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68B1 -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968B1
KR102019968B1 KR1020170145856A KR20170145856A KR102019968B1 KR 102019968 B1 KR102019968 B1 KR 102019968B1 KR 1020170145856 A KR1020170145856 A KR 1020170145856A KR 20170145856 A KR20170145856 A KR 20170145856A KR 102019968 B1 KR102019968 B1 KR 10201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bar
pillar
eco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448A (ko
Inventor
정순진
한경숙
장윤아
김재순
김경미
이상미
육수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63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은 그늘막이부와, 그늘막이부를 지지하는 기둥부와, 기둥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플랜트테이블부를 포함하며, 그늘막이부는 제1그늘막이바 및 제2그늘막이바와, 제1,2그늘막이 중 하나에는 고정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감겨져 있는 그늘막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기둥부는 중공을 갖는 기둥과, 기둥 상부에 마련되는 빗물유도부재를 포함하여 그늘막이부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플랜트테이블부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Eco-friendly Outside Relaxing Table including foldable canopy}
본 발명은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는 그늘막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식물을 식재하고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야외에 설치되는 휴식 테이블은 통상적으로 긴 의자 형태의 벤치나 라운드 테이블 형태로 마련되어 독서나 식사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테리어가 발전하면서 소재가 단순 목재에서 탈피했을 뿐만 아니라 잔디밭, 화단, 연못가 등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되고 있다.
또한, 야외 휴식 테이블은 벤치 위에 그늘막을 설치함으로써 단순히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은 물론 뜨거운 햇볕을 막아주거나, 우천 시 비를 피할 수 있는 쉼터의 기능도 수행하도록 일반화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그늘막에 태양전지판을 마련하여 태양열 에너지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빗물을 집수하여 원예용수 또는 청소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86022호(2016.12.0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그늘막은 자유롭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으며 테이블은 식물 식재가 가능하고 그늘막으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늘막이부와, 그늘막이부를 지지하는 기둥부와, 기둥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플랜트테이블부를 포함하며, 그늘막이부는 제1그늘막이바 및 제2그늘막이바와, 제1,2그늘막이 중 하나에는 고정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감겨져 있는 그늘막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늘막이바는 제1센터바와 제1그늘경사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늘막이바는 제2센터바와 제2그늘경사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터바는 상기 기둥부의 중심에 마련되고, 상기 제2센터바는 상기 제1센터바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터바는 선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터바는 위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내주면에 링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위성기어는 상기 선기어 및 링기어에 치합하여 공전 및 자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기어는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늘막은 메쉬 형태의 네트층과 네트층 하부에 마련되는 방수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층과 방수포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중공을 갖는 기둥과, 기둥 상부에 마련되는 빗물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그늘막이부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상기 플랜트테이블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트테이블부는 상판부와, 상판부 하부에 마련되어 기둥부로부터 전달된 우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는 중심측에 마련되는 식재파트와 그 외곽에 마련되는 테이블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트테이블부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분할 및 조립 가능한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은 상부에 마련되는 그늘막을 필요에 따라 쉽게 접거나 펼 수 있으며 나아가 원하는 위치와 폭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늘이 필요한 경우 빛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은 그늘막을 이용하여 우수를 집수할 수 있으며, 집수한 우수는 플랜트테이블에 저장하여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은 플랜트테이블을 모듈 형태로 마련하여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의 그늘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을 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의 그늘막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의 플랜트테이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이하 그늘막 휴식 테이블이라 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의 그늘막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그늘막 휴식 테이블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그늘막 휴식 테이블(100)은 상부에 마련되는 그늘막이부(110)와, 그늘막이부(110)를 지지하는 기둥부(120)와, 기둥부(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플랜트테이블부(130)를 포함한다.
그늘막이부(1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정 위치에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넓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그늘막이부(110)는 제1그늘막이바(111) 및 제2그늘막이바(113)와 그 사이에 마련되는 그늘막(115)을 포함한다.
제1그늘막이바(111)는 강도가 높은 소재로 마련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1센터바(111a)와, 제1센터바(111a)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그늘경사바(111b)를 포함한다.
제1센터바(111a)는 기둥부(120)의 중심에 위치한다. 제1그늘경사바(111b)는 그늘막(115)을 통해 빗물이 제1센터바(111a) 측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빗물이 끝단에서 제1센터바(111a)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경사도를 가진다.
제2그늘막이바(113)는 강도가 높은 소재로 마련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2센터바(113a)와, 제2센터바(113a)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그늘경사바(113b)를 포함한다.
제2센터바(113a)는 기둥부(12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며, 제2그늘경사바(113b)는 그늘막(115)을 통해 빗물이 제1센터바(111a) 측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된다.
그늘막(115)은 제1그늘경사바(111b)와 제2그늘경사바(113b)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 가능하게 감겨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그늘경사바(111b)에 베어링(미도시)을 도시하여 그늘막(115)이 회전 가능하게 권취되고, 제2그늘경사바(113b)에 그늘막(115)의 단부가 고정되어, 제2그늘경사바(113b)를 제1그늘경사바(111b)로부터 회전 이격시킴으로써 그늘막(115)이 펴지도록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늘막(115)은 제1그늘막이바(111)를 중심으로 제2그늘막이바(113)를 360도 회전시킬 경우 플랜트테이블부(130)에 전체적으로 그늘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및 폭을 가진다. 따라서 그늘막(115)은 제1그늘경사바(111b)와 제2그늘경사바(113b)가 나란히 있을 때에는 제1그늘경사바(111b)에 원통형으로 말려있으며,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제1그늘경사바(111b)로부터 풀리게 된다.
또한, 그늘막(11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 형태의 상부 네트층(115a)과, 네트층(115a) 하부에 마련되는 부직포층(115b)과, 부직포층(115b) 하부에 마련되는 방수포층(115c)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층(115a)은 덩굴성 식물이 성장하여 뻣어날 수 있도록 메쉬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경량의 밴딩 가능한 얇은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부직포층(115b)은 다양한 식물이 뿌리를 내려 성장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의 매트 형태로 마련되며, 우천 시 빗물을 일부 저장하고 빗소리 등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방수포층(115c)은 그늘막(115)의 최하층에 위치하여 우천시 빗물을 집수하여 중심측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햇빛을 막아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그늘막(115)이 네트층과 부직포층과 방수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덩굴 식물을 이용하여 그늘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직포층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117과 119는 소정 각도록 펼쳐진 상태의 제1그늘막이바(111)와 제2그늘막이바(113)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117)과 간격조절홈(119)이다. 고정클립(117)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간격조절홈(119)은 제2그늘막이바(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마련되어 두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다.
기둥부(12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여 상부의 그늘막이부(110)와 하부의 플랜트테이블부(130)을 연결한다.
기둥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마련되는 빗물유도부재(121)와, 내부에 마련되는 그늘막회전부(123)와, 하부에 마련되는 테이블결합부재(129)를 포함한다.
빗물유도부재(121)는 깔대기 형태로 마련되어, 그늘막이부(110)의 끝단에서 중심측으로 유도되는 빗물이 내부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빗물유도부재(121)는 기둥부(120)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추가 설치될 수 있다.
그늘막회전부(123)는 기둥부(120)의 원통형 중공 기둥(122) 내부에 마련되어, 제1그늘막이바(111)를 중심으로 제2그늘막이바(113)가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그늘막회전부(12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그늘막이바(111)의 제1센터바(111a)에 마련되는 선기어(123a)와, 제2그늘막이바(113)의 제2센터바(113a)에 마련되는 위성기어(123b)와, 기둥부(120)의 내면에 마련되는 링기어(123c)를 포함한다.
선기어(123a)는 기둥부(120)의 중심에 고정 설치된다. 링기어(123c)는 기둥부(12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링기어(123c)와 기둥부(120)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위성기어(123b)는 선기어(123a)와 링기어(123c) 사이에서 두 기어에 치합하도록 마련된다.
제2그늘막이바(113)를 제1그늘막이바(111)로부터 소정 거리 회전 확장시키면 제2센터바(113a)의 위성기어(123b)가 제1센터바(111a)의 선기어(123a)를 중심으로 공전 회전하며, 이때 선기어(123a)와 위성기어(123b)와 링기어(123c)의 기어 직경 및 기어비 조정에 따라 위성기어(123b)는 공전 회전보다 빠른 속도로 자전 회전하면서 그늘막(115)을 안정적으로 펼치게 된다.
한편, 기둥부(120)의 하부에는 상술한 그늘막회전부(123)의 기어간 치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캡(124)이 마련된다.
지지캡(124)은 기둥(122)의 개구된 하부를 밀폐하는 한편 제1,2그늘막이바(111, 113)의 제1,2센터바(111a, 113a)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캡(124)은 소정 높이로 마련되며 투수공(125a)이 형성된 베이스캡(125)과, 베이스캡(125)의 중심에 돌출 마련되는 센터지지돌기(126)와, 베이스캡(125)의 외곽에 돌출 마련되는 기둥지지돌기(127)를 포함한다.
센터지지돌기(126)는 제1그늘막이바(111)의 제1센터바(111a) 단부가 결합되는 제1센터홈(126a)을 구비한다. 이때, 제1센터홈(126a)은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1센터바(111a)의 단부도 다각형으로 마련되어 제1그늘막이바(111)의 초기 위치는 용이하게 세팅될 수 있다.
센터지지돌기(126)와 기둥지지돌기(127) 사이에는 제2센터홈(128)이 마련되어 제2그늘막이바(113)의 제2센터바(113a)가 삽입된다. 투수공(125a)은 제2센터홈(128)의 하부에 위치하여 기둥부(120)로 유입된 우수를 플랜트테이블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둥부(120)는 기둥부와 플랜트테이블부(130)를 연결하기 위한 기둥조립부재(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조립부재(129)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며, 상부에는 지지캡(124)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결합홈(125b)과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129a)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플랜트테이블부(130)에 마련되는 제2결합홈(136a)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129b)를 구비한다. 제2결합돌기(129b)는 플랜트테이블부(130)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늘막회전부(123')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는 상기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그늘막회전부(123')는 선기어(123a')와 위성기어(123b')와 링기어(123c')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기둥(122)이 고정기동(122a)과 회전기둥(122b)을 포함한다.
회전기둥(122b)은 상하로 위치하는 고정기둥(12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링기어(123c')가 베어링 없이 마련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링기어(123c')는 회전기둥(122b)과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기둥(122b)을 돌릴 경우 위성기어(123b')가 설치되어 있는 제2그늘막이바(113)를 공전 및 자전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그늘막(115)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한편, 플랜트테이블부(130)는 상판부(131)와 저수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131)는 저수부(135)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중심측에 마련되는 식재파트(132)와 그 외곽에 마련되는 테이블파트(133)를 포함한다. 식재파트(132)는 소정 두께의 메쉬망 형태로 마련되어 예를 들어 덩굴 식물의 줄기가 뿌리를 내리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 식재파트(132)에는 캡(134)이 마련되어 식물이 식재되지 않을 경우 이를 폐쇄하여 테이블파트(133)와 함께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저장된 우수가 없는 경우 캡(134)을 분리한 후 식재파트(132)를 통해 저수부(135)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저수부(135)는 기둥부(120)를 통해 수집된 우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저수부(135)는 중심에 기둥연결면(136)을 포함하며, 기둥연결면(136)에는 기둥조립부재(129)의 제2결합돌기(129b)와 결합하는 제2결합홈(136a)이 마련된다. 제2결합돌기(129b)와 제2결합홈(136a)은 내부를 관통하는 투수공(미도시)을 각각 구비하여 기둥부(120)로부터 집수된 우수가 저수부(135)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트테이블부(130)는 다수개로 분할 및 조립 가능한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의 플랜트테이블부(130)를 네 개의 모듈(130A, 130B, 130C, 130D)로 분할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을 갖더라도 적정 개수로 분할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야외 그늘막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와 그늘막이부(110)와 기둥부(120)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지만, 플랜트테이블부(130')가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랜트테이블부(1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트테이블부(130')는 단차진 시설물의 측벽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연결면(136')의 형태가 다르게 구성된다. 즉, 일 실시 예에서 플랜트테이블부는 사분할에 맞는 기둥연결면(136)을 갖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반원 형태의 플랜트테이블부를 분할하는 형태의 기둥연결면(136')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플랜트테이블부(130')는 그늘막이부(110) 및 기둥부(120)를 통해 집수된 우수를 활용하는 것은 물론, 저수부(135)를 토양으로 채워 덩굴 식물외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채운 화분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100..그늘막 휴식 테이블 110..그늘막이부
111..제1그늘막이바 113..제2그늘막이바
115..그늘막 120..기둥부
121..빗물유도부재 122..기둥
123,123'..그늘막회전부 123a..선기어
123b..위성기어 123c..링기어
124..지지캡 129..기둥조립부재
130..플랜트테이블부 131..상판부
135..저수부

Claims (10)

  1. 그늘막이부와,
    상기 그늘막이부를 지지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플랜트테이블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늘막이부는 제1그늘막이바 및 제2그늘막이바와, 제1,2그늘막이 중 하나에는 고정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감겨져 있는 그늘막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그늘막이바는 제1센터바와 제1그늘경사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늘막이바는 제2센터바와 제2그늘경사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터바는 상기 기둥부의 중심에 마련되고,
    상기 제2센터바는 상기 제1센터바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센터바는 선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터바는 위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내주면에 링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위성기어는 상기 선기어 및 링기어에 치합하여 공전 및 자전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늘막은 메쉬 형태의 네트층과 네트층 하부에 마련되는 방수포를 포함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층과 방수포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마련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7.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중공을 갖는 기둥과, 기둥 상부에 마련되는 빗물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그늘막이부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상기 플랜트테이블부로 전달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테이블부는 상판부와, 상판부 하부에 마련되어 기둥부로부터 전달된 우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중심측에 마련되는 식재파트와 그 외곽에 마련되는 테이블파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테이블부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분할 및 조립 가능한 모듈 형태로 마련되는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KR1020170145856A 2017-11-03 2017-11-03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KR102019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56A KR102019968B1 (ko) 2017-11-03 2017-11-03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56A KR102019968B1 (ko) 2017-11-03 2017-11-03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448A KR20190050448A (ko) 2019-05-13
KR102019968B1 true KR102019968B1 (ko) 2019-09-11

Family

ID=6658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856A KR102019968B1 (ko) 2017-11-03 2017-11-03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404B1 (ko) * 2020-12-08 2022-04-15 대한민국 식물 식재가 가능한 파라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04B1 (ko) * 2019-11-12 2020-02-19 (주)이엘아트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CN111837771A (zh) * 2020-07-22 2020-10-30 何勇 一种高温遮阳的真空负压水淋塔式花盆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81B1 (ko) * 2014-11-24 2015-02-25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KR101555705B1 (ko) * 2014-09-30 2015-09-25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차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9626B2 (ja) * 1995-11-30 2006-04-26 萩原工業株式会社 テントシート地
KR20130008263A (ko) * 2011-07-12 2013-01-22 고운 차량용 비 가리개
KR101686022B1 (ko) * 2014-03-31 2016-12-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 저장 이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05B1 (ko) * 2014-09-30 2015-09-25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차양 장치
KR101495681B1 (ko) * 2014-11-24 2015-02-25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404B1 (ko) * 2020-12-08 2022-04-15 대한민국 식물 식재가 가능한 파라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448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968B1 (ko) 친환경 야외 그늘막 휴식 테이블
US20130212940A1 (en) Vertical Gardening Assembly and Kit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354531B1 (ko) 다기능 복합테이블
WO2010029231A2 (fr) Dispositif optimisé d'aménagement extérieur à l'esthétique paysagère évolutive
US20100122490A1 (en) Apparatus for shielding plants from adverse weather conditions
KR101121032B1 (ko)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200423430Y1 (ko) 조립식 정자
US20120204486A1 (en) Prefabricated gardening apparatus
CN205755940U (zh) 一种折叠式藤本植物种植架
CN209201705U (zh) 一种园林绿化苗木支架
KR100746236B1 (ko) 자연적인 그늘막을 형성하는 나뭇가지 및 나뭇잎과 열매,꽃들로 구성된 자연 파라솔
JP6585499B2 (ja) 樹木回転装置
CN107750714A (zh) 花盆
CN210987233U (zh) 一种园林绿化用花盆支撑架
CN209712370U (zh) 一种园林绿化用的摆花固定装置
CN205962005U (zh) 花盆
JP6624537B1 (ja) 多用途用収納ユニット
KR102566978B1 (ko) 슬라이드식 벤치가 구비된 식재 하우스
JP6554628B1 (ja) 多用途用収納ユニット
KR102387404B1 (ko) 식물 식재가 가능한 파라솔
CN214206503U (zh) 一种园林景观用遮阳花箱
CH634457A5 (fr) Tour a cultures.
KR20200063560A (ko) 접이식 텐트 구조물
CN218456816U (zh) 一种园林工程垂直绿化装置
JP2020089356A (ja) 収納筒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