장바와, 상기 제1연장바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4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연장바와, 상기 제2연장바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며, 충격 및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완충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제1공간부 내측에 구비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손잡이부의 제1공간부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의 후방에 구비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며,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1LED가 구비되는 발광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방에 결합 구비되어 배터리의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단자와, 상기 제1연장바의 내측 상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제1연장바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환봉 형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카플링에 의해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산볼트와, 상기 제2연장바의 상부에 안착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 내측이 제4공간부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전산볼트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관을 갖는 조절너트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서로 이격 구비되며, 배터리 및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도모하는 정회전버튼 및 역회전버튼과,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의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는, 지면에 안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며, 전방 내측에는 관통된 스피커홀을 갖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 내측에 상하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각각에는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지팡이의 제1연장바가 걸림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걸림고리 각각의 전방은 연장되어 수용부에 연결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스피커홀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지팡이의 충전단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류공급단자가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후방 내측에는 USB단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 및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됨과 아울러 블루투스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제2제어부가 구비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지팡이{Multi-functional stick}
본 발명은 다기능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방식으로 점멸되는 다수개의 LED를 구비하여 야간보행시 지면의 조사 및 보행자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시인성과 안전이 담보되도록 함은 물론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보행자에 맞게 원활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긴급버튼, GPS센서 및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한 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긴급버튼을 누르거나 일정시간 이상 이동이 없을 시에는 블루투스와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지정된 수신자에게 알림이 전송되도록 하는 지팡이와, 상기 지팡이를 거치함과 아울러 지팡이 내측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가스 및 화재를 감지하여 알리는 기능을 갖는 지팡이 및 상기 지팡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포함되는 다기능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등산 및 관광을 하거나 일반인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팡이는 크게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부분과 이 손잡이 부분에서 하향 연장된 지주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봉은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있다.
상기 지팡이는 자신의 체중을 지지하여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하는 기본 목적은 물론이고 별도의 기능성을 부가함으로써 생활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39615호에서 다기능 지팡이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지팡이에 조명을 구비함으로써 노약자들이 어두운 곳을 보행할 때 안전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03971호에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처럼, 단순히 신체를 지지하는 목적 이외에 근래에 들어서 기능성을 부가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최근에는 개인이 소장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보급이 활발함에 따라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보다 활용도가 높은 새로운 기능을 가진 다기능 지팡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39615호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039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점멸되는 다수개의 LED를 구비하여 야간보행시 지면의 조사 및 보행자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시인성과 안전이 담보되도록 함은 물론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보행자에 맞게 원활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긴급버튼, GPS센서 및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여 긴급버튼을 누르거나 일정시간 이상 이동이 없을 시에는 블루투스와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지정된 수신자에게 알림이 전송되도록 하는 지팡이와, 상기 지팡이를 거치함과 아울러 지팡이 내측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가스 및 화재를 감지하여 알리는 기능을 갖는 지팡이 및 상기 지팡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포함되는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팡이 및 상기 지팡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포함되는 다기능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제1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손잡이부와 T형상을 갖도록 수직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2공간부가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3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연장바와, 상기 제1연장바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4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연장바와, 상기 제2연장바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며, 충격 및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완충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제1공간부 내측에 구비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손잡이부의 제1공간부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의 후방에 구비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며,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1LED가 구비되는 발광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방에 결합 구비되어 배터리의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단자와, 상기 제1연장바의 내측 상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제1연장바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환봉 형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카플링에 의해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산볼트와, 상기 제2연장바의 상부에 안착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 내측이 제4공간부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전산볼트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관을 갖는 조절너트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서로 이격 구비되며, 배터리 및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도모하는 정회전버튼 및 역회전버튼과,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의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는, 지면에 안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며, 전방 내측에는 관통된 스피커홀을 갖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 내측에 상하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각각에는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지팡이의 제1연장바가 걸림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걸림고리 각각의 전방은 연장되어 수용부에 연결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스피커홀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지팡이의 충전단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류공급단자가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후방 내측에는 USB단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 및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됨과 아울러 블루투스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제2제어부가 구비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연장바의 외주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내입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내입부에는 방사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2LED가 구비되며, 제2LED의 외측에는 빛이 투과하는 합성수지재의 커버가 구비되고, 제2LED는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는 제1제어부와 연결되어 제1제어부에서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긴급버튼이 구비되며, 연장부의 제2공간부 내측에는 연장부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제1제어부와 연결되어 제1제어부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지팡이는 지팡이에 구비되는 배터리, 제1제어부, 스위치부, 제1LED, 제2LED, 모터, 전산볼트, 조절너트, 정회전버튼, 역회전버튼, 긴급버튼 및 GPS센서로 인해 야간보행시 지면의 조사 및 보행자의 위치가 확인됨으로 보행자의 시인성과 안전이 담보되며, 정회전버튼 또는 역회전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보행자에 맞게 원활하게 지팡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긴급버튼, GPS센서 및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한 제1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긴급버튼을 누르거나 일정시간 이상 이동이 없을 시에는 블루투스와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지정된 수신자에게 위급상황 및 위치를 알리는 알림이 전송됨으로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지팡이를 거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거치대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류공급단자 및 USB단자가 있으므로 용이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제2제어부로 인해 지팡이가 일정시간 이상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으면 블루투스와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지정된 수신자에게 위급상황 및 위치를 알리는 알림이 전송됨으로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용이하게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지팡이의 개략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팡이의 개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의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개략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개략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지팡이(20)는 지팡이(4) 및 상기 지팡이(4)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6)가 포함되는 다기능 지팡이(2)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4)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제1공간부(10)가 형성됨과 아울러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손잡이부(12)의 하부에 손잡이부와 T형상을 갖도록 수직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2공간부(14)가 형성되는 연장부(16)와, 상기 연장부(16)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3공간부(18)가 형성되는 제1연장바(20)와, 상기 제1연장바(20)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4공간부(22)가 형성되는 제2연장바(24)와, 상기 제2연장바(24)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며, 충격 및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완충부(26)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제1공간부(10) 내측에 구비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28)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제1공간부(10)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의 후방에 구비되어 배터리(28)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며,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제어부(30)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전방에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는 배터리(28)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1LED(32)가 구비되는 발광부(34)와, 상기 손잡이부(12)의 후방에 결합 구비되어 배터리(28)의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부(36)와, 상기 손잡이부(12)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며, 배터리(28)와 연결되어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단자(38)와, 상기 제1연장바(2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40)와, 상기 제1연장바(20)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모터(40)의 하부에 구비되며, 환봉 형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카플링(42)에 의해 모터(40)와 연결되어 모터(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산볼트(44)와, 상기 제2연장바(24)의 상부에 안착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 내측이 제4공간부(22)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전산볼트(44)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관(46)을 갖는 조절너트(48)와,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 서로 이격 구비되며, 배터리(28) 및 모터(40)와 연결되어 모터(40)의 회전을 도모하는 정회전버튼(50) 및 역회전버튼(52)과,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28)의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포트(54)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6)는, 지면에 안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판(56)과, 상기 고정판(56)의 상부에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며, 전방 내측에는 관통된 스피커홀(58)을 갖는 수용부(60)와, 상기 수용부(60)의 후방 내측에 상하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각각에는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지팡이(4)의 제1연장바(20)가 걸림되는 걸림고리(62)가 형성되고, 걸림고리(62) 각각의 전방은 연장되어 수용부(60)에 연결 고정되는 걸림부(64)와, 상기 수용부(6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스피커홀(58)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피커(66)와, 상기 수용부(6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지팡이(4)의 충전단자(38)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배터리(28)에 공급하는 전류공급단자(68)가 구비되는 안착부(70)와, 상기 안착부(70)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후방 내측에는 USB단자(72),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74) 및 전원부(7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됨과 아울러 블루투스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제2제어부(76)가 구비되는 표시부(78)로 이루어진다.
먼저, 지팡이(4) 및 상기 지팡이(4)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6)가 포함되는 다기능 지팡이(2)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4)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제1공간부(10)가 형성됨과 아울러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2)에는 제1공간부(10) 내측에 구비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28)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제1공간부(10)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의 후방에 구비되어 배터리(28)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며,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제어부(30)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전방에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는 배터리(28)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1LED(32)가 구비되는 발광부(34)와, 상기 손잡이부(12)의 후방에 결합 구비되어 배터리(28)의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부(36)와, 상기 손잡이부(12)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며, 배터리(28)와 연결되어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단자(38)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상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제어부(3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심박센서(9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2)에 구비되는 제1제어부(30)는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한 PCB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1제어부(30) 및 스위치부(36)를 통해서 제1LED(32), 심박센서(98), 후술되는 제2LED(82), 긴급버튼(90) 및 GPS센서(92)가 유기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30)는 후술되는 거치대(6)의 제2제어부(76)와 블루투스로 연결되거나 미도시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 지팡이(4)를 움직이지 않거나 긴급버튼(90)을 누를 시에 스마트폰을 통해 지정된 착신자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도시된 스마트폰에는 제1제어부(3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지정된 착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이 바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36)는 짧게 반복해서 누르면 제1LED(32)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온상태, 점멸상태, 오프상태로 전환되며, 스위치를 길게 누르면 지팡이(4)의 모든 전원이 온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12)의 하부에 손잡이부와 T형상을 갖도록 수직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2공간부(14)가 형성되는 연장부(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는 제1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제1제어부(30)에서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긴급버튼(90)이 구비되며, 연장부(16)의 제2공간부(14) 내측에는 연장부(16)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제1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제1제어부(30)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센서(9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긴급버튼(90) 및 GPS센서(92)는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즉시 알릴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임과 아울러 실외에 있을 시에 해당 위치를 같이 전송함으로써, 응급상황의 발생 시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긴급버튼(90)을 누를 시에는 스위치부(36)를 조작하여 지팡이(4)의 모든 전원을 재부팅하기 전까지는 일정시간마다 제1제어부(30)와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해 지정된 착신자에게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16)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3공간부(18)가 형성되는 제1연장바(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바(20)의 외주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내입부(80)가 형성되며, 각각의 내입부(80)에는 방사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2LED(82)가 구비되며, 제2LED(82)의 외측에는 빛이 투과하는 합성수지재의 커버(84)가 구비되고, 제2LED(82)는 스위치부(36)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36)는 짧게 반복해서 누르면 제1LED(32)와 같이 제2LED(82)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온상태, 점멸상태, 오프상태로 전환되며, 스위치를 길게 누르면 지팡이(4)의 모든 전원이 온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LED(32)는 야간의 보행 시에 전방을 확인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제2LED(82)는 지팡이(4) 주변의 시야 확보 및 보행자의 위치를 알려주어 안전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연장바(20)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4공간부(22)가 형성되는 제2연장바(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연장바(24)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며, 충격 및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완충부(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26)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구두주걱수용부(94)가 형성되며, 구두주걱수용부(94)에는 축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구두주걱(96)이 결합되어 이루어져 사용자가 신발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연장바(2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바(20)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모터(40)의 하부에 구비되며, 환봉 형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카플링(42)에 의해 모터(40)와 연결되어 모터(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산볼트(44)와, 상기 제2연장바(24)의 상부에 안착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 내측이 제4공간부(22)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전산볼트(44)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관(46)을 갖는 조절너트(4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터(40), 카플링(42) 및 조절너트(48)는 제1연장바(20)와 제2연장바(24)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후술되는 정회전버튼(50) 및 역회전버튼(52)으로 인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너트(48)에 형성되는 지지관(46)은 길게 형성되는 전산볼트(44)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 서로 이격 구비되며, 배터리(28) 및 모터(40)와 연결되어 모터(40)의 회전을 도모하는 정회전버튼(50) 및 역회전버튼(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회전버튼(50) 및 역회전버튼(52)으로 인해 지팡이(4) 전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28)의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포트(5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충전포트(54)는 외부에서 배터리(28)를 용이하게 충전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마트폰 충전케이블을 사용하여 충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대(6)에는, 지면에 안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판(5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56)의 상부에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며, 전방 내측에는 관통된 스피커홀(58)을 갖는 수용부(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6)의 수용부(60) 후방 단부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다수개의 제3LED(86)가 구비되며, 제3LED(86)는 고정판(56)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버튼(88)에 의해 밝기가 조절됨과 아울러 지팡이(4)에 구비되는 배터리(28)의 충전량에 따라 발광되는 색상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LED(86)는 후술되는 제2제어부(76)의 제어에 의해 발광되는 색상이 가변되는 것이며, 제3LED(86)는 제2제어부(76)의 제어에 의해 밤에는 수면등 또는 무드등의 역할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60)의 전방에는 가스 및 화재를 감지하여 후술되는 제2제어부(76)로 전송함과 아울러 스피커(66)를 통해 가스의 누출 및 화재의 발생을 알림하도록 하는 가스감지센서(100) 및 화재감지센서(10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스감지센서(100) 및 화재감지센서(102)의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제2제어부(76)에서는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해 지정된 착신자 및 소방서 등으로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부(60)의 후방 내측에 상하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각각에는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지팡이(4)의 제1연장바(20)가 걸림되는 걸림고리(62)가 형성되고, 걸림고리(62) 각각의 전방은 연장되어 수용부(60)에 연결 고정되는 걸림부(64)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6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스피커홀(58)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피커(66)가 구비되며, 스피커(66)는 후술되는 제2제어부(76)의 제어에 의해 지팡이(4)의 거치대(6) 안착여부, 배터리(28)의 충전상태, 긴급상황 등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부(6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지팡이(4)의 충전단자(38)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배터리(28)에 공급하는 전류공급단자(68)를 갖는 안착부(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70)에 구비되는 전류공급단자(68)는 배터리(28)에 전류를 공급함과 아울러 후술되는 제2제어부(76)와 연결되어 배터리(28)의 충전량을 전송하게 되며, 제2제어부(76)에서는 제3LED(86)가 발광되는 색상을 가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70)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후방 내측에는 USB단자(72),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74) 및 전원부(7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됨과 아울러 블루투스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제2제어부(76)가 구비되는 표시부(7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74)는 제3LED(86), USB단자(72), 제2제어부(76), 전류공급단자(68), 가스감지센서(100) 및 화재감지센서(102)를 온오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지팡이(2)는 지팡이(4)에 구비되는 배터리(28), 제1제어부(30), 스위치부(36), 제1LED(32), 제2LED(82), 모터(40), 전산볼트(44), 조절너트(48), 정회전버튼(50), 역회전버튼(52), 긴급버튼(90) 및 GPS센서(92)로 인해 야간보행시 지면의 조사 및 보행자의 위치가 확인됨으로 보행자의 시인성과 안전이 담보되며, 정회전버튼(50) 또는 역회전버튼(52)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보행자에 맞게 원활하게 지팡이(4)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긴급버튼(90), GPS센서(92) 및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한 제1제어부(30)가 구비됨으로써 긴급버튼(90)을 누르거나 일정시간 이상 이동이 없을 시에는 블루투스와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지정된 수신자에게 위급상황 및 위치를 알리는 알림이 전송됨으로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지팡이(4)를 거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거치대(6)에는 배터리(28)를 충전할 수 있는 전류공급단자(68) 및 USB단자(72)가 있으므로 용이하게 배터리(28)를 충전할 수 있고, 제2제어부(76)로 인해 지팡이(4)가 일정시간 이상 거치대(6)에 거치되어 있으면 블루투스와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지정된 수신자에게 위급상황 및 위치를 알리는 알림이 전송됨으로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용이하게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다기능 지팡이 4 : 지팡이
6 : 거치대 10 : 제1공간부
12 : 손잡이부 14 : 제2공간부
16 : 연장부 18 : 제3공간부
20 : 제1연장바 22 : 제4공간부
24 : 제2연장바 26 : 완충부
28 : 배터리 30 : 제1제어부
32 : 제1LED 34 : 발광부
36 : 스위치부 38 : 충전단자
40 : 모터 42 : 카플링
44 : 전산볼트 46 : 지지관
48 : 조절너트 50 : 정회전버튼
52 : 역회전버튼 54 : 충전포트
56 : 고정판 58 : 스피커홀
60 : 수용부 62 : 걸림고리
64 : 걸림부 66 : 스피커
68 : 전류공급단자 70 : 안착부
72 : USB단자 74 : 전원부
76 : 제2제어부 78 : 표시부
80 : 내입부 82 : 제2LED
84 : 커버 86 : 제3LED
88 : 고정판버튼 90 : 긴급버튼
92 : GPS센서 94 : 구두주걱수용부
96 : 구두주걱 98 : 심박센서
100 : 가스감지센서 102 : 화재감지센서

Claims (5)

  1. 지팡이(4) 및 상기 지팡이(4)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6)가 포함되는 다기능 지팡이(2)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4)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제1공간부(10)가 형성됨과 아울러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12);
    상기 손잡이부(12)의 하부에 손잡이부와 T형상을 갖도록 수직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2공간부(14)가 형성되는 연장부(16);
    상기 연장부(16)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3공간부(18)가 형성되는 제1연장바(20);
    상기 제1연장바(20)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제4공간부(22)가 형성되는 제2연장바(24);
    상기 제2연장바(24)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며, 충격 및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완충부(26);
    상기 손잡이부(12)의 제1공간부(10) 내측에 구비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28);
    상기 손잡이부(12)의 제1공간부(10)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의 후방에 구비되어 배터리(28)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며,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제어부(30);
    상기 손잡이부(12)의 전방에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는 배터리(28)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1LED(32)가 구비되는 발광부(34);
    상기 손잡이부(12)의 후방에 결합 구비되어 배터리(28)의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부(36);
    상기 손잡이부(12)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며, 배터리(28)와 연결되어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단자(38);
    상기 제1연장바(2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40);
    상기 제1연장바(20)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모터(40)의 하부에 구비되며, 환봉 형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카플링(42)에 의해 모터(40)와 연결되어 모터(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산볼트(44);
    상기 제2연장바(24)의 상부에 안착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 내측이 제4공간부(22)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전산볼트(44)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관(46)을 갖는 조절너트(48);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 서로 이격 구비되며, 배터리(28) 및 모터(40)와 연결되어 모터(40)의 회전을 도모하는 정회전버튼(50) 및 역회전버튼(52);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28)의 충전을 도모하는 충전포트(54);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6)는,
    지면에 안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판(56);
    상기 고정판(56)의 상부에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며, 전방 내측에는 관통된 스피커홀(58)을 갖는 수용부(60);
    상기 수용부(60)의 후방 내측에 상하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각각에는 후방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지팡이(4)의 제1연장바(20)가 걸림되는 걸림고리(62)가 형성되고, 걸림고리(62) 각각의 전방은 연장되어 수용부(60)에 연결 고정되는 걸림부(64);
    상기 수용부(6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스피커홀(58)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피커(66);
    상기 수용부(6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지팡이(4)의 충전단자(38)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배터리(28)에 공급하는 전류공급단자(68)가 구비되는 안착부(70);
    상기 안착부(70)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며, 후방 내측에는 USB단자(72),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74) 및 전원부(7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됨과 아울러 블루투스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제2제어부(76)가 구비되는 표시부(7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바(20)의 외주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내입부(80)가 형성되며, 각각의 내입부(80)에는 방사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배터리(28)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2LED(82)가 구비되며, 제2LED(82)의 외측에는 빛이 투과하는 합성수지재의 커버(84)가 구비되고, 제2LED(82)는 스위치부(36)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6)의 수용부(60) 후방 단부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다수개의 제3LED(86)가 구비되며, 제3LED(86)는 고정판(56)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버튼(88)에 의해 밝기가 조절됨과 아울러 지팡이(4)에 구비되는 배터리(28)의 충전량에 따라 발광되는 색상이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6)의 외측에는 제1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제1제어부(30)에서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긴급버튼(90)이 구비되며, 연장부(16)의 제2공간부(14) 내측에는 연장부(16)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제1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제1제어부(30)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센서(9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다기능 지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36)는 짧게 반복해서 누르면 제1LED(32) 및 제2LED(82)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온상태, 점멸상태, 오프상태로 전환되며, 스위치를 길게 누르면 지팡이(4)의 모든 전원이 온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KR1020180146953A 2018-11-26 2018-11-26 다기능 지팡이 KR10202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53A KR102020159B1 (ko) 2018-11-26 2018-11-26 다기능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53A KR102020159B1 (ko) 2018-11-26 2018-11-26 다기능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159B1 true KR102020159B1 (ko) 2019-09-10

Family

ID=6795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953A KR102020159B1 (ko) 2018-11-26 2018-11-26 다기능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74980A (zh) * 2022-06-29 2022-08-30 浙江杭升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开关
KR102478038B1 (ko) * 2021-07-15 2022-12-15 정은주 사용자 환경 맞춤형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팡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102A (ja) * 1982-12-24 1984-07-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安全杖装置
JP2006198370A (ja) * 2005-01-21 2006-08-03 Nariyuki Mitachi 急速充電型外出用ステッキ
JP2010246697A (ja) * 2009-04-15 2010-11-04 Tetsuo Iijima 杖のスタンド
KR20110003971A (ko) 2009-07-07 2011-01-13 장성민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110030276A (ko) * 2009-09-16 2011-03-23 가부시키가이샤 이와타 뎃코쇼 전동신축 지팡이
KR20110039615A (ko) 2009-10-12 2011-04-2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지팡이
JP3193013U (ja) * 2014-07-01 2014-09-11 有限会社ブレスレン・インク 脚ゴム脱着機能付きステッキスタンド
KR101756061B1 (ko) * 2017-03-29 2017-07-10 김세길 노약자 보조 지팡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102A (ja) * 1982-12-24 1984-07-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安全杖装置
JP2006198370A (ja) * 2005-01-21 2006-08-03 Nariyuki Mitachi 急速充電型外出用ステッキ
JP2010246697A (ja) * 2009-04-15 2010-11-04 Tetsuo Iijima 杖のスタンド
KR20110003971A (ko) 2009-07-07 2011-01-13 장성민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110030276A (ko) * 2009-09-16 2011-03-23 가부시키가이샤 이와타 뎃코쇼 전동신축 지팡이
KR20110039615A (ko) 2009-10-12 2011-04-2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지팡이
JP3193013U (ja) * 2014-07-01 2014-09-11 有限会社ブレスレン・インク 脚ゴム脱着機能付きステッキスタンド
KR101756061B1 (ko) * 2017-03-29 2017-07-10 김세길 노약자 보조 지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038B1 (ko) * 2021-07-15 2022-12-15 정은주 사용자 환경 맞춤형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팡이
CN114974980A (zh) * 2022-06-29 2022-08-30 浙江杭升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开关
CN114974980B (zh) * 2022-06-29 2024-05-28 浙江杭升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159B1 (ko) 다기능 지팡이
US8469558B2 (en) Multi-function light source
US9638404B2 (en) Portable flashlight with wireless switching function
CN105243788B (zh) 一种智能拐杖跌落报警系统及其手机app客户端设计方法
TR201808031T4 (tr) Aydınlatma kontrol sistemi.
US20160341410A1 (en) Personal Lighting System
KR200470207Y1 (ko)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KR200398115Y1 (ko) 노트북 컴퓨터의 도난 방지 장치
US10321545B2 (en) Variably controlled lighting mechanism for feeders
KR20160001525U (ko) 다기능 지팡이
KR20160063705A (ko) 위치 추적기능이 구비된 지팡이
FR2543715A1 (fr)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clenchant une alarme en cas d'eloignement entre l'utilisateur et une personne, un animal ou un objet surveille
US20170116844A1 (en) Adaptive alert device
US11035529B2 (en) Electronic twist flare
JP5587387B2 (ja) 通報用発信装置
CN207767674U (zh) 多功能手杖
US20130303237A1 (en) Electric shocker
CN201324348Y (zh) 一种新型盲人手杖
US94739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mote speaker microphone to indicate radio battery charge state with flashlight and strobe control
KR200476374Y1 (ko) 바형 블루투스 리모콘
CN202355555U (zh) 盲人拐杖
KR101034314B1 (ko) 다기능 후레쉬
CN203588419U (zh) 臂戴式多功能救援器
CN208048202U (zh) 智能手杖
JP2006107223A (ja) 防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