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421B1 -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421B1
KR102019421B1 KR1020180029092A KR20180029092A KR102019421B1 KR 102019421 B1 KR102019421 B1 KR 102019421B1 KR 1020180029092 A KR1020180029092 A KR 1020180029092A KR 20180029092 A KR20180029092 A KR 20180029092A KR 102019421 B1 KR102019421 B1 KR 102019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pattern
fabric
pattern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한림
Original Assignee
송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한림 filed Critical 송한림
Priority to KR102018002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 C14B1/56Ornamenting, producing designs, embo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3/00Shredding hides or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5/00Clicking, perforating, or cutting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1/00Surface finishing of lea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제품의 고급화와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착 표면을 갖는 원지와;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을 갖는 가죽에서 각 단위 조각으로 재단된 가죽 부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지의 표면에 상기 가죽 부착물을 열에 의해 고착하여 전체가 하나의 가죽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Leather fabric having various color and pet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제품의 고급화와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 의류, 지갑, 벨트 등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로는 우피, 돈피, 양피 등의 천연피혁과 인조가죽 등이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와 같다.
통상적인 가죽(leather)은 전체 표피가 가죽으로 되어 있고, 원가가 높고, 표면 구조가 단조롭다.
따라서 가죽의 표면에 입체적인 요철 또는 돌기를 형성시키기 위해 소재 표면을 연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고 있다.
가죽 소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무늬, 문양을 형성하는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9712호(입체문양이 형성된 천연가죽원단 및 그 제조방법)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은 가죽 표면을 연마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두께가 돌기의 높이만큼 전체적으로 얇아지게 되므로 제품강도가 낮아져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한편 가죽 원단으로 가방, 의류, 지갑, 벨트 등을 제작하는 경우 자투리 조각이 발생하는데, 그 발생된 자투리 조각은 대부분 폐기되어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막대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가죽 제품에서 가죽소재의 내/외피에 접착된 상태에서 미싱기, 자수기, 퀼팅기와 같은 박음수단을 이용해 다양한 문양으로 박음질하는 공정을 거친 후 박음질된 내/외피가 열처리 공정을 거쳐 열수축성 내피가 수축되는 과정을 통해 박음질되지 아니한 가죽소재외피 부분에 돌출주름이 형성되는 등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박음질 공정 및 열처리 공정에 의한 제조단가의 상승과 함께, 종래 가죽소재원단의 돌출문양은 박음질 공정에 의해 형상이 결정됨에 따라 입체문양의 형상을 교체하여 제조하기가 매우 번거로우며, 고온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열수축성 내피의 재질 특성 및 박음질 부분의 파손으로 외력에 의해 돌출문양이 변형되거나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인 가죽 제품들도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다양한 가죽의 색상과 문양에 따른 다양한 형태 표현을 연출한 가죽 제품이 선보이고는 있지만, 하나의 가죽 형태를 가지고 다양한 가죽의 느낌을 연출하기에는 역부족인 현실이다.
또한, 가죽을 재단하고 남은 가죽 조각들을 하나의 가죽에 붙여서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가죽 베이스에서 가죽 조각만을 붙일 경우 원단소재로 인하여 가죽조각이 붙는 비율이나 규격이 일정하지 않아 수작업에 의한 작업이 어렵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규격이나 비율이 맞지 않는 경우로 인해 완성된 하나의 원단 가죽의 고급화를 기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A 10-2010-00169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B1 10-1495076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가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제품의 고급화와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죽 자투리 조각을 선별적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염색하고 다양한 색상의 자투리 조각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문양의 가죽 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기할 자투리 조각을 이용하여 가죽 원단을 제조함으로 자원을 절약하는 것은 물론 입체감이 돋보이도록 창안한 입체문양의 가죽 원단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각원단에서 펀칭되어 조각편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컬러를 갖는 단위조각이 기본원단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임의 부분에 특정한 컬러를 갖는 다양한 무늬가 제공하도록 하여 다양한 고급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착 표면을 갖는 원지와;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을 갖는 가죽에서 각 단위 조각으로 재단된 가죽 부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지의 표면에 상기 가죽 부착물을 열에 의해 고착하여 전체가 하나의 가죽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원지는 핫 멜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지는 가죽 재질로서, 원지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지의 표면에 상기 가죽 부착물이 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 부착물은 하나의 가죽에서 단위 조각으로 재단되어 제공되는 가죽패턴과 가죽조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패턴과 가죽조각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문양을 갖는 하나의 가죽에서 각 단위 조각으로 재단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패턴은 상기 가죽조각과 상호 대응하는 형상 및 모양의 공간 삽입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패턴은 상기 가죽조각을 재단하고 남은 가죽 테두리이고, 상기 가죽조각은 상기 가죽패턴에서 디자인되어 재단되는 단위 조각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조각의 형상은 상기 가죽패턴의 공간 삽입홈과 상호 대응하는 형태나 모양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가죽패턴의 공간 삽입홈의 각 모서리면이나 상기 가죽조각의 각 모서리면은 적어도 3개 면이 상호 균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지의 표면에 상기 가죽 부착물인 가죽패턴과 가죽조각이 열에 의해 고착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패턴과 상기 가죽조각은 상호 대응하는 형상 및 모양의 모서리면을 갖는 것으로, 재단에 따라 그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패턴과 상기 가죽조각이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원지의 표면 가로축, 세로축 및 사선축을 따라 그 형상과 모양이 전후/좌우 연속 반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지의 표면 가로축, 세로축 및 사선축을 따라 상기 가죽패턴과 상기 가죽조각이 상호 대응하여 그 형상과 모양이 전후/좌우 연속 반복으로 결합 형성하되, 상기 가죽패턴에서 상기 가죽조각(122)이 각각 높이 차이를 두고 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지를 준비하는 원단 준비단계와; 다양한 색상이나 다양한 문양의 가죽에서 일정한 모양이나 형태의 가죽 부착물을 단위 조각으로 디자인하는 가죽 부착물 디자인단계와; 상기 가죽 부착물의 단위 조각을 각각 재단하여 가죽패턴 및 가죽조각을 준비하는 가죽 부착물 재단단계와; 상기 가죽 부착물 중, 빈 공간을 갖는 가죽패턴을 상기 원지 표면에 부착하는 가죽패턴 부착단계와; 상기 가죽 부착물 중, 가죽조각을 상기 가죽패턴의 빈 공간에 삽입 부착하는 가죽조각 부착단계와; 상기 가죽패턴과 가죽조각이 원지의 표면에 부착 결합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일체화되도록 고착시켜 하나의 가죽원단을 생산하는 가죽원단 생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지와 상기 가죽패턴 및 가죽조각이 하나의 가죽으로 일체화되어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문양의 갖는 가죽원단으로 연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 부착물에서 가죽패턴은 하나의 가죽에서 재단하고 남는 조각테두리이고, 상기 가죽 부착물에서 가죽조각은 상기 조각테두리에서 재단된 단위 조각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죽패턴과 가죽조각은 다양한 색상이나 다양한 문양의 가죽에서 재단된 단위 조각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가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제품의 고급화와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죽 자투리 조각을 선별적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염색하고 다양한 색상의 자투리 조각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문양의 가죽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할 자투리 조각을 이용하여 가죽 원단을 제조함으로 자원을 절약하는 것은 물론 입체감이 돋보이도록 창안한 입체문양의 가죽원단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각원단에서 펀칭되어 조각편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컬러를 갖는 단위조각이 기본원단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임의 부분에 특정한 컬러를 갖는 다양한 무늬가 제공되도록 하여 다양한 가죽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평평한 가죽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색상 및 문양과 더불어 가죽패턴에서 입체감 있게 들어가고 돌출되는 가죽조각에 의해 입체감 또한 연출할 수 있는 가죽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가죽 원지에서 일정 비율이나 크기로 규격화된 가죽패턴에 삽입 결합하여 부착되는 가죽조각으로 인해 가죽조각에 따른 비율이나 규격을 맞출 필요가 없어 수작업에 의한 작업이 수월하고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규격이나 비율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정교한 하나의 원단 가죽의 고급화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보인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요부를 보인 확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요부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가죽원단의 제1 실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가죽원단의 제2 실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가죽원단의 제3 실시 형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보인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100)은, 부착 표면(111)을 갖는 원지(110)와;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을 갖는 가죽에서 각 단위 조각으로 재단된 가죽 부착물(120)을 포함하고, 상기 원지(110)의 표면(111)에 상기 가죽 부착물(120)을 열에 의해 고착하여 전제가 하나인 가죽원단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지(110)는 가죽원단을 구성하는 기본원단 내지 베이스로서, 핫 멜트 필름 재질로 제공하여 상기 원지(110)와 상기 가죽 부착물(120)을 열에 의해 고착하여 상호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지(110)는 가죽 재질로서, 가죽 표면(111)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형성되고, 가죽의 표면(111)에 상기 가죽 부착물(120)을 부착하여 결합하는 형태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죽 부착물(120)은 상기 원지(110)의 표면(111) 위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하나의 가죽에서 단위 조각으로 재단되는 가죽패턴(121)과 가죽조각(12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죽패턴(121)은 상기 상기 가죽조각(122)을 재단하고 남은 가죽 테두리로 형성되며, 상기 가죽조각(122)은 상기 가죽패턴(121)에서 디자인되어 재단되는 단위 조각으로 형성하게 된다.
즉,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을 갖는 하나의 가죽에서 원하는 패턴,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과 같이 디자인을 한 후, 이 디자인을 재단에 의해 커팅 또는 펀칭하는 형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각 형태로 예시된 도면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죽패턴(121)은 상기 가죽조각(122)을 커팅 후, 남아 있는 바둑판 형태의 격자 문양의 테두리를 갖는 가죽 테두리로 제공되며, 상기 가죽조각(122)은 상기 가죽패턴(121)에서 커팅된 가죽의 단위 조각 형태이다.
한편, 상기 가죽패턴(121)은 내부 공간을 갖는 격자 형태로서, 가죽패턴(121)은 재단에 따라 상기 가죽조각(122)에 상호 대응하는 형상 및 모양의 공간인 공간 삽입홈(121a)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죽조각(122)의 형상은 상기 가죽패턴(121)의 공간 삽입홈(121a)과 상호 대응하는 형태나 모양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가죽패턴(121)의 공간 삽입홈(121a)에서 각 모서리면(121-1)(121-2)이나 상기 가죽조각(122)의 각 모서리면(122-1)(122-2)은 적어도 3개 면이 상호 균등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디자인 재단에 따라 각 모서리면은 그 길이를 달리할 수 있으므로 반듯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죽패턴(121)과 상기 가죽조각(122)은 상호 대응하는 형상 및 모양의 각 모서리면을 갖는 것으로, 재단에 따라 그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원형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가죽패턴(121)과 상기 가죽조각(122)이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원지(110)의 표면(111) 가로축, 세로축 및 사선축을 따라 그 형상과 모양이 전후/좌우 연속 반복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가죽원단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상기 원지(110)의 표면(111) 가로축, 세로축 및 사선축을 따라 상기 가죽패턴(121)과 상기 가죽조각(122)이 상호 대응하여 그 형상과 모양이 전후/좌우 연속 반복으로 결합 형성하되, 가죽원단(100A)의 바깥 테두리까지 가죽패턴(121)으로 마감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가죽원단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상기 원지(110)의 표면(111) 가로축, 세로축 및 사선축을 따라 상기 가죽패턴(121)과 상기 가죽조각(122)이 상호 대응하여 그 형상과 모양이 전후/좌우 연속 반복으로 결합 형성하되, 가죽원단(100B)의 바깥 테두리가 가죽패턴(121)의 일부와 가죽조각(122)의 일부로 마감되는 형태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죽패턴이나 가죽조각을 재단하여 제공함에 있어 예를 들어 사각 형태를 중간에 두고 전후/ 좌우로 다른 형태의 삼각이나, 다른 형태의 사각, 오각 및 팔각 형태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다른 디자인된 가죽 재단 형태로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써, 하나의 원지에 부착되는 가죽패턴이나 가죽조각의 크기나, 그 형태 및 모양에 구애 없이 다양한 색상 및 문양에서 제공되는 가죽 디자인 재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형태의 가죽원단을 생산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가죽원단의 제3 실시 형태로서, 상기 원지(110)의 표면(111) 가로축, 세로축 및 사선축을 따라 상기 가죽패턴(121)과 상기 가죽조각(122)이 상호 대응하여 그 형상과 모양이 전후/좌우 연속 반복으로 결합 형성하되, 상기 가죽패턴(121)에서 상기 가죽조각(122)이 각각 높이 차이를 두고 부착 결합할 수도 있다.
이로써, 기존의 평평한 가죽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색상 및 문양과 더불어 가죽패턴(121)에서 입체감 있게 들어가고 돌출되는 가죽조각(122)에 의해 입체감 또한 연출할 수 있는 가죽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하나의 가죽 원지에서 일정 비율이나 크기로 규격화된 가죽패턴에 삽입 결합하여 부착되는 가죽조각으로 인해 가죽조각에 따른 비율이나 규격을 맞출 필요가 없어 수작업에 의한 작업이 수월하고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규격이나 비율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정교한 하나의 원단 가죽의 고급화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에 따른 가죽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원단 준비단계로서, 하나의 베이스가 되는 원지(110)을 준비한다(S10).
2) 가죽 부착물 디자인 단계로서, 다양한 색상이나 다양한 문양의 가죽에서 일정한 형태나 모양의 가죽 부착물(120)을 단위 조각으로 디자인 한다(S20).
이때, 상기 하나의 가죽은 전체가 한 색상인 가죽이거나 뱀, 악어와 같은 재질의 가죽으로서, 각 색상 및 각 재질에 따라 각각의 가죽에서 디자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3) 가죽 부착물 재단단계로서, 단위 가죽 조각을 각각 재단하여 가죽패턴(121) 및 가죽조각(122)을 준비한다(S30).
4) 가죽패턴 부착단계로서, 상기 가죽 부착물(120) 중, 빈 공간을 갖는 가죽패턴(121)을 상기 원지(110)의 표면(111)에 부착한다(S40).
5) 가죽조각 부착단계로서, 상기 가죽 부착물(120) 중, 가죽조각(122)을 상기 가죽패턴(121)의 빈 공간에 삽입 부착한다(S50).
6) 가죽원단 생산단계로서, 상기 가죽패턴(121)과 가죽조각(122)이 원지(110)의 표면(111)에 부착 결합한 상태에서 열로 압착하여 일체화되도록 고착시켜 하나의 가죽원단(100)을 생산한다(S60).
여기서, 상기 가죽패턴(121)의 빈 공간은 상기 가죽조각(122)이 삽입되는 공간 삽입홈(121a)로서, 상기 가죽조각(122)과 그 형태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원지(110)와 상기 가죽패턴(121) 및 가죽조각(122)이 하나의 가죽으로 일체화되어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문양의 갖는 가죽원단(100)으로 연출 표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죽 부착물(120)에서 가죽패턴(121)은 하나의 가죽에서 재단하고 남는 조각테두리이고, 상기 가죽 부착물(120)에서 가죽조각(122)은 상기 조각테두리에서 재단된 단위 조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지(110)에 상기 가죽패턴과 가죽조각(120)이 각각 부착되어 하나의 가죽원단(100)으로 일체화되면서 다양한 색상 및 무늬 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가죽원단(100)은 재단 모양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표현 가능하도록 되는 가죽으로 연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지(110)에 부착되는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의 상기 가죽조각(120)이 하나의 일체화된 가죽원단(100)으로 생산되며, 상기 가죽원단(100)으로 제작된 다양한 가죽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가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가죽 문양을 하나의 가죽에 표현하여 가죽 제품에서 다양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제품의 고급화와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나의 가죽 원지에서 가죽패턴에 삽입 결합하여 부착되는 가죽조각으로 인해 가죽조각에 따른 비율이나 규격을 맞출 필요가 없어 수작업에 의한 작업이 수월하고 간단하다. 따라서 규격이나 비율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디자인 및 재단이 반듯한 완성된 하나의 원단 가죽의 고급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가죽원단
110 : 원지
120 : 가죽 부착물
121 : 가죽패턴
121a : 공간 삽입홈
122 : 가죽조각

Claims (15)

  1. 원지와;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을 갖는 가죽에서 각 단위 조각으로 재단된 가죽 부착물을 포함하고, 상기 원지의 표면에 상기 가죽 부착물이 접착되어 전체가 하나의 가죽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으로서,
    상기 원지는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핫 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죽 부착물은 하나의 가죽에서 단위 조각으로 각각 재단되어 제공되는 가죽패턴과 가죽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죽패턴은 상기 가죽조각을 재단하고 남은 가죽 테두리이고,
    상기 가죽조각은 상기 가죽패턴에서 디자인되어 재단되는 각 단위 조각이며,
    상기 가죽패턴은 상기 가죽조각과 상호 대응되는 형상 및 모양의 공간 삽입홈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가죽 부착물 중, 상기 가죽패턴을 상기 원지의 표면에 부착 후에 상기 가죽조각을 상기 가죽패턴의 빈 공간 삽입홈에 삽입하고, 상기 가죽패턴과 가죽조각이 원지의 표면에 부착 결합한 상태에서 고열로 압착하여 일체화되도록 고착시켜 하나의 가죽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조각의 형상은 상기 가죽패턴의 공간 삽입홈과 상호 대응하는 형태나 모양을 갖도록 부착 결합하되,
    상기 가죽패턴의 공간 삽입홈의 각 모서리면이나 상기 가죽조각의 각 모서리면은 적어도 3개 면이 상호 균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패턴과 상기 가죽조각은 상호 대응하는 형상 및 모양의 모서리면을 갖도록 부착 결합하되,
    커팅이나 펀칭되는 각 재단에 따라 그 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패턴과 상기 가죽조각이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도록 부착 결합하되,
    상기 원지의 표면 가로축, 세로축 및 사선축을 따라 그 형상과 모양이 전후/좌우 연속 반복이거나 등간격으로 반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패턴과 상기 가죽조각이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도록 부착 결합하되,
    상기 가죽패턴에서 상기 가죽조각이 각각 높이 차이를 두고 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13. 원지(110)를 준비하는 원단 준비단계(S10)와;
    다양한 색상이나 다양한 문양의 가죽에서 일정한 모양이나 형태의 가죽 부착물(120)을 단위 조각으로 디자인하는 가죽 부착물 디자인단계(S20)와;
    상기 가죽 부착물(120)의 단위 조각을 각각 재단하여 가죽패턴(121) 및 가죽조각(122)을 준비하는 가죽 부착물 재단단계(S30)와;
    상기 가죽 부착물(120) 중, 빈 공간을 갖는 가죽패턴(121)을 상기 원지 표면에 부착하는 가죽패턴 부착단계(S40)와;
    상기 가죽 부착물(120) 중, 가죽조각(122)을 상기 가죽패턴(121)의 빈 공간에 삽입 부착하는 가죽조각 부착단계(S50)와;
    상기 가죽패턴(121)과 가죽조각(122)이 원지(110)의 표면(111)에 부착 결합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일체화되도록 고착시켜 하나의 가죽원단(100)을 생산하는 가죽원단 생산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죽패턴(121)은 상기 가죽조각(122)을 재단하고 남은 가죽 테두리이고, 상기 가죽조각(122)은 상기 가죽패턴(121)에서 디자인되어 재단되는 각 단위 조각이며,
    상기 가죽패턴(121)은 상기 가죽조각(122)과 상호 대응되는 형상 및 모양의 공간 삽입홈(121a)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가죽 부착물(120) 중, 상기 가죽조각(122)을 상기 가죽패턴(121)의 빈 공간 삽입홈(121a)에 삽입 부착한 후, 상기 가죽패턴(121)과 가죽조각(122)이 원지의 표면에 부착 결합한 상태에서 고열로 압착하여 상기 원지(110)와 상기 가죽패턴(121) 및 가죽조각(122)이 하나의 가죽으로 일체화되어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문양의 갖는 가죽원단(100)으로 연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29092A 2018-03-13 2018-03-13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 KR10201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92A KR102019421B1 (ko) 2018-03-13 2018-03-13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92A KR102019421B1 (ko) 2018-03-13 2018-03-13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421B1 true KR102019421B1 (ko) 2019-09-09

Family

ID=6795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092A KR102019421B1 (ko) 2018-03-13 2018-03-13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2967A (zh) * 2021-12-16 2022-04-08 焦作隆丰皮草企业有限公司 毛皮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976A (ko) 2008-08-05 2010-02-16 최재송 원단 제조 방법
CN201614379U (zh) * 2009-11-26 2010-10-27 陆晓东 一种表面有图案的皮革
KR101186224B1 (ko) * 2011-05-31 2012-10-10 삼덕상공(주) 폐가죽을 이용한 원단 및 그 생산 방법
KR101495076B1 (ko) 2013-02-04 2015-02-25 주식회사 유니켐 입체문양이 형성된 천연가죽원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976A (ko) 2008-08-05 2010-02-16 최재송 원단 제조 방법
CN201614379U (zh) * 2009-11-26 2010-10-27 陆晓东 一种表面有图案的皮革
KR101186224B1 (ko) * 2011-05-31 2012-10-10 삼덕상공(주) 폐가죽을 이용한 원단 및 그 생산 방법
KR101495076B1 (ko) 2013-02-04 2015-02-25 주식회사 유니켐 입체문양이 형성된 천연가죽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2967A (zh) * 2021-12-16 2022-04-08 焦作隆丰皮草企业有限公司 毛皮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6690A1 (en) A process for appliqueing and embroidering on a mesh fabric
KR102019421B1 (ko)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 가죽원단 및 그 가죽원단 제조방법
US10561186B2 (en) Piece of fabric for hand-sewn works and method for making said works with said fabrics
KR100764041B1 (ko) 보석을 장식지에 조밀 부착하기 위한 성형배열판 및 이를이용한 보석 부착방법
KR20230116203A (ko) 다양한 디자인 형성이 가능한 가죽원단 및 이를 이용한 가죽의류
US10874153B2 (en) Adornment assembly for an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an adornment assembly
CN105648676A (zh) 一种湘南布贴绣的制作方法
KR101875475B1 (ko) 입체문양의 가죽 원단 구조
KR20160110294A (ko) 우드락을 이용한 입체 자수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입체 자수 문양 장식 원단
KR102235316B1 (ko) 더블 페이스 모피의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더블 페이스 모피의류
KR20140116363A (ko) 천연자개를 이용한 자개무늬 장식패널
RU241771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ерхней одежды
US9849718B1 (en) Beading design tool
KR20060115985A (ko)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문양형성방법
US5706749A (en) Method for producing a leather article and leather article thereby obtained
Kaur et al. Dying art of Punjabi jutti in Patiala
JP3236252U (ja) 装飾用品
KR100670770B1 (ko) 다중 입체질감을 가지는 자수직물의 제직방법 및 그자수직물
US10292442B2 (en) Adornment assembly for an article
KR20000041333A (ko) 장식용 벽걸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20830A (ko) 한지(韓紙)를 활용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JPH07166455A (ja) アプリケ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554908A (zh) 一种拼接面料及其制作工艺
CN109537206A (zh) 立体刺绣品的制作工艺
JPS5829187Y2 (ja) 手芸用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