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424B1 - 컨텐츠 공유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424B1
KR102019424B1 KR1020130120272A KR20130120272A KR102019424B1 KR 102019424 B1 KR102019424 B1 KR 102019424B1 KR 1020130120272 A KR1020130120272 A KR 1020130120272A KR 20130120272 A KR20130120272 A KR 20130120272A KR 102019424 B1 KR102019424 B1 KR 10201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tent
moving
sea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833A (ko
Inventor
이현우
이준경
이재현
유성필
김광희
이선호
홍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공간과 고정공간 사이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컨텐츠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52,54)를 포함하는 이동공간(50); 상기 이동공간의 도어가 열린 개구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과 접속하는 도킹부(20)를 포함하는 고정공간(10); 및 상기 이동공간에서 고정공간으로, 또는 상기 고정공간에서 이동공간으로 이동 가능한 컨텐츠(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장치{An Apparatus for Common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공간과 고정공간 사이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컨텐츠 공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차량이 단순한 운송 내지 이동수단이 되는 것을 넘어서, 레져나 캠핑, 그리고 생활공간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많은 캠핑카들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캠핑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주거공간인 집의 시설물과 별도로 캠핑카 내에 별도의 시설을 설치하여 이용한다. 따라서 캠핑카는 그야말로 캠핑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운송 내지 이동수단으로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결국 사람들은 운송 내지 이동수단으로서의 차량과, 캠핑용 차량을 모두 소유하게 되고, 이는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거공간에서 사용하는 시설물인 컨텐츠를 차량에 옮길 수 있거나 그 반대로 옮길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차량을 운송 내지 이동수단으로 이용하면서도 동시에 이동 가능한 주거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공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52,54)를 포함하는 이동공간(50); 상기 이동공간의 도어가 열린 개구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과 접속하는 도킹부(20)를 포함하는 고정공간(10); 및 상기 이동공간에서 고정공간으로, 또는 상기 고정공간에서 이동공간으로 이동 가능한 컨텐츠(70);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킹부(20)는 고정공간에서 이동공간을 향하여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며, 전후진모터(22)에 의해 구동되어 진행가이드(24)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도어(52,54)는 상기 도킹부(20)의 접속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공간에 형성된 도어 이동용 슬라이드 레일(56)에 의해 가이드되어 개폐되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위치 또는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도어 고정장치(58)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된다.
상기 고정공간(10)의 바닥면(32)은 도킹된 이동공간(50)의 바닥면(59)과 그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승강 가능하며, 이러한 승강은 바닥면과 연결된 실린더(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32)의 승강은 도킹부(20)의 도킹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공간(50)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고정공간(10)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다.
상기 고정공간(10)의 바닥면(32)과 이동공간(50)의 바닥면(59)에는 컨텐츠(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컨텐츠 이동용 레일(72)이 설치된다.
상기 컨텐츠(70)의 저면에는 상기 이동용 레일(72)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바퀴(7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바퀴(74)는 컨텐츠(70)의 저면에 부착된 부착브라켓(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바퀴(74)는 구형이고, 상기 회전바퀴와 부착브라켓 사이에는 볼베어링(76)이 개재된다.
상기 컨텐츠(70)에는 컨텐츠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용 흡착장치(8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흡착장치(80)는, 컨텐츠(7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2), 상기 고정브라켓(82)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진행가이드(84), 및 상기 진행가이드(84)의 저부에 설치된 진공흡착부(87)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용 흡착장치는 진공흡착부(87)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부(89)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공간(50)의 시트(60)는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시트는 시트 브라켓(64)에 의해 바닥면(32,59)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시트 브라켓(64)의 이동은 안내하는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62)이 설치된다.
상기 시트의 회전은 시트 브라켓(64)에 배치된 시트 회전 모터(61)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 회전 모터(61)의 전원은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62)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시트 브라켓(64)은 전동부(66)에 의해 구동되어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주거공간인 고정공간과 사람의 이동수단인 이동공간 사이에 컨텐츠를 공유하고 쉽게 옮길 수 있어, 하나의 차량만으로도 교통수단으로, 또한 레저 및 주거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공간을 고정공간에 도킹한 상태에서는 주거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컨텐츠와 차량을 이중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공간과 이동공간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도킹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공간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고정공간과 이동공간 사이의 컨텐츠의 이동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이동공간에 컨텐츠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이동공간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고정공간과 이동공간이 도킹된 상태에서 고정공간과 이동공간의 바닥면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고정공간의 바닥면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컨텐츠에 부착된 회전바퀴가 컨텐츠 이동용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바퀴와 그것이 수용된 부착 브라켓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회전바퀴와 부착 브라켓의 측면 단면도,
도 13은 컨텐츠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흡착장치가 컨텐츠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공간에 설치된 시트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공간과 이동공간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과 도 2의 도킹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52,54)를 포함하는 이동공간(50)과, 상기 이동공간의 도어가 열린 개구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과 접속하는 도킹부(20)를 포함하는 고정공간(10) 및 상기 이동공간에서 고정공간으로, 또는 상기 고정공간에서 이동공간으로 이동 가능한 컨텐츠(70);를 포함한다.
고정공간(10)인 집과 이동공간(50)인 차량이 공간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결합장치로서 도킹부(20)가 필요하다.
상기 도킹부(20)는 고정공간에서 이동공간을 향하여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며, 전후진모터(22)에 의해 구동되어 진행가이드(24)에 의해 가이드된다.
즉 고정공간이 이동공간에 대해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도킹부(20)가 고정공간 내측으로 후퇴하여 있다가, 이동공간이 고정공간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이들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킹부(20)가 전진하여 이동공간과 접하게 되는 것이다.
도킹부(20)는 그 자체로 개폐가 가능한 문을 가질 수 있고, 고정공간이 문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이동공간(50)인 차량도 그 자체로 도어(52,54)를 가지는바, 도킹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도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공간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어(52,54)는 상기 도킹부(20)의 접속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공간에 형성된 도어 이동용 슬라이드 레일(56)에 의해 가이드되어 개폐되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위치 또는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도어 고정장치(58)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된다.
즉 이동공간과 고정공간의 도킹 내지 결합을 위해서는 이동공간에 측면 개방형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는 이동공간인 차량 운행시에는 닫혀 있다가 승객의 승하차, 또는 고정공간과의 결합을 위해 측면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동공간(50)과 고정공간(10)이 연결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이동이 가능하다.
도 6은 고정공간과 이동공간 사이의 컨텐츠의 이동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이동공간에 컨텐츠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이동공간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공간(10)과 이동공간(50)이 연결된 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의 컨텐츠(70)가 이동공간(5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된 후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후미에 컨텐츠(70)를 적재할 수 있다.
이동공간과 고정공간 사이를 이동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할 컨텐츠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구성이 가능하다. 가령 사용자는 서재 모듈, 주방 모듈, 옷장 모듈, 소파 모듈 등으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중에서 필요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원하는 순서대로 이동공간에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모듈들은 레고식으로 서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공간 활용과 호환성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을 위해서 고려하여야 할 것은, 첫째 고정공간(10)과 이동공간(50)의 바닥면(32,59)의 높이가 일치하여 이동이 편리하고, 아울러 바닥면 상을 이동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바닥면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먼저 본 발명은 두 바닥면의 높이를 일치시켜 컨텐츠의 이동을 위한 연결성을 확보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9는 고정공간과 이동공간이 도킹된 상태에서 고정공간과 이동공간의 바닥면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고정공간의 바닥면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공간(10)의 바닥면(32)은 도킹된 이동공간(50)의 바닥면(59)과 그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승강 가능하며, 이러한 승강은 바닥면과 연결된 실린더(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32)의 승강은 도킹부(20)의 도킹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공간(50)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고정공간(10)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다.
즉 고정공간인 집의 소유자는 미리 집안 내부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차량 높이를 입력하여, 이동공간인 차량의 도킹 완료 신호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입력되면 고정공간의 바닥면이 자동으로 승강하여 이동공간의 바닥면과 그 높이를 맞추도록 하는 것이다.
바닥면(32)은 집안의 벽면 내부에 숨겨져 장착되어 있는 모터형 실린더(34)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면의 승강 높이는 모터에 연결된 엔코더(36)에 기억되며, 엔코더에 의해 기억되는 승강의 정도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산출되거나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바닥면 상에서 컨텐츠를 편리하게 이동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0은 컨텐츠에 부착된 회전바퀴가 컨텐츠 이동용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바퀴와 그것이 수용된 부착 브라켓의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회전바퀴와 부착 브라켓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고정공간(10)의 바닥면(32)과 이동공간(50)의 바닥면(59)에는 컨텐츠(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컨텐츠 이동용 레일(72)이 설치된다.
이 컨텐츠 이동용 레일(72)은 고정공간(10)과 이동공간(5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컨텐츠(70)의 저면에는 상기 이동용 레일(72)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바퀴(7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바퀴(74)는 컨텐츠(70)의 저면에 부착된 부착브라켓(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바퀴(74)는 구형이고, 상기 회전바퀴와 부착브라켓 사이에는 볼베어링(76)이 개재된다.
회전바퀴를 구형으로 하면 어떠한 방향으로 컨텐츠를 이동하더라도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볼베어링을 개재하여 마찰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바퀴는 박스 형태의 컨텐츠 저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개수만큼 부착 브라켓을 통해 볼트 등으로 부착 내지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회전바퀴를 컨텐츠에 설치할 경우 고정공간에서도 컨텐츠의 고정이 필요하지만, 특히 이동공간은 차량의 이동에 따라 관성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동이 끝난 후에는 단단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컨텐츠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흡착장치가 컨텐츠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컨텐츠(70)에는 컨텐츠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용 흡착장치(8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흡착장치(80)는, 컨텐츠(7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2), 상기 고정브라켓(82)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진행가이드(84), 및 상기 진행가이드(84)의 저부에 설치된 진공흡착부(87)를 구비한다.
진행가이드(84)의 상단에는 높이조절손잡이(85)가 설치되어 있어 수동으로 진행가이드를 이동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를 자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진공흡착부(87)는 바닥면에 흡착되어 컨텐츠(70)를 바닥면에 대한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고정용 흡착장치는 진공흡착부(87)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부(89)를 구비하여, 편리하게 진공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시트를 이동하여 이를 이동공간인 차량에서뿐만 아니라, 고정공간인 집안에서도 활용 가능하게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공간에 설치된 시트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공간(50)의 시트(60)는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시트는 시트 브라켓(64)에 의해 바닥면(32,59)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시트 브라켓(64)의 이동은 안내하는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62)이 설치된다.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과 컨텐츠 이동용 레일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공유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의 회전은 시트 브라켓(64)에 배치된 시트 회전 모터(61)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 회전 모터(61)의 전원은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62)을 통해 공급된다.
이러한 시트는 차량의 운전석 위치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며, 집안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장착된 컨텐츠, 가령 사무공간이나 영화 감상 등을 위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 브라켓(64)은 전동부(66)에 의해 구동되어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한다. 전동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고정공간(집)
20: 도킹부
22: 전후진모터
24: 진행가이드
32: 고정공간의 바닥면
34: 실린더
36: 엔코더
50: 이동공간(차량)
52,54: 도어
56: 도어 이동용 슬라이드 레일
58: 도어 고정장치
59: 이동공간의 바닥면
60: 시트
61: 시트 회전 모터
62: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
64: 시트 브라켓
66: 전동부
70: 컨텐츠
72: 컨텐츠 이동용 레일
74: 회전바퀴
76: 볼베어링
78: 부착브라켓
80: 고정용 흡착장치
82: 고정브라켓
84: 진행가이드
85: 높이조절손잡이
87: 진공흡착부
89: 진공해제부

Claims (12)

  1.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상기 이동공간의 도어가 열린 개구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과 접속하는 도킹부를 포함하는 고정공간;
    상기 이동공간에서 고정공간으로, 또는 상기 고정공간에서 이동공간으로 이동 가능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공간의 바닥면은 도킹된 이동공간의 바닥면과 그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승강 가능하며,
    상기 바닥면의 승강은 도킹부의 도킹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공간의 높이는 고정공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는 컨텐츠 공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고정공간에서 이동공간을 향하여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며, 전후진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진행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컨텐츠 공유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킹부의 접속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공간에 형성된 도어 이동용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개폐되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위치 또는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도어 고정장치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되는 컨텐츠 공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승강은 바닥면과 연결된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컨텐츠 공유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간의 바닥면과 이동공간의 바닥면에는 컨텐츠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컨텐츠 이동용 레일이 설치된 컨텐츠 공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저면에는 상기 이동용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바퀴는 컨텐츠의 저면에 부착된 부착브라켓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바퀴는 구형이고,
    상기 회전바퀴와 부착브라켓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개재된 컨텐츠 공유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는 컨텐츠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용 흡착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흡착장치는,
    컨텐츠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진행가이드,
    상기 진행가이드의 저부에 설치된 진공흡착부를 구비하는 컨텐츠 공유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흡착장치는 진공흡착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부를 구비하는 컨텐츠 공유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의 시트는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시트는 시트 브라켓에 의해 바닥면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시트 브라켓의 이동은 안내하는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컨텐츠 공유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회전은 시트 브라켓에 배치된 시트 회전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 회전 모터의 전원은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을 통해 공급되는 컨텐츠 공유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트 브라켓은 전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시트 이동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컨텐츠 공유장치.
KR1020130120272A 2013-10-10 2013-10-10 컨텐츠 공유장치 KR10201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272A KR102019424B1 (ko) 2013-10-10 2013-10-10 컨텐츠 공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272A KR102019424B1 (ko) 2013-10-10 2013-10-10 컨텐츠 공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833A KR20150041833A (ko) 2015-04-20
KR102019424B1 true KR102019424B1 (ko) 2019-09-06

Family

ID=5303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272A KR102019424B1 (ko) 2013-10-10 2013-10-10 컨텐츠 공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82B1 (ko) * 2021-03-18 2021-08-10 주식회사 네오오토 이동식 소형 주택 및 이와 결합되는 캠핑용 카라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406B1 (ko) * 2019-02-28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과 하우스의 연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436B2 (ja) * 1993-09-28 2001-04-25 株式会社東芝 対象情報表示装置
JP2003522697A (ja) * 2000-02-09 2003-07-29 ジェスティオン ラフォレ イーエヌセー. 車両用荷積み、荷降ろしシステム
JP2008259736A (ja) * 2007-04-13 2008-10-30 Shin Corporation:Kk 患者用寝椅子搬送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436U (ja) * 2010-04-13 2010-06-24 有限会社タマコウ 車両へ収容可能な作業台および作業台を有する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436B2 (ja) * 1993-09-28 2001-04-25 株式会社東芝 対象情報表示装置
JP2003522697A (ja) * 2000-02-09 2003-07-29 ジェスティオン ラフォレ イーエヌセー. 車両用荷積み、荷降ろしシステム
JP2008259736A (ja) * 2007-04-13 2008-10-30 Shin Corporation:Kk 患者用寝椅子搬送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82B1 (ko) * 2021-03-18 2021-08-10 주식회사 네오오토 이동식 소형 주택 및 이와 결합되는 캠핑용 카라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833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0022A1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integrated door check mechanism
US8366175B2 (en) Door checker drive mechanism
US6447048B2 (en) Travel trailer with extendable two level bathroom and bedroom
RU2730284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20200021618A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 및 스위블 장치
US9440727B2 (en) Telescoping aircraft panel door
US20080121853A1 (en) Heavy-Duty In-Vehicle Lift Mechanism
US20110057475A1 (en) Cabin
KR102019424B1 (ko) 컨텐츠 공유장치
JP4497428B1 (ja) ドアガイド装置及びスライドドア装置
WO1991010385A1 (fr) Systeme de lit escamotable pour pieces d'habitation de petites dimensions
CN109747487A (zh) 用于座椅总成的驱动线缆
MX2010012568A (es) Accionamiento de puerta para una puerta giratoria de un vehiculo para el transporte de personas.
KR101950649B1 (ko) 캠핑 차량용 실내 주방 가구 이송장치
US10960950B2 (en) Folding urban mobility vehicle
KR101593550B1 (ko) 차량에 구비되는 여가용 부대장치
CN208827717U (zh) 用于车辆的存储封闭体及车辆
US3021170A (en) Telescoping cover for trucks
CN203925029U (zh) 中门锁内锁机构
CN105534132A (zh) 一种电动翻转装置及其应用的电动翻床
CN205457453U (zh) 一种电动翻转装置及其应用的电动翻床
KR101209794B1 (ko) 버스용 러기지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CN214117874U (zh) 一种汽车滑移门及汽车
KR102193291B1 (ko) 회전 가능한 컨테이너를 갖는 캠핑용 트레일러
JP2014520727A (ja) 航空機内ドア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